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作目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2초

과수재배 농업인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Fruit Farm Workers)

  • 박소연;김진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66-276
    • /
    • 2014
  • 본 연구는 사과, 배 작목 농업인을 위해 개발한 근골격계질환 예방운동프로그램이 농업인의 신체적 능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 자각증상(NIOSH 기준1)이 있는 농업인 25명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7일부터 7월 1일까지 12주간 예방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과수재배 농업인들을 위해 실시한 근골격계질환 예방운동프로그램은 농업인들의 신체적인 능력(상지지구력, 하지지구력, 평형성, 민첩성)을 향상시키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삶의 질은 요통장애지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와도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농작업의 특성을 고려한 운동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기를 기대한다.

호박의 함량 및 추출시간에 따른 추출물의 품질특성변화

  • 이명희;윤성란;오세금;이정일;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25.1-125
    • /
    • 2003
  • 호박은 다른 과채류에 비해 기후조건에 대한 적용범위가 넓고, 한국의 기후 풍토하에서 잠재생산 가능성이 대단히 높은 작목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으며, 다른 박과 채소보다 병이 심하지 않고 약재를 살포할 필요가 거의 없으므로 무공해 식품으로도 그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근 국민 식생활 패턴이 고급화 됨에 따라 건강을 중요시하는 소비자가 급증하면서 약품이 아닌 식품으로 인체의 조절기능에 초점이 맞춘 다양한 기능성 식품이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 중 녹황색 채소류의 항산화, 항암효과가 알려지고 있어 늙은 호박을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가공제품은 향후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동하기에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호박을 이용하여 가공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추출조건에 따른 품질변화를 모니터링하고자 하였다. 호박의 전처리의 경우 박피유무에 큰 차이가 없으므로 공정단계를 최소화하기 위해 박피를 하지 않고 사용하였으며, 파쇄의 형태는 깍둑썰기(4$\times$4$\times$4㎤)를 하여 추출조건에 사용하였다. 추출온도의 경우 호박자체의 색을 유지하는데 효율적인 95$^{\circ}C$에서 행하였다. 시료에 대한 용매비 및 추출시간에 따른 품질의 변화가 많으므로 시료에 대한 용매비(10, 20, 30, 40 50g/100$m\ell$) 및 추출시간(1, 2, 3, 4, 5 hr)에 따른 중심합성실험계획으로 추출하였다.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물에 대하여 수율, 당도, 갈색도 및 탁도를 측정하여 시료에 대한 용매비 및 추출시간에 따른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영향도를 분석한 결과 수율은 추출시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당 및 갈색도는 시료에 대한 용매비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탁도의 경우 두 조건 모두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율에 대한 최적 추출조건은 호박량 10.03% 및 추출시간 2.89hr일 때 가장 높은 수율로 예측이 되었으며, 갈색도의 경우 호박량 15.21% 및 추출시간 1.65hr에서 최소로 나타났다.

  • PDF

오이, 참외, 감자 작목에서의 정식, 수확작업시 총분진과 엔도톡신 노출 특성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Exposure to Total Dust and Endotoxin during Planting and Harvest Tasks at Cucumber, Yellow Melon and Potato Farms)

  • 김효철;이경숙;채혜선;민경두;김경란;박윤석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12-420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personal and area exposure to airborne total dust and endotoxin during harvest and planting tasks at cucumber, yellow melon and potato farms Materials and Methods: Total dust was measured with NIOSH method 0500. Endotoxin were measured using a 37 mm glass fiber filter which was connected to an air pump calibrated to 2 LPM, and then analyzed with a Turbidmetric kinetic method. Results: The average(arithmetic mean) concentrations of total dust in the personal samples were $0.10-3.81mg/m^3$ for cucumbers, $0.21-1.19mg/m^3$ for yellow melon, and $0.08-2.72mg/m^3$ for potat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arvest task among the three farm types(p=0.019 of personal sample, p=0.048 of area sample), in which the air concentration for potatoes was higher than with cucumbers and yellow melons.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potatoes(planting and harvest) should be considered the first priority for studying and reducing total dust exposure.

한국 버섯산업의 발전사 (History of Mushroom Industry in Korea)

  • 유창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
    • /
    • 2003
  • 한국의 버섯재배는 1960년대 초에 정부에서 농산물 수출과 농민의 소득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양송이와 표고의 증산계획을 세워 시작하였다. 농촌진흥청 산림청 등 국가 연구기관에서는 유전적 소질이 우수한 품종의 육성, 양질의 종균보급, 고품질 버섯을 대량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농민에게 재배기술을 교육하고 현지 지도를 하였으며, 재배시설비 등을 정책적으로 지원하였다. 재배방법이 개발되어 농가에서 대량으로 생산하기 시작한 버섯종류는 표고, 양송이, 느타리버섯, 팽이, 영지, 큰느타리버섯 등이다. 현재 버섯을 재배하는 농가는 약 2만호, 생 버섯의 총 생산량은 약 17만톤으로 느타리버섯이 가장 많고 다음이 팽이, 표고, 양송이 순으로 많다. 버섯의 총 농업생산액은 7,000억원을 넘으며, 연중생산이 가능한 농가의 중요한 소득작목으로 발전하였다.

  • PDF

야콘의 국내 재배 동향 (Domestic Cultivation Research Trend in Yacon)

  • 김수정;남정환;진용익;홍수영;장동칠;정진철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2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6-16
    • /
    • 2012
  • 야콘의 국내 새로운 소득 작목으로 도입하고자 재배 면적, 농가 수 등의 재배 동향을 조사 분석하였다. 야콘은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땅속에서 붉은 구슬 모양 관아로 번식한다. 땅속의 덩이뿌리인 괴근은 고구마와 비슷하고 잎줄기는 해바라기와 흡사하다. 다년생 초본으로 분류되지만 우리나라처럼 초겨울에 동상해가 자주 발생하는 곳에서는 식물체가 고사하기 쉬우므로 일년생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야콘은 배처럼 아삭아삭 씹히며 단맛이 있고 수분이 많아 시원함을 주는데 열을 가하여 조리하면 연근 같은 맛이 난다. 우리나라의 야콘은 농촌진흥청에 의해 1985년에 처음으로 도입되어 1986년과 1987년에 시험연구를 거쳐 강원 충북 경북 등의 농가에 최초로 보급되었다. 야콘이 도입된 초창기에는 재배 방법이 확립되지 않아 널리 재배되지 못하였다. 최근 10년간 야콘의 재배 면적과 재배 농가 수는 급격하게 늘어났다. 1999년에는 상주 영주 강릉 강화 등의 일부 지역의 10여 농가에서 8ha정도 재배하였으나, 2009년에는 447농가, 166ha로 각각 약 45배, 20배씩 증가하였다. 지역별 재배 면적은 경북 59ha(35%), 강원 30ha(18%), 경기 20ha(12%)로 경북, 강원, 경기의 순이었다. 재배 농가 수는 서울에서 가까운 경기도 지역이 117개 농가(26%)로 가장 많았고, 강원 69개 농가(15%), 경북 54개 농가(12%)로 경기, 강원, 경북의 순이었다. 야콘 재배농가의 경력은 평균 7년이었으며, 특히 2000년 이후 재배를 시작한 농가가 전체의 68%로 야콘 재배가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단위면적당 수량은 5,506kg/10a으로서 감자나 고구마보다 2~3배 많았다. 소득은 2,041천 원/10a으로 감자와 고구마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한국녹차 산업의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the Korean Green Tea Industry)

  • 오미정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2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1-11
    • /
    • 2012
  • 차나무(Camellia sinensis (L.) O.Kuntze)는 열대, 아열대, 온대지역에서 자라는 교목 또는 관목의 영년생 상록수이다. 차는 초기 약효에 의하여 이용하기 시작하였으나 현대에 이르러 그 독특한 풍미로 인하여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음용하는 중요한 기호음료이다. 강우량이 많고 따듯한 곳에서 생육이 왕성한 차나무는 현재 한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의 온난지역,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및 러시아 등지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2,000년의 역사를 가지는 한국의 차산업은 주로 경남과 전남, 전북, 제주 등지에서 재배 생산되고 있다. 1970년대 이후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점차적으로 수요가 늘어나면서 생산량은 1970년 55톤에서 1993년 617톤, 2010년 3,586톤으로 약 65배 이상 증가하였다. 차산업은 찻잎을 원료로 한 생활용품 등 다양한 가공품의 생산과 문화산업, 관광산업까지 포함하는 고부가가치 작목으로 매년 재배 면적이 크게 증가하였다. 최근에는 재배면적의 급속한 증가와 수입확대, 소비환경의 변화로 산지 재고가 증가하는 등 녹차 재배 농가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어 향후 수급 불균형이 우려되고 있다. 세계의 차 무역량은 연간 약 160만 톤, 재배면적은 약 256만 ha, 생산량은 약 320만 톤에 달한다. 아직까지는 수입 녹차에 대한 높은 관세율(514%)의 보호 아래 있지만, 중국이나 일본 등에 비해 가격, 품질, 상품개발 면에서 뒤떨어져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외국에서 수입되고 있는 다양한 차들이 소비자의 기호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향후 차시장의 전면적인 개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수출전략과 함께 국내 산업을 안정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전력을 모색해야한다. 주요 차생산국의 다원은 15도 이내의 경사지에 생성되어 있으나 30도 내외의 경사지도 다원 조성에 무리가 없다. 우리나라는 약 200만ha의 경사지를 포함하고 있어 차재배지 확대에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PDF

오디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활성 및 항균활성 (Protective Effect against Neuronal Cell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acteria of Mulberry Fruit Extracts)

  • 김현복;김선여;이항영;김선림;강석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220-223
    • /
    • 2005
  • 최근 뽕잎과 더불어 기능성 및 천연색소 자원으로서 뽕나무의 열매인 오디가 새로운 작목으로 유망시 되고 있다. 농가의 소득향상은 물론 소비자의 관심과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오디를 수확하여 신경세포 보호활성과 항균활성에 대한 오디 추출물의 효능을 평가함으로써 오디의 기능성 및 이용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경독성 물질 $H_2O_2$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세포사에 대하여 오디 추출물 $10{\mu}g/ml$의 농도 처리시 $37\%$의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냈으며, Oxygen-glucose deprivation (OGD)에 의하여 유발된 뇌허혈 모델에서는 오디 C3G의 경우 농도 의존형으로 세포괴사를 막았다. 특히 cyanidin의 경우는 $10{\mu}g/ml$의 농도에서 $70\%$이상의 뇌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2. 오디 추출물과 C3G의 항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청일뽕 오디의 MeOH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가장 높았으나, Salmonella typhimurium 의 경우 모든 처리군에서 $70\%$ 이상의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모든 처리군에서 $50{\mu}l$농도보다 $100{\mu}l$농도에서 균주의 억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농작업 유해요인 노출평가를 위한 작목 및 작업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ategorization of Farm Types and Crops for Exposure Assessment in Agriculture)

  • 신소정;김효철;허진영;안민지;김경란;김경수;이민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00-507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farm types and analyze the cultivated area and labor input time for each crop over a year in order to decide farm type conducting for the hazard exposure assessment. Methods: Crops ranked within the top 45 by cultivated area in Korea were selected and 15 target crops that exposure assessment had been conducted for through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pilot research projects were selected. Labor input time was based on data investigated through RDA research surveillance. If there was no data, data from Statistics Korea was used. Data from Statistics Korea was used for total cultivated area. Results: Crops were divided into 5 types: open field crops(Chinese cabbage, Corn, Ginger, Potato), fruits (Mandarin, Pear), green house crops(Cucumber, Lily, Oriental melon, Pumpkin, Tomato), livestock(Poultry), specialty crops(Ginseng, Oyster mushroom, Tobacco). The cultivated area for potato was the largest, and lily was the smallest among the crops. Labor input time over a year was the highest with oyster mushroom and the lowest with pear. Total labor input time by crops was the highest with mandarin and the lowest with Chinese cabbage. Conclusions: To evaluate hazard factors of farm work, it's essential that crops and tasks be classified based on the size of farmers and working hours by farm type. Therefore, the priority of management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cultivated area and total labor time, but the characteristics of tasks in each crop should also be considered.

韓國과 日本 北海道에서의 農地利用에 관한 調査硏究 (An Investigative Stucy on the Farmland Uses in Korea and Hokkaido of Japan)

  • 김기성;;최예환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81-90
    • /
    • 1991
  •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various statistical data on the actual state of farmland uses given in Korea and Hokkaido of Japa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1. The rate of farmland uses was marked 118% and 99% in Korea and Hokkaido of Japan in 1988, respectively. That of Korea was higher than that of Hokkaido of Japan. The tendency of the value for Korea has been decreased since the value was shown peak in 1980, but that of the value for Hokkaido was found gradually the increased value. It was analyzed that the reason why the value was decreased in Korea was referred to avoid the crops culture, and the reason why the value was increased in Hokkaido was dueto increase the area of pasture. 2. The farmland use system according to region were d ue to be the mixing pattern of rice culture and dry-field crops in East region of korea and the type of mainly rice culture in West region. The pattern of farmland use system was used to be performed mainly the rice culture in Central region, the mixing type of rice culture and dry-field crops in South region, and the agriculture of mainly dry-field crops and dairy in East-North region in Hokkaido. 3. In the light of the rate of planting, the rate of rice culture and dry-field crops were 49% and 51% in Korea, respectively. As the values were 13% and 87% in Hokkaido of Japan, respectively, the dry-field crops attained the superiority. The main crop kinds was shown the rice culture in Korea and the feed plant in Hokkaido of Japan, respectively. 4. In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there are much differences in agricultural style and industrialization processes in both country Korea and Japan. Especially much more differences were evident from farmland use system of Hokkaido Island where had unique agricultural style in Japan.

  • PDF

특화작목과 기후변화 간 영향 분석을 통한 지역농업 활성화 전략 연구 -과수를 중심으로- (Specialization Strategy for Regional Agricultur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on Specialized Crops and Impact of Climate Change -Focused on Orchard Crops-)

  • 황재희;김현중;이성우
    • 농촌계획
    • /
    • 제18권3호
    • /
    • pp.149-164
    • /
    • 2012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nstruct a rural development strategy from the nexus between spatial changes in specialized crops and suitable cultivation area of the crops. This paper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identify product life cycle of specialized crops in rural areas and estimat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lterations in spatial distribution of the crops. In order to do so, first of all, this study applies multi-level model (Random coefficient model) to estimate the regional coefficient of five orchard crops. It utilizes the data 1995 to 2010 Korea Agricultural Census. Futhermore, it also adopts overlay analysis by ArcGIS to identify the development path of the crops and the relationship with climate change. Based on the results, it suggests a mechanism activating regional agriculture. The findings propose re-searching and relocating specialized regions of the crops. Especially, it proves each rural area can drive the new agricultural strategy to strengthen regional agriculture by estim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of specialized crops and suitable cultivation areas. For instance, shifting specialized crops in particular regions and enriching genetic or species varieties can be primary measures and it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reliable base for income sources in the rural communities. This paper also offers specific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rural development plans in response to crops' life cycle and climate cha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