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덕도

Search Result 11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가덕도(구)등대의 문화재적 가치향상을 위한 보존 및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Jong-Yun;Ahn, Wo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192-194
    • /
    • 2014
  • 한일합방 직전인 1909년 12월에 초점등된 가덕도(구)등대는 가덕도의 끝단 동두말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위치는 부산 남해는 물론 거제도가 한눈에 들어오는 광범위한 시계를 가지고 있어 예로부터 군사적 지리적 요충지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가덕도는 2010년 거가대교 개통으로 교통의 요충지가 되었다. 가덕도(구)등대는 역사적 보존가치가 높아 해양수산부에 의해 등대문화유산 제8호로 지정되었고, 가덕도(구)등대의 등탑과 결합된 등대 숙사의 문화재적 가치가 높아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되었다. 등탑과 숙사가 일체화된 경우도 드물어 건축적 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숙사의 건축형태와 현관장식 등의 미관이 수려하다. 이렇게 지리적, 역사적, 건축사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가덕도(구)등대는 100주년을 맞이하여 100주년 기념관, 체험숙소 등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여러 가지 유해한 요인들 때문에 문화재적 가치가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가덕도(구)등대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유해 요인 제거 및 이전 방안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문화재적 가치 향상과 환경개선, 보존관리를 목적으로 한다.

  • PDF

Seawater Quality of Jinhae Bay and Adjacent Sea of Gaduk Island, Korea (진해만 및 가덕도 주변 해역의 수질 환경)

  • Kim, Kyung-Tae;Kim, Eun-Soo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9.06a
    • /
    • pp.137-143
    • /
    • 2009
  • 진해만과 가덕도 주변 해역에서 2007년 2회(하계와 추계)에 걸쳐 표층 및 저층수 조사를 실시하여 수질 환경 특성을 파악하였다. 수온은 표층이 저층보다 높았는데 여름이 가을보다 표 저층간의 차이가 컸으며, 염분은 가덕도 남쪽에서 낙동강 물의 유입 영향으로 저염분을 나타내었다. 부유물질은 표층수의 경우 진해만 및 연안에서 높고 외해에서 낮았으며, 과거의 조사 농도 범위에 속하였다. POC는 계절별로 분포 차이가 있지만 유기물 유입원에 대한 근접성과 기초 생산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COD는 표층에서 오염원의 영향이 많은 진해만에서 높고 외해로 가면서 낮아졌다. 여름에 진해만 일부 정점은 해역별 수질기준 III등급이었다. DO는 저층이 표층보다 낮았는데 특히 진해만 내완 외해의 깊을 수심 정점에서 차이가 크고, 하계에 성층에 의하여 수증간에 큰 자이를 나타내었다. 인산염-인과 규산염-규소는 저층수에서 용존산소가 낮아짐에 따라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 경향이 강하였으며, 암모니아-질소도 내만의 저산소층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표층수의 용존 무기질소는 신항과 가덕도 주변에서 높고 진해만 서쪽 및 외해로 갈수록 낮아졌으며, 과거 조사 농도보다 낮고 좁은 변동 범위를 보였다. 총 질소와 총인도 외해역에서 낮은 농도였으며, 표층보다 저층이 높은 추세였고 여름에 더욱 뚜렷하였다. 총질소 평균 농도로는 해역별 수질기준과 I등급을 만족하였으나 정점별로는 $I{\sim}III$등급까지 변화가 컸는데 진해만 내의 저층 또는 외해의 깊은 수심을 갖는 정점에서 등급이 좋지 알았다. Chl-a는 진해만 내 또는 가덕수도에서 높은 분포였으며, 신항과 가덕도 남쪽에서는 과거보다 낮은 농도였다.

  • PDF

부산점토의 특성 : 조간대 퇴적층의 대자율

  • 김성욱;김인수;최은경;정성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315-318
    • /
    • 2002
  • 낙동강 삼각주의 분포하는 제4기 홀로세 퇴적층 중 북부와 중부, 그리고 남부지역에 해당하는 가덕도 (신항만 조성지역), 범방리 (경마장 조성지역), 양산 (신도시 조성지역)의 조간대 퇴적층에 대한 대자율 연구를 수행하였다. 퇴적층의 층위별 대자율은 입도와 관입저항에 비례하여 대자율도 증가한다. 가덕도의 70여m의 퇴적층 중 20m, 40m의 점토층에서 대자율 변화가 나타나는데 인접한 녹산지역의 연구견과와 비교하면 고환경이 변화되는 지점과 일치한다. 삼각주의 중부에 위치하는 범방리 점토시료는 기반암까지 층위별 대자율이 일정하며, 북부의 양산지역 점토시료는 하부로 갈수록 대자율이 증가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시료의 입도 분포와 같은 양상이다. 가덕도 시료와는 달리 모든 점토층이 유사한 대자율을 보여주고 있어 퇴적 동안 환경의 변화는 인지되지 않는다. 이 지역의 시료가 가덕도에 비해 높은 고도에 위치하여 가덕도 시료의 상부 점토에 해당되는 것도 환경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이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연구가 요구 된다.

  • PDF

Mineralogical Study on Microlites in the Baekdusan Obsidian and the Gadeokdo Obsidian Artefacts (백두산 흑요석과 가덕도 흑요석제 석기에 포함된 미세결정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 Jin, Mi Eun;Moon, Sung Woo;Ryu, Choon Kil;Jwa, Yong-Joo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7 no.4
    • /
    • pp.243-249
    • /
    • 2014
  • We conducted investigations in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microlites included in the obsidians from the North Korean side Baekdusan (NK) and in the obsidian artefacts from the Busan Gadeokdo prehistoric site (BG). The morphology of the microlites from the NK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trichite-acicular and trichite-asteroidal types are predominant. On the other hand the microlites from the BG show various 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acicular, margarite, lath, and asteroidal types. Silicate microlites from the NK are mostly of Ca-pyroxene compositions (hedenbergite to augite), whereas those from the BG are mostly of biotite (annite) with small amount of clinopyroxene (ferrosilite). It is well understood that the microlites from the NK are different from those from the BG in terms of the morphology, mineral content and mineral composition. Thus the obsidian aretefacts from the Busan Gadeokdo prehistoric site seem to have no genetical relationship to the obsidians from the Baekdusan.

Growth Comparison of Ark Shell, Anadara broughtonii between the Two Culturing Areas (양성장에 따른 피조개, Anadara broughtonii의 성장)

  • Yoo Sung Kyoo;Chang Young Jin;Kang Kyoung Ho;Kim Yong Ku
    • Journal of Aquaculture
    • /
    • v.3 no.1
    • /
    • pp.65-77
    • /
    • 1990
  • The growth of ark shell, Anadara broughtonii was compared between two areas, $Gad\v{o}gdo$ in Jinhae Bay and Namhae locate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from May 1986 to October 1987. The ark shells in Namhae grew from 1.38$\pm$0.32 em to 7.20$\pm$0.30 em in shell length, while those in $Gad\v{o}gdo$ grew from 1.38$\pm$0.32 em to 6,41$\pm$0.30 cm in 17 months. Shell height, shell breadth and total weigth of the ark shells in Namhae were also greater than those from $Gad\v{o}gdo$. Bottom quality of $Gad\v{o}gdo$ showed negative skewness, and that of Namhae was positive skewness. Negative skewness of $Gad\v{o}gdo$ seems to be caused by the effect of strong tidal current. This may indicate that Namhae is better area than $Gad\v{o}gdo$ for the culture of the ark shell.

  • PDF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가덕도 외양포 연안공간 개발에 관한 연구

  • Byeon, Seon-Hwa;Hong, Sun-Yeon;Sin, Ji-Won;Jeong, Y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113-114
    • /
    • 2016
  • 일제강점기 부산의 연안공간은 경제, 사회적 시설이 집중되는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로 인하여 부산의 연안공간에는 역사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역사문화자원이 산재해 있다. 하지만 부산 연안에 위치한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발굴과 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역사문화자원이 사장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연안공간에 위치한 역사문화자원 중 아직까지 그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는 가덕도 외양포 지역 역사문화자원을 대상으로 연안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보존활용계획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조사 및 가덕도 외양포의 역사문화적 현황을 면밀하게 조사하여 역사문화자원의 보존활용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지역주민의 의견 수렴을 바탕으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연안공간개발계획을 제사하였다.

  • PDF

Estimation of Tsunami Heights near Gadeokdo Airport Area (가덕도 신공항 부지에서의 지진해일 파고 예측)

  • 최문규;이대환;고광오;조용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06-506
    • /
    • 2023
  • 지진해일은 대규모 인명피해는 물론 가공할만한 파괴력으로 해안시설물, 즉 원자력발전소, 항만시설물, 연안공항 등을 파괴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해안에 국가기간시설물을 건설할 때는 반드시 급습 가능한 지진해일을 설정하여 예기치 못한 지진해일의 급습에 대하여 안전한가 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건설 예정인 가덕도 신공항에 대하여 지진해일 급습 가능성을 예측한다. 기존의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공항부지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은 지진해일을 설정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안전 여부를 검토한다. 본 연구에서 고려된 지진해일은 기 발생한 역사 지진해일과 발생 가능한 지진해일, 즉 가상 지진해일 등이며, 수치모형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파모형과 범람모형인 HYCEL-NAMI와 HYCEL-RUNUP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 PDF

A Study on Ocean Cultural Space developed on the Gadeokdo lighthouse 100th anniversary memorial (가덕도등대 100주년 기념관을 활용한 해양문화공간에 관한 연구)

  • Han, Ch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04a
    • /
    • pp.494-506
    • /
    • 2010
  • On the crisis of international economy, the government is making an effort to seek economic growing motivation with the method of overcoming economic crisis and 'low carbon green growth'. Furthermore, to promote maritime vessel traffic service related inefficient energy wastage was revealed and eco-friendly alternative energy was accepted because of high price of oil in the beginning of 2008. In this situation, I'm going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eco-friendly energy system in maritime vessel traffic service with the way of cutting the budget and expansion of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which was promoted to meet governmental 'energy saving plan for high price of oil'.

  • PDF

가덕도 주변 해역 소형기선저인망에 의해 채집된 두족류의 계절 변동

  • 허성회;안용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98-399
    • /
    • 2000
  • 두족류는 연체동물문 두족강에 속하는 무척추동물로 해양에만 서식한다. 조간대에서 심해에 이르기까지 모든 해양 환경에 적응한 두족류는 뛰어난 유영능력과 감각기관을 가지고 활동적인 포식활동을 한다. 이빨고래류, 물개류, 상어류, 어류 등의 먹이가 되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북서태평양 연안국에서는 상업적으로도 중요한 수산자원생물이다. 국내에서는 분류학적 연구와 참갑오징어나 살오징어와 같은 일부 상업성 종류의 자원학적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나 두족류 군집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가덕도 주변 해역에 서식하는 두족류 군집의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