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 1608)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31초

Low Ag 조성의 Sn-0.3Ag-0.7Cu 및 Sn-3.0Ag-0.5Cu 무연솔더 접합부의 열충격 신뢰성 (Thermal Shock Reliability of Low Ag Composition Sn-0.3Ag-0.7Cu and Near Eutectic Sn-3.0Ag-0.5Cu Pb-free Solder Joints)

  • 홍원식;오철민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47권12호
    • /
    • pp.842-851
    • /
    • 2009
  • The long-term reliability of Sn-0.3wt%Ag-0.7wt%Cu solder joints was evaluated and compared with Sn-3.0wt%Ag-0.5wt%Cu under thermal shock conditions. Test vehicles were prepared to use Sn-0.3Ag-0.7Cu and Sn-3.0Ag-0.5Cu solder alloys. To compare the shear strength of the solder joints, 0603, 1005, 1608, 2012, 3216 and 4232 multi-layer ceramic chip capacitors were used. A reflow soldering process was utilized in the preparation of the test vehicles involving a FR-4 material-based printed circuit board (PCB). To compare the shear strength degradation following the thermal shock cycles, a thermal shock test was conducted up to 2,000 cycles at temperatures ranging from $-40^{\circ}C$ to $85^{\circ}C$, with a dwell time of 30 min at each temperature. The shear strength of the solder joints of the chip capacitors was measured at every 500 cycles in each case. The intermetallic compounds (IMCs) of the solder joint interfaces werealso analy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liability of Sn-0.3Ag-0.7Cu solder joints was very close to that of Sn-3.0Ag-0.5Cu. Consequently, it was confirmed that Sn-0.3Ag-0.7Cu solder alloy with a low silver content can be replaced with Sn-3.0Ag-0.5Cu.

연료용 혼합가스 조성에 따른 탄화수소 이슬점 예측 (A Study on the Hydrocarbon Dew Point Prediction by the Compositions of the Fuel Gas Mixtures)

  • 김영구;최슬기;안정진;이창언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4-48
    • /
    • 2015
  • 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혼합연료가스의 탄화수소 이슬점(DT)을 구하였다. QSDR(Quantitative Structure Dew-point Relationship)에서 주요한 설명인자는 혼합연료가스 중의 평균탄소수(CN : carbon number)와 혼합연료가스 중의 가지달린 이성질체 비율(BI : the ratio of the branched isomer)이었다. 혼합연료가스의 압력을 100 kPa ~ 500 kPa로 변화시키며 QSDR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DT(^{\circ}C)=-683.1+1224.98CN-898.01CN^2+308.58CN^3-49.56CN^4+3.02CN^5-12.42BI$$ (at 100 kPa, $$R_{adj}{^2}=0.99$$) (1) $$DT(^{\circ}C)=-745.2+1351.66CN-978.1CN^2+332.7CN^3-52.96CN^4+3.20CN^5-12.84BI$$ (at 200 kPa, $$R_{adj}{^2}=0.99$$) (2) $$DT(^{\circ}C)=-795.4+1457.1CN-1051.1CN^2+357.53CN^3-57.07CN^4+3.46CN^5-13.10BI$$ (at 300 kPa, $$R_{adj}{^2}=0.99$$) (3) $$DT(^{\circ}C)=-868.1+1608.4CN-1156.0CN^2+393.38CN^3-63.06CN^4+3.85CN^5-13.39BI$$ (at 500 kPa, $$R_{adj}{^2}=0.99$$) (4) 혼합연료 중의 평균탄소수의 값이 감소하거나 비점이 낮은 가지달린 이성질체의 비율이 증가할 때 탄화수소 이슬점이 낮아진다. 이 결과는 중회귀분석에 의하여 얻어진 탄화수소이슬점과 상용프로그램 VMGSim을 통하여 계산된 값과 유사하였다.

고려인삼의 유래 및 효능의 서지학적 고찰 (Bibliographic consideration on the efficacy and the origin of Korean ginseng)

  • 곽이성
    • 인삼문화
    • /
    • 제1권
    • /
    • pp.43-56
    • /
    • 2019
  • 고려인삼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특산물로서 가장 인기있는 건강식품중의 하나로 한반도(북위 33~48도)가 원산지이다. 인삼은 중국 전한 시대 '사유'에 의해 쓰여진 "급취장" (BC 48~BC 33)에 최초로 언급되어 있으며, 1145년 고려시대 김부식이 지은 "삼국사기"를 보면 고구려, 백제, 신라가 의약적 치료용으로 중국에 인삼을 수출하기 시작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인삼의 인공재배에 대한 기록은 1596년 중국 명나라 '이시진'의 "본초강목"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중기이후 야생삼이 감소하는 시기와 맞물려 숙종 13년(1687년) "승정원일기"에 '묘삼'의 기록이 나타난다. 묘삼은 벼의 이앙법을 활용한 독창적인 발명으로 1600년대 초반에 인삼의 인공재배법이 확립되었다는 것을 암시해준다. 한편 홍삼에 관해서는 1123년 중국 송나라 '서긍'이 지은 "고려도경"에 '숙삼'(인삼을 쪄서 건조한 삼)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등장하며 이것이 홍삼에 대한 최초 기록이다. 조선 중종 17년(1552년) "조선왕조실록"에 '판삼'(삼을 찌고 압착하여 얇은 판처럼 만든 후 풀로 붙인 삼)이라는 용어가 나오고 선조 35년(1602년)에는 '파삼'(삼을 찌고 압착하여 얇은 판처럼 만든 후 실로 꿰어 붙인 삼)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조선 중종(1506~1545) 시기부터 선조(1567~1608) 시기에 홍삼의 제조방법이 개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홍삼의 제조법은 그 전부터 이루어졌다고 추정되지만 조선 중종~선조 시기에 더욱 발전하였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홍삼'이란 용어는 정조 21년(1797) "조선왕조실록(정조실록)"에 처음 등장하며, 고종 36년(1899) "조선왕조실록(고종실록)"에는 대한제국 궁내부 내장원 삼정과에서 홍삼을 제조하였다는 기록이 나타난다. 아울러 순조 10년(1810년)에는 증포소를 개성으로 이전한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이시기에 대규모 홍삼제조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요약하면 조선 숙종시대에 확립된 인삼 인공재배기술과 정조시대의 홍삼제조법, 그리고 순조시대의 증포기술 등이 결합하여 대량생산 체계를 갖추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후 1916년 '김택영'이 지은 "소호당집"에는 홍삼의 제조방법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이 전통적 한국홍삼 제조법의 모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인삼의 효능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BC 83-96년 중국에서 저술된 "신농본초경"으로 이 효능은 그 이후 여러 의학서에서 지속적으로 계승되어 오고 있다. 앞으로 고려인삼에 대한 역사적 기록물은 지속적으로 발굴되고 보존되어야 하며 이러한 서지학적 노력은 과학적 연구결과와 더불어 세계속에 고려인삼의 독창성을 알리고 유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생각된다.

창녕 문암정(聞巖亭)의 조영 및 경관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Munam Pavilion in Changnyeong(聞巖亭))

  • 이원호;김동현;김재웅;안계복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7-41
    • /
    • 2014
  • 본 연구는 창녕 문암정(聞巖亭)의 역사문화적 가치 및 원형을 구명하기 위하여 문집, 기문 등의 문헌분석과, Arc-GIS를 바탕으로 조영실제 및 입지와 공간구성, 경관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암정의 조영자는 문암 신초(辛礎, 1549~1618)로 자연에 귀의하고자하는 조영자의 자연관을 알 수 있었으며, 문암정의 조영시기는 벼슬에서 물러나 문암정을 조성하고 소영하였다는 내용이 나타나는 1608~1618년도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둘째, 문암정은 주변 산지에 위요되어 있고, 급경사지에 형성된 성곽과 같은 고립지형 정상부에 문암정을 조성하였다. 문암정은 별서로서 그 지역의 명승으로 인식되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문암정 주변의 마을진입로의 교량과 계성천의 석축, 보, 주변 농경지의 시설 및 주택 등으로 인하여 과거의 조망경관이 훼손된 상태이다. 셋째, 문암정은 문암정이 위치한 중심공간과 문암정 동 서측에 위치한 진입공간, 영정각을 중심으로 하는 배향공간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 문암정의 원형은 문암정과 문암바위로 구성된 단순한 구조로, 현재의 진입동선과는 달리 조성 당시에는 직접적인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문암정의 공간구성요소는 배롱나무 수림, 점경물로서의 각자바위, 그리고 정자 건조물로 구분되어진다. 문암정 일원의 식생은 경내와 경외로 나뉘어, 경내는 매우 제한적인 식재가 이루어졌으며, 경외는 전면의 배롱나무 수림과 후면의 송림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대규모의 배롱나무 군락은 조영자와 결부된 희귀한 역사기록 종 자원으로의 자연유산에 해당한다. 각자바위는 문암정 건조물과 인접하여 공간의 영역성을 표현하고 있으며, 조영자와 관련된 경물로 작용하고 있고, 한 가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한 기록행위의 하나로 문암정 전면의 각자바위군(群)은 일정한 방향성과 규범을 가지고 시기별로 조성된 보기 드문 사례이다. 다섯째, '문암팔경'은 방위에 따라 방위와 관계없는 경관요소가 4개소, 방위에 따른 경관요소가 4개소로 나타났다. 방위와 관계없는 경관요소로는 창녕 사리 배롱나무 수림, 문암정 후면 송림, 옥천계곡, 관룡사 대흥사이다. 방위와 관계한 요소 중 절대방위에 해당하는 요소로는 대흥사, 화왕산, 계성천, 영취산으로 판단되며, 상대방위로는 관룡사, 영취산, 옥천계곡, 공지기고개로 판단된다. 이 중 현존하는 대상은 창녕 사리 배롱나무 수림과 문암정 후면 송림, 계성천 옥천계곡 등이 있으며, 이외의 경관요소는 명확한 장소와 대상의 추정이 불가능한 일반적 팔경요소로 구성되어 있어 현재 확인이 어려운 상태이다. 문암정은 문암 신초가 말년에 난세를 피하여 자연에 은거하기 위해 조성된 정자로, 정자와 관련된 문암집과 문암충의록 등 조영관련 기록이 남아 있으며, 독특한 형태를 나타내는 정자의 입지와 각자바위를 통한 기록문화, 대규모의 배롱나무 노거수 군락, 팔경의 경영을 통한 문화경관적 요소가 남아있는 곳으로 판단된다.

Relationship of Early Lactation and Bovine Somatotropin to Water Metabolism and Mammary Circulation of Crossbred Holstein Cattle

  • Maksiri, W.;Chanpongsang, S.;Chaiyabutr, 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1호
    • /
    • pp.1600-1608
    • /
    • 2005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exogenous bovine somatotropin on water metabolism in relation to mammary function in early lactation of crossbred Holstein cattle. Ten, 87.5% crossbred Holstein cattl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5 animals each. At day 60 of lactation, the control group was given placebo while animal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recombinant bovine somatotropin (rbST) by subcutaneous injection with 500 mg of rbST (14-days prolonged-release rbST). In rbSTtreated animals, milk yield increased 19.8%, which coincided with a significant increase in water intake (p<0.01), while DM daily intake was not different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animals. Water turnover rate as absolute value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while the biological half-life of water did not change in rbST-treated animals. Total body water (TBW) and total body water space (TOH) as absolute values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in rbST-treated animals, while it was decreased in the control animals. Absolute values of empty body water (EBW) markedly increased (p<0.05), which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the extracellular fluid (ECF) volume. Absolute values of plasma volume and blood volume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 rbST-treated animals. The increase in mammary blood flow in rbST-treated animals was proportionally higher than an increase in milk production. The plasma IGF-1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in rbST-treated animals when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animals during the treatment period. Milk fat concentration increased during rbST treatment, while the concentrations of both protein and lactose in milk were not affected.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rbST exerts its effect on an increase in both TBW and EBW. An increased ECF compartment in rbST-treated animals might partly result from the decrease in fat mass during early lactation. The action of rbST on mammary blood flow might not be mediated solely by the action of IGF-1 for increase in blood flow to mammary gland. An elevation of body fluid during rbST treatment in early lactation may be partly a result of an increase in mammary blood flow in distribution of milk precursors to the gland.

Effect of Different Dietary n-6 to n-3 Fatty Acid Ratios on the Performance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Muscles of Broiler Chickens

  • Mandal, G.P.;Ghosh, T.K.;Patra, A.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1호
    • /
    • pp.1608-1614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dietary ratios of n-6 to n-3 (n-6/n-3) fatty acid (FA) on performance and n-6/n-3 FA in muscles of broiler chickens. A total of 300 one-day-old Cobb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to 3 treatments of 10 replicates in each (10 birds/replicate). Birds were fed on a corn-soybean meal-based diet containing 1% oil during starter (day 1 to 21) and 2% oil during finisher (day 22 to 39) phases, respectively. Treatments of high, medium and low dietary n-6/n-3 FA were formulated by replacing rice bran oil with linseed oil to achieve n-6/n-3 FA close to >20:1, 10:1 and 5:1, respectively. Average daily gain, average daily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were similar (p>0.05) among the treatments. Serum glucose,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concentrations were not affected (p>0.05) by dietary treatments. In breast, concentration of C18:3n-3 was significantly greater (p = 0.001) for medium and low vs high n-6/n-3 FA, while concentrations of C20:5n-3, C22:6n-3, total n-3 FA, and n-6/n-3 FA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low vs medium, and medium vs high dietary n-6/n-3 FA. In contrast, concentrations of C18:2 and mono-unsaturated FA (MUFA) were lower for low vs high dietary n-6/n-3 FA. In thigh muscles, concentrations of C20:5n-3 were higher (p<0.05) for medium and low vs high dietary n-6/n-3 FA, and concentrations of C18:3n-3, C22:6, and n-3 FA were greater (p<0.05) for medium vs high, low vs medium dietary n-6/n-3 FA. However, concentrations of C18:1, MUFA, n-6/n-3 were lower (p<0.05) for low and medium vs high dietary n-6/n-3 FA. In conclusion, lowering the dietary n-6/n-3 FA did not affect the performance of chickens, but enhanced beneficial long-chain n-3 FA and decreased n-6/n-3 FA in chicken breast and thigh, which could be advantageous for obtaining healthy chicken products.

액상소결(液狀燒結)한 SiC계(系)의 전도성(電導性) 복합체(複合體)의 미세구조(微細構造)와 특성(特性)에 미치는 Boride의 영향(影響) (Effects of Boride on Microstructure and Properties of the Electroconductive Ceramic Composites of Liquid-Phase-Sintered Silicon Carbide System)

  • 신용덕;주진영;고태헌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6권9호
    • /
    • pp.1602-1608
    • /
    • 2007
  • The composites were fabricated, respectively, using 61[vol.%] SiC-39[vol.%] $TiB_2$ and using 61[vol.%] SiC-39[vol.%] $ZrB_2$ powders with the liquid forming additives of 12[wt%] $Al_2O_3+Y_2O_3$ by hot pressing annealing at $1650[^{\circ}C]$ for 4 hours. Reactions between SiC and transition metal $TiB_2$, $ZrB_2$ were not observed in this microstructure. The result of phase analysis of composites by XRD revealed SiC(6H, 3C), $TiB_2$, $ZrB_2$ and $YAG(Al_5Y_3O_{12})$ crystal phase on the Liquid-Phase-Sintered(LPS) $SiC-TiB_2$, and $SiC-ZrB_2$ composite. $\beta\rightarrow\alpha-SiC$ phase transformation was occurred on the $SiC-TiB_2$ and $SiC-ZrB_2$ composite. The relative density, the flexural strength and Young's modulus showed the highest value of 98.57[%], 249.42[MPa] and 91.64[GPa] in $SiC-ZrB_2$ composite at room temperature respectively. The electrical resistivity showed the lowest value of $7.96{\times}10^{-4}[\Omega{\cdot}cm]$ for $SiC-ZrB_2$ composite at $25[^{\circ}C]$.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the $SiC-TiB_2$ and $SiC-ZrB_2$ composite was all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resistance (PTCR) in the temperature ranges from $25[^{\circ}C]$ to $700[^{\circ}C]$. The resistance temperature coefficient of composite showed the lowest value of $1.319\times10^{-3}/[^{\circ}C]$ for $SiC-ZrB_2$ composite in the temperature ranges from $100[^{\circ}C]$ to $300[^{\circ}C]$ Compositional design and optimization of processing parameters are key factors for controlling and improving the properties of SiC-based electroconductive ceramic composites.

퇴화조건에 따른 꼭두서니 염색물의 퇴화물 연구 (Analysis of Degradation Products in Madder Dyed Fabrics in Selective Degradation Conditions)

  • 안춘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608-1618
    • /
    • 2005
  • 본 연구는 꼭두서니와 그 표준 색소인 알리자린으로 염색한 직물에 조건적 퇴화를 유도하고, 가스 크로마토그라피 질량분석기(GC-MS)를 이용해 퇴화물을 분석하여 이를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표준 알리자린 색소의 퇴화물과 비교함으로써 대조구로서의 꼭두서니 염료의 정보를 완성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아울러 퇴화 전후 염직물의 색차를 측정하여 조건퇴화에 따른 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퇴화조건은 상온 (RT), 저온$(7^{\circ}C)$ (LT), 고온$(100^{\circ}C)$(OV)의 세 종류의 온도 조건과 염료 폐수처리 용도로 활용되고 있는 $H_2O_2/UV$법 (PER)을 사용하였다. 퇴화시간은 6시간, 24시간, 48시간, 1주, 2주, 4주 각각을 측정하였다. 꼭두서니와 알리자린 염직물 모두 퇴화 전후의 시료에서 alizarin(10.1분)이 검출되었다. 꼭두서니와 알리자린 염직물 모두 퇴화 후 benzoic acid(4.7분), 2,4-di-tert-butylphenol(6.8분), phthalic anhydride(5.8분)가 검출되었다. 꼭두서니와 알리자린 염직물 모두 퇴화 후 붉은색과 노란색이 감소하였다. 꼭두서니 염직물보다 알리자린 염직물의 경우 퇴화 전후의 색차가 더 심하였다. 그러나 가장 퇴화조건이 강한 PER퇴화조건 하에서는 꼭두서니 염직물의 색차가 1주 경과 후에도 매우 심하게 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꼭두서니와 그 표준 색소로 염색한 직물이 퇴화할 경우에도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알리자린의 퇴화물인 benzoic acid, 2,4-di-tert-butylphenol, phthalic anhydride가 검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들 화합물은 갈변되어 고유의 색을 알 수 없는 출토복식의 염료를 판정할 때 꼭두서니 염료의 사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대조구 화합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퇴화 전후의 색차에 대한 측정결과는 퇴화에 따른 염료의 색 변화에 대한 결과이다 출토복식의 갈변현상은 염료의 변색과 더불어 토양 유기물에 의한 착색도 기인하므로, 출토복식의 색상 변화를 실질적으로 조사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의 결과와 함께 토양유기물에 의한 착색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다중 홉 무선 네트워크에서 종단 간 신뢰성 통신을 위한 평판 기반의 협력적 라우팅 기법 (A Reputation based Cooperative Routing Scheme for End-to-End Reliable Communications in Multi-hop Wireless Networks)

  • 김태훈;탁성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593-1608
    • /
    • 2009
  • 다중 홉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일부 중계 단말이 악의적인 목적으로 비협력적이거나 이기적인 행동을 하면 네트워크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무선 단말간의 협력적인 동작을 가정한 기존의 애드혹 라우팅 기법에서는 악의적으로 행동하는 이기적인 무선 단말에 의해 발생되는 성능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중 홉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평판 기반의 협력적 애드혹 라우팅 프로토콜인 CARE (Cooperative Ad hoc routing protocol based REputation)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CARE 기법은 홉 대 홉 기반의 패킷 포워딩 과정에서 악의적으로 행동하거나 무단으로 라우팅 경로에서 이탈하는 이기적인 무선 단말을 우회하도록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네트워크 계층간의 수평적 상호 작용을 제공한다. 그리고 CARE 기법은 수직적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하여 MAC 계층으로부터 획득한 무선 채널의 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라우팅 경로의 품질 향상시키며, 네트리크 계층에서 획득한 무선 단말의 평판 정보를 전송 계통에 반영하여 TCP의 성능 향상을 제공한다. CARE로 기법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단말의 빈번한 이동과 악의적인 단말이 존재하는 다중 홉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패킷 전송의 낮은 실패율과 패킷의 평균 전송 시간의 향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종단간 무선 단말의 향상된 TCP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Listeria innocua 유래 cyclomaltodextrinase의 유전자 클러스터 구조 및 효소 특성 (Gene Cluster Analysis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Cyclomaltodextrinase from Listeria innocua)

  • 장명운;정창구;강혜정;김민정;이민재;손병삼;김태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63-369
    • /
    • 2016
  • Listeria innocua ATCC 33090 유전체로부터 maltose/maltodextrin 이용과 관련한 유전자 클러스터를 발견하였으며, 그로부터 cyclomaltodextrinase (LICD)로 예상되는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대장균 내에서 발현하였다. LICD는 총 591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68.6 kDa 크기의 효소이며, 일반적인 CDase 계열 효소들과 39−58%의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재조합 LICD는 37℃, pH 7.0의 조건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yclodextrin, starch, maltotriose에 작용하여 주로 maltose를 생성하였다. 또한 pullulan을 분해하여 panose를, 그리고 acarbose를 분해하여 glucose와 acarviosine-glucose를 생성하는 전형적인 CDase 계열 효소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starch 및 pullulan과 같은 고분자기질 대비 cyclodextrin 및 maltotriose의 저분자 소당류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며, acarbose 분해 활성이 매우 낮아 다른 효소들과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LICD는 acarbose 공여체를 가수분해하여 수용체에 전이하는 당전이 활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