• Title/Summary/Keyword: 가상현실건축

Search Result 102,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Application Trends in Virtual Reality (가상현실(VR)의 국내외 적용 동향)

  • Chun, H.W.;Han, M.K.;Jang, J.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1
    • /
    • pp.93-101
    • /
    • 2017
  •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하기 어려운 환경을 직접 체험하지 않고서도 실제 주변 상황과 상호작용을 하는 것처럼 만들어주는 과학기술이다. 가상현실 기술은 HMD 단말을 중심으로 현재 (1) 게임, 영화, 테마파크 등 오락/엔터테인먼트 분야, (2) 광고, 유통.쇼핑, 관광.여행, 의료/헬스케어 등 서비스업 분야, (3) 교육, 미디어, 시뮬레이션 등 교육/미디어 분야, (4) 자동차, 제조업, 부동산/건축 등 산업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 PDF

Development of immersive flood routing model using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visualization (3차원 가상현실 시각화를 활용한 몰입형 홍수추적 모형 개발)

  • Son, Sangyoung;Hwang, So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96-96
    • /
    • 2022
  •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VR) 기술은 3차원 가상공간 내에서의 높은 몰입감에 기반한 체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소방훈련이나 태풍, 지진 등 재해 대응훈련과 같이 인명피해의 위험이 있는 재해에 대한 VR 기술을 활용한 방재교육은 위험성을 동반하지 않으면서도 현장감에 기반한 높은 교육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는 VR 기술을 이용하여 소방훈련을 위한 실감 소방훈련 시뮬레이터를 개발한 바 있으며 목동재난체험관에서는 홍수, 태풍, 지진 등 다양한 재해에 대한 안전교육을 위한 자연재해 가상현실체험을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도 전국 지자체 및 교육청에서는 방재교육을 목적으로 VR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VR을 활용한 수재해 방재교육은 범람의 수리학적 특성과 함께 수해지의 지형적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방재교육이나 경각심을 부각하는 데엔 효과적이나 실질적인 방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데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몰입형 파랑해석모형인 Celeris Base를 기반으로 3차원 가상현실 시각화를 활용한 수리학적 홍수추적 모형을 개발하였다. 3차원 가상현실 시각화는 Unity3D를 이용하여 모의환경 내에 구현되었다. 강우-유출 과정의 수리학적 해석을 위해 동수역학 수치모형의 연속방정식 내에 강우와 침투에 대한 항을 추가하였다. 침투모형으로는 Horton 모형, Green-Ampt 모형과 함께 사면의 기울기를 고려한 Green-Ampt 모형을 적용하였다. 실제 유역에서의 홍수추적 모의결과는 관측값과 비교적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VR 방재교육을 통해 일반인의 수재해 대응능력 향상에 기여함과 동시에 정확성 높은 홍수추적 모의결과에 기반한 홍수대책 마련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lient-Centered Mobile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Virtual Building Simulation (가상 건축물 시뮬레이션을 위한 클라이언트 중심의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 Kim, Eun-Mi;Lim, Soon-Bum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1 no.2
    • /
    • pp.228-236
    • /
    • 2008
  • Recently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has been researched to view the virtual shape of buildings before construction or cultural heritages under recovery. Those researches used special devices or markers that are not applicable in long distanced outdoor environment. Also the server had to compute a lot of transformations for the location changes of virtual objects. This paper proposed a mobile augmented reality system that uses GPS and accelerometer sensors in order to compute the virtual object's locations without using markers. The server determines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by comparing the GPS data obtained from the client with the predefined 3D object informations in the server. If the server sends the virtual object informations such as the position, orientation and matching information, then the client matches the virtual object on the screen of mobile camera phone. In addition, the client computes the transformations of location change detected by the accelerometer derived from the user's movement without additional connection to the server.

  • PDF

Modeling and Rendering Curved Architectures from Photographs (사진을 이용한 건축물의 곡면 요소의 모델링 및 렌더링)

  • 이지은;김정현;박찬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594-59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비젼의 사진측량학적 방법과 대상물의 기하학적 정보를 결합하여, 사진으로부터 건축물의 정확한 값을 복원해 내는 새로운 모델링 시스템을 소개한다. 사용자의 간단한 프로토타입핑으로 얻은 대략의 모델 정보를 시스템이 사진 이미지와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자동적으로 모델 정보를 복원해 내며, 사진에서 최선의 텍스쳐 맵을 생성해 내므로, 세밀한 모델링 없이도 사진 수준의 사실적인(photo-realistic)모델을 얻을 수 있다. 빠르고 간단한 방법으로 실재 대상의 효과적인 모델을 얻을 수 있는 이 연구의 성과는 가상현실 분야의 모델링 작업에서 추구하는 바와 일치하므로, 가상현실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보이며, 알맞은 대상에 적용을 통해 실질적인 응용이 기대되어진다.

  • PDF

A Study on Distance Estimation in Virtual Space According to Change of Resolution of Static and Dynamic Image (가상현실공간에서 정적 및 동적 이미지의 해상도 변화에 따른 거리추정에 관한 연구)

  • Ryu, Jae-H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3
    • /
    • pp.109-119
    • /
    • 2011
  • The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has been used as the application of architectural presentation or simulation tool in the field of industry. The high immersion and intuitive visual information are the great merits of design evaluation or environmental simulation when we are using the virtual environments. But the distortion of distance perception in VR is still a big problem when the accuracy of distance presentation is strictly required. For example, distance estimation is especially important when the virtual environments are applied to the presentational tool for evaluation the space design or planning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If there are some perception error between the built space in real and represented space in virtual, the accurate design evaluation or modification of design is hard to be carried out during the design development stage. In this paper, we have carried out some experiments about distance estimation in the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to verify the factors and their influence. We made a hypothesis that the lack of the information for the user in VR causes the different distance estimation from the real world because users are usually comfortable with moving fast and long distance in VR environments compared with moving slow and short distance in real space. So, we carried out basic experiment to prove our hypothesis that the lack of information makes subjects estimate the distance of walking in VR shorter compared with the same distance in real. Also, among the factors that probably affect the distance estimation in VR, we have verified the influence of the image resolution. The influence of resolution degradation of image on the distance estimation was verified with the condition of static and dynamic imag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olution has deep relation with the distance estimation. For example, the subject underestimated the distance at the lower resolution condition. We also found the methods of the making the lower resolution image could affect on the visual perception of subjects.

Immersive urban flood simulation using virtual reality simulation environment (가상현실 모의환경을 활용한 몰입형 도시 침수 모의)

  • Sooncheol Hwang;Sangyoung S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10-110
    • /
    • 2023
  • 기후변화, 도시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도시 침수 위험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높은 인구밀도와 더불어 학교, 병원 등 인프라가 집중된 도시지역의 경우 대규모 홍수가 발생할 경우 수많은 인적, 경제적 피해로 이어지게 된다. 도시지역 내 침수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확하고 빠른 도시침수모형의 개발과 더불어 사전에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재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VR) 기술은 높은 몰입감을 통해 사용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여 기존의 교육매체 대비 높은 교육적 효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침수 등 인명피해 위험성을 내재한 재해에의 VR 적용은 위험성을 동반하지 않아 더욱 효과적이다. 종래의 VR 기반 침수 방재교육은 침수의 동수역학적 거동과 대상 지역의 지리적 특성을 적절히 고려하지 못하여 방재교육에는 효과적이나 방재시스템으로의 활용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몰입형 파랑해석모형인 Celeris Base를 토대로 몰입형 도시 침수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Unity3D로 개발된 Celeris Base는 가상현실 장비인 HMD (Head Mounted Display)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 모의결과를 360도 가상현실 공간 내에 가시화할 수 있다. 도시지역 내 강우에 의한 침수를 모의하기 위해 연속방정식 내에 강우, 침투 항을 고려하였다. 침투모형으로는 도시지역 내 침수모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NRCS-CN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개발모형을 이용하여 2022년 8월 발생한 집중호우에 의한 강남역 일대 침수 사상을 수치적으로 재현하고, 이를 가상현실 모의환경 내에 가시화하였다. 모의결과는 집중호우 발생 시 지형적 특성에 따라 강남역과 역삼역 인근에서 집중적으로 침수피해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VR Programming Module for SW Education Advanced Course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초·중학교 SW교육 심화과정을 위한 가상현실 프로그래밍 모듈 개발)

  • Ahn, Sung Hun
    • Journal of Creative Information Culture
    • /
    • v.5 no.1
    • /
    • pp.45-51
    • /
    • 2019
  • In this paper, virtual reality programming modules were developed for software education advanced cours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module was also analyzed. As the result, virtual reality programming modul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proven to be suitable for software education advanced courses required after basic coding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very helpful for the information gifted education program which is carried out in 2,920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nationwide. Also,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suitable for STEM education.

Discourse on ICT Virtual Reality Media : Focusing on Immersible Space and Communication Theories (ICT기반 가상현실(VR) 미디어에 대한 담론 :몰입 공간과 소통이론을 중심으로)

  • Kim, Jung Kyu;Kim, Jong Kou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2
    • /
    • pp.333-338
    • /
    • 2021
  • Development of 5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is visualizing ideal hyper-connected soci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 particular,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is at the starting point for new expansion and leaps. This work defines virtual reality as media in this context and collects and analyzes discourse on its scalability around space and communication theory. We first elaborated the concept, starting with the early discussions of the virtual reality concept in 1990, and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world and digital information, expression and interaction immersion as a medium, simulation, art creation theory, and finally evolutionary development. In conclusion, beyond the discourse on the technology of virtual reality, academic subjects were required to have theoretical frameworks on cognitive science, neuroscience,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issues (ethics, personality, etc.) for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virtual reality. In other words, it is time for the evolution of virtual reality to be discussed, which can be moved beyond.

Virtual pencil and airbrush rendering algorithm using particle patch (입자 패치 기반 가상 연필 및 에어브러시 가시화 알고리즘)

  • Lee, Hye Rin;Oh, Geon;Lee, Taek Hee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4 no.3
    • /
    • pp.101-109
    • /
    • 2018
  • Recently, the improvement of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leverages many new technologies like the virtual study room, virtual architecture room. Such virtual worlds require free handed drawing technology such as writing descriptions of formula or drawing blue print of buildings. In nature, lots of view point modifications occur when we walk around inside the virtual world. Especially, we often look some objects from near to far distance in the virtual world. Traditional drawing methods like using fixed size image for drawing unit is not produce acceptable result because they generate blurred and jaggy result as view distance varying. We propose a novel method which robust to the environment that produce lots of magnifications and minimizations like the virtual reality world. We implemented our algorithm both two dimensional and three dimensional devices. Our algorithm does not produce any artifacts, jaggy or blurred result regardless of scaling f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