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_1$

검색결과 14,729건 처리시간 0.042초

지리터리풀의 플라보놀배당체 (Flavonol Glycoside from the Aerial Part of Filipendula Formosa)

  • 황완균;함인혜;성환길;이무택
    • 약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10
    • /
    • 1999
  • As one of the serial studies on the specific and indigenous plants of Mt. Chiri the constituents of aerial part from filipendula formosa (Rosaceae) were investigated. From of the MeOH extract, five flavonol glycosides, kaempferol-3-O-$\beta$-D-galactopyranoside, querecetin-3-O-$\beta$-D-galactopyranoside, quercetin-3-O-$\alpha$-Lrhamopyranosyl (1 6)-$\beta$-D-galactopyranoside, kaempferol-3-O-$\alpha$-L-rhamnopyranosyl (1 6)-$\beta$-D-galactopyranoside and quercetin-7-O-$\beta$-D-glucopyranosy-3-O-$\beta$-D-galactopyranoside were isolated by column chromatographic separation using Amberlite XAD-2 and Sephadex LH-20, and identified physicochemical evidences (IR, FAB-Mass, $^1H,{\;}^{13}C-NMR$).

  • PDF

Four New Compounds From Isodon eriocalyx

  • Wang, Jia;Lin, Zhong-Wen;Shingu, Tetsuro;Sun, Han-Do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4권3호
    • /
    • pp.143-147
    • /
    • 1998
  • Examination of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dried leaves of Isodon eriocalyx (Dunn.) Hara led to the isolation of four new diterpenoids, named maoecrystal Q-T (1-4).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16(R)-methoxymethyl-6{\beta},\;7{\beta}-dihydroxy-7{\alpha},20-epoxy-ent-kaur-2,3-ethenylene-1$, 15-dione(1), $1{\beta},18-diacetoxy-6{\beta},7{\beta}-dihydroxy-7{\alpha},20-epoxy-ent-kaur-16-en-15-one\;(2),\;6{\beta},\;7{\beta}-dihydroxy-15{\beta}-acetoxy-7{\alpha},20-epoxy-ent-kaur-16-en-1-one$ (3) and $7{\beta}-hydroxy-6{\beta},15{\beta}-diacetoxy-1{\alpha},11{\beta}-acetonide-7{\alpha},20-epoxy-ent-kaur-16-ene$ (4),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methods. Meanwhile, five known diterpeonids eriocalyxin B (5), maoecrystal B-D (6-8) and trichokaurin (9) were also obtained.

  • PDF

초고온 고세균 Thermococcus pacificus P-4로부터 내열성 β-glucosidase의 새로운 기질 특이성 (Novel substrate specificity of a thermostable β-glucosidase from the hyperthermophilic archaeon, Thermococcus pacificus P-4)

  • 김윤재;이재은;이현숙;권개경;강성균;이정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68-74
    • /
    • 2015
  • Thermococcus pacificus P-4의 유전체 서열 분석을 통하여 예측되는 GH1 ${\beta}$-glucosidase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동정하였다. 그 유전자는 487 아미노산들을 암호화하는 1,464 bp 나타내었으며, 그 아미노산 서열은 Pyrococcus furiosus ${\beta}$-glucosidase와 77%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그 유전자는 Escherichia coli 시스템 내에서 복제 및 발현하였다. 재조합 된 단백질은 금속 친화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정제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정제된 단백질(Tpa-Glu)은 pH 7.5와 $75^{\circ}C$에서 최적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열안정성은 $90^{\circ}C$에서 약 6시간의 반감기를 보였다. Tpa-Glu는 pNP-${\beta}$-glucopyranoside, pNP-${\beta}$-galactopyranoside, pNP-${\beta}$-mannopyranoside, 그리고 pNP-${\beta}$-xylopyranoside 순으로 우수한 $k_{cat}/K_m$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Tpa-Glu는 ${\beta}$-1,3-linked polysaccharide (laminarin) 그리고 ${\beta}$-1,3-와 ${\beta}$-1,4-linked oligosaccharides에 대하여 exo-hydrolyzing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초고온 고세균으로터 ${\beta}$-glucosidase가 exohydrolyzing 활성을 처음 확인한 것으로 이 효소는 laminarin의 당화공정에 ${\beta}$-1,3-endoglucanase와 함께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펩티도글라이칸에 의한 인터루킨-1 베타 발현 기전 연구 (Molecular Mechanisms through Which Peptidoglycan Induces IL-1β Expression in Monocytic Cells)

  • 서현철;김선미;이새아;임병용;김관회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637-164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IL-$1{\beta}$ 발현에 PG의 영향을 조사하였고, 단핵세포에서 PG에 의한 IL-$1{\beta}$ 상향조절에 포함된 세포인자를 밝혔다. PG에 사람의 THP-1 세포를 노출시키면 IL-$1{\beta}$ 분비 증가뿐만 아니라 IL-$1{\beta}$ 유전자 전사를 유도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TLR-2/4의 억제제인 OxPAPC에 의해 저해되었다. U0126, SP6001250, Akti IV, rapamycin, DPI 같은 약리학적 저해제도 PG에 의한 IL-$1{\beta}$의 상향조절을 상당히 약화시켰다. 그러나 polymyxin B는 IL-$1{\beta}$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PG는 TLR-2, Akt, mTOR, MAPKs, ROS를 통하여 IL-$1{\beta}$의 발현을 상향시킴을 확인하였다.

Cooperation of $G{\beta}$ and $G_{\alpha}q$ Protein in Contractile Response of Cat Lower Esophageal Sphincter (LES)

  • Sohn, Uy-Dong;Lee, Tai-Sa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7권6호
    • /
    • pp.349-355
    • /
    • 2003
  • We previously shown that LES contraction depends on $M_3$ receptors linked to PTX insensitive $G_q$ protein and activation of PLC. This results in production of $IP_3$, which mediates calcium release, and contraction through a CaM dependent pathway. In the esophagus ACh activates $M_2$ receptors linked to PTX sensitive $G_{i3}$ protein, resulting in activation of PLD, presumably, production of DAG. We investigated the role of PLC isozymes which can be activated by $G_q$ or $G{\beta}$ protein on ACh-induced contraction in LES and esophagus. Immunoblot analysis showed the presence of 3 types of PLC isozymes, $PLC-{\beta}1$, $PLC-{\beta}3$, and $PLC-{\gamma}1$, but not $PLC-{\beta}2$, $PLC-{\beta}4$, $PLC-{\gamma}2$, $PLC-{\delta}1$, and $PLC-{\delta}2$ from both LES and esophageal muscle. ACh produced contrac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 in LES and esophageal muscle cells obtained by enzymatic digestion with collagenase. $PLC-{\beta}1$ or $PLC-{\beta}3$ antibody incubation reduced contraction in response to ACh in LES but not in esophageal permeabilized cells, but $PLC-{\gamma}1$ antibody incubation did not have an inhibitory effect. The inhibition by $PLC-{\beta}1$ or $PLC-{\beta}3$ antibody on Ach-induced contraction was antibody concentration dependent. The combination with $PLC-{\beta}_1$ and $PLC-{\beta}_3$ antibody completely abolished the contraction, suggesting that $PLC-{\beta}1$ and $PLC-{\beta}3$ have a synergism to inhibit the contraction in LES. $PLC-{\beta}1$, -${\beta}3$ or -${\gamma}1$ antibody did not reduce the contraction of LES cells in response to DAG ($10^{-6}$ M), suggesting that this isozyme of PLC may not activate PKC. When $G_{q/11}$ antibody was incub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incubation of PLC ${\beta}3$, but not of PLC ${\beta}_1$ was additive (Fig. 6). In contrast, when $G_{\beta}$ antibody was incub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incubation of PLC ${\beta}_1$, but not of PLC ${\beta}_3$ was additive. This data suggest that $G_{q/11}$/11 or $G{\beta}$ may activate cooperatively different PLC isozyme, $PLC{\beta}_1$ or $PLC{\beta}_3$ respectively.

($17{\beta}$-Estradiol 및 1,25-Dihydroxyvitamin $D_3$가 치주인대 세포의 Interleukin-6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17{\beta}$-Estradiol and 1,25-Dihydroxyvitamin $D_3$ on Interleukin-6 Production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 곽월아;최봉규;이현정;유윤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3호
    • /
    • pp.645-654
    • /
    • 1999
  • Interleukin-6(IL-6) stimulate osteoclast differentiation. $17{\beta}$-estradiol, 1,25-dihydroxyvitamin $D_3$(1,25-$(OH)_2D_3$) and interleukin-$1{\beta}$ inhibit or stimulate osteoclast differentiation by decreasing or increasing the synthesis of interleukin-6(IL-6) from stromal/osteoblastic cells, respectively. Periodontal ligament(PDL) cells reside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cementum and have osteoblastic characteristics. To estimate the effect of $17{\beta}$-estradiol and 1,25$(OH)_2D_3$ on IL-6 production of PDL cells, PDL cells were treated with $17{\beta}$-estradiol or 1,25-$(OH)_2D_3$ in the absence or the presence of IL-$1{\beta}$. The concentration of IL-6 produced form PDL cells was determined by enzym 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In unstimulated PDL cells, we detected constitutive production of IL-6 at 1st and 2nd day. IL-$1{\beta}$ increased IL-6 synthesis at 1st day and 2nd day. $17{\beta}$-estradiol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ecretion of this cytokine, either constitutively or after stimulation with IL- $1{\beta}$(0.05 ng/ml). 1,25-$(OH)_2D_3$($10^{-8}M$) decreased not only constitutive IL-6 production but also IL-$1{\beta}$-induced IL-6 production at 2nd d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1,25-$(OH)_2D_3$ may control IL-$1{\beta}$-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by decreasing IL-$1{\beta}$-induced IL-6 secretion of PDL cells.

  • PDF

암 환자의 혈장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농도 (Plasma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Levels of Cancer Patients)

  • 전지현;이시은;이수진;박찬후;장정순;하우송;박순태;박병규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81-190
    • /
    • 1999
  • 한국인의 대표적인 성인 고형 종양인 위암, 간암, 유방암과 소아 백혈병 및 2종의 소아 고형 종양 환자로부터 혈장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 농도를 sandwich ELISA 분석법을 이용해 측정함으로써 TGF-$\beta$1을 이 질환들에 대한 새로운 종양표지자 (tumor marker)로 사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토한 연령 및 성별에 따른 혈장 TGF-$\beta$1 농도의 정상치를 조사하였다. 신생아에서 70대까지 혈장 TGF-$\beta$1 농도의 차이는 없었고 남녀간의 차이도 없었다. 위암 환자의 혈장 TGF-$\beta$1 농도는 16.0$\pm$6.8 ng/ml (평균$\pm$표준편차)로 정상 대조군의 TGF-$\beta$1 농도 (8.3$\pm$5.0 ng/ml)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간암, 유방암 환자의 혈장 TGF-$\beta$1 농도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위암 환자 16명 ,간암 환자 8명, 유방암 환자 7명 중 각각 7명 (43.7%), 1명 (12.5%), 1명 (14.3%)에서만 혈장 TGF-$\beta$1 농도가 증가되었다. 5명의 소아 백혈병 환자에서는 관해 (remission)여부와 상관없이 혈장TGF-$\beta$1농도가 모두 정상 범위에 있었으나 2명의 소아 고형암 환자에서는 종양 절제 전에는 혈장 TGF-$\beta$1농도가 높았다가 절제 후 정상으로 떨어졌다. 결론적으로 1)정상인의 혈장 TGF-$\beta$1 농도는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2)성인 고형암인 위암, 간암, 유방암에서는 낮은 민감도로 인해 TGF-$\beta$1을 진단을 위한 선별 검사로 이용하기에는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3)정상 대조군보다 혈장 TGF-$\beta$1 농도가 높았던 위 암 환자와 종양 절제 전후로 혈장 TGF-$\beta$1 농도가 민감하게 변했던 소아 고형암 환자에 대 해서는 향후 표본 수를 늘려 부가적인 연구를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Linkage Structure Analysis of Barley and Oat $\beta$-Glucans by High Performance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 Ryu, Je-Hoon;Yoo, Dong-Hyung;Lee, Byung-Hoo;Lee, Su-Yong;Joo, Mi-Hyun;Yoo, Sang-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271-274
    • /
    • 2009
  • Cereal $\beta$-glucans, linked essentially by mixed $\beta$-(1,4/1,3) glycosidic bonds, were extracted, purified, and structurally identified. Previously chemical structure of barley $\beta$-glucans was characterized from 3 varieties of 'Gang', 'Ohl', and 'Gwangan', and the (1,4)/(1,3) linkage ratio of the $\beta$-glucans was identical. In this study, $\beta$-glucans from 1 barley ('Chal') and 3 oat ('Ohl', 'Samhan', and 'Donghan') varieties were structurally scrutinized, and the linkage pattern of total 7 cereal $\beta$-glucans was compared. The amount of 2 major 3-O-$\beta$-cellobiosyl-D-glucose (DP3) and 3-O-$\beta$-cellotriosyl-D-glucose (DP4) from barley and oat accounted for only 66.6-73.3 and 68.12-81.89% of water-extractable $\beta$-glucan fractions, and the (1,4)/(1,3) linkage ratios of both barley and oat $\beta$-glucans were within very narrow range of 2.27-2.31 and 2.38-2.39, respectively, among the cultivars tested. Structural difference in the cereal $\beta$-glucans was evident when DP3:DP4 ratio in the $\beta$-glucan structure was compared. As a result, this ratio was significantly greater for barley $\beta$-glucan (2.26-2.74) than for oat (1.54-1.66). Chal-B had the greatest DP3 to DP4 ratio among the samples, which in turn reflected the least amount of (1,4)-linkages.

PDGF-BB에 의한 치주인대세포활성에 대한 TGF-{\beta}의 효과 (The Effect of TGF-{\beta}_1 on Cellular Activity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activated by PDGF-BB)

  • 백상철;박진우;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2권3호
    • /
    • pp.457-473
    • /
    • 2002
  • 이 연구는 배양된 치주인대세포에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_1$과 PDGF(Plateletderived growth factor)-BB를 농도별로 혼합 주입해서 세포의 증식능, 단백질 및 교원질 합성능을 측정해 봄으로서 TGF-${\beta}_1$ 이 치주인대세포의 중식과 활성에 대한 PDGF-BB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은지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해 내원한 환자로 부터 건강한 제일소구치를 발거하여 치주인대세포률 분리, 배양하여 TGF-${\beta}_1$과 PDGF-BB를 동시에 주입한 군과 TGF-${\beta}_1$를 4, 24시간 전처리 배양한 군과 나누어 실험하였다. TGF-${\beta}_1$, PDGF-BB를 주입하지 않은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DNA 합성능, 총단백질과 교원질 합성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주인대세포에 TGF-${\beta}_1$과 PDGF-BB을 동시 주입하였을 때 DNA 합성능의 효과는 대조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며 1ng/ml PDGF-BB 투여군에 비해 10ng/ml PDGF-BB 투여군에서 증가 양상이 높았고 PDGF-BB 단독 투여군보다 TGF-${\beta}_1$병용 투여군에서 DNA 합성능이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5ng/ml TGF-${\beta}_1$과 10ng/ml PDGF-BB 투여군에서 가장 높은 증가 양상을 보였다. TGF-${\beta}_1$ 4시간과 24시간 전처리 배양군 양군 공히 lng/ml PDGF-BB 투여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며 lng/ml PDGF-BB 투여군에 비해 10ng/ml PDGF-BB 투여군에서 증가 양상이 더 높았고 PDGF-BB 단독 투여군보다 TGF-${\beta}_1$ 전 처리군에서 DNA 합성능이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 였으며 5ng/ml TGF-${\beta}_1$ 전 처리 후 10ng/ml PDGF-BB 투여군에서 가장 높은 증가 양상을 보였다. 치주인대세포에 TGF-${\beta}_1$과 PDGF-BB을 동시 주입하였을 때 총단백질합성량은 대조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며 lng/ml PDGF-BB 투여군에 비해 10ng/ml PDGF-BB 투여군에서 증가 양상이 더 높게 나타났다. PDGF-BB 단독 투여군보다 TGF-${\beta}_1$ 병용 투여군에서 총단백칠 합성양이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었다. TGF-${\beta}_1$ 4과 24시간 전처리 배양군의 총단백질 합성양은 대조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며 1ng/ml PDGF-BB 투여군에 비해 10ng/ml PDGF-BB 투여군에서 증가 양상이 더 높았고 TGF-${\beta}_1$ 전처리 배양군이 PDGF-BB 단독 투여군보다 총단백질 합성양이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었다. TGF-111과 PDGF-BB를 동시 투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교원질 합성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원성단백질의 합성능은 1, 10ng/ml PDGF-BB 단독투여군을 제외하고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단백질에 대한 교원질 합성의 상대적 비율 PDGF-BB 단독 투여군보다 TGF-${\beta}_1$ 병용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정향을 나타내었다. TGF-${\beta}_1$ 4과 24시간 전처리 배양군의 교원질과 비교원성 단백질 합성능은 대조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교원질과 비교원성 단백질 합성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PDGF-BB 단독 투여군보다 TGF-${\beta}_1$ 병용 투여군에서 총단백질 합성양이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그 정도는 TGF-${\beta}_1$의 농도 의존적인 양상을 보였다. 총단백질에 대한 교원질 합성의 상대적비율은 TGF-${\beta}_1$ 4,24시간전처리 배양군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치주인대세포에서 TGF-${\beta}_1$은 PDGF-BB의 기능을 조절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두 성장인자 주입시 동시주입시보다 TGF-${\beta}_1$을 전처리 해 줌으로써 PDGF-BB의 반응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지 베타 글루칸의 저분자화 기술 연구 (Study on the Process to Decrease the molecular Weight of $\beta$-[1,6]-branched $\beta$-[1,3]-D-Glucans)

  • 신현재;이동철
    • KSBB Journal
    • /
    • 제18권5호
    • /
    • pp.352-355
    • /
    • 2003
  • 분자량이 1 MDa 이상인 $\beta$-(1,6)-branched $\beta$-(1,3)-glucan의 효과적인 저분자화 방법을 물리적인 방법, 화학적인 방법, 효소적인 방법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물리적인 방법인 초음파처리의 경우엔, 저분자화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저분자화의 효율로 인하여 산업적으로 일정 수준이하의 BBG을 수득하기에 난점이 있으며, 또한 3차 구조의 변성 문제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화학적인 산 처리법의 경우, 분자량 100,000 Da 이하의 BBG을 산업적으로 수득하기에는 유리할 수 있으나, 약리적 효능에 결정적인 $\beta$-(1,6)-branch의 파괴가 단점이라 할 수 있다. 효소적인 방법이야말로 triple helix 3차 구조의 변성 문제나 $\beta$-(1,6)-branch의 감소 문제를 피하며, 효과적으로 분자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으나, 아직 분지도가 높은 $\beta$-(1,6)-branched $\beta$-(1,3)-glucan까지 효과적으로 가수분해 할 수 있는 효소를 screening 하지는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