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동범위

검색결과 480건 처리시간 0.033초

목뼈 및 등뼈 관절가동술이 전방머리자세 성인의 목통증, 목 관절가동범위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ervical and Thoracic Joint Mobilization on the Cervical Pain, Cervical Range of Motion and Balance in Adults with Forward Neck Posture)

  • 이상빈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27-35
    • /
    • 2020
  • 본 연구는 목뼈와 등뼈에 적용한 관절가동술이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성인의 목통증, 목관절가동범위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전방머리자세로 판명된 대학생 26명을 목뼈 관절가동술 그룹과 등뼈 관절가동술 그룹으로 13명 씩 무작위 배정하여 모든 대상자에게 각각 하루 10회, 1회당 30초 적용, 30초 휴식으로, 주 3회, 4주간 관절가동술을 적용한 후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서 두 그룹 모두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p<.01),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적 균형의 그룹 내 변화에서 목뼈 관절가동술 그룹이 오른발 및 눈을 감았을 때 유의한 개선을 보였고(p<.05), 등뼈 관절가동술 그룹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5). 왼발 정적 균형은 두 그룹 모두 유의한 개선이 없었고(p<.05). 그룹 간 정적 균형의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동적 균형의 그룹 내 변화에서 목뼈 관절가동술 그룹이 앞쪽, 왼쪽, 오른쪽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고(p<.05), 등뼈 관절가동술 그룹이 앞쪽과 오른쪽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p<.05). 그룹 간 동적 균형에서는 왼쪽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본 연구를 통하여 목뼈 및 등뼈 관절가동술은 전방머리자세 성인의 통증, 관절가동범위, 균형 능력에 대하여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두경부환자 고정기구제작을 통한치료기 가동범위에 관한 고찰 (Consideration about LINAC movable range by H&N patient immobilization device manufacture)

  • 정도형;심진섭;염두석;최계숙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3-67
    • /
    • 2004
  • 목적 : 방사선치료가 발전함에 따라 3D-CRT나 IMRT 등의 새로운 치료기법이 등장하게되었다. 이러한 치료법은 여러 방향의 방사선조사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지금의 선형가속기만으로는 사실상 여러 방향의 방사선조사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본원에서는 이러한 장치적제한을 극복하고 궁극적으로 다양한 방향의 선속을 이용함으로서 선량분포를 개선하고자 두경부고정장치를 제작하였다. 이에 기존의 고정장치에 비해 치료기의 가동범위가 얼만큼 효율적으로 개선되었는지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선형가속기 Couch에 기존의 고정장치를 놓고 Gantry를 각각 $45^{\circ},\;90^{\circ},\;135^{\circ}$에서 고정시키고 Couch를 돌려 장비의 clearance를 확인한다. 또한 Couch를 $0^{\circ},\;45^{\circ},\;90^{\circ}$에서 고정시키고 Gantry의 clearance를 확인한 후 제작된 Extended Head Holder(EHH)를 Couch에 부착하고 다시 앞에서 시행한 방법과 동일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EHH부착 후의 Gantry와 Couch사이의 clearance의 개선여부를 확인한다. 결과 : Gantry를 고정하고 Couch를 회전시켜본 결과 $45^{\circ}$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90^{\circ},\;135^{\circ}$로 각도가 커질수록 EHH를 사용한 경우 Couch의 가동범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ouch를 고정시키고 Gantry를 회전시킨 경우는 $45^{\circ}$에서 EHH를 사용한 경우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보다 가동범위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0^{\circ}$$90^{\circ}$에서는 모두다 양호한 가동상태를 보여주었다. 또한 방사선의 후방조사시 EHH의 사용으로 Couch의 frame에 의한 방사선 감쇄를 막을 수 있었다. 결과 : 두경부환자의 치료 시 환자고정기구(EHH)를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서 보다 많은 방향에서 방사선조사가 가능해지고 이로 인해 보다나은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되었으며, 치료장비의 회전에 따른 장비와 환자사이 또는 장비와 장비사이의 안전공간이 보다 많이 확보될 수 있었다. 그리고 외국의 제품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이 가능하였고 또한 치료소모품의 절약을 가져올 수가 있게 되었다.

  • PDF

유방절제술 환자의 신체기능과 피로 (Physical Function and Fatigue in Mastectomy Patients)

  • 유양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6권2호
    • /
    • pp.164-171
    • /
    • 2003
  • 목적 : 본 연구는 유방절제술 환자의 신체기능과 피로를 파악하여 수술 후 적응을 돕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개발에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 2003년 3월부터 6월까지 서울 C 대학병원에서 유방절제술을 받은 환자 63명을 대 상으로 어깨관절 가동범위, 어깨관절 기능, 신체적 자각증상 및 피로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환측의 어깨관절 가동범위는 건측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어깨관절 기능이 가장 높았던 문항은 '바지 입기'였으며, 가장 낮았던 문항은 '등지퍼 올리기'였다. 신체적 자각증상의 정도가 가장 높았던 문항은 '감각이 둔하다'였으며, 가장 낮았던 문항은 '가렵다'였다. 4. 피로 때문에 가장 방해가 되었던 문항은 '일상적인 생활(집 밖의 일과 매일하는 허드렛 일)'이었다. 결론 : 유방절제술 후 신체기능을 향상시키고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 PDF

유방암 절제술 후 환자의 어깨관절 가동범위 조사 (Shoulder Range of Motion in Postmastectomy Patients)

  • 엄애용;이은옥
    • 종양간호연구
    • /
    • 제4권1호
    • /
    • pp.62-7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as a basic data to develop suitabl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and decide an appropriate intervention time after assessing shoulder range of motion in postmastectomy from 2 weeks to 3 month. 147 patients are chosen as study subject among patients who were in recovery of 2weeks, 1month, 2months and 3 months after surgical operation which is modified radical mastectomy. Data were collected at oncology medicine local and general surgery local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May, 2003 to October, 2003. The range of motion of the shoulder(flexion, extension, abduction, internal rotation, external rotation) were examined. Analysis of data that shoulder range of motion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of the unaffected side and affected side compare with normal shoulder range of motion. Paired t-test was adop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affected side and unaffected side. Conclusion from this study is as following, 1. The most serious problem was external rotation (0.56%) and internal rotation is the next (19.9%) in 5 kinds of shoulder range of motion in 2 weeks after surgical operation 2.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ternal rotation after post operation 3 months but there were differences and shown to recover more than 90% in flexion and abduction. Also shoulder function incresed in flextion less than 80% and more than 80% in external rotation. As this study finding was shown that shoulder range of motion did not get back perfectly except of internal rotation and extension in point of 3 months after breast cancer surgical operation. External rotation was specially shown the lowest result so it is needed to exercise for improving their physical functioning recovery in postmastectomy patients. And it is suggested to study for helping to postmastectomy patients' physical and psycosocial functions with the early rehabilitation program which is based on these results.

  • PDF

달리기 속도와 경사가 하지관절의 생체역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unning Speed and Slope on the Lower Extremity Biomechanics)

  • 김종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60-167
    • /
    • 2020
  • 본 연구는 달리기 시 속도와 경사변화가 하지관절의 생체역학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대 성인남성 15명이 트레드밀에서 2.7, 3.3 m/s와 -9°, -6°, 0°, 6°, 9°로 달리기를 실시하였고, 속도와 경사 변화에 따른 주행특성(보장, 보빈도), 생체역학적 변인(발목, 무릎, 엉덩관절의 가동범위, 모멘트, 관절파워), 지면반력(수직지면반력, 부하율, 제동력, 추진력)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주행특성은 오르막 달리기(UR)가 내리막 달리기(DR)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p<.05). 하지관절의 가동범위와 수직지면반력은 UR에서 크게 나타났고(p<.05), 하지관절의 모멘트와 제동력, 추진력, 부하율은 DR에서 크게 나타났다(p<.05). 관절파워는 발목관절은 DR에서 크고, 엉덩관절에서는 UR이 크게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로부터 3.3m/s의 속도로 DR을 달리는 경우에서 발목관절 부상의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압요법이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의 관절 통증, 관절 가동범위 및 수면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Joint Pain, Range of Motion, and Sleep in the Elderly with Knee Osteoarthritis)

  • 장민진;임윤미;박효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9-89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knee pain, range of motion, and sleep in the elderly with knee osteoarthritis. Methods: This is an experimental study designed with randomization and single-blind in a placebo-control approach. The subjects included the elderly with knee osteoarthritis who were using an elderly welfare facility. In each of the groups, 28 subjects were assign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uricular acupressure was applied to five pressure points related to the pain caused by osteoarthritis and sleep. In the case of the placebo-control group, auricular acupressure was applied to other five points than the former. The intervention lasted eight weeks. In order to examine intervention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joint pain, Pressure Pain Thresholds (PPTs), and extension and flexion range of motion (ROM) were measured weekly. As for the preand post-examinations, pain, sleep quality, and the time-by-sleep stage of the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were measured. Results: The VAS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uricular acupressure significantly decreased through time (p<.001) and WOMAC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p<.01) compared with the placebo-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PTs. The flexion (p<.01) and extension (p<.001) ROMs measured for eight weeks improved over time. Meanwhile, sleep quality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he intervention termination (p<.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the time-by-sleep stage. Conclusion: Auricular acupressure applied for eight weeks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joint pain, improving knee ROM, and improving sleep quality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knee arthritis.

운동 트레이닝 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xercise Training System)

  • 오은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195-203
    • /
    • 2021
  • 본 연구는 사람의 사용자 전신을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별 움직임에 대한 정상 가동 범위를 영상으로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운동 트레이닝 시스템 구축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입점(立點, standing point)을 기준으로 사용자 전신의 정면과 측면을 촬영하는 카메라부(C), 그리고 카메라부의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인체의 관절 위치에 노드(node)를 설정하고, 입점을 원점으로 하는 공간좌표계에 노드를 배치하여 그 사용자의 노드 좌표값을 도출하는 이미지 분석부(I·A)와 이미 설정된 표준 노드 좌표값에 매칭된 운동 동작별 정상 노드 가동범위를 사용자 노드 좌표값에 맞추어 보정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사용자 노드 정상 가동 상태를 정면 영상과 측면 영상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재생부(R·P)를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연구의 방법으로는 주요선행연구와 자료조사를 통해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을 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으며, 이에 따른 운동 트레이닝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 것이다.

두 종류 공기주입식 카약 보트의 성능 비교 및 선수 수행력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wo Inflatable Kayak's Effect on Players and Kayak Performances)

  • 이종훈;박용현;남기정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3권2호
    • /
    • pp.531-540
    • /
    • 2014
  • 본 연구는 두 종류의 공기주입식 카약 보트의 성능 비교와 함께 선수들의 카약 전방 스트로크 동작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카약 보트를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한 체육회 소속 K 고등학교 엘리트 남자 선수 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K고 실내 수영장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보트의 성능 평가를 위해 보트 속도, 보트 좌우 흔들림 각도 차이, 보트의 회전 평균 각속도를 산출하였으며 선수의 수행력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몸통의 회전 가동범위, 무릎 관절의 굴곡-신전 가동범위, 몸통의 최대 회전 각속도, 무릎관절의 최대 신전 각속도, 상하지 근육의 활성도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선수들의 수행력 평가 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치를 보이지 않았다. 보트의 성능 평가 변인에서는 보트의 속도에서 B보트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빨랐으며 다른 변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국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고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B보트는 A보트와 비교했을 때 비슷한 안전성을 갖고 있으면서 보다 효율성을 나타내었다.

요추 관절가동범위와 신체압력중심을 이용한 신체균형능력 분석 및 훈련 콘텐츠 (Analysis and Training Contents of Body Balance Ability using Range of Motion of Lumbar Spine and Center of Body Pressure)

  • 구세진;김동연;신성욱;정성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79-287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신체의 움직임 정보와 족압 분포의 변화를 측정하여 신체 균형 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관성측정장치와 FSR 센서를 사용하여 관절가동범위와 신체압력중심을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균형 능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이 프로그램에서 측정된 관절가동범위와 신체압력중심의 정량적인 값을 실시간으로 시각화하여 사용자가 결과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콘텐츠는 측정된 균형정보를 바탕으로 난이도가 조절되며 균형능력을 개선하고자 하는 방향에 맞춰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이것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움직이는 물체를 보면서 진행하는 시각 되먹임 방법을 이용하여 집중력과 참여의지를 높여 더욱 효과적인 균형 훈련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미세 현미경 레이저 요추 디스크 절제술 환자의 요부안정화운동과 SEBT 트레이닝이 등척성 요부근력과 동적균형능력,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umbar Stabilizing Exercise SEBT Training on Isometric Lumbar Strength, Dynamic Balance Ability and Range of Motion in Open Laser Lumbar Microdisectomy Patients)

  • 전호민;김정훈;이장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12-220
    • /
    • 2020
  • 본 연구는 미세 현미경 레이저 요추 디스크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기존의 전통적 재활플그램인 요부 안정화 운동에 SEBT 프로그램을 적용한 재활운동이 등척성 요부근력과 동적균형능력 그리고 관절가동범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미세 현미경 레이저 요추 디스크 절제술을 받은 후 6주간 보존적 치료를 받은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요부안정화운동(Lumbar Stabilizing Exercise Group, LSG, n=7)과 SEBT+요부안정화운동그룹(SEBT Exercise +Lumbar Stabilizing Exercise Group, SLSG, n=7)을 8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요부의 등척성 근력 비율(72°와 0°)은 LSG(p=.007)와 SLSG(p=.024)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동적균형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Y-balance test의 세 방향 도달 거리에 대한 결과는 SLSG와 LSG의 모든 방향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동적균형 능력은 좌측(LSG, p=.010; SLSG, p=.002)과 우측(LSG, p=.002; SLSG, p=.002)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관절가동범위는 LSG(p=.006)와 SLSG(p=.017)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8주간의 재활운동 후, 전통적인 요부안정화 운동과 요부안정화운동에 SEBT프로그램을 추가한 재활운동 모두 등척성 요부근력과 동적균형능력 그리고 관절가동범위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후에 SEBT 프로그램만의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