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beria'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36초

기후변화를 고려한 잣나무의 미래 적지적수 변화 예측 (Anticipation of the Future Suitable Cultivation Areas for Korean Pines in Korean Peninsula with Climate Change)

  • 최재용;이상훈;이상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3-113
    • /
    • 2015
  • Korean pines(Pinus koraiensis) are one of the major plantation spe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ir natural habitats range from Japan and China to Siberia. The seed of Korean pines, pine nuts, are well know for good food reserves. Due to the global changes which drive the Korean peninsula into the semi-tropical climate, current plantations and natural habitats of Korean pines are faced with the change i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to some extent. To anticipate suitable sites for Korean pines in the future, the location of Korean pines were extracted from the 'Map of suitable trees on a site' that provides the map of suitable trees on a site considering tree species for timber and special uses, and then MaxEnt modelling was used for generating a prediction map on the basis of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the order of predicted suitable sites were Kangwon-do, Kyungsangbuk-do and Chungcheongbuk-do provinces and sites with high elevation within those provinces were considered most suitable in common. The prediction map of suitable sites for Korean pines presented that suitable sites in the future decreased by 72.2% by 2050's and almost disappeared with a decrease of 92.1% by 2070's on a nationwide scale. In relation to the major production regions of pine nuts in South Korea - Gapyung gun and Yangpyung gun, Kyunggi province and Hongcheon gun, Kangwon province, suitable sites within their areas were predicted to increase by 2050's but become extinct in South Korea by 2070's. To establish a long-term countermeasures against the improvement on forest productivity quality in terms of managing national food security, the result from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a firm basis of predicting plantation suitability. Also, it can be used to predict the changes in supply of forest products and thereby market values in accordance with climate change scenarios.

2010/11년 겨울의 동아시아 한랭 아노말리와 블로킹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the East-Asian Cold Anomalies in Winter of 2010/11 and Blocking)

  • 최우갑;김영아
    • 대기
    • /
    • 제26권1호
    • /
    • pp.193-201
    • /
    • 2016
  • An anomalous cold-weather period occurred during January 2011 in East Asia, a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vent by focusing on the blocking phenomena formed at Northeastern Asia. The area of cold weather is determined to represent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abnormal cold temperature. The 2010/11 winter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P1, P2 (cold period), and P3. For the cold area ($30-50^{\circ}N$, $115-135^{\circ}E$) the corresponding cold period P2 is determined to be 39 days from 23 December 2010 through 30 January 2011. During P1 and P3 temperature anomalies from the climatological mean are small with large standard deviation compared to those of P2, which has large negative anomaly and small standard deviation. The period P2 is dominated by blocking, which was determined by distributions of 500-hPa geopotential height and potential temperature on the 2 PVU surface. Correlation-coefficient analyses show that during P2 the temperature in the cold area is related with pressure of Northeastern Asia, while the temperature during P1 and P3 is related with pressure of Northwest of Korea. Also, during P1 and P3 the temperature pattern shows eastward propagation, but during P2, a stationary pattern. All the observations imply that, during the cold period P2, the temperature in the cold area is related with blocking in Northeastern Asia. During P1 and P3 temperature pattern is related with 500-hPa geopotential height in Siberia, and this relationship is also observed in the climatological mean state.

Distribution of the 9-bp Deletion in Coll/$tRNA^{Lys}$ Intergenic Region of Mitochondrial DNA is Relatively Homogeneous in East Asian Populations

  • 홍성수;;이충추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2호
    • /
    • pp.259-267
    • /
    • 1998
  • A deletion of one out of the two copies of 9-bp repeat sequence (CCCCCTCTA), between the cytochrome oxidase II and Iysine tranfer RNA (COII/$tRNA^{Lys}$) genes in human mitochondrial DNA (mtDNA) has been used as a polymorphic anthropological marker for people of east Asian origin, and to lesser extent, Pacific and African populations. We searched for the 9-bp deletion of the intergenic COII/$tRNA^{Lys}$ Lys region in two Korean populations (175 from Seoul and 38 from Cheju) and examine the distibution of this deletion in world populations. The 9-bp deletion was detected directly by electrophoresis of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amplified nucleotide(nt) 8211-8310 mtDNA fragment. The frequencies of the 9-bp dele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eoul (16%) and Cheju (8%) populations. Examination of data from the world populations suggests a geographic gradient. The frequency reaches its highest values in some Pacific island populations and decreases along the southeast Asia-Siberia transect. In spite of this geographic gradient, Mongoloid populations including Korean, Chinese, Japanese, and Mongolian populations were relatively homo-geneous with regard to the 9-bp deletion type of the intergenic COII/$tRNA^{Lys}$ region. These results indicate Koreans are genetically related to northeast Asian populations, and have a maternal mongoloid ancestry. Therefore, the 9-bp deletion of the intergenic COII/$tRNA^{Lys}$ region will provide significant information to elucidate the historical patterns of migration of the Mongoloids.

  • PDF

극한지 동상융기에 의한 가스배관과 토양의 응력 및 변위 해석 (Stress and Displacement Analysis of Arctic Frostheave with Gas Pipeline using Finite Element Method)

  • 김경일;염규정;오규환;김우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7-53
    • /
    • 2015
  • 최근 극한지 자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세계 각국에서 자원을 개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대한민국도 이러한 정세에 맞춰 비교적 가까운 시베리아의 천연가스자원을 개발하기 위한 러시아와의 협상도 이루어진 상태이다. 그러나 극한지 에너지자원 개발 및 운송을 위해서는 국내환경과 상이한 극한지 건설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극한지 가스배관의 경우 극저온의 환경에 따라 국내에서 볼 수 없는 외부환경중 하나인 동상융기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이에 맞는 새로운 유한요소해석모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활용하여 극한지 가스배관과 동상융기를 모델링하였다. 또한 이 모델에 극한지의 온도에 따른 토양 및 배관의 물성을 부가하고 frozen bulb의 영향을 실제 환경과 비교하여 해석을 진행하였으며, mohr-coulomb이론을 적용하여 동상융기에 따른 배관과 토양이 받는 응력 및 변위를 출력하여 분석하였다.

극한지 활동층 변화에 따른 천연가스배관의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Gas Pipelines Depend on the Arctic of Active Region)

  • 염규정;김경일;김영표;오규환;김우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2-77
    • /
    • 2014
  • 우리나라는 영구 동토지역이 존재하지 않는 기후적 특성으로 인해 건설수요가 없었지만, 최근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인하여 화석연료의 사용 보다 극한지 지역의 에너지 확보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극한지 지역에서 사용하고 있지 못한 에너지 자원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알레스카 및 시베리아의 천연가스의 개발이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극한지 지역에서 필요한 배관 설계 기술은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천연가스와 전혀 다른 환경에서 운용될 것이 예상되며, 이에 따른 설계 기초 자료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극한지 환경에서의 토양 물성에 따라 배관에 미치는 영향 분석이 필요하다. 현재 배관의 설계는 응력 기반으로 설계되어있지만 추후 변위를 기초하는 설계법이 필요하며, 우선적으로 이를 위한 영구동토층 및 활동층에 대한 영향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Thermal elasto-plastic analysis를 통해 활동층의 영향에 따른 배관의 응력 및 변위 측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하계 고랭지에서 종구 생산시 재배형태와 차광에 따른 오리엔탈나리의 생육 특성 (Effect of Cultivation Type and Shading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Lilium Oriental Hybrids Grown for Seed Bulbs in Highland in Summer)

  • 조우석;박유경;정병룡
    • 화훼연구
    • /
    • 제19권1호
    • /
    • pp.1-7
    • /
    • 2011
  • 본 연구는 나리 하계 고온기 고품질 절화생산 및 경영비 절감을 위한 도입 소구의 비대증식에 유리한 환경조건을 찾아내기 위해 수행하였다. 종구비 절감을 위해 소구를 도입하여 양구하는데 효과적인 환경조건을 찾아내고자 재배형태를 비가림, 망실, 무피복으로 나누고 다시 절화 재배시 많이 사용하는 30% 차광처리와 무처리로 구분하여 시험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비가림 재배가 우수하였고 차광의 효과도 다소 있었다. 특히 양구에 있어서는 대관령 등의 고랭지에서 주간과 야간온도의 차이가 커서 동화산물의 전류 및 축적이 많아 평지에 비해 구비대가 유리하여 시비 및 관수방법에 따라 보통 3년 정도인 양구 기간을 단축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부록 1. 원개형동기의 앞뒷면 - 그 사용법에 관하여 - (A Study of Disk-Shaped Bronze Implements)

  • 시미즈 야스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9권
    • /
    • pp.281-314
    • /
    • 2006
  • Several explanations exist about the usage of disk-shaped bronze implements in the ancient society. Some argue that they were used as mirrors, others suggest percussion instruments, and still others bronze ornaments. Differences between disk-shaped bronze implements and mirrors with multiple knobs are that the former have no visible design, only one handle, and a sharp curvature unlike the latter with smooth curvature. The question is whether disk-shaped bronze implements excavated from Korean peninsula have any light reflecting function. To answer this question, I carefully studied the concave surfaces of disk-shaped bronze implements excavated from Goejeong-dong, Tongso-ri and Hapsong-ri sit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concave sides of the disk-shaped bronze implements excavated from Goejeong-dong and Tongso-ri sites were highly polished, and they were as reflective as bronze mirrors. (2) The concave side of the disk-shaped bronze implement from Hapsong-ri site was unpolished, and it was different from bronze mirrors. (3) As for the convex sides of the disk-shaped bronze implements, they did not appear to have been polished with care. Considering the above findings, the disk-shaped bronze implements excavated from Goejeong-dong and Tongso-ri sites belong to the stage where they could act as both mirrors and instruments. On the contrary, the disk-shaped bronze implement from Hapsong-ri site can belong to the stage where it lost the function of being a mirror as the result of maintaining only its function as an instrument. Even though disk-shaped implements had two functions,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light reflecting function expanded the role of a mirror with multiple knobs and the sound function helped the engraved round bronze implement to be converted into an eight-armed bronze rattle. Since it has been reported that shamans used bronze mirrors as percussion instruments in their performances in Korean peninsula and Siberia, I propose a reconsideration of the usage of mirrors in the ancient East Asia. Although the essential function of a mirror is to reflect light, other possible usages involving important functions need to be further investigated.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 접근을 통한 시베리아 샤먼복식의 해석 (Interpretation of Siberian shaman costume through Roland Barthes's semiotics approach)

  • 유수;권미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6호
    • /
    • pp.858-874
    • /
    • 2020
  •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of the ethnic groups to which different types of shamans belong in Siberia from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lothing through Roland Barthes's semiotic theory. The research method here is to analyze three types of shaman costume classified by Holmberg, which are bird-type, deer-type, and bear-type,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nd to investigate the analysis process of Roland Barthes's semiotics theory. Roland Barthes's approach to semiotics presents an analysis model that can explore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the Siberian shaman costum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first type, to be closer to the god of the upperworld, shamans transform themselves into birds by decorating their costumes with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birds such as feathers and wings. In the second type, the shamans' costumes are made of deerskin, and the headdress is shown in the shape of antlers to make it easier to receive messages from the upperworld and run fast in the underworld. In the third type, the shaman's costume is made of bearskin, the head is covered with bearskin, and the body is decorated with bear pendants. Through the power of the bear, the shaman is sent to the underworld to defeat evil gods and remove diseases. Shamans can show their particularity of being a demigod and non-binary gender through clothing. They use this to reflect their authority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between man and god.

오리엔탈 나리 '시베리아' 절화의 포장내 건식저장 기간별 수분함량과 품질 변화 (Changes in Moisture Content and Quality of Oriental Hybrid Lily (Lilium oriental cv. Siberia) Cut Flowers during Storage at Cold and Dry Condition and Subsequent Exposure to Ambient Temperature)

  • 이정수;이주희;강윤임;최지원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7-36
    • /
    • 2017
  • 오리엔탈 나리 '시베리아'의 건식저장 기간에 따른 절화 보존 시 수분함량 변화와 절화수명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 저장 기간에 따라 저온 저장($5^{\circ}C$)을 한 다음 절화수명에 관계된 수분 및 품질 변화와 개화 정도를 검토하여 '시베리아' 나리의 절화 수확 후 관리 기술에 관계된 기본적인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시베리아' 나리를 채화하여 저온에서 건식저장 기간에 따라 3일, 6일, 12일한 후 절화보존 동안에 생체중 변화, 수분균형, 개화정도 등을 조사하였으며 대조구로서 상온 건식저장과 비교하였다. 저온 건식저장 후에 '시베리아' 나리의 수분함량은 건식저장 기간에 영향을 받아 저장하는 기간이 짧을수록 높아져 저장 3일이 다른 처리구보다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꽃의 수분함량은 절화보존 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 저장 기간이 짧을수록 수분이 높게 유지되었다. 생체중 변화는 건식저장 기간에 영향을 받아 저장 기간이 짧았던 것에서 생체중의 증가 정도가 컸으며 음(-)의 값에 이르는 기간이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절화보존 시 생체중 변화는 저온 건식저장 3일이 생체중 증가 정도가 완만하게 변하며 수분균형도 8일째에 음(-)의 값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저장 온도 차이에 따른 생체중 변화는 상온에서 저장한 절화가 저온저장보다 증감 정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개화정도는 '시베리아' 나리의 건식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개화시기가 빨라지며, 절화가 빨리 시들어 상품으로써 유지 기간이 짧아졌다. 개화상태를 비교해 보면 3일 저온 건식저장이 다른 처리보다 개화하는 속도가 늦었으나 절화수명은 다른 처리구보다 길게 나타났다. '시베리아' 나리의 저온 건식저장은 저장 기간이 짧을수록 저장 후 수분함량이 높고 수분 균형값이 음(-)에 늦게 도달하였으며 개화상태가 좋고 절화수명도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베리아' 나리는 건식저장을 통한 작물체내 수분 함량 감소가 절화보존 시 개화 특성에도 영향을 미쳐 저장기간이 길수록 절화수명이 감소하여 상품 가치를 떨어뜨렸다. '시베리아' 나리 절화를 소비자가 이용 시, 상품 가치 유지를 위해서는 기존 결과의 6일 동안 저온 건식저장도 절화수명을 단축시키므로 저장 기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절화 품질 유지를 위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한반도 출토 결상이식(玦狀耳飾) 소고 (A Study on the Slit Jade Earring Excavated in the Korean Peninsula)

  • 임승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4호
    • /
    • pp.4-21
    • /
    • 2012
  • 한반도를 비롯한 중국, 일본, 러시아 등 동북아시아에서는 신석기시대 조 전기부터 결상이식, 비상수식(匕狀垂飾), 관옥(管玉) 등 장식용 옥기가 출토되고 있으며 이중 결상이식(?狀耳飾)은 이들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출토되고 있다. 각 지역에서 출토되고 있는 결상이식은 비록 세부적인 외형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대체로 모두 환형(環形)의 고리에 중간에 절개부분(절구(缺口))이 있는 것이 특징으로, 고고학적 출토위치나 형태상으로 판단할 때 이식(耳飾)의 기능을 했을 것으로 판단되어 결상이식으로 칭하여지는 유물이다. 신석기시대 결상이식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지역은 중국 동북지역 및 장강(長江) 이남지역, 일본열도 등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동아시아 신석기시대 조 전기 문화의 특징을 보이고 있는 결상이식은 한반도에서 출토된 예가 많지 않아 지금까지 보고된 수는 모두 8건에 해당한다. 특히 2000년대까지는 그 출토 위치가 정확한 결상이식은 그 보고사례가 전무하며, 지표채집이나 시굴조사 등을 통해 출토된 3건이 전해져 왔을 뿐이다. 그러나 최근 2000년대에 들어와 그 발견 예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00년대 이후 발견된 5건은 모두 정식 발굴조사를 통해 그 출토위치나 사용 시대를 가늠할 수 있다. 이들의 출토 정황으로 판단해 볼 때, 한반도 출토 결상이식은 신석기시대 조기~전기 사이 석부(石斧)와 공반출토된다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 출토량이 많지 않은 것으로 보아 신석기시대 당시 특수한 역할을 했던 일부 사람들만이 향유할 수 있었던 유물로 판단된다. 한편 지금까지 발견된 결상이식은 주변지역으로부터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남해의 경우는 일본열도와, 동해의 경우에는 중국 동북지역이나 러시아 연해주지역과의 연관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한반도에서 출토되고 있는 결상이식은 주변국인 중국과 일본에 비해 그 수적인 면에서 볼 때 극히 적은 수에 해당하며, 이에 대한 국내 연구도 거의 진행된 바가 없었다. 현재까지 한반도 내 신석기유적에 대한 발굴조사 및 연구가 다른 시기에 비해 충분하고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더 많은 조사와 연구를 통해 결상이식에 대한 충분한 자료 확보도 기대해 봐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