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Linolenic$ acid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9초

대마 유전자원의 지방산 조성과 감마리놀렌산 함량변이 (Variation on Fatty Acid Profile Including ${\gamma}-Linolenic$ acid among Hemp (Cannabis sativa L.) Accessions)

  • 문윤호;송연상;정병춘;방진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90-193
    • /
    • 2005
  • 종실의 유분함량이 많아 유료작물로 전용이 가능한 대표적인 섬유작물인 대마 종실의 지방산조성의 분석을 통하여 감마리놀렌산 함유여부 및 함량과와 품종간 차이를 조사하였다. 45 수집종의 대마 종실에는 감마리놀렌산의 경우 평균 2.1%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중 IH4 등 7 품종이 $3.1%{\sim}3.8%$로 높으면서 경장이 $31{\sim}122\;cm$로 작아 종실용 품종 육성재료로 유망시 되었다. 도입된 대마의 지방산 조성 변이에서 감마리놀렌산 비율 범위 및 변이계수는 각각 $0.8%{\sim}3.8%$, 42.9%로 품종간 변이가 가장 컸으나 리놀레산은 각각 $51.4%{\sim}61.8%$, 4.2%로 가장 적었다 개화일수와 경장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이었고, 개화일수와 알파리놀렌산 비율 및 경장과 감마리놀렌산 비율간에는 부의 상관이었으며 환각성분인 THC와 다른 형질들 간에는 유의적인 상관이 없었다. 팔미트산과 감마리놀렌산 비율간에는 부의상관, 올렌산과 알파리놀렌산 그리고 리놀레산과 알파리놀렌산은 고도의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감마리놀렌산 함량이 높은 도입종들은 대체로 수집지가 중앙러시아 등 유럽이었고 개화일수가 $29{\sim}44$일로 짧았다.

${\gamma}$-Linolenic acid 함유 곰팡이 지질에 관한 연구 1. Mucor sp.의 지방산 조성 (Studies on Fungal Lipids Containing ${\gamma}$-Linolenic Acid 1. Fatty Acid Composition of Mucor sp.)

  • 송권섭;김충기;권용주;양희천;이태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36-640
    • /
    • 1990
  • For a studyon the production of ${\gamma}$-linolenic acid(GLA) by fungi 3 fung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soil. Their cell growth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compared in shake flask culture. Among these fungi the fungus designated as FA-007 has high lipid content(21.1%) and GLA content(15.6% of total fatty acids) The fungal strain FA-007 was tentatively identified as Mucor sp.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ungal oil produced by this fungus was composed of 75.2% neutral lipid 5.3% glycolipid and 19.5% phospholipid. Although the GLA content in phospholipid was higher than it in neutral lipid the GLA content in neurtal lipid was high as 15.5%.

  • PDF

국내 약용자원식물의 지방산 조성과 ${\gamma}-linolenic$ acid 탐색 (Screening of ${\gamma}-linolenic$ Acid Resourc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Native Medicinal Plants Resources)

  • 김정봉;김용환;이철희;황영수;박노동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7-110
    • /
    • 1995
  • 우리나라에서 생산되고 있는 60여종의 약용식물의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여 식물체의 부위 와 종류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특성을 관찰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얻었다. 1. 달맞이꽃종자, 컴프리잎, 지치뿌리에서 각각 총지방산함량의 9.1, 3,5, 7,2%의 GLA가 검출되었으며 달맞이 꽃종자가 컴프리잎이나 지치뿌리보다 GLA의 절대량이 많았다. 2. 들깨종자, 참깨종자, 호박종자등의 지방산이 양(量)과 불포화도면에서 좋은 자원임이 확인되었다. 3. 식물체의 잎, 줄기, 뿌리에서의 지방산조성은 종자의 경우에 비하여 18 : 3의 분포 비율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18 : 0의 비율은 비교적 같게 나타났다.

  • PDF

Mucor sp. KCTC 8405P의 배지조성이 감마 리놀렌산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edium Composition on the Production of $\gamma$-Linolenic Acid by Mucor sp. KCTC 8405P)

  • Kang, Hun-Seung;Shin, Hyun-Kyu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68-573
    • /
    • 1989
  • 탄소원과 질소원, 배지의 초기 pH 및 C/N비가 Mucor sp. KCTC 8405P의 감마 리놀렌산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탄소원으로는 포도당이, 질소원으로는 황산 암모늄같은 무기 질소원과 요소, 펩톤같은 유기질소원이 균체 유지함량 및 감마 리놀렌산 수율 측면에서 양호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사용하는 질소원은 일정농도 이하로 제한할 필요가 있으며 포도당과 황산 암모늄을 사용할 경우 최적 C/N비는 약 56.6으로 조사되었다. 균체 유지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배지의 초기 pH는 8 또는 9가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도당과 sodium acetate를 혼합하여 탄소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 포도당과 2% sodium acetate 를 탄소원으로, 0.1% 황산암모늄을 질소원으로 포함하는 배지를 사용하여 플라스크 교반배양을 실시한 결과 배지 100$m\ell$ 당 약 315mg의 균체유지량을 얻었고, 이중 감마 리놀렌산 함량은 약 13-14%로 조사되었다.

  • PDF

폐경 후 여성에서 이소플라본과 감마 리놀렌산의 보충 섭취가 혈중 지질 농도 및 갱년기 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soflavone and Gamma-linolenic Acid Supplementation on Serum Lipids and Menopausal Symptoms in Postmenopausal Women)

  • 곽정현;김지영;김혜진;신동혁;이종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2호
    • /
    • pp.123-131
    • /
    • 2010
  •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화 LDL 농도는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보충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 (p = 0.006), 플라시보군에서 유의적인 변화 없었음. 두 군간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음 (p = 0.011). 2) 혈청에서의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아포지단백 A1, B 등의 농도는 두 군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음. 3) LDL particle size와 Paraoxonase 활성도는 두 군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음. 지질과산화지표인 혈장 MDA 농도는 두 군간 변화량 비교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음 (p = 0.010). 4) 갱년기 증상 지표인 Modified kupperman index (KI)는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보충군과 플라시보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 (p < 0.001). KI 수치의 군간 비교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음.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복합제재를 12주간 섭취하였을 때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보충군에서 산화 LDL 농도가 유의적인 감소하였고, 두 군간의 비교시 MDA 농도 변화량의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소플라본 및 감마리놀렌산 복합제재 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체내 LDL-콜레스테롤의 산화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에서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이소플라본 및 감마리놀렌산 복합 제재 섭취와 관련 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임으로 복합제재의 용량 설정을 세분화 하고 복용기간을 연장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Dietary Lysine and Gamma-linolenic Acid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Pigs

  • Lee, Sung Dae;Jung, Hyun Jung;Park, Jun Cheol;Song, Young Min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5호
    • /
    • pp.129-137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etary lysine and gamma-linolenic acid(GLA)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pigs. Pigs were provided with feed containing two different levels of lysine(0.45% and 0.75%) with three different levels of gamma-linolenic acid(0.0, 0.3, and 0.6%). Average daily gain(ADG) was significantly lower (p<0.01) in pigs provided with the lower level of lysine. In contrast, feed/gain(p<0.01), diet cost/gain(p<0.05), and intramuscular fat(p<0.01) were all significantly higher in pigs fed the lower level of lysine. Similarly, meat color scores(CIE L*, a*, and b*) and cooking loss were significantly higher(p<0.01) in pigs fed the lower level of lysine, whereas shear force(kg/2.5 inch2)was not affected by dietary lysine. The addition of GLA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any of the parameters measured. The results indicate that providing pigs with 0.45% lysine in their diet may help to increase intramuscular fat content, allowing the industry to produce pork products that meet consumer needs in Korea.

감마선 조사선양이 인삼의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Gamma Ray Radiation Doses on Fatty Acid Contents in Ginseng)

  • 손현주;오현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38-44
    • /
    • 1984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gamma-irradiation on fatty acids in ginseng, ginseng were irradiated with various radiation doses(0-50 Mra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ith increasing dose, standard fatty acids were decreased in the order of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and oleic acid, and their contents in the presence of oxygen were decreased more t than that in the absence of oxygen. 2. Changes of lipid content in white ginseng by gamma irradiation were varied with the samples, but the changes of crude lipid and purified lipid in a sample were showed same fashion. 3. The fatty acid contents in white ginseng were decreased by gamma irradiation in the order of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 and palmitic acid.

  • PDF

달맞이꽃 종자유와 미강유로부터 효소적 합성한 재구성 지질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tructured Lipids from Evening Primrose Seeds Oil and Rice Bran Oil)

  • 김효진;이경수;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156-1164
    • /
    • 2010
  • 미강유(RBO)와 달맞이꽃 종자유(EPO)를 기질로 한 다양한 몰비율(1:3, 1:4, 1:5)을 가지고 효소촉매를 이용한 재구성 지질을 합성하였다. 달맞이꽃 종자유의 주요 지방산은 필수 지방산인 linoleic acid(C18:2)와 $\gamma$-linolenic acid(C18:3n-6)가 각각 74.9%와 8.1%를 차지하였다. 비율별로 합성된 재구성 지질의 주요 지방산을 살펴보면 oleic acid, linoleic acid, $\gamma$-linolenic acid가 전체 지방산 조성의 88% 이상을 차지하였다. 합성한 재구성 지질은 $\gamma$-linolenic acid를 각각 7.2%(1:3)와 7.9%(1:4), 8.3%(1:5)로 함유하였다. 반응에 사용된 기질 및 합성된 재구성 지질의 TAG 조성을 reversed-phase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미강유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달맞이꽃 종자유의 주요한 peak인 LLL(trilinolein) peak는 감소하였고, 새로운 peak의 형성은 점차 증가하였다. 재구성 지질 및 반응에 사용된 미강유와 달맞이꽃 종자유의 $\alpha$-, $\gamma$-, $\delta$-tocopherol 함량을 분석한 결과, 미강유는 $\alpha$-tocopherol과 $\gamma$-tocopherol이 각각 7.60, 2.11(mg/100 g)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delta$-tocopherol은 검출되지 않았다. 달맞이꽃 종자유는 $\alpha$-tocopherol 및 $\gamma$-tocopherol은 각각 13.36과 10.82(mg/100 g)를 나타내었다. Phytosterol 함량은 달맞이꽃 종자유가 744.49 mg/100 g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미강유는 606.64 mg/100 g이었다. 한편, scale-up한 재구성 지질의 phytosterol 함량을 분석해 본 결과, 반응하기 전 campesterol, stigmasterol 및 $\beta$-sitosterol 함량이 3시간 반응 후 감소하였다. 이로써 필수지방산인 $\gamma$-linolenic acid를 함유한 재구성지질을 효소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미역의 부위별 중성 및 극성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s of Nutural Lipids and Polar Lipids in the Parts of Miyeok (Undaria pinnatifida))

  • 최선남;최강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553-557
    • /
    • 2000
  • 미역 (Undaria pinnatifida)의 엽상부, 줄기 및 포자엽 부위별 지방산을 분석하여 n-3 폴리엔산, n-6 폴리엔산. ${\gamma}$-linolenic acid (18:3, n-6) 및 $\alpha$-linolenic acid (18:3, n-3)의 영양학적 의의를 규명코자 하였다. 총지방질 함량은 엽상부 3.37%, 포자엽 4.59% 및 줄기 2.50%였으나, 지방산 조성을 볼 때 엽상부는 총 폴리엔산 44.18% 중 $\alpha$-linolenic acid (18:3, n-3), stearidonic acid(18:4, n-3), eicosapentaenoic acid (20:5, n-3) 및 docosahexaenoic acid (22:6, n-3)와 같은 n-3계열의 폴리엔산은 29.69%였으나 ${\gamma}$-linol enic acid (18:3, n-6) 0.90%로 매우 낮았다. 총 폴리엔산과n-3계열의 폴리엔산 조성비율을 볼 때 엽상부는 44.18% 및 29.69%였으나. 포자엽은 23.63% 및 5.58%였고 줄기는 26.66% 및 7.37%였다. 한편 중성 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의 n-3 폴리엔산의 함량을 볼 때 엽상부는 22.40%, 35.82% 및 3.53%로 현저하게 높았으나 줄기는 5.26%, 9.51% 및 2.37%였고 포자엽은 4.49%, 8.01% 및 2.14%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미역 엽상부의 총 폴리에산과 n-3 폴리엔산은 기능성 식품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시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