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도구

Search Result 532, Processing Time 0.05 seconds

Implications of Using Physical and Virtual Tools in Learning Science Concepts from a Literature Review (문헌고찰을 통한 물리적 도구와 가상도구의 사용이 과학 개념학습에 미치는 시사점)

  • Seokmin Kang;Sungyeun Kim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7 no.2
    • /
    • pp.154-166
    • /
    • 2023
  • It has been known that the tool characteristics embedded in physical tools and virtual tools act with different underlying mechanisms in a user's knowledge acquisition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This overview study examines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use of physical and virtual tools from the perspective of conceptual frameworks, affordability that tools present, and the depth of cognitive engagement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learning concepts through various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s, the results of previous comparative studies were reinterpreted. It was found that what mattered for learning is the amount of new information that a tool provides and the different level of cognitive engagement that students use through various learning activities. Finally, the implications to be considered when teachers use physical and virtual tools to help students better understand various concepts are discussed.

가상강좌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정보기술, 수업내용, 서비스의 품질과 자기효능감 -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

  • 이웅규;이종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4.05a
    • /
    • pp.88-95
    • /
    • 2004
  • 가상강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각종 교육기관에서 다양한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에도 가상강좌의 효과 즉, 가상강좌 수강생들의 만족을 측정하는 도구의 개발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초기의 가상강좌가 정보기술을 이용한 실험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을 대치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로 대두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가상강좌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좀 더 종합적인 접근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강좌 특히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강좌의 네 가지 요소인 학습관리시스템, 강의 컨텐츠, 학습에 대한 인적 서비스 그리고 학생 자신의 심리적 상태 등을 고려한 종합적인 접근에 의한 가상강좌 만족 모형을 제시하고 그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정보기술 사용 측면, 정보품질적 측면, 서비스 관리적 측면 그리고 사회심리학적 측면에서 가상강좌 측면에 만족을 주는 이론적 변수 및 측정도구를 제시하고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 PDF

A Tools for Specification of Real-time Property centric Java Virtual Machine Components (실시간 속성 중심의 자바가상머신 명세도구의 설계 및 구현)

  • Ko, Jong-Won;Song, 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257-260
    • /
    • 2004
  • 임베디드 시스템에 탑재될 자바가상머신을 기능별 모듈로 컴포넌트화 하여 이식될 플랫폼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재구성한다면 컴포넌트 기술의 장점인 소프트웨어의 재사용과 재구성을 통한 빠르고 신뢰성있는 자바가상머신 개발이 가능하다. 이러한 자바가상머신 컴포넌트 재구성을 위한 컴포넌트 모델의 정의 및 명세를 위한 지원도구가 필요하며, 명세도구의 지원 하에 보다 시각적인 컴포넌트 구성 및 각 명세요소 정의를 바탕으로 한 자바가상머신 컴포넌트의 재구성에 요구되는 여러 제약조건이나 각 컴포넌트 간의 관계정의 등이 명세 되어질 수 있다. 또한 임베디드 시스템이 가지는 실시간 속성에 대해서 정의하여 이를 명세도구를 통해서 속성명세 및 설계 시에 예측성을 지원하기 위한 WCET 계산이나 우선순위 정의 등을 명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명세방법을 제안하고 실시간 속성 중심의 자바가상머신 컴포넌트 명세도구를 설계하고 구현하였으며, 기존에 제안된 내장형 실시간 컴포넌트 개발 도구와 비교하였다.

  • PDF

Analysi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Virtual Reality Interaction Tool (가상현실에서 상호작용 도구에 대한 초·중학생의 인식 분석)

  • Shim, Jaekwoun
    • Journal of Creative Information Culture
    • /
    • v.5 no.1
    • /
    • pp.15-24
    • /
    • 2019
  • Tool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the virtual environment are essential in order for a student to perform the virtual reality education contents. However, since the developed controller has generally been constructed for adults, it is necessary to study interaction tools considering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level of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HMD and interactive tools, which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an initial research for developing interactive tools. Results show that students' perceptions has increased in post-questionnaire compared to pre-questionnaire, indicating that the universal controller can be used in the education.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action tools are discussed based on interviews with students.

Analysis of Virtualization Obfuscated Executable Files and Implementation of Automatic Analysis Tool (가상화 난독화 기법이 적용된 실행 파일 분석 및 자동화 분석 도구 구현)

  • Suk, Jae Hyuk;Kim, Sunghoon;Lee, Dong 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3 no.4
    • /
    • pp.709-720
    • /
    • 2013
  • Virtualization obfuscation makes hard to analyze the code by applying virtualization to code section. Protected code by common used virtualization obfuscation technique has become known that it doesn't have restored point and also it is hard to analyze. However, it is abused to protect malware recently. So, It is been hard to analyze and take action for malware. Therefore, this paper's purpose is analyze and take action for protected malware by virtualization obfuscation technique through implement tool which can extract virtualization structure automatically and trace execution process. Hence, basic structure and operation process of virtualization obfuscation technique will be handled and analysis result of protected malware by virtualization obfuscation utilized Equation Reasoning System, one kind of program analysis. Also, we implement automatic analysis tool, extract virtualization structure from protected executable file by virtualization obfuscation technique and deduct program's execution sequence.

The Development of Authoring Tool for 3D Virtual Space Based on a Virtual Space Map (가상공간지도 기반의 3차원 가상공간 저작도구의 개발)

  • Jung Il-Hong;Kim Eun-Ji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1 no.2 s.40
    • /
    • pp.177-186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a certain highly efficient authoring tool for constructing realistic 3D virtual space using image-based rendering techniques based on a virtual space map. Unlike conventional techniques such as TIP, for constructing a small 3D virtual space using single image, the authoring tool developed herein produces a wide 3D virtual space using multiple images. This tool is designed for constructing each small 3D virtual space for each input image, and for interconnecting these 3D virtual spaces into a wide 3D virtual space using a virtual space map. The map consists of three elements such as specific room, link point and passageway, and three directions. It contain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connection structure, the navigation information and so on. Also, the tool contains a user interface that let users construct the wide 3D virtual space easily.

  • PDF

Design of VRML virtual Exhibition Authoring Applet (VRML 가상전시관 저작애플릿 설계)

  • 김대흠;김분희;김남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721-723
    • /
    • 2001
  • 기존 인터넷 환경에서는 대부분 2차원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용자가 현실 환경과 유사한 정보를 추구하게 되면서 점차 가상의 현실감을 제공하는 3D 정보의 요구가 늘고 있다. VRML(Virtual Reality Markup Language)은 이러한 3D의 정보를 가시화 해주는 언어로써 일부 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그 구현 예를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VRML 기반의 3D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전시관 저작도구를 설계 하고자 한다 본 가상 전시관 저작도구는 JAVA와 VRML을 기반으로 VRML 객체를 실시간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가상전시관 저작도구는 실시간으로 객체 생성 및 수정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인터렉티브하게 VRML 데이터를 다를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 PDF

An Administration Tool for CoSlide Collaborative System (CoSlide 협업시스템을 위한 관리 도구)

  • Lee, Hong-Chang;Shin, Won-Joon;Kim, Dong-Ho;Lee, Myu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642-646
    • /
    • 2006
  • Jakarta-Slide는 Tomcat 웹서버의 WebDAV 프로토콜 지원 모듈로서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콘텐츠의 비동기적인 협업을 지원한다. CoSlide 협업시스템은 이러한 Jakarta-Slide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협업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CoSlide 협업시스템은 협업을 위한 가상공간을 제공하며 다양한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가상공간에 자원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CoSlide 협업시스템을 많은 사용자나 그룹이 사용하게 될 경우 가상공간과 자원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의 CoSlide 협업시스템에서는 이러한 가상공간과 자원에 대한 전문적인 관리 기능을 지원하는 도구가 지원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관리 작업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oSlide 협업시스템의 관리 도구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CoSlide 관리 도구는 Tomcat Administrator Tool을 확장하여 구현되었으며, 효과적인 가상공간과 사용자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시스템 관리자는 CoSlide 관리 도구를 통하여 협업에 참여하는 사용자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에 따라 개인 가상공간이 자동적으로 관리된다. 또한 그룹 가상공간의 정보를 제공하며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들을 파악하고 등록된 가상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효과적인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 PDF

The Implementation of VRML Parser based on Virtual Exhibition Applet Tool (VRML Parser기반의 가상전시관 애플릿 도구 구현)

  • 김대흠;김분희;김영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454-456
    • /
    • 2002
  • 근래 인터넷 환경에서 이용자는 좀 더 다이나믹한 환경과 함께 색다른 정보를 추구하게 되면서 점차 가상의 현실감을 제공하는 3차원 정보의 요구가 늘고 있다. VRML(Virtual Reality Markup Language)은 이러한 3차원 정보를 가시화 해주는 언어로써 인터넷 기반 각종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그 구현 예를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VRML 기반의 3차원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전시관 저작도구의 설계를 바탕으로 XML파일인 전시물의 카탈로그 정보를 가시화하는 저작도구를 구현하였다. 본 저작도구는 기존 저작도구에서 나타나는 데이터베이스 코드 삽입 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VRML 객체를 실시간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가상전시관 저작도구는 실시간으로 객체 생성 및 수정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인터렉티브하게 VRML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 PDF

A Tool for Analyzing VM Creation Failure caused by Virtual Disk Faults (가상 디스크 결함에 의한 가상 머신 생성 실패 진단 및 분석 도구)

  • Ku, Min-O;Min, Dug-Ki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9
    • /
    • pp.127-138
    • /
    • 2012
  • In this paper, we present a tool (named VMBootFailMonitor) to detect and analyze a failure of a VM boot creation caused by faults on virtual disks of a Xen-based VM. Also, we presents an architecture and detail analysis process of the virtual disk faults in our tool. Especially, VMBootFailMonitor provides a causual analysis result for a case of VM creation failure based on three modules which performs virtual disk analysis, virtualized system analysis and system log analysis. We also support a comparison result between boot times of normal VMs and fault detection times of VM creation based on abnormal virtual disks. At result, our tool detects VM boot failures (3~6 seconds) within normal VM boot times (8~16 seco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