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서점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using virtual bookstore for acquisition (가상서점을 이용한 수서업무 활용 방안)

  • 배금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7.08a
    • /
    • pp.151-154
    • /
    • 1997
  • 도서관에서 수서업무를 위한 도구로 가상서점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동안 수서업무에서 인터넷을 사용한다 함은 단순히 온라인 상에서 DB화된 자료에 액세스 하여 자료의 유무를 파악하거나 서지사항을 조사하여 필요한 자료를 일정한 양식에 따라 주문하는 정도에 그쳤다. 이 논문은 그 범위를 확대하여 인터넷 웹의 새로운 환경에서 운영되는 전자상거래를 통해 도서관 장서개발의 새로운 도구로 활용되고 있는 가상서점을 이용하여 수서업무를 좀더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 PDF

A Study on a Design of Effective Websites for Internet Bookshops (인터넷 서점의 효과적인 웹사이트 설계에 관한 연구)

  • 이란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8 no.1
    • /
    • pp.43-6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atures of Internet bookshops in order to suggest the most effective website model for them. Seven Internet bookshop websites are analyzed. The evaluating criteria includes: interface layout, contents, function aspects. The results show that a suggested model should include various aspects: 1) user-centered menu structure, 2) effective search methodlsubject directory, and 3) various and good quality review.

  • PDF

Purchase of Foreign Books using Online Bookstores (온라인 서점을 이용한 외국도서 구입에 관한 연구)

  • Min, Yoon-Kyung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28 no.4
    • /
    • pp.34-7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librarians can utilize the online bookstores in their acquisition work.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dures and matters to be attended of purchasing foreign books using online bookstores. And reviews several online bookstores in the Internet.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ush Technology in the Internet Bookstore (가상서점에서의 푸시 기술 응용 사례 연구)

  • 최미순;최원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8.08a
    • /
    • pp.61-64
    • /
    • 1998
  • 인터넷은 단순한 하나의 테크놀로지가 아닌 생활의 전 분야에 걸쳐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하고 있다. 전 세계로 연결된 인터넷은 정보 전달의 통신수단으로 대체되고 있으며, 최근 푸시기술을 응용한 새로운 형식의 소프트웨어가 솔루션으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배경으로 푸시기술의 전반적인 개념 및 응용을 살펴보았고, 실제적으로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 특히 가상서점에서의 응용 사례를 들어보면서 앞으로 이 기술이 어떻게 발전해 가야 할지 도서관에서의 활용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 PDF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Social Science Field in Internet Bookstore (인터넷 서점의 사회과학분야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Min, Hye-Young;Lee, Sung-Sook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43 no.1
    • /
    • pp.41-62
    • /
    • 2012
  • Because of the electronic commerce development, share of the internet bookstore is rising every year in the publication circulation market. Also, the book search in the internet bookstore may smarten more forward according to development trend of the electronic book, and importance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internet bookstore is expected that also rise continuous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classification system that can search the social science books of the internet bookstore efficiently. For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internal and external 10 internet bookstores. This study may be used to other subject study of the internet bookstore, and it expect to is used to basic data for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internet bookstore in the future.

A Study on a Design of Subject Classification Schemes for Internet Bookstores (인터넷 서점의 주제별 분류체계 설계에 관한 연구)

  • Chung, Yeon-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5 no.3
    • /
    • pp.17-34
    • /
    • 2001
  • It is very important to organize materials at intemet bookstores. It is time for us to develop a subject classification scheme as a tool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retrieval with ease of subject ac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ubject features of internet bookstores in order to suggest the effective design of the subject scheme for them. Nine internet bookstore websites are analyzed at the aspect of the subject classification of the materials.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 effective subject classification for internet bookstores is suggested to provide a better subject access.

  • PDF

Study on the book-Shopping Mall constructor with use PHP and MYSQL (PHP 와 MYSQL를 이용한 대학 중고서점 쇼핑몰 구현)

  • Jung, Hang-Nung;Kim, Seoung-Chan;Choi, Jang-Ik;Choi,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953-956
    • /
    • 2001
  • 본 논문은 대학교의 학생들을 위하여 학과 교과서를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가상 중고서점을 Apache+Php+MySql을 활용하여 구축함으로써 기존 Perl CGI(Common Gateway Interface)방식 보다 빠르고 안전한 웹서비스 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선 후배간 되물림을 토대로 친목 도모를 할 수 있다. 대학 중고서점은 역 경매 방식으로 설계되었으며, 일반 중고서점 쇼핑몰과는 달리 대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매매가 형성되며, 책을 모아둘 창고가 별도로 필요치 않아 소자본으로도 창업이 가능하다. 제목별, 지은이별 검색은 물론, 학교별 분류, 학과별 분류를 제공하여 교과서를 검색하기 때문에 누구든 빠르고 쉽게 교재를 검색하고 찾을 수 있도록 구현 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Eye View' Application for book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using Marker technology and AR (마커 기술 및 AR을 이용한 도서 정보 제공 서비스를 위한 'Eye View' 어플리케이션의 구현)

  • Cho, Young-Ju;Kim, Jin-Hyuk;So, Yoon-Jeong;Chung, Il-Yon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8 no.2
    • /
    • pp.257-266
    • /
    • 2017
  • Recently, a variety of books have been published in various fields, and the range of selection for both online and offline bookstores have been widened. However, there is a vinyl packaging phenomenon to prevent damage being made to the books in bookstores. This makes it difficult to have a look through on the contents of the book, affecting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s. These factors causes the annual average reading volume to decrease. Therefore,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propose a "bookmark" application to provide consumers with book information service using AR and Marker technology, tackling the decrease in sales caused by the problem.

NT 기반 XML/EDI 개발에 관한 연구

  • 고규준;박정선;김동우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2000.08a
    • /
    • pp.319-331
    • /
    • 2000
  • ㆍ EDI는 전통적 EDI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화형, 개방형, 객체지향형 EDI로 발전할 것이며 XML이 새로운 EDI의 발전 방향을 제시해준다. ㆍ 본 연구에서는 XML/EDI시스템의 효과적인 개발을 위해 1) EDI와 XML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며 2) XML/EDI시스템의 구조와 각각의 처리 모듈을 개발하였고 3) 실제적인 적용 방법을 위해 인터넷 가상서점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적용하여 보았다.(중략)

  • PDF

GOMOS 기반 인터넷 가상상점의 사용성 평가

  • 이창호;곽노환;구상회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8.10a
    • /
    • pp.645-65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가상상점의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성업중인 2개의 대형서점을 선정하여 이들 상점에 대한 사용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사용성 분석 방법으로는 인지과학분야에서 개발된 GOMS를 채택하였으며, 2개의 상점을 비교 분석한 결과 , 다음과 같은 사용성 상의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 (1) 상품검색에 꼭 필요하지 않은 정보의 입력과정이 포함되어있지않다. (2) 상품검색을 위한 디렉토리 구조 설계시 깊이와 넓이 사이의 적절한 균형이 유지되어 있지 않다. (3) 서버 접속 회수가 지나치게 많아 구매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다. 이상과 같은 사용성의 저하요인은 개발자가 구매자의 사용성을 상대적으로 등한시하고, 검색 효율성과 개발 용이성만을 중시한 결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개발자는 사용자입장에서 사용 편이성을 고려한 구매절차를 개발하여 이를 가상 상점에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