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동범위

검색결과 480건 처리시간 0.03초

패턴화된 감각 증진(PSE)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즉각적 영향 (Immediate Effect of Patterned Sensory Enhancement (PSE) on Upper Limb Function after Stroke)

  • 한수정;권애지;박혜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1권1호
    • /
    • pp.1-19
    • /
    • 2014
  • 본 연구는 패턴화된 감각 증진(Patterned Sensory Enhancement, PSE) 기법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PSE와 단순 리듬 자극 간의 차이를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와 수원시 소재의 재활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인 뇌졸중 편마비 환자 16명이며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8명씩 배치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은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 기능으로 6가지 동작의 관절가동범위(ROM, range of motion)와 장악력이며 실험군에게는 PSE를, 대조군에게는 메트로놈으로 제공되는 단순 리듬 자극을 제공하였다. 실험은 음악 자극이 없을 때와 있을 때의 같은 상지 기능을 측정하는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측정한 값의 경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동일한 실험을 총 2회 실시하여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연구 진행 결과, PSE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음악을 들으며 동작을 수행할 때 상지 관절가동범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즉각적인 효과를 보였으나(p < .05), 대조군은 즉각적인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단순 리듬 자극보다 PSE가 상지 운동 향상에 더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과 음악의 청각적 패턴이 운동 범위의 확장 즉, 운동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PSE가 상지 운동 기능에 미치는 즉각적인 영향을 단순 리듬 자극과 비교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음악 요소의 특징이 유도하고자 하는 신체 운동의 목표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질 때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 동작에 적합한 남성복 슬랙스의 밑위길이 여유분 설정에 관한 연구 (An Establishment of Crotch Ease of Men's Slacks for Lower Body Mobility)

  • 김영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53-56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se of crotch depth and the mobility of leg movement. Ten Korean men were participated as subjects and 0. 3, 6cm of crotch ease were inserted for test clothes. To analyze objectively, range-of-motion of four selected movements was measured by Leighton flexometer and goniometer. Also. wearer acceptability rating was measured for subjectively investigation. Anova and Duncan's range test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3cm of crotch ease was most comfortable. The mobility of test clothes with 3cm crotch ease was improved largely in every test movement(16.2% and 16.6% in segittal plane, and 6.1% and 6.2% in frontal motion).

생체역학 모델을 이용한 노인 및 장애인용 보행기 평가 (Evaluation of Elderly and Disable walker Using Bromechanical Human Model)

  • 신준호;박용현;김영관;김윤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3-26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표준체형과 유사한 사람의 의료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인체 골격계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동역학 해석 상용 소프웨트어인 RecurDynTM에 탑재하여 인체 시뮬레이션 모듈을 개발하였고 타당성을 검증을 거친 후 노인의 앉기-서기 및 보행 동작해석에 적용하였다. 노인이 보행기(elderly walker)를 사용하여 앉기-서기 동작을 할 때 하지관절 기구학의 변화는 미비하였으나 보행 시 각 관절의 가동범위가 감소하였고 동작시간이 증가하였다. 또한 근전도 해석결과 일부 발목 주변 근육들과 햄스트링 근육에서 근활성치가 줄거나 활성시간이 줄었다. 이러한 변화는 보행기를 이용한 보행 때 하지의 기여도가 감소했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시뮬레이션 기술은 다양한 인체 정보 콘텐츠분야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요부 근력강화 운동에 의한 체간 가동범위의 변화 (The effect of the Lumbar extensor strengthening exercise on the trunk range of motion)

  • 안명환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23-92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at the effect of the Lumbar extensor strengthening exercise on the trunk range of motion(Lumbar extensor strengthening exercise group = 15, Control group = 15). To find out the improvement of trunk range of motion, each group was examined with Modified Modified Sch ber(MMS) measurement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s. The result are as followed. 1. After the training period, the trunk range of motion were increased in both groups. 2. After the training period, both groups revealed no sinigificant difference on the trunk range of motion.

  • PDF

무릎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혈우병 환자의 무릎관절 가동범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물리치료에 관한 고찰 (Consideration of Physiotherapy for the Improvement of Knee Joint Range of Motion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in Patients with Hemopilic Arthropathy)

  • 전혜림;인태성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3-60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otherapy on the range of motion (ROM) of patients with hemophilic arthropathy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TKR) during treadmill gait. Method: Nineteen patients (age range, 30-61 years) who received physiotherapy at the Korea Hemophilia Foundation (KHF) Clinic in Seoul between 2011 and 2013 after TKR were recruited. Protocol rehabilitation was performed (KHF Clinic, Department of Physiotherapy) with an average follow-up of 70 days (range, 6-141 days). Result: Physiotherapy after TKR improved the ROM parameters, including the post-operative average ROM. The post-operative and follow-up ROM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 Patients with hemophilia require different physiotherapeutic techniques and need dedicated post-operative care in comparison with the general population.

경추관절가동술이 정상성인의 경부 관절가동범위와 정적근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ervical ROM and Muscle Endurance on Cervical Joint Mobilization of Normal Adults)

  • 공원태;이상열;이윤미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1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cervical ROM and muscle endurance on cervical joint mobilization of normal adults. Both joint mobilization group(n=20) and control group(n=20) were measured an cervical ROM and muscle endurance time by CROM and stop watch at pre-test, post-test in 1 weeks, post-test in 2 weeks and post-test in 3 weeks. The flexion ROM, extension ROM and muscle endurance of the joint mobiliza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period (p<.05). The Correlation of muscle endurance and extension ROM is significantly Correlation (p<.05). In conclusion, we were found that cervical joint mobilization could increase cervical ROM and muscle endurance and Correlation of muscle endurance and extension ROM.

엉덩관절 가동범위에 따른 중간볼기근의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Gluteus Medius Muscle Electromyographic activity at different hip angles and motions)

  • 이태식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1-46
    • /
    • 2012
  •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ctromyographic(EMG) amplitude of the gluteus medius muscle bilaterally at various hip angles and motions(flexion, extension and abduction). Methods : Thirty young with a mean(SD) age of 21.03(1.69) years performed hip motions(flexion, extension and abduction) while the surface EMG activity of the gluteus medius muscles was recorded bilaterally. Subjects were instructed to use the right lower limb during moving 3 different direction. Differences in EMG amplitudes in according with movement direction and angle were assessed by use of paired t-test analyses of variance for the right and left lower extremities. The alpha level was set at .05. Results : Gluteus medius muscle EMG activities in the both side were significantly greater for abduction at angles of 30 degrees than those for other motions at other angles. Conclusion : Hip abduction at angles of 30 degrees on the standing position may be effective in activating the gluteus medius muscle.

  • PDF

붕괴모드 컨트롤형 철골조 시스템의 온라인 지진응답실험 (On-line Tests on Collapse Mode Controlled Steel Frame)

  • 이승재;오상훈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47-52
    • /
    • 2009
  • 본 연구는 강진 시 소성화 범위를 최소화하여 장수명 철골구조를 실현하는 구조시스템을 제안하고 지진응답특성을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실대형 1층 철골조 실험체 2개를 설계 및 제작하여 가동적 지진응답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철골구조시스템은 이력형 강재댐퍼, 보-기둥접합부 순서로 붕괴모드가 발생하였으며 지진응답시간 중 그 외의 주변 프레임은 탄성 상태에 머무르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재활환자를 위한 IoT 기반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ROM 측정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ROM Measurement Device capable of IoT-based Real-time Monitoring for Rehabilitation Patients)

  • 강민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11-11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관절 각도계를 사용하여 관절가동범위의 측정하던 것을 각도계를 사용하지 않고 플렉서블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하였다. 현재의 관절가동 범위 측정은 관절 각도기를 활용하여 사람이 직접 측정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측정하는 사람의 측정 방법과 위치에 따른 오류로 일관성 있는 측정이 어려워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측정해야 할 관절에 센서를 부착하여 관절의 운동 범위를 측정하였다. 측정을 위한 센서는 플랙서블 형태로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는 저항 값을 측정하는 센서로서 센싱 된 값을 ROM 센서노드를 통하여 무선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 된 ROM 측정 장치는 일반적인 관절 각도기를 활용한 측정보다 일관성 있는 측정이 이루어 질 수 있고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함으로써 관절의 움직임에 따른 신속한 진단으로 환자의 빠른 치료와 재활의료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착용이 목 관절가동범위와 목 근육 두께 및 통증에 미치는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f Wearing Head-Mounted Display on Cervical Range of Motion, Neck Muscles Thickness, and Pain)

  • 오소현;정성대;심재훈;양노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77-285
    • /
    • 2020
  • 본 연구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HMD) 사용이 건강한 젊은 성인들의 목관절가동범위(CROM)와 목 근육 두께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HMD 군(남자 16명, 여자 7명)은 HMD를 착용하고 30분 동안 정해진 영상을 시청하도록 하였다. 대조군(남자 15명, 여자 8명)은 HMD군과 동일한 자세로 HMD 착용없이 30분 동안 앉아있게 하였다. 실험 전·후에 목관절가동범위, 위등세모근과 어깨올림근의 두께와 압력통증역치를 측정하고 대응표본 t검정과 독립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HMD 군의 목관절가동범위와 양쪽 위등세모근과 어깨올림근의 압력통증역치는 사전 검사 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양쪽 위등세모근의 두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반면에, 대조군은 목관절가동범위, 근육 두께 및 압력통증역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분석 결과, 장시간 HMD 사용은 목관절가동범위와 압력통증역치를 감소시키고 근육을 비대하게 하여 목과 어깨의 근골격계 질환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적절한 시간 동안만 HMD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