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커뮤니티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Development of a Project-Based Cyber Learning Community for Teacher Education (교사교육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가상학습커뮤니티 구축)

  • Jo, Mi-Heon;Lee, Ok-Hwa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9 no.2
    • /
    • pp.243-254
    • /
    • 2005
  • Along the information technology progresses, the demand for the educational application increases which derives the need for cyber education. Cyber education should take the knowledge construction model rather than the knowledge delivery model. For the educational paradigm shift by cyber education, 'Project-Based Learning' and 'Cyber Learning Community' need to be adopted. In this study, project-based cyber learning community for teacher education is developed with 5 major categories: Home(community vision, general information, project list, Q&A), project learning center(preparation for the instructional activities, group-based learning activities, presentations), meeting plaza(request for group mentoring, sharing ideas, meeting specialist, survey participating, forum participating, result presentation), references(cases of project studies, materials for project studies, materials for teacher education, general materials), management(project management, project cases, idea bank, finding partners, dialog with instructors, sharing references, sharing experiences, survey, forum).

  • PDF

The Comparative Case Study on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Online Local-based Communities (온라인 지역 커뮤니티 추진전략에 대한 비교연구)

  • Park, Sang-Hyeok;Gwon, Jin-Taek;Lee, Seong-Jin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5a
    • /
    • pp.467-481
    • /
    • 2004
  • 최근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지역 커뮤니티가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온라인 지역 커뮤니티는 같은 지역에 속해 있어 이로 인해 동일한 관심사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커뮤니티이다. 따라서 온라인 지역 커뮤니티는 전통적인 현실공간의 커뮤니티와 가상 커뮤니티의 속성을 함께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온라인 지역 커뮤니티의 유형을 도출한 뒤 유형별 커뮤니티 구축, 운영, 활성화 방안, 운영 등에 대한전략을 사례 비교함으로써 성공적인 온라인 지역 커뮤니티를 논의하고자한다.

  • PDF

The Effect of Anonymity on Virtual Team Performance in Online Communities (온라인 커뮤니티 내 익명성이 가상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Lee, Un-Kon;Lee, Aeri;Kim, Kyong Kyu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0 no.1
    • /
    • pp.217-241
    • /
    • 2015
  • One of the challenges in online community management is what level of perceived anonymity can be granted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from members while discouraging unhealthy activities. Few studies developed a scheme of anonymity and investigated how different levels of anonymity influence community activities. This study develops a classification scheme of anonymity encompassing the following three different levels : (1) real name(no anonymity), (2) nickname (partial anonymity), and (3) random assignment of a temporal ID (complete anonymity). Then, it examines how different levels of anonymity influence trust and perceived risk, which in turn affect virtual team performance. A series of laboratory experiments were performed, manipulating the levels of anonymity, in the context of well-structured communities that allow prior interactions among community member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64 laboratory participants and analyzed using ANOVA and PL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fference of anonymity between (2) and (3) had not be significant and the only (1) could not guarantee the anonymity. The impact of anonymity on trust and perceived risk could not be significant in this situation. These findings could contribute to make more beneficial member identification strategies in online community practice.

가상 커뮤니티에서 사회 관계 추론을 위한 시맨틱 웹 접근 방법

  • Lee, Seung-Hun;Kim, Ji-Hyeok;Kim, Heung-Nam;Jo, Ge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343-352
    • /
    • 2007
  • 최근 Web 2.0 발달과 더불어 블로그나 온라인 카페 등 웹 상의 사용자가 개인적인 정보를 자유롭게 개제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서비스가 증가하면서, 이 사용자들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 소셜 네트워크 분양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정보자원을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의미적인 정보로 표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서로 다른 도메인 간에 공유와 재사용이 어렵고, 사회적 개체들 간의 관계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아 소셜 네트워크 분석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 커뮤니티 사용자들이 업로드 한 사진 데이터를 이용한 시맨틱 웹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사진에서 추출된 얼굴 개체와의 관계와 이미 인맥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사람들의 정보적 연결성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도메인 규칙을 활용하여 의미 있는 사회적 연결 관계를 추론한다. 이를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상에서 형성된 커뮤니티 내에서 효율적인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도모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 PDF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ustomer's Intention using Cyber Community (1인 미디어 커뮤니티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Kim, Jun-U;Lee, Gi-Dong;Kim, Hak-Hui;Park, Cheon-Ung;Kim, Gyeong-Jun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139-147
    • /
    • 2006
  • 최근 1인 가상커뮤니티가 성숙화 단계에 들어서면서, 이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사이버 커뮤니티는 일반 사용자에게 고립감을 벗어나 사회적 관계(social network)를 맺을 수 있는 기능을 포괄적으로 확장시키고, 이용자들에게는 공동의 관심사와 관계 형성의 공간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오프라인 커뮤니티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카페' 나 '클럽' 중심의 키뮤니티에서 개인형 커뮤니티 추세로 급변하고 있는 최근에는 블로그 사용자가 급증함에 따라 다양한 초점에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새로운 미디어로 각광받고 있는 개인형 커뮤니티인 블로그 사용자를 새로운 정보기술의 사용자로 파악하여 기술수용모형(TAM)을 기본모형으로 하여 선행연구로부터 도출된 개인특성 변수들에 대하여 실증분석 한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기술수용모델이 블로그 사용 환경에서도 적용 가능한지를 검증한 것이고, 기술수용모델 이외의 요소인 주관적 규범, 인지된 즐거움 그리고 자기 유능감이 블로그 서비스 사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A Interactive Virtual Reality for 3D Avatar Community Representation (3D 아바타 커뮤니티 표현을 위한 인터렉티브 가상현실)

  • Won, Yong-Tae;Lee, Malrey;Kwa, Hoon-Sung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1 no.1
    • /
    • pp.99-104
    • /
    • 2007
  • On-line avatar community service requires natural representation of communication, emotional expression, and popular dances and various kinds of services. The space should be dynamic,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otions of avatars and the space is required. The avatars with their national, interesting, and various motions should be implemented togetherwith interaction with virtual spaces, in order to have competition in developing 3D avatars. It is expected for 3D avatars to be broadly applied for 3D shopping malls for e-commerce, cyber model houses, 3 D simulations, and 3D virtual reality game. Therefore, for one line 3D avatar community services, we try to provide the scheme for making interactive virtual spaces, together with 3D avatar animations.

  • PDF

The Influence of Self-discrepancy on One's Contributive Behaviors in Customer-based Online Communities (고객기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개인의 자아 차이 (Self-discrepancy)가 기여 행위에 미치는 영향)

  • Suh, A-Young
    • CRM연구
    • /
    • v.4 no.1
    • /
    • pp.35-54
    • /
    • 2011
  • Organizing and maintaining customer-based online communitie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current business environment. Companies can utilize the member generated contents in developing their products and services and they can establish close relationships with their customers. This paper investigates how customer-based online communities increase individual members' contributive behaviors. Drawing on the social psychology literature, this study adopts the concept of self-discrepancy rooted in self-identity and derive an index for self-discrepancy by using the differences between actual and virtual self-identitie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screpancy and the anonymity-related psychological factors (autonomy, recovery, and catharsis), which in turn influence quality and quantity of contribution. Analysis of 114 respondents showed that self-discrepancy between actual and virtual selves has two different sub-dimensions (personal self-discrepancy and social sel f-discrepancy) and each dimension has different effect o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contribu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autonomy and recovery. Notably, catharsis negatively influenced quality of contribu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major findings.

  • PDF

패션 브랜드의 온라인 커뮤니티(online-community)에 관한 연구: 상호작용과 관계지향적 행동

  • 장유정;박재옥;이규혜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4.04a
    • /
    • pp.140-143
    • /
    • 2004
  • 최근의 비즈니스 환경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특징 중의 하나는 인터넷의 보급과 발전으로 네트워크 환경이 구축되고 사이버 사회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인터넷상에 가상의 공간과 사회가 만들어져 온라인 커뮤니티(online community)라는 개념이 생기기 시작하였다. 온라인 커뮤니티란 회원(멤버)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커뮤니케티션과 이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자생적인 컨텐츠(member-generated contents)의 통합이 컴퓨터를 매개로 하여 구축된 공간(Armstrong과 Hagel, 1996),또는 온라인상에서의 상호작용에 관계하고 있는 사람이나 집단(Williams와 Cotherel, 2000)을 의미한다. (중략)

  • PDF

매체의 복잡성에 따른 아바타의 효과에 관한 연구

  • Mun, Byeong-Seok;Lee, Geon-Cha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263-269
    • /
    • 2007
  • 웹 기술의 발전으로 협업 가상환경에서 사용자들끼리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가 크게 활성화되고 있다. 커뮤니티 사용자들은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과업 수행 뿐만 아니라 복수의 다른 사용자들과도 공통의 관심사나 정보를 상호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찾고 있다. 특히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웹으로 제공하는 보고서에 대해 사용자의 정보인지과정을 향상시키기 위해 아바타를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웹상의 보고서 복잡성에 따라 아바타의 유형이 소비자의 정보인지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첫째, 웹상에서 아바타를 이용하여 보고서를 제공하는 경우에 직무형 아바타가 재미형 아바타보다 사용자의 정보인지과정에 있어서 정보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보품질과 정보만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웹상에 제공되는 보고서에 대한 소비자의 정보인지과정이 아바타의 유형과 보고서의 복잡성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웹상에 제공되는 보고서의 복잡성 정도에 따라서 소비자의 정보인지 과정에 차이가 나는지에 대한 분석결과는 정보품질과 정보만족에는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복잡성이 낮은 보고서가 복잡성이 높은 보고서보다 정보 품질과 정보 만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보신뢰는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embership Fluidity and Knowledge Collaboration in Virtual Communities: A Multilateral Approach to Membership Fluidity (가상 커뮤니티의 멤버 유동성과 지식 협업: 멤버 유동성에 대한 다각적 접근)

  • Park, Hyun-jung;Shin, Kyung-shik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1 no.2
    • /
    • pp.19-47
    • /
    • 2015
  • In this era of knowledge economy, a variety of virtual communities are proliferating for the purpose of knowledge creation and utilization. Since the voluntary contributions of members are the essential source of knowledge, member turnover can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on the survival and success of virtual communities. However, there is a dearth of research on the effect of membership turnover and even the method of measurement for membership turnover is left unclear in virtual communities. In a traditional context, membership turnover is calculated as the ratio of the number of departing members to the average number of members for a given time period. In virtual communities, while the influx of newcomers can be clearly measured, the magnitude of departure is elusive since explicit withdrawals are seldom executed. In addition, there doesn't exist a common way to determine the average number of community members who return and contribute intermittently at will. This study initially examines the limitations in applying the concept of traditional turnover to virtual communities, and proposes five membership fluidity measures based on a preliminary analysis of editing behaviors of 2,978 featured articles in English Wikipedia. Subsequently, this work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ree selected membership fluidity measures and group collaboration performance, reflecting a moderating effect dependent on work characteristic.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membership turnover relates to collaboration efficiency in a right-shortened U-shaped manner, with a moderating effect from work characteristic; given the same turnover rate, the promotion likelihood for a more professional task is lower than that for a less professional task, and the likelihood difference diminishes as the turnover rate increases. Second, contribution period relates to collaboration efficiency in a left-shortened U-shaped manner, with a moderating effect from work characteristic; the marginal performance change per unit change of contribution period is greater for a less professional task. Third, the number of new participants per month relates to collaboration efficiency in a left-shortened reversed U-shaped manner, for which the moderating effect from work characteristic appears to be in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