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sc{k}-\varepsilon numerical model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7초

터널화재에서 환기속도와 backlayer의 길이변화 (The Change of Backlayer Length with the Ventilation Air Velocity in the Tunnel Fire)

  • 김성준;이민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0-54
    • /
    • 2003
  • 본 연구는 도로 터널 화재 발생 시 연소가스의 backlayer현상을 수치실험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상업용 열 유체해석코드인 PHOENICS를 사용하여 정상상태의 열 유동현상을 수치해석하였으며 환기용 공기속도를 독립변수로 하고 종속변수는 backlayer의 길이로 하였다. 수치해석에 사용한 난류모델은 $textsc{k}-\varepsilon$ 모델을 사용하였고 Hybrid 차분법을 사용하고 질량 잔류값을 수렴조건으로 사용하였다. 수치실험 결과 backlayer의 길이가 환기 속도에 반비례하여 감소하고 backlayer가 발생하지 않는 임계 환기속도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연소가스의 수직방향 성층화로 터널하부에 승객이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평면벽면분류의 유입경계조건을 가지는 개수로 유동에 관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Open Channel Flow with Plane Wall Jet Inlet Boundary Condition)

  • 설광원;이상룡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87-298
    • /
    • 1989
  • 본 수치적 해석에서는 H$_{w}$/H$_{g}$의 비가 5.0~16.7의 범위에서 수행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k-.epsilon. 난류모델을 사용하여, 고려하고자 하는 변수, 즉 유입유속, 입구 게이트의 높이, 수위, 배플의 유.무등에 따라서 액체의 유동형태가 어떻게 변하는가를 살펴 보고자 한다.다.

단순화된 2차원 자동차형 물체주위 유동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Flows Over Two-Dimensional Simplified Vehicle-Like Body)

  • 강신형;이영림;유정열;이택시;김응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77-286
    • /
    • 1989
  • 본 논문에서는 유정열 등에서 수행된 단순화된 자동차형 2차원 물체 주위의 유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와 병행하여 이루어진 수치해석적 연구의 일부와 계속된 일련의 연구를 다루었다. 수치해석은 k-.epsilon. 난류모델과 body-fitted 좌표계를 채택하여 수행하였으며, 우선 수치계산의 합리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어서 지면효과와 물체 후미의 경사각의 영향에 대하여 수치해석적으로 연구하였다.

식생된 개수로에서 난류 구조와 부유사 이동 현상의 수치해석 (Numerical Investigation of Turbulence Structure and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in Vegetated Open-Channel Flows)

  • 강형식;최성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581-592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식생된 개수로에서의 난류 구조와 부유사 이동을 수치모의하였다. 난류폐합식으로는 $\textsc{k}-\;\varepsilon$ 난류모형을 사용하였다. 수치모의를 통해 평균유속, 난류강도, 레이놀즈 응력, 난류에너지 생성 및 소멸의 분포를 계산하였으며, 기존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식생에 의한 항력으로 인하여 평균유속이 전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이에 따라 난류강도와 레이놀즈 응력의 분포 역시 약화되었다. 침수식생의 경우, 식생높이보다 높은 구간에서는 전단에 의한 난류에너지 생성이 지배적이며, 식생높이 보다 낮은 구간에서는 후류에 의한 난류에너지 생성이 지배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수식생의 경우, 전채 수심에 걸쳐 후류에 의한 난류에너지 생성이 지배적으로 발생하였다. 대체적으로 수치모의에 의한 결과가 실험값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수치모형으로부터 계산된 난류동점성계수 분포를 이용하여 부유사 보존방정식을 수치해석하였다. 식생된 개수로에서의 부유사 농도는 일반 개수로에 비해 전 수심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하였다. 또한 식생밀도가 증가할수록 부유사량은 감소하며, 동일한 식생밀도에 대해서는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부유사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 PDF

침선어초 주위의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 around a Sunken Vessel)

  • 양찬규;김현주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9-16
    • /
    • 2000
  • This paper deals with the numerical and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 around a sunken vessel. Numerical simulation of the two dimensional steady flow on the midship section are carried out by the CFD code which is developed by using finite volume method and which includes the standard $textsc{k}$-$\varepsilon$ model with standard wall function. A experimental study is also carried out for the 1/100 scale model in circulating water channel. A velocity fields around the ship are measuremed by using particle image velocimetry technique. And the fluid forces acting on the ship hull by uniform current are measured by two axis load cell. The computed and measured velocity fields on the midship section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the view point of velocity dstribution and reattachement length, which shows good agreement in quality. The drag force on the vessel also showed the same tendency in both computational and experimental results. However, the quantitative disagreements are shown due to the three dimensional effect of the experiment. The result are used to determine the functional efficiency and stability of the vessel as a artificial reef.

  • PDF

단면의 폭이 증가하는 $180^\circ$ 곡덕트 내 난류유동의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Turbulent Flow in the $180^\circ$ Bends increasing Cross-sectional Aspect Ratio)

  • 김원갑;김철수;최영돈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6권9호
    • /
    • pp.804-810
    • /
    • 2004
  • This paper repor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dimensional turbulent flow by numerical method in the 180 degree bends with increasing cross-sectional area. Calculated pressure and velocity, Reynolds stress distributions are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data. Turbulence model employed are low Reynolds number $textsc{k}$-$\varepsilon$ model and algebraic stress model(ASM). The results show that the main vortex generated from the inlet part of the bend maintained to outlet of the bend and vortices are continually developed at the inner wall region. The distribution of turbulent kinetic energy along the bend are increase up to 120$^{\circ}$ because of increment of cross-sectional area. Secondary flow strength of the flow is lower about 60% than that of square duct flow.

연안 해수유동에 관한 3차원 난류모형의 비교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Three-dimensional Turbulence Models in Coastal Region)

  • 정태성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56-267
    • /
    • 1996
  • 연안 해수유동에 관한 3차원 수치모형의 적용에서 연직 과점성계수의 정확한 산정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 해수유동 계산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연직 과점성계수 산정방법들을 정상 개수로 흐름과 비정상류인 조류의 해석에 적용하여 수리실험자료와 비교평가하였다. 계산결과에 의하면, 정상류에 대해서는 비교된 모든 모형이 실험치와 대체로 일치하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비정상류인 조류에 대해서는 난류 수송 방정식을 해석하는 2-방정식과 1-방정식 난류모형들은 대체로 실험치와 일치하는 결과를 주었으나, 0-방정식 모형은 난류의 수송현상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하여 위상에서 실험치와 많은 차이를 보였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Flow and Dispersion Around Buildings using CFD Model

  • Ryu, Chan-Su
    • Environmental Sciences Bulletin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제4권2호
    • /
    • pp.117-125
    • /
    • 2000
  • A series of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to test the accuracy of a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odel for flow and dispersion problems around buildings. The basic equations involved are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s. Two different cases were selected to estimate the accuracy of a CFD model. Case 1 adopted Euler equations, which are obtained by neglecting the viscous fluxes, which can be closed by the $textsc{k}$-$\varepsilon$model for a turbulent close problem. The results of both cases were compared with wind tunnel data. The results for Case 2 were closer to the wind both cases were compared with wind tunnel data. The results for Case 2 were closer to the wind tunnel data than Case 1. Accordingly, this indicates that the inclusion of viscous fluxes in a CFD model is required for the simulation of flow and 야spersion around buildings.

  • PDF

충돌제트의 간격변화에 따른 발열블록 표면에서의 열전달 특성에 관한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Multiple Slot Jets at the Surface of Protruding Heated Blocks)

  • 박시우;정인기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7권2호
    • /
    • pp.229-237
    • /
    • 2003
  • The flow an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t the surface of two-dimensional protruding heated blocks using confined impingement multiple slot jets were computationally investigated Numerical predictions were made for round-edged nozzles at several nozzle-to-target plate spacings and jet-to-jet distances, with turbulent jet Reynolds numbers ranging from 2000 to 7800. The commercial finite-volume code FLUENT was used to solve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nd flow fields using a RNG $\textsc{k}-\varepsilon$ model. The compute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t the surface of heated blocks were in good qualitative agreement with previous experimental data The results of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n the surface of protruding heated blocks are important considerations in electronics Packaging design.

과냉수에서의 증기응축제트에 대한 해석적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Condensation of Submerged Vapor Jets in Subcooled Liquids)

  • 김기웅;이계복;김환열
    • 에너지공학
    • /
    • 제8권2호
    • /
    • pp.333-340
    • /
    • 1999
  • 과냉수에서의 난류 증기응축 제트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가 수행되었다. 증기와 과냉수 사이에 국부 균질유동을 가정하고 난류 특성은 난류 확산화염에서 사용되는 $textsc{k}$-$\varepsilon$-g 모델을 사용하여 증기응축 유동 현상에 대한 물리적 모델을 제안하였다. 즉, 난류는 난류 운동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 소멸률로 모사되고 증기와 과냉수의 혼합률비에 대한 평균값과 변동량에 대한 미분 방정식을 추가하여 직접 풀고 혼합률비에 확률분포 함수를 적용하여 열역학 변수의 평균값을 구한다. 증기 질량 유속, 과냉수 온도와 노즐 직경을 변화시키며 증기응축제트의 특성을 해석하였다. 본 해석에 사용된 모델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의 실험 데이터를 사용해서 수치해석 결과와 실험치를 비교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