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0배

검색결과 6,860건 처리시간 0.043초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의 화사 유래 캘러스로부터 체세포배발생 (Somatic Embryogenesis from Filament-Derived Callus of Paeonia lactiflora PALL.)

  • 정재동;한증술;손재근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7-51
    • /
    • 1995
  • 작약(Paeonia lactifloral Pall)의 회사조직을 배양하여 체세포배의 획득 가능성을 밝히고 유묘의 대량번식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5월 중순경 채취한 화뢰로부터 회사조직을 절취하여 2,4-D 농도를 달리한 4종 의 MS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2,4-D 1.0 mg/L, 0.5 mg/L, 0.1 mg/L 첨가한 배지 순으로 캘러스의 형성과 생장이 양호하였고 생장조절제를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는 회사조직이 갈변하여 캘러스 발생을 관찰할 수 없었으며 이들 캘러스를 설탕만 20 g/L로 줄인 동일한 생장조절제 조성의 배지에서 계대배양했을 때 증식이 양호하였다. 체세포배 유기를 위해 5 mm 크기의 캘러스를 3종의 배지에 이식했을 때2,4-D 0.5 mg/L 첨가배지에서 얻은 캘러스를 생장조절제를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배양 80일 후 38.0%의 가장 높은 배발생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설탕 첨가농도와 활성탄 첨가유무를 달리한 6종의 생장조절제 무첨가 배지에 계대배양 중인 캘러스를 배양했을 때 2,4-D 0.5 mg/L 첨가배지에서 유기증식된 캘러스를 설탕 농도는 20 g/L로 동일하고 활성탄을 3 g/L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 60일 후 60.0%로 가장 높은 배발생률을 나타내어 배발생률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발생된 배들의 이식 적정시기를 구명하기 위해 발육상별로 생장조절제를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 이식했을 때 부착된 모조직으로부터 다수의 배가 유기되었는데 어뢰형 배를 이식했을 경우 배의 증식률이 1.4배로 가장 높았으며 성숙배로의 발육도 양호하였다. 유백색의 자엽이 전개된 배들은 GA3 0.3 mg/L가 첨가된 배지에 이식하여 5$^{\circ}C$ 에서 2주간 암상태로 전처리 했을 때 배양 1개월 후 37% 의 배가 발아하였으며 발아된 배들을 BA 2.0 mg/L 첨가배지로 이식함으로써 유식물체로 생장하였다.

  • PDF

충남지역 시설 딸기재배지 시비수준과 토양 화학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Fertilizer Application Level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for Strawberry Cultivation under Greenhouse in Chungnam Province)

  • 최문태;이진일;윤여욱;이종은;이봉춘;양의석;이영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53-159
    • /
    • 2010
  • 우리나라 농민들은 저투입 지속가능한 농업 보다 화학비료에 더욱 의존하고 있다. 딸기 시설 재배지에서 친환경 농업을 추진하기 위해서 토양 양분 불균형을 개선하도록 충남지역 56개소의 양분관리 조건과 토양 화학성과의 관계를 구명하였다. 퇴비 시용량은 40대가 40 Mg $ha^{-1}$로 표준시비량 보다 2배 높았고 50대는 밑비료 시용량으로 질소 105.2, 인산 58.3, 칼륨 68.1 Mg $ha^{-1}$로 표준시비량 보다 각각 질소는 3배, 인산과 칼륨은 1.2배 였다. 딸기 재배 경력은 10년 이하가 42.8%로 비율이 높았고 재배면적은 400 $m^2$ 이하인 농가가 75.0%의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돈분 퇴비를 시용하는 농가는 48.2%로 가장 높았으며 밑비료 질소 평균 시비량은 92.3 Mg $ha^{-1}$로 표준시비량의 2.6배 였다. 또한, 퇴비 시용량이 30 Mg $ha^{-1}$를 초과하는 경우 적정수준에 비해 토양 EC 값은 1.8배, 유효인산 함량은 3.0배, 치환성 칼륨 함량은 2.6배, 칼슘 함량은 1.7배, 마그네슘 함량은 1.6배 높았으며 토양의 유효인산 평균 함량은 986 mg $kg^{-1}$으로 적정수준 보다 2.2배 높았다. 주성분 분석결과 PC 1은 토양 유효인산 (0.342), 토양 치환성 칼슘 (0.327), 토양 EC (0.310), 토양 유기물 (0.289) 순으로 정의 기여를 보였으며 PC 1은 39.6%, PC 2는 17.3%, PC 3은 13.6%로서 전체 70.5%의 자료를 설명할 수 있었다. 퇴비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토양의 유효인산 함량 (r=0.370, $p{\leq}0.01$), 치환성 칼륨 (r=0.429, $p{\leq}0.01$), 칼슘 (r=0.404, $p{\leq}0.01$), 마그네슘 (r=0.453, $p{\leq}0.01$) 및 나트륨 (r=0.369, $p{\leq}0.01$)과 고도의 유의성 있는 정의상관을 보여 퇴비 시용량을 적정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결과 딸기 시설 재배지는 연령, 재배경력, 재배면적, 축분 퇴비 종류, 퇴비 시용량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어 지속농업을 위한 근본적인 토양 양분 관리방안은 농가별 토양검정에 의한 최적 시비라고 제안한다.

포도 4배체 '후지미노리'와 3배체 '썸머블랙'의 교배로 얻은 미숙배의 기내배양 (In Vitro Culture of Immature Embryo Obtained by Crossing between Tetraploid Grape 'Fujiminori' and Triploid 'Summer Black')

  • 고재철;오주은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3호
    • /
    • pp.352-358
    • /
    • 2013
  • 포도 4배체 'Fujiminori'에 3배체 'Summer Black'을 인공교배하여 얻은 미숙배의 발아 및 식물체 분화를 목적으로 MS 배지에 $GA_3$와 Coconut water(CW)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배배양을 실시하였다. 'Fujiminori'에 'Summer Black'을 교배하여 64.3%의 미숙배를 얻을 수 있었고, 미숙배를 기내 배양한 결과 $GA_3$ 모든 처리구(0.01, 0.05, 0.25, $1.25mg{\cdot}L^{-1}$)에서는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었으나, 15.8-31.6%만이 정상적인 식물체로 생장하였다. 또한 $GA_3$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하배축은 신장되었고, 비대생장은 억제되었다. CW 모든 처리구(5, 10, 15, 20%) 중에 CW 10%와 CW 15% 처리구에서는 각각 68.4%와 66.7%로 많은 식물체를 획득할 수 있었다. 또한 줄기의 길이생장, 마디수, 발근수는 CW 10% 처리구에서, 뿌리길이는 CW 15% 처리구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포도 4배체 'Fujiminori'와 3배체 'Summer Black'의 인공교배를 통해 얻어진 미숙배의 발아 및 생장을 위해서는 CW 10-15%를 첨가한 MS 배지를 이용한 배배양이 효과적이다.

낙엽송(Larix kaempferi) 현탁배양된 배발생세포로부터 체세포배 유도 및 발아를 위한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 효과 (Effect of kinds and concentrations of osmoticum on somatic embryo induction and germination from suspended embryogenic cell in Larix kaempferi)

  • 김용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0권3호
    • /
    • pp.141-146
    • /
    • 2013
  • 본 연구는 낙엽송 배발생세포의 배양기간에 따른 현탁세포의 생장, 체세포배 유도 및 발아를 위한 다양한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배발생 현탁세포의 생장은 배양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settled cells volume (SCV)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배양 18일 경에는 최대 10.1 ml의 SCV를 보였고, 그 이후로는 세포생장이 감소하였다. 현탁세포로부터 체세포배 발생을 위한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에 따른 효과 비교에서 최대의 체세포배 유도 수는 0.2 M sucrose 처리구에서 352.3개(/g FW)로 나타났으며, 0.2 M maltose (203.7) 및 0.3 M maltose (193.7) 처리구에서 또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7.5% polyethylene glycol (PEG)이 첨가된 0.15 M sucrose 혹은 maltose 각각의 처리구에서는 체세포배 발생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양한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에서 발생된 체세포배의 발아율 비교에서는 최대 자엽 형성율(25.2%) 0.3 M maltose, 하배축 형성률(39%), 뿌리 발생율(30.3%) 및 식물체 재분화율(3.5%)은 0.2 M sucrose 처리구에서 각각 나타났다.

자호(紫胡)의 체세포배(體細胞胚) 형성(形成)과 재생(再生) 식물체(植物體)의 RAPD 분석(分析) (Induction of Somatic Embryos and RAPD Analysis in Regenerated Plantlets of Bupleurum falcatum L.)

  • 박철호;유창연;서정식;김기식;안상득;장병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0-55
    • /
    • 1995
  • 체세포배의 생산, 보호 및 저장조건의 구명과 체세포배의 기내분화 및 체세포배 배양식물의 유전변이 여부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MS기본배지 보다 1/2MS배지가 체세포배형성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BA, kinetin처리 모두 $0.1{\sim}1mg/L$에서 체세포배가 발이하여 식물체 형성이 양호하였고 농도가 높을수록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shoot의 발근과 신장을 위해서는 IAA처리가 효과적이었다. 1/2MS기본배지에 2.0%의 알진산 용액으로 알진산캡슐을 씌운 체세포배의 기내에서의 식물체형성(전환율)은 $AgNO_3$5mg/l처리가 86%로 가장 앙호하였다 . $5^{\circ}C$에서 3개월 동안 체세포배를 저온저장하여 65%의 발아가 이루어졌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발아율이 저하되었다. 체세포배 배앙식물은 RAPD(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분석을 통하여 여러 major band 수준에서 DNA polymorphism이 관찰되었다.

  • PDF

농약의 양액 탱크내 혼합처리에 의한 토마토 역병 방제 효과 및 잔류 특성 (Control of Phythophthora capsici and Residual Characteristics by the Pesticides Tank-Mixed in Tomato Hydroponic Culture System)

  • 임양빈;경기성;김찬섭;박병준;이중섭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64-270
    • /
    • 2003
  • 토마토 양액재배시 심각한 피해를 주는 역병균에 대한 간편하고 효과적인 방제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역병 방제 효과가 높은 metalaxyl copper oxychloride 수화제 (15% metalaxyl+35% copper oxychloride) 및 dimethomorph dithianon 수화제 (8% dimethomorph+30% dithianon) 2종에 대하여 유묘검정을 통하여 약제 처리농도를 12,500배, 25,000배, 50,000배로 설정하였다. 토마토를 암면에 정식하고 40일 후에 역병균을 접종하였으며, 접종 5일 후 시험약제를 설정된 농도수준으로 양액탱크에서 혼합한 양액을 토마토 뿌리에 공급하였다. 약제처리 후 metalaxyl copper oxychloride 수화제는 처리당일, 1, 3, 7, 15일 간격으로 양액중 metalaxyl의 농도를 조사한 결과 25,000배와 50,000배 처리구의 농도는 15일 후에도 처리당일과 비슷한 농도수준을 유지하였다. Dimethomorph dithianon 수화제의 처리구중 dimethomorph는 모든 처리구에서 metalaxyl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지만, dithianon은 처리후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Metalaxyl copper oxychloride 수화제를 처리한 토마토중 metalaxyl의 잔류량은 1회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0.02\sim0.04$ mg/k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Dimethomorph dithianon 수화제 처리구의 토마토중 dimethomorph는 12,500배 처리구 $0.012\sim0.021$ mg/kg, 25,000배 처리구는 $0.001\sim0.006$ mg/kg, 50,00베 처리구 $0.001\sim0.003$ mg/kg이 각각 검출되었으나 dithianon은 12,500배 3회 처리구에서 0.005, 50,000배 2회 처리구에서 0.003 mg/kg이 검출되었다. 역병 방제효과시험에서 모든 처리구에서 높은 방제가를 나타냈으나, 12,500배 처리구에서는 모두 약해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양액재배 토마토의 역병 방제를 위해서는 25,000배와 50,000배로 조제된 metalaxyl copper oxychloride 50% 수화제는 15일 간격 $1\sim3$회, dimethomorph dithianon 38% 수화제는 10일 간격 $1\sim3$회 혼합처리하는 것이 역병 방제효과와 생산물의 안전성 측면에서도 만족스러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활(Ostericum koreanum)과 지리강활(Angelica purpuraefolia)의 미숙종자로부터 고빈도의 체세포배 발생과 식물체 재분화 (High Frequency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from Cultured Immature Seeds of Ostericum koreanum Kitagawa and Angelica purpuraefolia Chung)

  • 최은경;박학봉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99-306
    • /
    • 1995
  • 본 실험은 강활(O. koreanum)과 지리강활(A.purpuraefolia)의 체세포배 발생을 위한 효율적인 세포배양시스템을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강활과 지리강활의 개화후 3주된 미숙종자는 0.1 mg/L 2,4-D와 0.1 mg/L BA 혼용처리구에서 배발생캘러스와 체세포배 발생이 가장 양호하였고, 0.1-3.0mg/L NAA가 처리된 배지에서 재분화된 식물체의 자엽과 배축의 가장자리로부터 직접 체세포배가 발생하였다. 미숙종자의 휴면을 고려하여 저온처리한 결과, 5$^{\circ}C$에서 10일동안 저장 후, 25$\pm$2$^{\circ}C$에서 배양하였을 때 반응이 없던 배양체로부터 배발생 캘러스와 체세포배가 발생하였고 이 체세포배는 줄기와 뿌리로 분화되었다. 지리강활에서는 배지내 첨가한 glutamine과 coconut milk의 뚜렷한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강활의 경우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glutamine과 10% coconut milk가 포함된 배지에서 체세포배 발생률이 항상되었고 특히 glutamine은 coconut milk에 비해 NH$_4$NO$_3$ 대체효과가 인정되었다. 체세포배의 器內 식물체전환율은 MS 기본배지에서 89.1%로 가장 양호하였고 배발생 캘러스의 증식용 배지로는 0.01 mg/L 2,4-D와 0.01 mg/L BA혼용처리구에서 가장 좋았다.

  • PDF

2015년 한국의 중동호흡기증후군 유행에서 치명률 (Case Fatality Factors in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 Outbreaks in 2015, the Republic of Korea)

  • 이태준;아창과 키아라;이무식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6권3호
    • /
    • pp.171-185
    • /
    • 2021
  • 배경: 2015년 한국의 중동호흡기증후군 유행에서 지역간 치명률의 차이는 극명하였다. 이 연구는 대전 클러스터와 다른 지역 간의 치명률의 관련된 일반적 특성 및 역학적 요인을 밝히고저 하였다. 방법: 입원병원 소재지를 기준으로 대전과 타 지역으로 구분하여 관련변수에 따른 카이제곱검정 및 피셔정확검정 등으로 분석하였다. 대전과 다른 지역의 치명률(CFR)의 차이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단변량 및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를 실시하였다. 결과: 모형 I에서는 65세 이상 연령군일수록 7.12배(95% CI 2.33-21.8)(p=0.001), 동반질환이 있는 경우 10.29배(95% CI 2.94-36.06)(p<0.001), 잠복기가 7일 이하인 경우가 8.55배(95% CI 2.54-26.7), 입원기간이 17일 이하인 경우 10.08배(95% CI 2.99-31.9)(p<0.001) 등이었으며, 모형 II에서는 65세 이상 연령군일수록 5.34배(95% CI 1.65-17.2)(p=0.005), 잠복기가 7일 이하인 경우가 6.70배(95% CI 1.96-22.89), 입원기간이 17일 이하인 경우 8.90배(95% CI 2.59-30.6)(p=0.001), 동반질환에서 암의 경우에서 7.15배(95% CI 1.64-31.14)(p=0.009) 등이었다. 결론: 2015년 한국 중동호흡기증후군 유행에서 대전 클러스터의 높은 치명율은 연령(≥65세), 동반질환(특히 암), 잠복기(≤7일), 입원기간(≤17일) 등이 유의한 변수로 도출되었다.

Bacillus sp.에 의하여 발효된 신품종 아가콩 발효 산물의 혈전 용해 활성 및 항산화 효과 (Fibrinolytic Activity and Antioxidant Effects of the Newly Developed Agabean Fermented of Product Produced by Bacillus sp.)

  • 김성열;김민정;이혜현;서민정;강병원;주우홍;박정욱;류은주;황영현;정영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711-171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혈전용해능이 우수한 Bacillus sp. sm26을 선별하고 신품종 기능성 콩인 노란 아가콩(YA)와 검정 아가콩(BA)을 발효시킨 발효콩(FYA, FBA)의 혈전용해 활성과 70% ethanol 추출(FYAE, FBAE)에 대한 항산화 효능을 조사하였다. FYA와 FBA의 혈전용해 활성은 각각 $6.38{\pm}0.5$$6.83{\pm}0.5\;U/ml$로 대두 발효물(FSB)보다 각각 1.3배와 1.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은 FYAE와 FBAE가 각각 $3.40{\pm}0.44\;mg/g$, $2.45{\pm}0.20\;mg/g$으로 나타나, 대두 발효 추출물(FSBE)에 비하여 약 2배 이상의 높은 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FYAE의 총 단백질과 총 당 함량은 각각 $0.56{\pm}0.11\;mg/g$$2.41{\pm}0.48\;mg/g$이었으며 FYBA는 각각 $0.39{\pm}0.12\;mg/g$$2.72{\pm}0.63\;mg/g$으로 나타나, FYAE가 FSBE보다 각각 4.7배와 1.7배 높은 총 단백질과 총 당 함량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FBAE가 1 mg/ml에서 79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력은 FBAE가 1 mg/ml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으며 FSBE에 비해 2배 높은 활성을 보였다. 지질 과산화능은 1 mg/ml일 때 FBAE는 93%로 FSBE의 약 3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FYAE 또한 80%로 2.5배 높은 활성을 보였다. 과산화 수소에 대한 소거능은 1 mg/ml 농도에서는 FBAE가 82%로 FSBE에 비해 4배 높은 효과를 나타내고 FYAE의 경우 2.5배 높은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기능성 콩인 아가콩 발효물의 혈전용해 활성과 항산화 효능은 일반 콩에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앞으로 새로운 천연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배양액 용량이 마우스 2-세포기 배의 배반포 형성, 세포수 및 내세포괴 비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a Volume on Blastocyst Formation, Cell Numbers and ICM Proportion in Mouse Two-cell Embryos)

  • 김성엽;박기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1권1호
    • /
    • pp.1-7
    • /
    • 2004
  •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마우스에서 배양액의 용량이 배반포 배 형성과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sim}4$주령 ICR 암마우스에게 48시간 간격으로 5 IU PMSG와 hCG 주사 후 (hCG 주사 후 수컷과 동숙) $46{\sim}50$시간에 난관으로부터 총 138개의 2-세포기 배를 회수하여 2 ml (group I) 또는 $50{\mu}l$ (group II)의 배양액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 20% human follicular fluid)에서 72시간 동안 배반포기까지 배양하였다. 배반포 배는 zona-intact (ZiB)와 zona-escape (ZeB)로 등급을 구분하고 나서, propidium iodide와 bisbenzimide를 이용한 differential staining 방법으로 염색하여 평균 세포수, 내세포괴(ICM) 세포수, 영양배엽(TE) 세포수, 총 세포수에 대한 ICM의 비율 (%ICM) 및 ICM:TE 비율을 조사하였다. 결과에 대한 유의성 검정은 $X^2$ test와 t-test를 이용하였으며, p<0.05일 때 통계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하였다. 결 과: Group I과 II에서, 총 배반포 ($62.3{\pm}20.7%$ vs. $63.8{\pm}22.9%$), ZiB ($31.9{\pm}24.0%$ vs. $30.4{\pm}18.2%$)와 ZeB 형성율 ($30.4{\pm}20.8%$ vs. $33.3{\pm}22.3%$)은 차이가 없었다. 87개의 배반포 배를 염색 시도하였는데, 명확하게 differential staining된 41개의 배반포 배만을 대상으로 세포수를 조사하였다. 평균 세포수 ($61.6{\pm}19.5$ vs. $63.7{\pm}26.8$), ICM 세포수 ($13.0{\pm}10.6$ vs. $12.8{\pm}10.5$), TE 세포수 ($49.0{\pm}19.0$ vs. $47.8{\pm}18.7$), %ICM ($21.0{\pm}12.6%$ vs. $21.1{\pm}13.2%$) 및 ICM:TE 비율 (1:$3.77{\pm}4.9$ vs. 1:$3.72{\pm}4.8$)에서도 group I과 II에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마우스에서 배 발생 능력의 척도로 쓰이는 배반포 배 형성율 배반포 배의 등급 세포수 및 %ICM 등이 20% 난포액을 첨가한 MEM 배양액의 용량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