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Korean Shamanistic Myth "Samgong Bonpoori"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무가 '삼공본풀이'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고찰

  • Received : 2015.09.15
  • Accepted : 2015.12.02
  • Published : 2015.12.25

Abstract

This thesis discusses and analyzes Jeju island's shamanistic myth "Samgong Bonpoori"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Similar to the "I live on my fortune"-type folktales discovered in the Korean mainland, "Samgong Bonpoori" is such a widespread myth that similar folktales are found not only in East Asian regions, including Korea, Japan, and China, but also in Ireland. The essence of the story is as follows; One day, a father asked his three daughters whose fortune they lived on. The first two daughters claimed that they owe their lives to their parents. However, the youngest daughter, Gameunjang-agi, replied, against his expectation, that "I live on my own fortune," and showed her fortune and virtue were physically embodied in the line drawn from her genitals to navel. Her answer enrages his father so fiercely that she was expelled and forced to embark on a journey with no one but a black cow carrying food to accompany her. In retaliation for telling lies against her, Gameunjang-agi transformed her two sisters into a centipede and a mushroom, while her parents were turned into beggars afflicted with blindness. Afterward, Gameunjang-agi wandered around the country and eventually found love with a Chinese yam digger. Not long after, they got married, and as a couple, they stumbled upon roots of gold in fields, which brought them an incredible amount of wealth. After this miracle has happened, Gameunjang-agi began to wonder about the status of her parents and decided to organize a party for all the beggars and the blinds in the country. She eventually found her parents and got a chance to reconcile with her sisters. The story ends with her parents regaining their eyesight and Gameunjang-agi reestablishing herself as the "Goddess of Providence." "Samgong Bonpoori" is a myth about a God. A God is ontologically a supremely perfect being; however, in this thesis, it will be discussed as a part of a folktale. Gameunjang-agi can be seen as the anima archetype of the father, which reveals the process of a paternal consciousness being transformed over time. At first, her parents deny Gameunjang-agi. However, after years of suffering from blindness, they regain their eyesight and finally recognize their daughter. This signifies that Gameunjang-agi is a being that has come into the world for a certain "purpose." Gameunjang-agi embodies the creative function of "femininity" that can renew the existing collective consciousness embedded in the patriarchal system. Such recognition of femininity matters to men to a great degree as well as to women. Without knowing their true nature (femininity), the two sisters submit themselves to their parents and conventional values. Not until they suffer from being transformed and captured into small and insignificant beings, a centipede and a mushroom, which symbolize their shadow, they fail to develop their self-awareness. Meanwhile, by reconciling with her parents and sisters--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reuniting the family--Gameunjang-agi turns out to be a figure that can reveal what it truly means to have self-awareness and achieve Self-realization. In conclusion, this story illustrates that recognition of femininity matters to men to a great degree as well as to women, and women's Self-realiz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revitalizing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embedded in the patriarchal system.

본 연구는 제주도 무가 <삼공본풀이>를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해석한 것이다. <삼공본풀이>는 육지의 '내 복에 산다' 계 민담과 유사하고, 한국 뿐 아니라 일본과 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뿐만 아니라 아일랜드에 까지 널리 퍼져 있는 신화이다. 누구 복에 사는가? 묻는 부모의 질문에 천지, 부모의 덕과 배꼽아래 선의 덕(배꼽에서 음부 쪽으로 내려 그어진 선)으로 산다고 대답한 셋째 딸 가믄장아기는 쫓겨난다. 가믄장아기는 부모와 자신을 이간시키려 했던 두 언니를 지네와 말똥버섯으로 전환케 하고, 부모는 장님이 되고 걸인이 되게 한다. 가믄장아기는 집을 나와 마를 캐는 마퉁이를 만나 결혼하게 되고, 마를 캐는 밭에서 금을 발견한다. 가믄장아기는 부자가 된 후 걸인잔치를 열어 장님이 된 부모를 만나게 되고 부모는 눈을 뜨게 되며, 두 언니들도 다시 만나 모두와 화해하며 '전생 신'임을 밝힌다. <삼공본풀이>는 신화로써 神의 이야기이다. 神은 완성된 존재로서 다른 것을 생각할 수 없지만 이를 민담 차원으로 내려와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가믄장아기는 아버지의 아니마 원형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부성적인 의식이 변화되어 가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아니마 원형인 가믄장아기는 처음에는 부모에게 배척을 받는다. 그러나 부모가 장님이 되는 고통과 시련의 과정을 겪고 마침내 눈을 뜨게 되는 것은 가믄장아기가 이 세상에 '소명'을 갖고 온 존재임을 알 수 있다. 가믄장아기는 기존의 가부장적인 집단의식을 새롭게 하고자하는 '여성성'의 창조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여성성의 의식화는 여성뿐 아니라 남성에게 더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자신이 타고난 본성(여성성)을 알지 못하고 부모의 뜻과 인습적인 가치에 순종하기만 했던 두 언니들도 지네와 말똥버섯이라는 미물과 식물로 전환되어 그림자에 사로잡히는 고통과 시련을 겪음으로써 마침내 자기인식을 획득하게 된다. 가믄장아기는 마지막에 부모와 언니들과 모두 화해를 하여 전체가 되게 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자기실현의 모습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여성의 자기실현은 가부장적인 집단의식을 새롭게 하는 중요한 목적의미가 있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로렌스 W. 자피 지음/심상영 옮김(2006) : ≪융심리학과 개성화≫, 한국심층심리연구소, 서울.
  2. 모린머독/고연수 옮김(2014) : ≪여성 영웅의 탄생≫, 교양인, 서울.
  3. 박영선(2010) : "민담 <내 복에 산다>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심성연구≫ 42, 한국분석심리학회.
  4. 에리히 노이만 저/박선화 역(2007) : ≪위대한 어머니 여신≫, 살림, 서울.
  5. 에리히 노이만 지음/이유경 옮김(2010) : ≪의식의 기원사≫, 분석심리학연구소, 서울.
  6. 에스터 하딩(김정란 역)(1996) : ≪사랑의 이해-달 신화와 여성의 신비≫, 문학동네, 서울.
  7. 이광자(2013) : "원천강 본풀이의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의 고찰", 한국융연구원 수료 논문.
  8. 이부영(1993) : ≪분석심리학≫, 일조각, 서울.
  9. 이부영(1999) : ≪그림자≫, 한길사, 서울.
  10. 이부영(2001) : ≪아니마와 아니무스≫, 한길사, 서울.
  11. 이부영(2002) :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서울.
  12. 이부영(2011) :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집문당, 서울.
  13. 이부영(2012) : ≪한국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한길사, 서울.
  14. 이수자(1989) : "제주도 무속과 신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승훈(2009) : ≪문화상징사전≫, 푸른사상, 서울.
  16. 이인경(2008) : "<가믄장아기>와 <리어왕>의 주제적 비교연구", ≪구비문학연구≫, 27.
  17. 조덕현(2009) : ≪한국의 식용, 독버섯 도감≫, 일진사, 서울.
  18. 진쿠퍼/이윤기 옮김(2003) : ≪세계문화상징사전≫, 까치, 서울.
  19.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1992) : ≪한국문화상징사전1.2≫,동아출판사, 서울.
  20.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권≫, 한국정신문화원, 서울.
  21. 현용준(1980) : ≪제주도 무속자료사전≫, 신구문화사, 서울.
  22. 현승환(1992) : <내 복에 산다>系 설화 연구, 제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현승환(1993) : "삼공분풀이의 전승 의식", ≪탐라문화≫, 13, 제주대학교 탐라문화 연구소.
  24. 赤松智城, 秋葉 隆 共編, 沈雨晟 옮김(1970) : ≪朝鮮巫俗의 硏究. 上≫, 동문선, 서울.
  25. Jung CG(이부영외 옮김)(2013) : ≪인간과 상징≫, 집문당, 서울.
  26. Jung CG(한국 융연구원 C.G.융 저작번역위원회 역)(2002) : 융 기본저작집 2권 ≪원형과 무의식≫, 솔 출판사, 서울.
  27. Jung CG(한국 융연구원 C.G.융 저작번역위원회 역)(2002) : 융 기본저작집 5권 ≪꿈에 나타난 개성화과정의 상징≫, 솔 출판사, 서울.
  28. Jung CG(한국 융연구원 C.G.융 저작번역위원회 역)(2004) : 융 기본저 작집 6권 ≪연금술에서 본 구원의 관념≫, 솔 출판사, 서울.
  29. Jung CG(한국 융연구원 C.G.융 저작번역위원회 역)(2004) : 융 기본저작집 9권 ≪인간과 문화≫, 솔 출판사, 서울.
  30. Jung CG(1968) : CW 9-1, The Psychology of the Child Archetype, Routledge & Kegan Paul Ltd. London.
  31. Chevalier J, Gheerbrant A(translated by Buchanan Brown J)(1996) : The Penguin Dictionary of Symbols, Penguin Books, London.
  32. Von Franz ML(1996) : The interpretation on Fairy Tales, Shambala, Boston.
  33. Von Franz ML, Hilman James(2006) : Lectures on Jung's Typology, Spring Pub Inc, 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