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격차 모형

Search Result 8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stimation and Comparison of Regional Environmental Kuznets Curves for CO2 emissions in Korea (국내 지역별 이산화탄소 배출에 대한 환경 쿠즈네츠 곡선 추정 및 비교)

  • Lee, Gwang Hoon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9 no.4
    • /
    • pp.53-76
    • /
    • 2010
  • This paper attempts to estimate and compare environmental Kuznets curves (EKC) for$CO_2$ emissions of five regions constituting South Korea. For this, panel data of $CO_2$ emission for these regions are constucted for the period 1990 - 2007. Close inter-dependency among these five regions is considered by using a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SUR) model. In addition to real per-capita income, price index of energy sources and population dens ity are included as control variables. Results of estimates show the robust existence of EKC's in all these regions. EKC turning points of five regions range between 13.7 and 21.6 million Korean Won, showing a large variation. This difference among regions should be conisidered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policies targeting the reduction of $CO_2$ emmission. In addition, the increase of energy price is found help reduce the $CO_2$ emmision while the rise of population density seems to lead to the increase of $CO_2$ emission.

  • PDF

Dynamic Changes of Urban Spatial Structure in Seoul: Focusing on a Relative Office Price Gradient (오피스 가격경사계수를 이용한 서울시 도시공간구조 변화 분석)

  • Ryu, Kang Min;Song, Ki Wook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2 no.3
    • /
    • pp.11-26
    • /
    • 2021
  •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office space, there have been questions on how office rent distribution produces a change i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in Seou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 relative price gradient and to present a time-series model that can quantitatively explain the dynamic changes i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The analysis was dealt with office rent above 3,306 m2 for the past 10 years from 1Q 2010 to 4Q 2019 within Seoul. A modified repeat sales model was employed. The main findings a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estimates of the office price gradient in the three major urban centers of Seoul, the CBD remained at a certain level with little change, while those in the GBD and the YBD continued to increase. This result reveals that the urban form of Seoul has shifted from monocentric to polycentric. This shows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ompanies has gradually accelerated decentralized concentration implying that the business networks have become significant. Second, contrary to small and medium-sized office buildings that have undertaken no change in the gradient, large office buildings have seen an increase in the gradient. The relative price gradients in small and medium-sized buildings were inversely proportional among the CBD, the GBD, and the YBD, implying their heterogeneous submarkets by office rent movements. Presumably, those differences in the submarkets were attributed to investment attraction, industrial competition, and the credit and preference of tenants. Th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hierarchical system identified in the Seoul 2030 Plan as well as the literature about Seoul's urban form. This research claims that the proposed method, based on the modified repeat sales model, is useful in understanding temporal dynamic changes. Moreover, the findings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urban growth strategies under rapidly changing market conditions.

A Long Term Market Forecasting of Passenger Car using MESSAGE Modelling (MESSAGE 모델링을 이용한 승용차 부문의 그린카 도입 전망 분석)

  • Yoo, Jong-Hun;Kim, Hu-Go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1 no.1
    • /
    • pp.33-42
    • /
    • 2012
  • In this study, long-term greenhouse gas reductions expected passenger sector was used for the MESSAGE. Green Car road map proposed BAU scenario, Enhanced diffusion green car scenario, and price 1, 2 scenarios was configured with four scenarios. Enhanced diffusion green car in the scenario, in 2050 compared to BAU scenario 13% of the emissions will decrease. Price 1 and Price 2 scenario is emissions reduction of 14% compared to BAU. This study consists of six chapters. Introduction of MESSAGE, creation and RES in the year and the target year set a different base line and the passenger building materials sector activities, steps for passenger sector scenario and Based on the results of running the emissions reductions were to describe.

신경외과 수술에서의 인공 생체재료

  • Sim, Jae-Ju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11a
    • /
    • pp.6.1-6.1
    • /
    • 2009
  • 신경외과는 뇌수술과 척추수술로 나눈다. 이중뇌수술 분야에서는 두개강내압 항진시 감압술이라고 '머리의 뚜껑을 연다'라는 표현과 마찬가지로 두개골의 일부분(손바닥크기)을 절제하는 수술이 있다. 이때 과거에는 떼어낸 뼈를 복부의 피하지방밑에 심어서 보관을 하다가 3-6개월 후 환자의 뇌상태가 안정이 되면 다시 꺼내어 제자리에 놓았는데, 골편이 피하지방에서 녹는 경우가 다소 있고, 복부에 이식한 장소가염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어서 요즘은 냉동고에서 -70도를 유지하여 보관 후 나중이 복원 수술을 할 때녹여서 사용한다. 이를 '자가골 두개성형술' 이라 한다. 하지만골편의 오염이나 소실 혹은 1차 두개성형술 후 감염 등 어쩔 수 없이 자가골을 사용 못하는 경우에는인공으로 두개골편 모형을 제작하여 '뚜껑'으로 사용해야 한다. 현재PMMA를 이용하여 수술 시 모형을 제작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며 최근 단단한 스펀지 형태의 인공제품이 사용되고 있으나 가격이 매우비싸지만 스펀지 기공내로 자가골이 자란다는 장점이 있다. 척추수술 분야에서는 뼈 대치품을 비교적 많이필요로 한다. 즉 척추 후방고정을 하는 경우 원래 수술의 목적인 감압술이나 교정술 등을 한 후 척추분절간 쇠(티타늄사용)고정을 한 뒤에 뼈조직(자가골이나 동종이식골, DBM, HA stick) 등을 충분히 사용하여덮어줌으로써 분절간 골유합을 유도할 때 많은 양이 필요하며, 척추 전방으로 수술을 하는 경우에도 디스크공간이 빈 상태에서 Cage(추체와 추체를 지지하는 작은 상자모양) 내에뼈조직을 넣어서 척추분절간 골유합이 일어나도록 한다. 최근 HA를 cage 대용품으로 사용한 경우에서 HA가 부서지는 경우가 기사화된바 있다. 또한 경추의 추체 내에 작은 구멍만 뚫고 디스크 수술을 한 후에 그 구멍에 HA+B-TCP 소재를 넣어 천연뼈의 성장 유도를 위해 사용되는 등 신경외과의 다양한 분야에서 생체소재들이 사용되고 있다.

  • PDF

환경규제(環境規制)에 따른 한국(韓國) 제조업(製造業)의 구조변화(構造變化) - 산업(産業) 공해(公害)의 요인(要因)과 환경규제(環境規制)의 효과(效果) 분석(分析) -

  • Jeong, Hyeon-Sik;Kim, Yu-Bae;Lee, Hae-Chu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4 no.2
    • /
    • pp.307-344
    • /
    • 1995
  • 이 논문은 산업공해의 발생 요인을 규명하는 부분과 여기서 규명된 요인에 따라 배출량을 규제하고 그 규제효과를 추정하는 두 가지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논문에서는 환경(環境) 산업연관(産業聯關) 분석(分析) 모형(模型)을 이용하여 우리 나라의 산업(産業) 공해(公害) 배출(排出) 요인(要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분석의 결과 얻은 잠정적 결론은 첫째, 우리 나라는 지난 10년간 에너지 절약적(節約的)인 기술개발(技術開發)등 에너지의 효율성과 생산기술(生産技術)(투입구조(投入構造))의 개선 등 생산기술측면에서는 대기오염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구조적 변화가 있었던 반면에, 수출입(輸出入) 구조(構造)등 수요 측면에서는 그 배출량을 증가시키는 구조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구조적 요인은 공해 배출량을 증가시키지 않은 반면 경제 성장에 따른 생산 규모의 확대로 총 배출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산업공해의 배출량을 감축시키기 위한 한 가지 정책수단(政策手段)으로 우리는 일정 율의 탄산까스 배출량(排出量)을 규제하기 위해 필요한 공해 제거 비용을 계산하고 배출 단위 제거비용을 Pigou적 공해조세(公害租稅)로 제시함으로서 일정 배출량 감축 효과를 가지는 공해세를 계산하고자 시도하였다. 이 같은 배출 규제(規制)에 의한 물가상승(物價上昇)의 파급정도(波及程度)는 각 산업의 공해제거(公害除去)를 위한 중간투입물(中間投入物) 수요(需要)와 규제대상(規制對象) 산업(産業)과의 산업연관(産業聯關) 정도(程度)에 따라 상이하다. 배출량(排出量)이 큰 6대(大) 공해산업(公害産業)에 대한 규제(規制)는 자기(自己) 가격상승율(價格上昇率)이외에 산업연관효과(産業聯關效果)의 차이 때문에 산업별로 다른 물가 파급효과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보였다. 특히 석유와 석탄 등의 에너지에 대한 탄산까스 배출 규제는 규제 산업의 자기 가격을 매우 높은 율로 상승시키며, 각각 화학, 고무, 섬유, 의복 제품과 1 차금속, 전력 가스, 조립금속, 시멘트 등에 높은 물가 파급효과를 나타내므로서 이산화탄소의 배출 규제 내지 탄소세의 부과가 몇 몇 산업의 가격 경쟁력에 집중적인 영향을 줄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 PDF

Transmission of Chinese Monetary Policy Shocks: Evidence from Korea (중국 통화정책 변화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

  • Cho, Yujeong
    • Economic Analysis
    • /
    • v.27 no.4
    • /
    • pp.43-69
    • /
    • 2021
  • As the trade linkages and the financial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Korea grow stronger, China's influence on Korea is also growing larger.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examine key features of Chinese monetary policy operations 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to analyze the transmission mechanism of China's monetary policy shocks onto the Korea economy. China's monetary policy shocks can have an impact on the Korea economy through the trade, financial and oil-price channels. In the trade channel, an expansionary Chinese monetary policy can increase Korea's exports of intermediate goods to China under the vertical trade structure, via the vertical trade integration effect. Meanwhile, the expenditure switching effect and the income demand effect show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financial and oil-price channels, expansionary Chinese monetary policy shocks can decrease the interest rate and increase both stock prices and the consumer price index in Korea through changes in global portfolio capital flows, interest rates, and raw material prices.

A Dynamic Pricing Model with a Multiplicative Functional Form (승산적 형태를 가진 동태적 가격결정 모형)

  • Cha Kyoung-Cheon;Jun Duk-Bin
    •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 /
    • v.31 no.3
    • /
    • pp.97-105
    • /
    • 2006
  • Brand Pricing is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the brand manager in the dynamic market. in the typical dynamic pricing model, a linear function has been us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non-Price Influences and the price influences were independent. However, to incorpor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ynamic market, it is natural to consider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 We are going to try the multiplicative linkage between the non-price Influences and the price influences and suggest a new dynamic pricing model with e multiplicative functional form. An empirical study of 19 brands in the Korean cigarette market shows the feasibility of the suggested model.

The impact of MOCIE's electricity demand-supply basic plan on generation business (전력수급기본계획이 발전사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 Kim, Wook;Choi, Byung-Ki;Kim, Woo-Gon;Kang, Cheol-M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a
    • /
    • pp.825-827
    • /
    • 2005
  • 제2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나타난 여러 수치들에 대하여 전력시장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발전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과거 실적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시장 분석용 전산모형에 대한 정밀 튜닝과 검증을 시행하고, 이를 이용하여 장기 전력시장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높은 예비율로 인하여 급격한 시장가격의 하락이 나타나며, 이로 인하여 대부분의 발전사업자가 설비용량의 증가에도 불과하고 전기판매금액이 큰폭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경영환경은 특히 첨두설비 중심의 사업자에게 더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로 인하여 신규 건설계획이 다소 보수적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 PDF

GMM을 이용한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資本資産價格決定模型)의 추정(推定)

  • Lee, Ju-Hui;Nam, Ju-Ha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9 no.2
    • /
    • pp.57-75
    • /
    • 1992
  • 본 논문은 10개의 기업규모별 자산을 대상으로 최근에 발전된 계량기법인 GMM(generalized method of moments)을 이용하여 베타(beta)를 추정하였다. 분석대상기간으로 $1982.1{\sim}1991.4$사이의 월별자료를 사용한다.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기업규모별 구분에 따른 자산의 경우에 규모가 큰 기업보다 규모가 작은 기업의 베타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GMM의 추정을 위한 수단변수로 회사채수익률과 정기예금금리의 금리차, 분석대상이 되는 자산 수익률과 시장포트폴리오의 자기시차, 그리고 상수가 사용되었다. OLS를 사용한 CAPM추정 결과에 비해 GMM을 사용한 추정 결과가 우월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것은 GMM에 사용된 수단변수들이 수단변수를 포함시킴으로써 관련자산들의 자기시차가 아닌 CAPM추정에 필요한 유용한 대용변수(代用變數)(proxy)를 제공하였고, 나아가 GMM이 잔차항(殘差項)의 자기상관(自己相關) 뿐만 아니라 조건부(條件附) 이분산(異分散)(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을 잘 설명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t값 및 P-value에 의하면 GMM을 사용한 단순 CAPM 추정이 우리 나라의 현실경제와 잘 부합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 PDF

Exploring the influence of commuter's variable departure time in autonomous driving car operation (자율주행차 운영 환경하에서 통근자 출발시간 선택의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Chansung;Jin, Young-Goun;Park, Ji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5
    • /
    • pp.7-1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ommuter's departure time on transportation system in future traffic system operated autonomous vehicle using agent based model. Various scenarios have been set up, such as when all passenger choose a similar departure time, or if the passenger chooses a different departure time. Also,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effect of road capacity. It was found that although many of the scenarios had been completed in a stable manner, many commuters were significantly coordinated at the desired departure tim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reduction in road capacity or in certain scenarios, it has been shown that, despite excessive schedule adjustments, many passengers are unable to commute before 9 o'clock.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traffic management and pricing policies are different from current ones in the era of autonomous car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