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종류 공기주입식 카약 보트의 성능 비교 및 선수 수행력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wo Inflatable Kayak's Effect on Players and Kayak Performances

  • 투고 : 2014.02.03
  • 심사 : 2014.03.25
  • 발행 : 2014.09.30

초록

본 연구는 두 종류의 공기주입식 카약 보트의 성능 비교와 함께 선수들의 카약 전방 스트로크 동작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카약 보트를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한 체육회 소속 K 고등학교 엘리트 남자 선수 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K고 실내 수영장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보트의 성능 평가를 위해 보트 속도, 보트 좌우 흔들림 각도 차이, 보트의 회전 평균 각속도를 산출하였으며 선수의 수행력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몸통의 회전 가동범위, 무릎 관절의 굴곡-신전 가동범위, 몸통의 최대 회전 각속도, 무릎관절의 최대 신전 각속도, 상하지 근육의 활성도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선수들의 수행력 평가 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치를 보이지 않았다. 보트의 성능 평가 변인에서는 보트의 속도에서 B보트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빨랐으며 다른 변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국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고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B보트는 A보트와 비교했을 때 비슷한 안전성을 갖고 있으면서 보다 효율성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inflatable kayak by recording performance related variables during the kayak forward stroke motion. A total of 5 elite high school kayak players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while their kinematics and muscle activations were recorded while performing inside their high school swimming pool. Boat velocity, boats swaying angle, the average angular velocity and were used to evaluate the boats performance. The player's trunk rotational range of motion, knee flexion-extension angle range of motion, maximum trunk rotation angle, the knee flexion-extension angular velocity, and the upper and lower limb muscle activations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for the player's efficiency evalu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variables for the player's kinematics and their muscle activations for the two conditions. The B kayak was significantly faster than the A kaya. In addi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maining variables for the two kayaks. In conclusion, the B kayak was faster than the A kayak, but neither of the kayaks had an influence on the player's performance variables.

키워드

과제정보

이 연구는 2014년도 문화체육관광부의 스포츠산업기술개발 사업에 의거 국민체육진흥공단의 국민체육진흥기금 지원비에 의해 수행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