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Vulnerable Groups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31초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사회적 자본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to the Change of Social Capital from Participation in Elderly Employment Programs)

  • 장유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2호
    • /
    • pp.261-289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의 사회적 자본 변화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규명하여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을 사회적 자본 변화를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 중 사회적 자본이 변화하였을 때, 사회적 자본의 변화를 유형별로 나누어 참여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노인일자리사업 특성을 변화유형별로 비교해 보았다. 이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 삶을 변화시키는데 직 간접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실증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 중 사회적 자본이 변화하였을 때, 생활상의 어려움에 있는 노인층에서 사회적 자본 중 신뢰, 관계망, 사회참여가 모두 증가하였고,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생활상의 어려움을 가진 노인층에게 사회적 자본 증가의 효과를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 사회적 자본 중 노인 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은 신뢰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특히 생활상의 어려움에 있는 노인층과 생계비를 벌기 위해 참여한 노인층에서 사회적 자본 중 신뢰, 관계망, 사회참여가 모두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으며, 노인일자리사업이 생활상의 어려움을 가진 노인층에게 사회적 자본 변화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일자리유형에서 사회참여는 상승하였고, 생계를 위해서 참여한 노인층이나 생활상의 어려움이 있는 노인층에서 특히 사회참여가 증가하였다. 짧은 참여기간 동안의 조사로 나타난 결과이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 노인의 노동참여를 통한 사회참여는 보호적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 PDF

Comparison of Sexual Risky Factors of Men Who Have Sex With Men and Sex-buying Men as Groups Vulnerable to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 Jung, Min-Soo;Lee, Joong-Yub;Kwon, Dong-Seok;Park, Byung-Joo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5권3호
    • /
    • pp.156-163
    • /
    • 2012
  • Objectiv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groups carrying out sexually risky behavior because the prevalence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STDs) is high among them. In this study, the prevalence of STDs among homosexuals and sexbuying men in South Korea was investigated, along with their sexual risk factors. Methods: Men who have sex with men (MSMs, n=108) were recruited in Seoul and Busan by applying the time location sampling method, while sex-buying men (n=118) were recruited from a john school in Gyeonggi province, the suburbs of Seoul.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past or present infection with syphilis, Chlamydia, gonorrhea, and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health behavior, social support, sexual behavior, and safe sex. Results: It was found that when the MSMs were non-drunk while having sexual intercourse (odds ratio [OR], 0.132), they showed a higher STD infection rate when they had a higher number of anal sex partners (OR, 5.872), rarely used condoms (OR, 1.980), had lower self-efficacy (OR, 0.229), and were more anxious about becoming infected with an STD (OR, 3.723). However, the men who paid for sex showed high STD infections when they had more sex partners (OR, 2.286) and lower education levels (OR, 3.028). Conclusions: STD infections among the two groups were high when they were engaged with many sex partners and not having protected sex. In other words, there was a gap in risky sex behavior within such groups, which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n STD. Therefore, the preventive intervention against STDs for these groups needs to be expanded to include management of sex behaviors.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생태학적 영향요인: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을 중심으로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Low-Income Adolescents Attend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

  • 박지영;박영숙;이정은;김수빈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158-167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low-income families. Methods: Secondar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ata of 1,321 low-income adolescents in 123 regions found on the Survey on Service Satisfaction with Community Child Care Center. Results: The results of multi-level analysis identified the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of low-income adolescents as follows: individual-level factors were gender, grade in school, and emotional problem; an interpersonal-level factor was family structure; organizational-level factors were length of time attending center and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of the center; community-level factors were region and perception of community.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low-income adolescents' adjustment to school is influenced not only by individual factors but also by diverse environmental factors. Community factors suggest that more education support systems and leisure facilities for adolescents need to be built in small and medium cities. Strategies to enhance positive perception of community are also needed for this population. Furth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multi-level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vulnerable social groups.

노인의 심폐소생술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Knowledge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f Older Persons)

  • 이성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203-209
    • /
    • 2023
  • 본 연구는 노인의 심폐소생술 지식의 수준과 심폐소생술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통계청에서 실시한 2022년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65세 이상 노인 총 8,862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개인적 자원과 사회적 자원은 심폐소생술 지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자원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소득수준이 높아질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인지기능이 좋을수록 노인의 심폐소생술 지식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원의 경우 배우자가 있을 경우와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노인의 심폐소생술 지식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지식에 있어 취약한 노인그룹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지식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 방안들이 다각적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

중증질환자의 민간의료보험 가입 현황 및 관련요인 (Status and related factor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for severely ill patients)

  • 김석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97-50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중증질환자들을 대상으로 민간의료보험 가입자와 미가입자간의 특성을 파악하고, 가입 요인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연구도구는 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SPSS ver 23.0을 사용하였고, 연구 대상자는 19세 이상 중증질환자(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417명을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민간의료보험 가입 현황과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민간의료보험 가입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서는 성별, 거주지, 혼인상태와 관계없이 나이가 젊을수록 높았다. 그리고, 사회 경제적 상태에서는 교육수준과 관계없이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의료급여대상자에 비하여 건강보험대상자의 가입률이 높았다. 건강행태에서는 주관적 건강 인식 및 걷기 실천과 무관하게 활동제한이 있는 집단의 민간의료보험 가입률이 낮았으며, 설명력은 51.7%이었다. 그러므로, 중증질환자 중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하지 못한 집단을 선별하여 생활환경 개선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촉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적 취약계층 및 건강행태에 제한 있는 집단을 대상으로 중증질환 예방을 위한 정부의 보건교육 또는 프로그램 제공 등 다양한 보건정책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한국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의 현황과 과제 (Status and Challenges of Korean Out of School Children Health Check-up)

  • 김양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546-558
    • /
    • 2019
  • 건강불평등은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강상의 차이를 일컫는다. 여러 학자들은 경제적, 사회적 불평등이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건강 불평등을 축소하려는 사회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여성가족부가 지난 2016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을 한국 사회의 건강불평등 감소 정책의 일환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국가건강검진제도에서 소외됐던 학교 밖 청소년을 검진제도 내로 편입한 것은 국가차원의 건강불평등 완화 정책으로서 큰 의미를 갖는다. 지금까지 학교 밖 청소년은 한국 사회에서 소외집단이었을 뿐 아니라, 건강검진제도 내에서도 사각지대에 있었다. 이중의 상당수는 가족주의가 굳건한 한국사회에서 가족의 보호와 지원을 받지 못한 채 거리로 쫓겨난 어린 노동자임에도 불구하고 '일탈적인 10대', '가출 청소년', '비행 청소년' 등으로 불리며 차별받았다. 현행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은 대안학교에 다니거나 쉼터에 거주하는 등 비교적 주거파악이 쉬운 청소년 위주로 실시되고 있다. 이 제도의 실질적인 성과를 위해서는 주거가 불안정한 가출 청소년까지 검진제도 내로 포섭하는 접근성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검진 사후관리, 예방접종과 정신건강, 검진주기 단축 등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기 위한 방법과 실행이 더해져야 할 것이다.

사회적기업과 영리기업에서 근로자 셀프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Self-Leadership by Worker in Social Enterprise and Profit Enterprise)

  • 이용재;김미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139-149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과 영리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내 사회적기업과 영리기업 36개, 근로자 303명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과 영리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의 특성차이 분석결과 사회적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이 영리기업 근로자들에 비해서 여성, 고연령자, 저임금근로자가 많았다. 사회적기업이 정부의 사회적 일자리지원에 의하여 여성, 노인 등 취약계층을 저임금으로 고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사회적기업과 영리기업의 셀프리더십과 조직성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기업 근로자의 셀프리더십이 영리기업에 비해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사회적기업 근로자들이 영리기업에 비하여 사회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를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셋째, 셀프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기업과 영리기업 모두 셀프리더십이 조직성과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사회적기업이 영리기업에 비해 조직성과가 높았다. 따라서 사회적기업의 조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근로자들에 대한 지속적인 조직비전과 목표에 대한 공유노력을 통하여 기업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노인 집단에서 나타나는 건강 수준 차이의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ealth Inequalities Among Korean Elderly)

  • 김동배;유병선;민정선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3호
    • /
    • pp.267-290
    • /
    • 2011
  • 본 연구는 인구학적 특성,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위험행동, 가족관계 만족도가 우리나라 노인 인구 집단의 건강 수준 차이에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조사 3차 조사(2008년)의 65세 이상 가구를 추출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건강 수준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도록 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정신 건강 수준을 가늠하는 지표로서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보면,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소득이 적을수록, 음주를 하지 않을수록, 가족관계 만족도가 낮을수록 노인의 우울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요인을 보면,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소득이 적을수록, 음주를 하지 않을수록, 가족관계 만족도가 낮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족관계 가운데서도 노인의 배우자와의 관계, 노인의 자녀와의 만족도는 우울감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건강 수준의 취약집단인 여성노인을 위한 특화된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건강 수준이 낮은 저소득, 저학력 노인 집단의 건강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한 특화된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새로운 접근이 요구된다.

A Strategy Toward Reconstructing the Healthcare System of a Unified Korea

  • Lee, Yo Han;Yoon, Seok-Jun;Kim, Seok Hyang;Shin, Hyun-Woung;Lee, Jin Yong;Kim, Beomsoo;Kim, Young Ae;Yoon, Jangho;Shin, Young Seok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6권3호
    • /
    • pp.134-138
    • /
    • 2013
  • This road map aims to establish a stable and integrated healthcare system for the Korean Peninsula by improving health conditions and building a foundation for healthcare in North Korea through a series of effective healthcare programs. With a basic time frame extending from the present in stages towards unification, the roadmap is composed of four successive phases. The first and second phases, each expected to last five years, respectively, focus on disease treatment and nutritional treatment. These phases would thereby safeguard the health of the most vulnerable populations in North Korea, while fulfilling the basic health needs of other groups by modernizing existing medical facilities. Based on the gains of the first two phases, the third phase, for ten years, would prepare for unification of the Koreas by promoting the health of all the North Korean people and improving basic infrastructural elements such as health workforce capacity and medical institutions. The fourth phase, assuming that unification will take place, provides fundamental principles and directions for establishing an integrated healthcare system across the Korean Peninsula. We are hoping to increase the consistency of the program and overcome several existing concerns of the current program with this roadmap.

Digit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Modern Educational Space (Ukrainian case)

  • Oksana, Bohomaz;Inna, Koreneva;Valentyn, Lihus;Yanina, Kambalova;Shevchuk, Victoria;Hanna, Tolchiev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11-18
    • /
    • 2022
  • Linking Ukraine's education system with the trends of global digitalization is mandatory to ensure the sustainable, long-term development of the country, as well as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economy as a whole during the crisis period. Now the main problems of the education system in Ukraine are manifested in a complex context caused by Russian armed aggression. In the context of war, problems include differences in adaptation to online learning among educational institutions, limited access to education for vulnerable groups in the zone of active hostilities, the lack of digital educational resources suitable for online learning, and the lack of basic digital skills and competencies among students and teachers necessary to properly conduct online classes. Some of the problems of online learning were solved in the pandemic, but in the context of war Ukrainian society needs a new vision of education and continuous efforts of all social structures in the public and private environment. In the context of war, concerted action is needed to keep education on track and restore it in active zones, adapting to the needs of a dynamic society and an increasingly digitized economy. Among the urgent needs of the education system are a change in the teaching-learning paradigm, which is based on content presentation, memorization, and reproduction, and the adoption of a new, hybrid educational model that will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necessary skills and abilities for students and learners in a digitized society and enable citizens close to war zones to lea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