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학(植物學)>

검색결과 8,065건 처리시간 0.025초

온라인 생물정보 플랫폼에 기반한 가산의 관속식물목록 (A checklist of Gasan Mt.: an online platform for virtual specimens)

  • 양선규;남보미;장주은;최미정;최고야;정경숙;최혁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53-474
    • /
    • 2020
  • 경상북도 칠곡군에 위치한 가산(902 m)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4년부터 2015년까지 10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 결과 가산의 관속식물 81과 212속 289종 8아종 20변종 5품종으로 총 322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조사된 분류군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14분류군, 희귀식물은 6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48분류군이었으며 귀화식물은 14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은 세잎승마와 노랑무늬붓꽃의 분포한계 지역이었으며 가산산성 일대에서 금붓꽃과 노랑무늬붓꽃의 잡종개체군을 확인하였다. 조사지역에서 수집된 관속식물 증거표본 325점은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표준표본관에 보관하였고 디지털 이미지로 만들어 https://oasis.kiom.re.kr/herblib/ 에 공유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식물상 연구분야에서 증거표본의 디지털 이미지를 공유한 최초의 연구로서 큰 의미를 갖는다.

한국의 $C_4$형 식물의 분포 조사 (Distribution of $C_4$Type Grasses in Korea)

  • 장남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7권2_3호
    • /
    • pp.103-112
    • /
    • 1993
  • 한국에서의 $C_3$$C_4$CAM 식물의 지리적 분포를 알아보았다. 한국 전체에서 258 군데의 지역에서 모든 초본식물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각 식물들의 중요값을 통해 우점종을 결정하였으며 이들 식물의 분류에는 크란츠 해부구조의 존재 관찰을 비롯한 여러가지 방법들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C_4$형 초본식물은 총 7개과 92종이었으며 $C_4$식물의 대부분은 화본과 식물이었다. 대한민국에서의 $C_3$$C_4$형 초본식물의 분포는 초본식물의 서식지와 관련되어 나타났다. 야외 및 해변의 건조지역에서는 $C_4$형 초본과 조건적 CAM 식물이 주로 서식하고 있는 반면, 습윤 지역에서는 주로 $C_3$형 초본식물이 많이 나타났다. 조사된 총 258개 지역 중에서 잔디가 우점종인 지역은 6개 지역이었다.

  • PDF

다시 진교(秦?)를 찾아서 (Reexamination of plant name, Jingyo)

  • 신현철;노무라 미찌요;김일권;기호철;홍승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28-335
    • /
    • 2017
  • <향약채취월령>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고전 본초서에 나오는 진교는 지금까지 큰잎용담, 진범, 그리고 쥐꼬리망초 등으로 알려져 왔다. 관점에 따라 서로 다른 실체를 인정해온 것이다. 그러나 중국 고전 본초서와 우리나라 고전 본초서를 검토한 결과 중국 고전 본초서에 나오는 진교는 국내에는 분포하지 않은 큰잎 용담 또는 소박골로 파악되었다. 현대 중국 식물학 관련 문헌에서는 진교를 큰잎용담으로 간주하고 있다. 우리나라 고전 문헌에 나오는 진교는 진범 또는 쥐꼬리망초로 간주되었으나, 우리나라에는 진교가 분포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식물명 진범은 진교의 이체자명을 잘못 읽은 것으로, 중국 고전과 우리나라 고전에 나오는 진교와는 무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많은 식물학 문헌에서 진범이라는 식물명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국명 역시 학명과 마찬가지로 국명 역시 "명칭 사용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진범이라는 국명을 사용할 것으로 제안한다.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국가표준식물목록 전산화 연구 (Database Model for Korea Plant Name Index)

  • 이유미;김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09-321
    • /
    • 2007
  • 산림청 국립수목원과 한국식물분류학회가 공동으로 국내 최초로 전산화된 식물목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그 결과로 재배종을 포함한 약 7,000 분류군을 대상으로 항상 최신의 자료를 갱신할 수 있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온라인상에 구현하였다. 국가표준식물목록은 37명의 국내 전문분류학자가 참여한 우리나라 식물목록과 관련된 최대 규모의 프로젝트이다. 본 연구는 국가표준식물목록 생성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수립하였다. 개발된 광릉 데이터베이스 모델은 식물목록과 관련된 문헌과 다양한 분류학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 되었다. 이 모델은 다양한 분류학적 수준의 학명과 잡종명, 재배명, 이명, 기본명, 국명 및 명명법과 관련된 기타 자료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국가표준식물목록 데이터베이스는 앞으로 개발될 생물정보시스템들의 개발에 있어 식물의 학명과 관련된 정확하고 일관성이 있는 표준 데이터베이스 기반을 제공하게 되었다.

한반도 선태식물 연구사 (A history of bryological studies on the Korean Peninsula)

  • 이지연;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09-115
    • /
    • 2012
  • 한반도 선태식물 연구 역사와 문헌을 정리하였다. 한반도 선태식물의 최초 채집은 20세기 초 프랑스 신부 Urban Faurie에 의해 수행되었는데, 이 표본들 중 선류는 Jules Cardot, 태류는 Franz Stephani에 의해 주로 연구되었다. 한반도 선태식물에 대한 일본인의 연구를 연대순으로 기술하였다. 또한 홍원식과 최두문의 남한 선태식물 목록과 식물상에 관한 연구업적을 정리하였으며, 최근 북한의 선태식물 연구 문헌을 소개하였다.

영산강집수역의 수생식물과 특정식물분포 (Distribution of specific plants and Hydrophytes in the wetland of Youngsan River)

  • 김하송;임병선;이점숙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03-311
    • /
    • 1999
  • 본 연구는 1997년 6월부터 1999년 7월까지 영산강집수역에서 수생식물과 특정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된 수생식물은 정수식 19과 52종, 부유식물 5과 7종, 침수식물 7과 12종, 부엽식물 7과 15종으로 총 32과 86종이 나타났으며, 습지식물은 36과 135종으로 조사되었다. 감소추세종인 통발, 자라풀, 끈끈이주걱, 이삭귀개, 땅귀개와 멸종위기종인 순채와 가시연꽃이 확인되었다.

  • PDF

건물 저층과 고층에서 환기와 공기정화 식물을 통한 라돈 농도의 비교 (Comparing the Effects of Ventilation and Air Purification Plants on Radon Concentration in the Lower and Upper Floors of a Building)

  • 공유진;남소영;신민서;장혜림;전민철;유세종;김성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881-889
    • /
    • 2020
  • 본 연구는 건물의 저층과 고층에서 환기와 공기정화 식물을 통한 라돈의 농도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건물의 저층과 고층에서 라돈 농도 측정을 위해 시간을 설정하고 라돈 측정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폐쇄 했을 때와 환기, 공기정화식물을 배치했을 때의 라돈 농도를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폐쇄, 환기, 공기정화식물 배치에 따라 라돈 농도 변화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건물의 저층과 고층에서 환기와 공기정화식물 배치를 통한 라돈 농도의 감소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환기와 공기정화식물을 배치 했을 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점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건물내 환기 뿐만 아니라 공기정화식물을 적절히 활용하면 라돈 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식물 생명공학과 생물정보학 (Plant Biotechnology and Bioinformatics)

  • 김정은;백효정;김영철;허철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3권3호
    • /
    • pp.209-222
    • /
    • 2006
  • 애기 장대와 벼의 전체 게놈 염기서열 분석이 완료되었고, 다량의 EST 데이터가 많은 식물에서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방대한 양의 다양한 생물학적 데이터들이 transcriptomics, proteomics, metabolomics와 같은 여러 '-omics' 기술에 의하여 만들어져 왔다. 생물정보학은 이런 방대한 양의 생물학적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얻는데 필수적이고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 총설에서, 우리는 대량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험적 방법들과, 식물 병 저항성과 분자 육종과 같은 식물 연구분야로의 응용, 그리고 식물 생명공학의 연구 개발에 유용한 생물정보학적 기술과. 인터넷 정보 사이트들을 소개하였다. 우리는 새로운 실험 방법들과 생물정보학적 분석 기술들이 식물 생명공학 발전에 중요하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생물정보학은 식물 생명공학의 연구 개발에 있어서 결정적인 요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