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부장 의식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Social & Cultural aspect of Media and Gender (미디어와 젠더의 사회문화적 함의)

  • Hahm, 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1-203
    • /
    • 2009
  • 우리 사회에서 표출되고 있는 젠더의 문제는 일상성의 문화로 고착되어지고 있다. 또한 미디어에서도 젠더의 표출은 명백하게 드러나고 있다. 미디어 문화에서 표현하고 있는 젠더의 문제 또한 고정관념으로 한국의 가부장제 중심의 남성 지배구조를 표출하고 있다. 물론 드라마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젠더의 고정 관념이 변화하고 있으나 우리 사회는 여전히 남성 중심의 가부장제의 의식세계가 깊숙이 자리매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젠더와 미디어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사회문화적 현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Ang Lee Film and Politics of Representing 'Women' (리안(李安)영화와 '여성' 재현의 정치)

  • Shin, Dongsoon
    • Cross-Cultural Studies
    • /
    • v.51
    • /
    • pp.193-212
    • /
    • 2018
  •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how Ang Lee depicts Asian and Western women in his films. We focus on two parts of his consciousness First, Ang Lee does not consider himself a feminist, he understands the world in terms of women who play societal roles. Second, Ang Lee's films reflect his identity in a juxtaposition model, in which he is a member of mainstream American society and also holds an onlooker's viewpoint at the same time. He depicts women, who are often marginalized or considered the minority, and their feminist ideals, as means that break down the authority of the father and the man, the traditional ideology, and the male dominant nationalism. Chinese women in movies divide apart traditional Chinese patriarchal ideology and male-dominated anti-Japanese sentiments. Also, the Western women in his films reveal the non-stereotypical appearance of Western society in the 1970s and 1980s, with daily tension, anxiety, abdominal pain and anger, silence and anxiety about homosexual husbands, and excessive obsession. The director's portrayal of women not only separates the male-centered and Western-centered discourse, but also reveals a self-division of internalized masculine patriarchal Asian thought consciousness.

자녀가 지각한 父(부)의 양성평등의식과 자존감과의 관계

  • 채옥희;홍달아기;이남주
    • Proceedings of the SOHE Conference
    • /
    • 2003.10a
    • /
    • pp.71-71
    • /
    • 2003
  • 본 연구는 세계가 지향하는 양성평등사회의 구현을 위하여 가부장적 인식이 사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남성 특히 아버지의 성역할에 대한 태도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차별의 대상인 딸들은 아버지의 태도를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한국 사회의 뿌리깊은 사회문제의 근원이 되고 있는 성불평등의 원인을 밝히고, 양성평등을 위한 교육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여자 중학교 1, 2, 3학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분산석,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 PDF

Reader-Response Criticism about the Functional relation of Romance, Women and Patriarchy -Based on Janice A. Radway's Reading the Romance: Women, Patriarchy and Popular Literature (로맨스, 여성, 가부장제의 함수관계에 대한 독자반응비평 -제니스 A. 래드웨이의 『로맨스 읽기: 여성, 가부장제와 대중문학』을 중심으로)

  • Lee, Jung-Oak
    • Journal of Popular Narrative
    • /
    • v.25 no.3
    • /
    • pp.349-383
    • /
    • 2019
  •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and task of romance research with a focus on Reading the Romance(1984) by Janice A. Radway. This book, which analyzes romance texts by examining the situation and meaning of reading romance by women readers integrating between cultural studies and literary studies, is one of the most popular studies on the romance genre. Radway scrutinized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reading romance in a community of women readers. Through a study involving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she found that for women, romance reading is a 'compensatory fiction' that brings happiness and emotional redemption through a sense of liberation achieved by escaping from patriarchal daily life. The romance that women prefer is composed of 4 stages and 13 divisions: 'Encounter → Attest → Recovery → Happy End'. It also maintains a formula that begins with an immature female character's identity crisis and ends with a blissful union that recognizes the intrinsic value of the main character, who has turned into a man who is considerate of the women. Therefore, romance plays the role of pursuit of the 'female utopian fantasy' and at the same time a reconciliation of women to patriarchy. Feminist critics of the day criticized this argument. However, reading romance is a 'feminine reading', and romance is literature about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women's lives and patriarchy. Yet the interpretation could differ depending on the different viewpoints and definitions of the women's utopian fantasy. In recent years, the conditions of female reader's lives, awareness and imagination have been changing rapidly. As a result, the female utopian fantasy has also changed significantly. Nevertheless, women's lives in the real patriarchal system are still contradictory, and their adventurous imagination is spreading in alternative spaces such as the subculture. In this regard, the question is about the definition of romance and the meanings of romance research are still important task.

Category Grammar and Gender Ideology of the Su-Hyeon Kim's Home-drama Focused on <Mom's dead upset> (김수현 홈드라마의 장르문법과 젠더 이데올로기 <엄마가 뿔났다>를 중심으로)

  • Yoo, Ji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1
    • /
    • pp.102-112
    • /
    • 2010
  • This study is the secondary full-scale research of a TV drama writer, who has been out of scholarly pursuits. This study examines the Su-Hyeon Kim's differential and tendency in home-drama genre, who has been constructing a general idea of TV drama genre, namely a home-drama, and a melodram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meantime both of exclusive evaluation by the functional measure of social norm, also by the feminism-based evaluation of her drama's supporting role of patriarchal gender ideology. By focusing on her recent highly popular home-drama (2008), this study shows that the writer used her own category grammar strategy of harmonizing both of convention and invention in genre. The conventions in genre are 'a big family', 'a pluralistic construction' 'a realism based on a everyday life', and 'a theme of love of a family with happy ending'. The invention in genre are 'a change of the 1st generation patriarchy', 'a change of the 2nd generation role of a housewife' and a change of the 3rd generation marriage customs'. Also this paper presents that the writer showed a humanistic tendency that pursues a recovery of both 'humanity' and 'love of family based on trusting', which have been destroying by capitalistic ideology, rather than discussing whether her tendency on the gender ideology of patriarchism is conservative or not.

Comparision of experiences of caring parent-in-law in Korean families among daughters-in-law from Korea, China and Japan (한국, 중국, 일본 며느리의 한국에서의 부양 경험)

  • Kim, Yun-Je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8
    • /
    • pp.501-51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xperiences of caring parents-in-law in Korea among daughters-in-law who are currently caring their parents-in-law while living with them, or have experienced such care-giving, and who have been married for at least 5 years. Daughters-in-law this study deals with are from three countries: Korean women, Chinese and Japanese women who immigrated to Korea by getting married with Korean husbands. To find out those women who can express their experiences clearly, this study used an intentional sampling method where this study asked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o recommend five Chinese and five Japanese housewives who matched the following qualifications: those who have experiences of caring their parents-in-law at home, who have lived in Korea for at least five years, and who had no difficulty in expressing their opinions in Korean language. Korean married women were recommended by the neighbor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o those 15 housewives from Korea, china, and Japan. Before doing the interview, this study gave explanation of the contents and aims of this study to those interview participants over phone, and got the written consent from each of the women. To analyze the interview data,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The emergent themes identified i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positive perception of traditional nature of filial duty', 'help and encouragement by those who are nearby', 'exhausting marriage life', 'Korean family culture that is hard to adapt to', and 'unreasonable male-focused patriarchal culture.'

The Role of Women in Health Care in Korea (한국 보건의료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

  • Kim Susie
    • The Korean Nurse
    • /
    • v.23 no.3 s.126
    • /
    • pp.44-50
    • /
    • 1984
  • 한국여성은 전통적으로 대가족제도 속에서 육아 및 가사활동에만 종사해왔다. 그러나 산업화 및 사회구조의 변화로 여성들도 교육의 기회를 갖게 되었으며 전통적인 역할 수행에 대한 가치변화와 함께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반면에 가족 형태가 핵가족화 함으로서 가족 내에서의 자녀양육을 비롯한 가정적 역할이 더욱 중요시 되게 되었다. 오늘날 한국사회는 여성에게 현재의 사회구조와 핵가족 속에서는 시간적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두 가지 상반된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반된 역할사이에서는 여성은 갈등과 좌절감을 느끼게 되며 이중적인 부담 속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본 원고에서는 전통적인 한국의 가족가치관을 살펴보고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을 살펴보고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통적 가족가치관과 여성-우리나라의 전통적 가족은 부계 중심의 혈연 계승을 중요시하는 가부장적 대가족제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부계 계승을 통한 가족의 영속성과 가 중심사상에 기반을 둔 철저한 가족주의적 가치관이 전통적 사회를 지배하여 왔다. 그러므로 자연히 개인보다 가족집단이 우의적인 지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행동의 결정에도 중요한 준거 집단이 되었다. 이러한 가의 영속 및 번영을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자녀를 필요로 했으며 부계중심 가족에서 자연히 남아 선호사상이 강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것은 조상에 대한 의무요 책임이라 생각했다. 이러한 가부장권의 확대에 반비례해서 가정 내에서 여성의 지위와 역할은 축소되어갔다. 여성들의 절대적인 예속을 필요로 하여 삼종지도니 칠거지악이니 불경이부등의 도덕률을 만들었으며 여성들 스스로가 이러한 정절과 복종을 미덕으로 생각하도록 교육받음으로서 여성들 자신이 자기희생의 굴레 속에서 인내와 복종의 생활을 운명처럼 받아들이게 되었으며 남편과 자식을 위해서는 목숨까지도 희생하게끔 철저히 사회화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가족 제도 안에서의 남녀의 지위는 동위 항렬 내에서만 해당되고 항렬을 달리할 때는 삼종지도의 이론에 부합된다. 어머니로서의 존장련이 인정되어서 가정 내에서의 여성의 종속적인 지위에 비하여 모의 권한은 절대적이었다. 상례와 제례에서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의식에는 차이가 없으며 내외 명부제도에 의해서 부인도 남편과 똑같은 대우를 받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존장련에 의한 모의 권리와 더불어 부부유별에 의해서 가사권의 독자적인 결정권도 인정되고 있었다.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 전통적으로 건강관리에 관련된 한국여성의 역할은 1. 씨받이로서의 역할로 생명을 잉태하도록 돕고 건강한 아이의 수태를 위해 태교에 힘썼으며 2. 자녀의 의식주를 해결하는 가사 역할만을 담당하는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만을 수행하였으며 출산한 생명을 건강하게 자라도록 건강관리를 철저히 하였으나 체계적인 건강관리는 되지 못하였으며 특히 식생활에 유의하였으나 정서, 사회면은 도외시 한 과잉보호현상이었다. 3. 결혼 후에는 남편의 건강관리를 위해 철저하였으며 특히 식생활에 유의하였고 정서적으로 부담을 주지 않도록 유념하였다. 4. 또한, 임종시 평안한 죽음을 맞도록 도왔다. 전통적으로 한국여성의 역할은 돕는 역할이었다.

  • PDF

A Study on the Korean Shamanistic Myth "Samgong Bonpoori"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무가 '삼공본풀이'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고찰)

  • Myung-sook Hwang
    • Sim-seong Yeon-gu
    • /
    • v.30 no.2
    • /
    • pp.145-186
    • /
    • 2015
  • This thesis discusses and analyzes Jeju island's shamanistic myth "Samgong Bonpoori"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Similar to the "I live on my fortune"-type folktales discovered in the Korean mainland, "Samgong Bonpoori" is such a widespread myth that similar folktales are found not only in East Asian regions, including Korea, Japan, and China, but also in Ireland. The essence of the story is as follows; One day, a father asked his three daughters whose fortune they lived on. The first two daughters claimed that they owe their lives to their parents. However, the youngest daughter, Gameunjang-agi, replied, against his expectation, that "I live on my own fortune," and showed her fortune and virtue were physically embodied in the line drawn from her genitals to navel. Her answer enrages his father so fiercely that she was expelled and forced to embark on a journey with no one but a black cow carrying food to accompany her. In retaliation for telling lies against her, Gameunjang-agi transformed her two sisters into a centipede and a mushroom, while her parents were turned into beggars afflicted with blindness. Afterward, Gameunjang-agi wandered around the country and eventually found love with a Chinese yam digger. Not long after, they got married, and as a couple, they stumbled upon roots of gold in fields, which brought them an incredible amount of wealth. After this miracle has happened, Gameunjang-agi began to wonder about the status of her parents and decided to organize a party for all the beggars and the blinds in the country. She eventually found her parents and got a chance to reconcile with her sisters. The story ends with her parents regaining their eyesight and Gameunjang-agi reestablishing herself as the "Goddess of Providence." "Samgong Bonpoori" is a myth about a God. A God is ontologically a supremely perfect being; however, in this thesis, it will be discussed as a part of a folktale. Gameunjang-agi can be seen as the anima archetype of the father, which reveals the process of a paternal consciousness being transformed over time. At first, her parents deny Gameunjang-agi. However, after years of suffering from blindness, they regain their eyesight and finally recognize their daughter. This signifies that Gameunjang-agi is a being that has come into the world for a certain "purpose." Gameunjang-agi embodies the creative function of "femininity" that can renew the existing collective consciousness embedded in the patriarchal system. Such recognition of femininity matters to men to a great degree as well as to women. Without knowing their true nature (femininity), the two sisters submit themselves to their parents and conventional values. Not until they suffer from being transformed and captured into small and insignificant beings, a centipede and a mushroom, which symbolize their shadow, they fail to develop their self-awareness. Meanwhile, by reconciling with her parents and sisters--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reuniting the family--Gameunjang-agi turns out to be a figure that can reveal what it truly means to have self-awareness and achieve Self-realization. In conclusion, this story illustrates that recognition of femininity matters to men to a great degree as well as to women, and women's Self-realiz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revitalizing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embedded in the patriarchal system.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 연구 - 1990년대 여성복을 중심으로 -

  • 이화정;채금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1.04a
    • /
    • pp.41-41
    • /
    • 2001
  • 본 연구는 1990년대 밀리터리 패션에서 성적 이미 지의 표현양상을 살펴보고 각각의 미적 특성과 형성 요인을 분석하여 현대 여성의 다양한 미적 가치와 미의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1, 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자연스럽게 등장한 밀 리터리 패션은 20세기 초반에 여성의 사회참여와 지 위 향상으로 인해 실용성과 기능성을 추구하였고 중 반에 들어서면서 히피와 젊은 세대들에 의해 반전운 동의 일환으로 입혀져 안티패션의 의미를 내포하게 되었으며 후반에는 포스트모더 니즘으로 인해 다양성 을 추구하는 복고풍의 패션 트랜드로서 각종 컬혜션 에서 부각되었다. 그 결과 밀리터리 패션은 기존의 남성적 이미지뿐만 아니라 여성적 이미지도 표현하 게 되었다. 이러한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 미지는 권위적 이미지와 공격적 이미지의 남성적 이 미지와 보수적 이미지와 과시적 이미지, 관능적 이미 지의 여성적 이미지로 표현되어 나타났다. 남성적 이미지는 자유주의 페미니즘과 관련하여 남성 중심적 사고 방식에 도전하고자 하는 여성들의 자아의식이 한층 강하게 작용한 일종의 반 패션 현 상으로 권위적 이미지와 공격적 이미지로 특정지을 수 있다. 첫째, 권위적 이미지는 주로 고전적 군복과 제복의 이미지를 차용해 군복이 가지는 권위와 위엄을 표출 하였으며 남성 우월주의에 기초한 영웅주의를 가시 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떳떳하게 자신의 위치를 세 우고자 하는 여성들의 욕구를 대변하였으며 영웅주 의와 가부장제도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공격적 이미지는 권위적 이미지에 대한 저 항과 기존의 성 정체성에 대한 저항으로써 전위적인 형태와 해체적인 표현으로 본래의 위엄있는 군복의 이미지를 무너뜨려 남성다웅의 표면적인 메시지를 약화시키고자 하였으며 반체제 정신, 성 정체성에 대 한 저항, 해체주의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성적 이미지는 급진주의 페미니즘과 관련하여 여성 본래의 성을 부각시키고 여성이 주체가 된 여 성중심적 사고로 여성의 감성적 심리를 패션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보수적 이미지, 과시적 이미지, 관능적 이미지로 특징 지을 수 있다. 첫째, 보수적 이미지는 남성적 영역이라고 믿어왔 던 군복에 여성성을 강조하여 가늘고 유연한 실루엣 과 곡선적인 라인, 색채. 심플한 디테일만으로 밀리 터리 패션을 표현하여 남성중심의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여성도 사회의 중심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 였으며 남성 권위의 추락이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 였다. 둘째, 과시적 이미지는 전통적 군복이 과거의 상 류층 엘리트들만의 아이템이었듯이 현대의 여성들은 신분과 매력의 과시를 표현하고자 금속 단추나 벨트 등 기타장식을 부각시킨 밀리터리 패션을 착용하였 으며 엘리트층에 대한 동경이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관능적 이미지는 신체의 간접적인 노출과 직접적인 노출을 통해 여성의 신체에 의한 에로틱한 관능미를 부여하고자 하였으며 나르시시즘과 보이고 자 하는 욕구, 성적 유희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므로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는 패션을 통해 자아를 표현하고 미적으로 자기완성의 방편을 삼으려고 한 현대 여성들의 가치 관과 미의식을 이해하며 이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패 션 트랜드와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Succession and Re-writing of 'Black Film', American Youth Film Director Ryan Coogler - Centering on (2013), (2015), (2018) ('흑인영화(black film)'의 계승과 다시쓰기(re-writing), 미국 흑인 청년감독 라이언 쿠글러(Ryan Coogler) 연구: <오스카 그랜트의 어떤 하루(Fruitvale Station)> (2013), <크리드(Creed)>(2015), <블랙팬서(Black Panther)>(2018)를 중심으로)

  • Kang, Nae-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
    • /
    • pp.210-22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merican black film director Ryan Coogler and his cinema world. Coogler as a youth director directs three movies as (2013), (2015), (2018) from independence film to Hollywood film, and represents black people' life and racial discrimination base on his cultural identity. For this study, explore traits of esthetics, subject and context meaning by analyzing representative three movies. Lastly examines significance of his movies in Hollywood black film history. He represents blackness and self-reflection as a black youth director, and successfully succeed to the tradition of 'Black Film' in American film history. He also turn white patriarchal ideology upside down in Hollywood. He inherits the tradition of 'Black Film' in American film history, and simultaneously tries to re-write black film tradition. Youth director Coogler is a symbol of 'New Hollywood Black Film Power' at the 21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