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tic Acid + Butyric Acid)/Propionic Acid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1초

식염농도(食鹽濃度)에 따른 간장덧 숙성과정중(熟成過程中) 화학성분(化學成分)의 변화(變化)에 대하여 -휘발성(揮發性) 유기산(有機酸)을 중심(中心)으로- (Changes of the Chemical Components in the Process of the Korean Soysauce Fermentation by Salt Concentration -Laying Stress on the Volatile Organic Acid-)

  • 양희천;김병용;이태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5-10
    • /
    • 1982
  • 식염농도(食鹽濃度)를 달리하여 재래식(在來式) 메주와 개량식(改良式) 메주를 이용한 간장덧 숙성과정(熟成過程)중 색도(色度), pH, 총질소량(總窒素量), 환원당량(還元糖量) 및 휘발성(揮發性) 유기산량(有機酸量)의 소장(消長) 관계를 살펴본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색도(色度)와 pH는 재래식(在來式) 간장덧보다 개량식(改良式) 간장덧이더 낮았다. (2) 총질소량(總窒素量)을 개량식(改良式) 간장덧이 재래식(在來式) 간장덧보다 높았으며, 식염농도(食鹽濃度)가 낮을 수록 많았다. (3) 환원당량(還元糖量)은 개량식(改良式) 간장덧이 재래식(在來式) 간장덧보다 많았으며, 4주째에 최고치(最高値)를 나타냈다. (4) 총휘발산량(總揮發酸量)은 고농도식염(高農度食鹽)구에서는 초기에 점차 감소하다가 4주 이후부터 증가하였고 저농도식염(低濃度食鹽)구에서는 처음보다 월등히 많아졌으며, 개량식(改良式) 간장덧의 경우 휘발산(揮發酸) 중 acetic acid가 가장 많았다. (5) 재래식(在來式) 간장덧에서는 개량식(改良式) 간장덧에서 보다 butyric acid가 18배, propionic acid가 19배 많이 검출되었으며 식염농도(食鹽濃度)가 낮을 수록 두 유기산(有機酸)의 생성이 많았다.

  • PDF

The Influences of Addition of Sugar with or without L. buchneri on Fermentation and Aerobic Stability of Whole Crop Maize Silage Ensiled under Anaerobic Silos

  • Guan, Wu-tai;Driehuis, F.;van. Wikselaar,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8호
    • /
    • pp.1128-1133
    • /
    • 2002
  • The whole plant of crop maize was chopped and ensiled in airtight 1-L capacity glass jar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residual sugar on anaerobic yeast growth and on the fermentation of lactic acid by L. buchneri in whole crop maize silage. There were a total of six treatments used in this experiment as follow: added 25 g de-mineralised water per kg chopped maize serving as control (con), 37.5 g glucose solution containing 12.5 g glucose ($g_1$), 75 g glucose solution containing 25 g glucose ($g_2$), 25 g L. buchneri suspension intended for $10^6$ cfu $g^{-1}$ (L.b.), $g_1+L.b.$ and $g_2+L.b.$ All silos were stored in the dark at $20^{\circ}C$ until end of experiment. Jars were opened on duplicates at day 2, 7, 14, 28, 56 or triplicates at day 91 after ensiling for measuring the pH, microbiological enumeration and fermentative products. Results indicated that acidification rates for all silages were very fast, no difference occurred among treatments before day 28. After day 28 the pH values for silages inoculated by L. buchneri. with or without sugar tended to increase especially for treated only with L. buchneri, resulting in higher (p<0.01) finial pH than uninoculated silages. Compared with control silage, the added sugar significantly (p<0.01) increased dry matter (DM) loss, L. buchneri enhanced (p<0.01) DM loss further at different sugar existence. Silages inoculated by L. buchneri only or in combination with sugar addition contained less (p<0.01) lactic acid than the correspondent silages without inoculation with L. buchneri. In comparison with control, ethanol production is about 3 or 6 fold higher due to addition 12.5 or 25 g glucose per kg chopped maize at ensiling. The added sugar resulted in less acetic acid concentration (p<0.01) than control, but inoculation with L. buchneri increased (p<0.01) acetic acid than correspondent uninoculated silages at different sugar levels. No butyric acid and propionic acid were found in uninoculted silages, silages inoculated with L. buchneri. produced more propionic acid, 1-propanol and butyric acid. Lactobacilli counts were not influenced by added sugar, but increased (p<0.01) with inoculation of L. buchneri. The added sugar increased significantly (p<0.01) the yeast count, whereas L. buchneri showed the contrary effect.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erobic stability among all treatments. In conclusions, 1) the added sugars encourage the growth of yeast and yeasts convert extra sugar into ethanol in maize silages. 2) The added sugars and L. buchneri do not influence the aerobic stability of silages stored in anaerobic silos.

Dynamics of Early Fermentation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Silage

  • Shao, Tao;Ohba, N.;Shimojo, M.;Masuda, 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1호
    • /
    • pp.1606-1610
    • /
    • 2002
  • The dynamics of fermentation were studied with Italian ryegrass ensiled in the laboratory silos. The silos were kept in the room set at 25$^{\circ}C$, and then were opened on 0.5, 1, 2, 3, 5, 7 and 14 days after ensiling, respectively. The samples were taken from three silos at each sampling time for chemical analyses. Mono-and disaccharides composition was determined for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Italian ryegrass silage succeeded to achieve lactate type fermentation; high values of lactic acid (85.83 g/kg) and lactic acid/acetic acid at the end of ensiling (14 day), low values of pH (3.74), acetic acid (5.38 g/kg), ethanol (19.20 g/kg) and $NH_3-N/Total\;N$ (75.84 g/kg), no or only small amounts of butyric acid, valeric acid and propionic acid. The fermentation dynamics showed a fast and large pH decrease caused by a fast and large production of lactic acid during the first 5 days. Mono-and disaccharides composition largely decreased within initial 0.5 day (12 h) of ensiling. Sucrose disappeared rapidly within initial 0.5 day of ensiling, and fructose and glucose contents showed an initial rise during ensiling,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These indicated that the enzymes of plant tissue were active within 2 days of ensiling, which caused the initial rise in fructose and glucose from the hydrolysis of sucrose and fructans. After 5 days of ensilage, glucose was consumed completely, suggesting that glucose was the first fermentation substrate. After 2 days of ensiling, sum amounts of lactic acid and remaining mono-and disaccharides proved to be larger than the quantity of mono-and disaccharides in the initial grass. From the facts mentioned above, it was suggested that considerable amounts of lactic acid were produced from some other substrate such as fructans than initial mono-and disaccharides.

잉여슬러지의 오존분해에 따른 VFA의 생성 및 인 방출을 위한 탄소원으로의 재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Ozone Treatment of Wasting Activated Sludge for VFA Production and Reuse as Carbon Source for Phosphorus Release)

  • 고은택;조진우;박은영;안규홍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052-105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오존분해 된 슬러지를 인 방출을 위한 외부 탄소원으로 사용하기 적절한지 평가하기 위하여 오존 주입량 변화에 따라 오존분해된 슬러지의 성상변화와 함께 인 방출 실험 및 VFA(Volatile Fatty Acid) 생성량을 살펴보았다. 슬러지를 오존 주입량 0.5 g $O_3/g$ SS로 분해했을 경우 TCOD(Total Chemical Oxygen Demand)와 TSS(Total Suspended Solid)는 오존분해 전 7050, 4900 mg/L에서 5850, 2867 mg/L로 각각 17, 41% 감소하였다. 또한, pH는 6.6에서 3.8로 감소하였고, SCOD(Soluble Chemical Oxygen Demand)는 38.7 mg/L에서 2760 mg/L로 약 70배 증가함을 보였다. 오존 분해에 의해 acetic acid와 같은 VFA도 새로이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Acetic acid의 경우 0.05 g $O_3/g$ SS로 분해된 슬러지에서 50.24 mg/L가 생성되었으며, 0.5 g $O_3/g$ SS로 분해된 슬러지의 경우는 123.56 mg/L로 증가되었다. 그러나 혐기성 소화에 의한 VFA의 증가량은 0.05 g $O_3/g$ SS로 분해된 슬러지에서 Acetic acid가 50.24 mg/L에서 219.28 mg/L로 가장 많이 증가되었다. 또한 낮은 오존 주입량(0.05, 01 g $O_3/g$ SS)으로 분해된 슬러지에서 관찰되지 않았던 Propionic acid는 46 mg/L가 새로이 증가하였다. 그 외 혐기성 소화로 인해 n-Butyric Acid, Propionic Acid, n-Butyric Acid, Isovaleric Acid, Valleric Acid의 농도도 증가하였다. 오존 주입량에 따라 SCOD, VFA의 농도는 증가하지만 인 방출 속도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적정 오존 주입 농도는 0.05-0.1 g $O_3/g$ SS로 조사되었다.

NUTRITIVE VALUE OF SILAGES PREPARED FROM FIBER AND LIQUID RESIDUES AFTER THE SEPARATION OF LEAF NUTRIENT CONCENTRATE FROM ITALIAN RYEGRASS IN GOATS

  • Reddy, G.U.;Oshima, M.;Nishino, 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5권2호
    • /
    • pp.249-256
    • /
    • 1992
  •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was fractionated into leaf nutrient concentrate, fiber and deproteinised juice (DPJ). The fresh and fermented DPJs were concentrated and referred to as fresh deproteinised juice concentrate (FDPJC) and fermented deprotenised juice concentrate (FMTD DPJC). The FDPJC and FMTD DPJC were separately mixed with dried fiber and ensiled. Wilted crop silage and fresh fiber silage were also prepared from the same material crop. The nutritive value of these four silages were compared using four goats by $4{\times}4$ Latin square design. Green crop fractionation resulted lesser amount of crude protein and ash, and higher amount of neurtal detergent fiber, acid detergent fiber, cellulose and hemicellulose in fresh fiber. The pH of fresh fiber silage wa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silages. Addition of FDPJC or FMTD DPJC to the dried fiber at ensiling did not improve the silage qualities; but all the silages were satisfactorily preserved. Goats fed these silages showed similar ruminal pH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s. But addition of FMTD DPJC was effective on increasing ruminal acetic acid concentration reducing propionic acid concentration. Ruminal n- and iso- butyric acid concentrations were proportional to that of propionic acid. High ammonia content of the silage containing FMTD DPJC was reflected to the ruminal ammonia concentration, urinary nitrogen excretion and serum urea level of goats. Inclusion of FDPJC or FMTD DPJC added 15 to 25% dry matter to the fiber silages with a little reduction in the digestibilities of most components of the silages.

Relationship Linking Dietary Quercetin and Roughage to Concentrate Ratio in Feed Utilization, Ruminal Fermentation Traits and Immune Responses in Korean Indigenous Goats

  • Cho, Chi Hyun;Yang, Byung Mo;Park, No Seong;Lee, Hyung Suk;Song, Minho;Yi, Young Joo;Heo, Jung Min;Wickramasuriya, Samiru Sudharaka;Cho, Hyun Min;Lee, Soo Kee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18
    • /
    • 2017
  • A total of nine Korean indigenous goats were used in a cross-over arrangement to give nine replicates per treatment, and they were housed individually assigned to 1 of 9 dietary treatments. Nine treatments were 0, 500, and 1000 ppm of quercetin supplementation in diets by mixing roughage and concentrate with different ratios (RC ratio) of 3:7 (RC 30), 5:5 (RC 50) and 7:3 (RC 70). Nutrient utilizations of dry matter, crude fat and NDF were not affected by neither RC ratio nor dietary quercetin (p>0.05), but the rate of crude protein and ADF increased in animals in RC 70 group regardless of quercetin supplementation (p<0.05). In addition, higher RC ratio increased (p<0.05) N retention and N retention rate. Total VFA, acetic acid, propionic acid, iso-butyric acid, butyric acid, iso-valeric acid and valeric acid contents were not affected (p>0.05) by dietary quercetin. Meanwhile, lower total cholesterol level exhibited in animals in RC 70 group compared to RC 30 or 50 groups, unrelated to dietary quercetin (p<0.05), however other plasma parameters were not influenced (p>0.05) by RC ratio and dietary quercetin. Our results indicated that both RC ratio and dietary quercetin may not directly affect the production indices and immune responses in Korean indigenous goat.

저식염 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9. 저식염 새우젓의 제조 및 풍미성분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9. Processing Conditions of Low Salt Fermented Small Shrimp and Its Flavor Components)

  • 이응호;안창범;오광수;이태헌;차용준;이근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59-468
    • /
    • 1986
  • 저식염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일련의 연구로서 식염의 일부를 염화칼륨으로 대체하고, 젖산, 솔비톨, 에틸알콜을 첨가하여 저식염새우젓을 담그어 식염 $20\%$인 재래식 새우젓과 숙성중 지방산조성의 변화, 정미성분 및 냄새성분등을 분석 비교하였다. 재래식 새우젓 $S_1$과 저식염새우젓 $S_2,\;S_3$ 모두 최적숙성기는 60일이었으며 최적숙성기 때의 관능검사결과로 보아 식염 $4\%$, KCl $4\%$, lactic acid $0.5\%$, sorbitol $6\%$ 및 고추가루추출물 $4\%$를 첨가하여 담근 저식염새우젓 $S_3$는 재래식 새우젓 $S_1$에 비해 손색이 없는 좋은 제품이었다. 생균수는 전 제품 모두 최적숙성기인 60일째에 가장 많았다. 숙성중 전 제품 모두 주된 구성지방산은 16:0, 20:5, 22:6, 16:1 및 18:1 등이었으며 숙성증 폴리엔산의 조성비는 약간씩 감소한 반면, 포화산은 다소 증가하였다. 폴리엔산의 감소정도는 저식염새우젓 $S_3$가 가장 적었으며 고추가루 추출물의 항산화성도 확인되었다. 최적숙성기인 60일째의 재래식 새우젓 $S_1$과 저식염새우젓 $S_3$의 정미성분의 주체는 유리아미노산이었고 betaine과 핵산 관련물질이 보조적 역할을 할 것으로 생긱되었다. 그리고 완숙기 때의 주된 유리아미노산은 제품 $S_1,\;S_3$ 모두 glutamic acid, leucine, prolinc, glycine, lysine 및 aspartic acid등이었다. 완숙기 때의 냄새성분중 휘발성지방산은 $S_1$에서는butyric acid가 $64.0\%$로써 특히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acetic acid의 순이었지만 저식염새우젓 $S_3$에서는 butyric acid, propionic acid 및 acetic acid의 순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6종이 동정된 휘발성카르보닐화합물중 제품 $S_1,\;S_3$ 모두2-methylpropanal이 약 $60\%$정도로써 특히 많았고 다음으로 S-methylbutanal과 pentanal의 순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한편, 휘발성아민은 제품 $S_1,\;S_3$ 모두 trimethylamine이 주체를 이루고 있었다.

  • PDF

홍삼(紅蔘)의 갈변(褐變)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Browning of Red Ginseng)

  • 김동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6권2호
    • /
    • pp.60-77
    • /
    • 1973
  • 홍삼(紅蔘)의 갈변(褐變)에 관(關)한 연구(硏究)를 하기 위(爲)하여 이의 갈변(褐變)을 비효소적(非酵素的) 갈변(褐變)으로 단정(斷定)하고 어떤 성분(成分)의 작용(作用)으로 일어나는 갈변(褐變)인가를 추구(追究)하고저 수삼(水蔘), 증삼(蒸蔘), 자연건조홍삼(自然乾燥紅蓼), 인공건조홍삼(人工乾燥紅蔘), 인공건조시(人工乾燥時) 갈변촉진홍삼(褐變促進經蔘)으로 구분(區分)하여 이들의 성분중(成分中) 갈변(褐變)에 관여(關與)하는 화학성분(化學成分)들의 소장(消長)을 정량적(定量的)으로 분석대조(分析對照)하였고 홍삼(紅蔘)의 인공건조시(人工乾燥時) 갈변촉진(褐變促進)에 관(關)한 연구(硏究)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일반성분(一般成分)은 대체(大體)로 시험구간(試驗區間)에 별차이(別差異)가 없었으며 총당(總糖)과 환원당(還元塘)은 조금 감소(減少)하고 총산(總酸)은 홍삼류(紅蔘類)가 조금 높았고 수추출물(水抽出物)은 홍삼구(紅蔘區)들이 $6{\sim}7%$ 낮았다. 2. 유리(遊離)amino산(酸)으로 Asp., Thr., Ser., Glu., Gly., Ala., Val., Cys., Met., Ileu., Leu., Tyr., Phe., Lys., His.. Arg.의 16종(種)이 검출(檢出) 확인(確認)되었으며 Arg.이 뛰어나게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고 필수(必須) amino산(酸)이 모두 함유(含有)되며 일반적(一般的)으로 건조중(乾燥中)에 감소(減少)되고 자연건조구(自然乾燥區)가 인공건조구(人工乾燥區) 보다 많은 감소율(減少率)을 보였다. 3. 유리당(遊離糖)으로 fructose, glucose, sucrose의 3종(種)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고 미확인성분(未確認成分) 4종(種)을 분리(分離)하였으며 함량(含量)에서는 sucrose가 80%이고 홍삼구(紅蔘區)들이 일반적(一般的)으로 함량(含量)이 적었으며 자연건조구(自然乾燥區)가 인공건조구(人工乾燥區) 보다 많은 감소율(減少率)을 보였으며 특(特)히 환원당(還元糖)이 많은 감소(減少)를 보였다. 4. Vitamin C는 증삼시(蒸蔘時)에 거이 파괴(破壞)되고 건조중(乾燥中)에는 별(別)로 변화(變化)가 없었다. 5. 휘발성산(揮發性酸)으로 acetic acid, propionic acid, acrylic acid, iso-butyric acid, n-butyric acid, iso-valeric acid, n-valeric acid, n-caproic acid, iso-heptylicacid, n-heptylic acid 등(等) 11종(種)과 미확인성분(未確認成分) 1종(種)이 검출(檢出) 확인(確認)되었으며 증자시(蒸煮時)에 일부(一部) 휘발감소(揮發減少)를 보였으나 건조중(乾燥中)에는 일반적(一般的)으로 증가(增加)를 보였다. 6. 비휘발성산(非揮發性酸)으로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alpha}-ketoglutaric$ acid, pyruvic acid, glutaric acid 등(等) 6종(種)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으며 비휘발성산(非揮發性酸)은 건조중(乾燥中) 감소(減少)되어 홍삼구(紅蔘區)들이 함량(含量)이 적으나 succinic acid만은 증가(增加)하였다. 7. Polyphenol 류(類)로 3-caffeyl quinic acid, 4-caffeyl quinic acid, 5-caffeyl quinic acid의 3종(種)과 미확인성분(未確認成分) 1종(種)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으며 polyphenol은 건조중(乾燥中) 많은 감소(減少)가 있었으며 특(特)히 자연건조구(自然乾燥區)에서 많은 감소(減少)가 있었다. 8. 홍삼(紅蔘)들의 갈색도(褐色度)는 갈변촉진구(褐變促進區)가 가장 짙고 다음이 자연건조구(自然乾燥區)이며 인삼건조구(人工乾燥區)가 가장 약(弱)한 갈색(褐色)이였다. 9.홍삼제조시(紅蔘製造時) 성분(成分)의 감소량(減少量)이 많은 것은 amino산(酸) 당류(糖類) 및 polyphenol이며 또 이들의 감소량(減少量)에 따라 홍삼(紅蔘)의 갈색(褐色)에 차(差)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 홍삼(紅蔘)의 갈변(褐變)은 주(主)로 amino-carbonyl반응(反應)카 polyphenol의 자동산화(自動酸化)에 의(依)한 비효소적(非酵素的) 갈변(褐變)임이 확실(確實)하며 따라서 이들 반응(反應)을 조정(調整)하면 단시간건조(短時間乾燥)하는 인공건조시(人工乾燥時)에도 자연건조시(自然乾燥時)와 같은 갈색도(褐色度)의 홍삼(紅蔘)을 만들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제조방법에 따른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 잎차의 성분변화 (Changes on the Components of Lindera obtusiloba BL. Leaf Teas by Manufacturing Process)

  • 황경아;김광수;김남우;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88-492
    • /
    • 200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자생하고 있는 생강나무잎을 식품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식품으로 이용하고자 여러가지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차의 환원당, 유리당 및 아미노산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강나무잎차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4종의 유리당이 동정되었으며, 덖음차에서 유리당 함량이 가장 높았다.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sparagine, glycine 등이 대체로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덖음처리한 생강나무잎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111.6 mg/100g(덖음차), 101.5 mg/100g(찐후덖음차)로 가장 높았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는 phosphoserine, $\alpha$-aminobtyric acid, $\beta$-aminobutyric acid, anserine 등은 함량이 높았으며, 제조방법에 따른 뚜렷한 변화는 없었다.

BNR 효율개선을 위한 산 발효조 최적운전 조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 of Acid Fermenter for the BNR Performance Improvement)

  • 김효상;박종운;서정원;박철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87-595
    • /
    • 2000
  • 국내 하수처리장에 적용되는 BNR(Biological Nutrients Removal) 공정의 효율저하 원인은 유입원수의 낮은 C/N비와 탄소 (Carbon source) 부족이 가장 큰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탄소원의 효율적인 공급을 위해 1차 슬러지 산 발효조(Acid fermenter)를 이용하여 SCFAs(Short-Chain Fatty Acids) 생성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ide-stream의 산 발효조와 조합된 $A_2/O$ 프로세스를 운전하여 영양염류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산 발효조의 최대 SCFAs생성은 중온상의 SRT 4~5일에서 약 3.000mg/L(as COD), 대략 0.10~0.16 mg SCFA(as COD)/mg 1차 슬러지(as COD)로 나타났다. 또한 생성된 SCFAs의 성상비는 Acetic, Propionic, (iso)Butyric 및 (iso)Valeric이 1, 0.7, 0.5 그리고 0.6 순으로 나타났다. BNR공정의 side-stream 산 발효조 적용에 의한 영양염류 제거효율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N은 인공하수(R1)의 경우 35% 정도의 낮은 처리효율을 나타냈으나 인공 SCFA 주입(R2) 및 발효산물 투입(R3)의 경우 제거효율 74%, 76%로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hosphate 는 R1의 경우 45% 의 처리효율을 나타냈으나 R2, R3의 경우 73~74% 정도로 양호한 처리효율을 나타냈다. 이는 발효산물 및 SCFA 주입에 의해 혐기조에서 인의 방출 및 호기조에서 과잉섭취가 잘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R3의 경우 인의 방출율은 $0.34g\;PO_4-P/g$ COD로 기존 연구와 비교해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