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격차 모형

Search Result 81,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Pricing of Derivative Securiti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파생 금융 상품의 가격 결정을 위한 인공 신경망 기법의 이용)

  • 조희연;양진설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3 no.1
    • /
    • pp.1-12
    • /
    • 1997
  • 파생금융상품이란 주식이나 채권과 같은 기준자산에 대해서 발행되는 2차 금융상품으로써 기존의 재무이론에서는 수리적 모형에 기반을 둔 가격결정모형을 이용하여 가치를 평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가격결정모형은 복잡한 현실세계를 단순화시키기 위한 제반 가정을 요구하기 때문에 이러한 가정이 현실에 부적합한 경우에는 모형가격이 실제가격으로부터 커다란 괴리를 갖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가격결정방법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자료 의존적인 인공신경망기법을 제시하고 대표적인 파생금융상품인 국내 전환사채의 가격결정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인공신경망기법을 전환사채의 가격결정에 적용한 결과 전통적 가격결정방법에 비해 평균절대오차를 70%정도 줄일 수 있다.

  • PDF

Market Segmented Analysis of Electric Vehicle Purchasing Behavior in Seoul (서울시 전기차 구매행태에 대한 시장분할 분석)

  • HAHN, Jin-Seok;LEE, Ja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6 no.2
    • /
    • pp.129-140
    • /
    • 2018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lectric vehicle (EV) purchasing behavior with market segmentation in Seoul using the binary logit model. For the model estimation, the experimental design of SP survey generated 24 scenarios with purchase price, charging station availability, and driving range of EVs. The results of market segment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owners of subcompact and compact size cars were primarily affected by the purchasing price while those of mid and full size cars were more sensitive to the charging station availability. By housing type, the charging station availabil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residents of apartment while the purchase pric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choose the EVs. These results presented that the EV supply strategy of the automobile manufacturer should be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marketing target and the expansion of the public charging infrastructure should be the top priority in the government policy.

A Study on TBT Estim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based on Price Wedge Approach (가격차 모형에 기초한 한국과 중국간 기술무역장벽(TBT) 추정에 관한 연구)

  • Ha, Tae Jeong;Moon, Sunung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6 no.4
    • /
    • pp.307-33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ion of Technical Barriers of Trade(TBT) between Korea and China. TBT is one of the key issues in which both governments are interested since the Korea-China FTA negotiations had launched in 2012. In this paper, we aggregate nine country HS codes from World Bank and AIO codes from JETRO. Our estimation model based on modified price wedge approach differentiate previous researches in the sense that it covers all manufacture industries and uses nine country data set. Estimation results confirm the importance of TBT showing that TBT high ranking items significantly overlap high ranking export items. We also find that the size of Chinese TBT are much larger than that of Korean TBT, implying that Korean government needs smart and well prepared strategy for key items in TBT/FTA negotiation with Chinese government.

  • PDF

Projection of Long-term System Marginal Price using P-Pool Model (P-Pool 모형을 활용한 장기 전력시장가격(SMP) 전망)

  • Jeong, Lae-Hyuk;Kim, Eun-Hwan;Choi, Bum-Sun;Kim, Hong-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557_558
    • /
    • 2009
  • 본 논문은 제 4차 전력수급계획의 발전설비 건설 계획을 기준으로 2022년까지 SMP를 P-Pool 전산모형을 이용하여 전망하였다. 미래 SMP 전망에 가장 영향을 크게 미치는 변수인 전력수요, 연료가격, 공급설비용량을 각각 3개의 시나리오로 가정하고 시나리오별 SMP를 예측및 각 변수별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 PDF

Risk Aversion in Forward Foreign Currency Markets (선도환시장(先渡換市場)에서의 위험회피도(危險回避度)에 관한 연구(硏究))

  • Jang, Ik-Hwa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8 no.1
    • /
    • pp.179-197
    • /
    • 1991
  • 선도환의 가격을 결정하는 접근방법에는 2차자산(derivative assets)이라는 선도계약의 기본특성에 기초한 재정거래(arbitrage)에 의한 방법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재정거래방식에는 선도환과 현물외환가격간의 상호관련성에 의하여 선도환가격을 이자율평가설(covered interest rate parity : CIRP), 즉 현물가격과 양국간의 이자율차이의 합으로 표시하고 있다. 특히 현물가격과 이자율은 모두 현재시점에서 의사결정자에게 알려져 있기때문에 선도환가격은 확실성하에서 결정되어 미래에 대한 예측이나 투자자의 위험회피도와는 관계없이 결정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자율평가설에 관한 많은 실증연구는 거래 비용을 고려한 경우 현실적으로 적절하다고 보고 있다(Frenkel and Levich ; 1975, 1977). 다른 방법으로는 선도환의 미래예측기능에만 촛점을 맞추어 가격결정을 하는 투기, 예측접근방법(speculative efficiency approach : 이하에서는 SEA라 함)이 있다. 이 방법 중에서 가장 단순한 형태로 표시된 가설, 즉 '선도환가격은 미래기대현물가격과 같다'는 가설은 대부분의 실증분석에서 기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SEA에서는 선도환가격이 미래에 대한 기대치뿐만 아니라 위험프리미엄까지 함께 포함하고 있다는 새로운 가설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실증분석을 진행한다. 이 가설은 이론적 모형에서 출발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특히 기대치와 위험프레미엄 모두가 측정 불가능하다는 점으로 인하여 실증분석상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피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에서는 이자율평가설을 이용하여 선도환가격에 포함된 위험프레미엄에 대해 추론 내지 그 행태를 설명하려고 한다. 이자율평가설을 이용하여 분석모형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하는 것은 몇가지 근본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먼저,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이자율평가설을 가정한다는 것은 SEA에서 주된 관심이 되는 미래예측이나 위험프레미엄과는 관계없이 선도가격이 결정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자율평가설을 가정하여 설정된 분석모형은 선도환시장의 효율성이나 균형가격결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가정한 시장효율성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다시 검증하려는 것과 같다. 이러한 개념적 차원에서의 문제점 이외에도 실증분석에서의 추정상의 문제점 또한 존재한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현물자산의 균형가격결정모형에 이자율평가설을 추가로 결합하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으로 설정한 분석모형은 그 기초가 되는 현물가격모형과는 달리 자의적 조작이 가능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를 이용한 모수의 추정은 불필요한 편기(bias)를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증분석상의 편기에 관한 문제점이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Mark(1985)의 실증연구를 재분석하고 실증자료를 통하여 위험회피도의 추정치에 편기가 발생하는 근본원인이 이자율평가설을 부적절하게 사용하는데 있다는 것을 확인 하고자 한다. 실증분석결과는 본문의 <표 1>에 제시되어 있으며 그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실증분석모형 : 본 연구에서는 다기간 자산가격결정모형중에서 대표적인 Lucas (1978)모형을 직접 사용한다. $$1={\beta}\;E_t[\frac{U'(C_{t+1})\;P_t\;s_{t+1}}{U'(C_t)\;P_{t+1}\;s_t}]$$ (2) $U'(c_t)$$P_t$는 t시점에서의 소비에 대한 한계효용과 소비재의 가격을, $s_t$$f_t$는 외환의 현물과 선도가격을, $E_t$${\beta}$는 조건부 기대치와 시간할인계수를 나타낸다. Mark는 위의 식 (2)를 이자율평가설과 결합한 다음의 모형 (4)를 사용한다. $$0=E_t[\frac{U'(C_{t+1})\;P_t\;(s_{t+1}-f_t)}{U'(C_t)\;P_{t+1}\;s_t}]$$ (4) (B) 실증분석의 결과 위험회피계수 ${\gamma}$의 추정치 : Mark의 경우에는 ${\gamma}$의 추정치의 값이 0에서 50.38까지 매우 큰 폭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특히 비내구성제품의 소비량과 선도프레미엄을 사용한 경우 ${\gamma}$의 추정치의 값은 17.51로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추정치가 1.3으로 주식시장자료를 사용한 다른 연구결과와 비슷한 수준이다. ${\gamma}$추정치의 정확도 : Mark에서는 추정치의 표준오차가 최소 15.65에서 최대 42.43으로 매우 높은 반면 본 연구에서는 0.3에서 0.5수준으로 상대적으로 매우 정확한 추정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모형의 정확도 : 모형 (4)에 대한 적합도 검증은 시용된 도구변수(instrumental variables)의 종류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난다. 시차변수(lagged variables)를 사용하지 않고 현재소비와 선도프레미엄만을 사용할 경우 모형 (4)는 2.8% 또는 2.3% 유의수준에서 기각되는 반면 모형 (2)는 5% 유의수준에서 기각되지 않는다. 위와같은 실증분석의 결과는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이자율평가설을 사용하여 균형자산가격 결정모형을 변형시킴으로써 불필요한 편기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 PDF

Projection of Long-term System Marginal Price using P-Pool Model (P-Pool 모형을 활용한 장기 전력시장가격(SMP) 전망)

  • Kim, Eun-Hwan;Yang, Sung-Bae;Park, Marn-Geun;Cho, Chun-Tae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1b
    • /
    • pp.234-236
    • /
    • 2007
  • 전력산업 구조개편에 따라 도입된 새로운 전력시장환경하에서 전력시장가격(SMP)은 시장참여자에게 있어 기존사업 운영 및 신규투자에서의 의사결정을 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력시장 시뮬레이션 모형인 P-Pool 모형을 활용하여 제3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기준한 장기 전력시장가격(2007-2020)을 전망하고 이를 시장정보로 제공함으로써 향후 잠재적 시장참여자의 의사결정을 돕고자 한다.

  • PDF

The Impact of the Supply Regulation on the Price in Farming Olive Flounder (출하량 조절이 양식 넙치가격에 미치는 영향)

  • Kang, Seokkyu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4 no.4
    • /
    • pp.709-725
    • /
    • 2015
  •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ce and the supply in the farming Olive Flounder's production area market. The data used in this study correspond to daily price and supply quantity covering time period from January 1, 2007 to June 30. 2013. The analysis methods of cointegration and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are employed.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ice and the supply follow random walks and they are integrated of order 1. Second, the price and the supply are cointegrated. Third,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ce change ration and the supply quantity change ratio has negative and feedback effect exists in the long-run, but the disequilibrium between the price and the supply is corrected by the supply quantity. Finally,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suggests that the supply quantity leads the price in the short-run. This indicates that the decrease(increase) of the supply quantity results in the increase(decrease) of the price.

Long-Term Oil Prices Forecasting System (중장기 유가예측 시스템)

  • 김은경;이원형;배진희;김상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283-285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계량경제학적인 유가예측 모형과 전문가시스템을 결합한 중장기 유가예측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즉, 계량 데이터를 기초로 유가예측 모형을 구성하고, 산유국 동향과 OPEC 정책 등과 같은 비계량적인 요인에 대한 실무자의 경험적인 지식은 지식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유가예측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폭넓게 고려할 수 있는 통합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유가예측 모형으로는 수급과 대표 유종의 유가예측을 위한 동태적 선형연립 모형과 유종간 가격차를 예측하기 위한 Fully Modified 공적분 회귀분석 모형을 구성하였으며, 유가예측 모형에서 반영하기 어려운 산유국 동향, OPEC 정책, 선물시장 동향 등은 실무자의 경험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시스템 예측변수로 설정하여 유가예측에 반영되도록 지식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본 시스템은 유가예측 이외에 석유 수급을 전망하고, 유가 및 수급과 관련된 관련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 PDF

An Analysis for Influencing Factors in Purchasing Electric Vehicle using a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Focused on Suwon City) (이항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전기차 구매 영향요인 분석 (수원시를 중심으로))

  • Kim, Sukhee;Jeong, Gahy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8 no.6
    • /
    • pp.887-894
    • /
    • 2018
  • An electric vehicle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the response of global climate change and sustainability. However, an Electric vehicle has not been popular due to the constraints such as its price or technical limitation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purchasing electric vehicles, this study conducted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that demonstrates the relation between purchasing and influencing variables. Variables which have high correlation were excluded from the model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to prevent multicollinearity.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owned vehicles, sex, ages are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Variables related to prices, charging and policy a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to effect on the purchase of electric vehicles. In accordance with the model estimated result, it seems to be necessary to improve the charging incentives, or to provide electric car information and to expand opportunities for experience electric vehicles. The result is also expected to be helpful for spreading electric vehicles and formulating policies.

Effect of the Bonus-Malus Policy upon Car Market Structure (자동차 시장구조에 따른 저탄소차협력금제도의 효과 변화)

  • Yi, Woo Pyeon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4 no.4
    • /
    • pp.23-44
    • /
    • 2015
  • The policy aimed at introducing a Bonus-Malus system to reduce GHG and raise the market share of small cars is scheduled to go into effect in South Korea in 2020. Although the policy was originally planned to be enforced from 2015,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rgued that the system brings low reduction effect and relative disadvantage to domestic small cars and brought arguments in 2014. As a result, the enforcement was pushed back. Related studies are mainly focused on offering statistical estimation of the policy's effect to support the arguments, and few theoretical studies were published given that there was not enough time until 2015 back then. The author approached the issue with mathematical modeling in order to give theoretical basis for sophisticated empirical studies. If car suppliers have market power and strategically set their prices, the impact of Bouns-Malus on car prices would be lower than what was originally intended. In case only a part of the car market loses its market power, the effect of the policy would be improved. Assume that the Bonus-Malus is currently at an optimal level and the car market structure is undergoing changes, then the direction of the new optimal level would depend on the elasticity of demand of each market and substitute elasticity. For example, if the car market becomes more monopolistic while the demand for big cars is elastic, demand for small cars is inelastic and substitution elasticity is low, then the new optimal level of Bonus-Malus should be high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