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itaka' cultivar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3초

Confirmation of Parentage of the Pear Cultivar 'Niitaka' (Pyrus pyrifolia) Based on Self-incompatibility Haplotypes and Genotyping with SSR Markers

  • Kim, Hoy-Taek;Nou, Ill-Sup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3호
    • /
    • pp.453-460
    • /
    • 2016
  • The parentage of the horticulturally important pear cultivar 'Niitaka' was confirmed by determining its S-genotypes based on the S-RNase and $PpSFBB^{-{\gamma}}$ genes, and genotyping using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s. Previous reports suggested that the cultivars 'Amanogawa' and 'Imamuraaki' were the parents of 'Niitaka', although the cultivars 'Chojuro' and 'Shinchu' were also examined as candidate parents, along with two other cultivars. In the present study, the S-genotype of 'Niitaka' was determined to be $S^3S^9$. The $S^9$-RNase of 'Niitaka' was found to be likely inherited from the parent 'Amanogawa' ($S^1S^9$) and the $S^3$-RNase from 'Chojuro' ($S^3S^5$) or 'Shinchu' ($S^3S^5$). Based on the S-genotypes, the cultivar 'Imamuraaki' ($S^1S^6$) had no contribution to the parentage of 'Niitaka' ($S^3S^9$). A total of 67 polymorphic SSR markers were used to further confirm the parentage of 'Niitaka'. Discrepancies were found at several SSR loci between 'Niitaka' and the cultivars 'Imamuraaki' and 'Shinchu', whereas 'Niitaka' inherited alleles from 'Amanogawa' and 'Chojuro' at all SSR loci. Therefore, our findings established that 'Amanogawa' and 'Chojuro' are the parents of pear cultivar 'Niitaka', and not 'Imamuraaki' as previously reported.

'한아름', '만풍배' 및 '신고' 배의 성숙 기간 중 과실특성 및 세포벽 관련물질의 변화 (Changes of Fruit Characteristics and Cell Wall Component during Maturation and Ripening in Asian Pear 'Hanareum', 'Manpungbae', and 'Niitaka' (Pyrus pyrifolia Nakai))

  • 부티킴완;이욱용;최진호;이한찬;천종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4호
    • /
    • pp.345-356
    • /
    • 2012
  • 본 실험에서는 국내에서 육성한 조생종 '한아름'과 중생종 '만풍배'를 '신고' 품종과 대조하여 과실생장 기간 중의 과실 품질요인의 변화 및 세포벽 구성물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세 품종 모두 생육기간 중 과육의 경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과실성숙기의 경도는 '한아름', '만풍배' 및 '신고'에서 각각 29.4, 33.5 및 27.4N으로 나타났다. 세 품종 모두 성숙기에 에틸렌발생량이 매우 낮았는데 '한아름'에서만 성숙일에 $0.39{\mu}L{\cdot}L^{-1}$를 보였고 '만풍배'와 '신고'는 성숙일에 에틸렌이 측정되지 않았다. 세 품종의 가용성당은 과당이 우점하고 있었고, 과실의 성숙과 더불어 공통적으로 자당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세 품종에서 성숙기에 조사한 알코올불용성 물질(EIS)의 함량은 조생종인 '한아름'의 경우, $10.79mg{\cdot}g^{-1}$ FW로 '만풍배'의 12.72 및 '신고'의 $12.75mg{\cdot}g^{-1}$ FW에 비해 낮았다. 총가용성 펙틴은 '한아름'이 성숙기에 $81.05{\mu}g{\cdot}mg^{-1}$ EIS로 '만풍배'의 57.88 및 '신고'의 $61.81{\mu}g{\cdot}mg^{-1}$ EIS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수용성펙틴 분획의 분자량 변화는 과실발육 초기에 공통적으로 유의하였다. 4% KOH 가용성 hemicelluloses 함량은 '신고'에서 $28.05{\mu}g{\cdot}mg^{-1}$ EIS로 세 품종 중 유의하게 그 수준이 낮았고 과실 성숙에 따른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셀룰로오스 함량은 '한아름'의 경우 성숙기에 $408.00{\mu}g{\cdot}mg^{-1}$ EIS, '만풍배' 및 '신고' 는 각각 538.67 및 $612.33{\mu}g{\cdot}mg^{-1}$ EIS이었다. 세포벽 구성 중성당 함량은 품종에 관계없이 과실이 비대하고 성숙이 진행됨에 따라 그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아름'의 경우 우점 중성당인 arabinose 및 galactose 함량이 성숙기인 만개 후 127일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조생종인 '한아름'에서 성숙과 더불어 4% KOH 가용성 헤미셀룰로오스 및 xyloglucan의 분해가 유의하였고 '만풍배' 및 '신고'는 과실발육 초기에만 변화가 나타났다. Chelator 및 $Na_2CO_3$ 가용성펙틴과 24% KOH 가용성 헤미셀룰로오스 분획의 분자량 변화는 품종에 관계 없이 매우 제한적이었다.

신품종 배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new Asian pear cultivars)

  • 강귀훈;임순희;은종방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4호
    • /
    • pp.337-343
    • /
    • 2016
  • 배는 과즙이 풍부하고 단맛이 뛰어나 우리나라에서 가장 즐겨 먹는 과일 중의 하나이다. 현재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신고' 품종의 재배면적은 81.5 %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생과로 소비하고 있다. 이러한 단일 품종의 편중화로 배의 재배 면적의 13.3 %를 신품종으로 갱신하고 있다. 최근 신품종 등 다양한 배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커지고 있어 '신고' 품종에 대한 소비가 현저히 감소하고 있으며 그 수요는 증가하지 않는 실정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신품종 배들이 도입되고 있으며, 이들의 물리적, 화학적 및 생리활성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연구해 온 신품종 배들의 이화학적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Survey of Major Viruses in Commercial Nursery Trees of Major Pear Cultivars in Korea

  • Kim, Nam-Yeon;Lee, Hyo-Jeong;Kim, Na-Kyeong;Oh, Jonghee;Lee, Su-Heon;Kim, Hongsup;Moon, Jae Sun;Jeong, Rae-Dong
    • 식물병연구
    • /
    • 제25권1호
    • /
    • pp.43-47
    • /
    • 2019
  • Apple chlorotic leaf spot virus (ACLSV), Apple stem pitting virus (ASPV), Apple stem grooving virus (ASGV), and Apple scar skin viroid (ASSVd) are economically important viruses that infect pear tree species worldwide.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these viruses in Korea, we investigated infection degree of three viruses and one viroid for the commercial nursery trees of the pear cultivars, Niitaka, Chuwhang, Wonwhang, and Whasan in 2017 and 2018.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fection ratio of ACLSV, ASPV, ASGV, and ASSVd for the scion of pear cultivar Niitaka was 10%, 45%, 77%, and 50%, respectively. From the scion of pear cultivar Chuwhang, infection ratios of ASPV, ASGV, and ASSVd were found to be 70%, 50%, and 60%, respectively. From the scion of pear cultivar Whasan, infection ratios of ACLSV, ASPV, ASGV and ASSVd were found to be 40%, 60%, 93%, and 20%, respectively. From the root stock of pear cultivar Wonwhang, infection ratios of ACLSV, ASPV, ASGV, and ASSVd showed 28%, 57%, 100%, and 14%, respectively. ASGV had the highest recorded infection rate, and ACLSV was characterized by the lowest infection rate. The mixed infection ratio of Niitaka, Chuwhang, Whasan, and Wonwhang was 45%, 60%, 70%, and 85%, respectively.

배나무잎 이상반점증상에 관한 연구 - 2. 원인구명 - (Studies on the Pear Abnormal Leaf Spot Disease - 2. Identification of Causal Agent -)

  • 남기웅;김충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0-216
    • /
    • 1995
  • Alternaria spp.were predominantly isolated from the abnormal leaf spot lesions of pear cultivars Niitaka and Nijiiseiki. Alternaria isolates from the cultivar Niitaka were not pathogenic to both cultivars, but the isolates from the cultivar Nijiiseiki developed typical lesions of black leaf spots and were identified as A. kikuchiana. However, no typical abnormal leaf spot lesions were produced by the Alternaria isolates. Foliar spray of twelve different agrochemicals including lime sulfur,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s, with 7 times applications from April to July failed to reduced the disease development. Application of 17 different pesticides including fungicides, insecticides and herbicides currently used in pear orchards did not cause leaf injury similar to the abnormal leaf spot. Simulated acid rain of as low as pH 3.0 did not incite any leaf lesions alike the abnormal spot lesions. Mineral contents in the leaves of both cultivar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healthy leaves and those with abnormal leaf spots. When cuttings of pear tree were obtained in February from newly emerged twigs of the healthy or the diseased trees of Niitaka and planted in sand in the greenhouse, only those from the diseased trees developed typical leaf lesions of the abnormal spo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bnormal leaf spots are caused by unknown systemic agents in pear trees, rather than by Alternaria spp., chemical injury or acid rain.

  • PDF

화분매개곤충과 인공수분이 '신고' 배의 과실품질과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sect Pollination and Artificial Pollination on Fruit Quality and Economic Profit in the 'Niitaka' Pear (Pyrus pyrifolia Nakai))

  • 이경용;임순희;서호진;김선영;윤형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59-771
    • /
    • 2016
  • 꽃가루가 없는 '신고' 배에서 화분매개곤충의 수분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망실과 노지에서 꿀벌, 서양뒤영벌과 인공수분 간의 과총착과율과 수확물 특성을 비교하였다. 수분방법별 착과율을 조사한 결과, 망실에서는 인공수분이 77.1%로 서양뒤영벌보다 1.3배, 꿀벌보다 1.9배 높았다. 노지에서는 인공수분이 38.4%로 서양뒤영벌과 꿀벌보다 1.2배, 1.3배 높았다. 장소별로는 망실이 노지보다 1.3-2.2배 높은 과총착과율을 보여주었다. 화분매개곤충 별로는 서양뒤영벌이 꿀벌보다 같거나 1.5배 높은 과총착과율을 나타내었다. 수확물 특성을 조사한 결과, 인공수분이 과실 크기, 무게가 꿀벌보다 화분매개곤충보다 5-10% 정도 높고, 과형지수도 2-3%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성 분석결과, 인공수분 대비 순수익지수가 서양뒤영벌은 97.0%, 꿀벌은 93.1%로 나타났다. 따라서, 화분이 나오지 않는 '신고' 배에서 인공수분이 화분매개곤충보다 더 효과적이지만, 과실품질과 경제성을 고려할 때, 인공수분을 대체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Effect of different pollen sources on fruit characteristics and quality in 'Niitaka' pears (Pyrus pyrifolia Nakai)

  • Lee, Ug-Yong;Ahn, Young-Jik;Chun, Jong-Pil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1호
    • /
    • pp.23-29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hich pollen type could be an effective pollen source for self-incompatible 'Niitaka' pear (Pyrus pyrifolia Nakai), when different pollinizers were to be applied. The pollens of five different pears with similar flowering times were applied to bagged 'Niitaka' flowers grown in Cheonan city, Korea. Pollen types used were of different origins including Korean pears ('Wonhwang' and 'Chuhwangbae'), Japanese pears ('Chojuuro' and 'Okusankichi'), and Chinese pear ('Yali'). Results show that the amount of pollen produced by flowers of each cultivar was the largest in Korean pear 'Wonhwang' (234 g/100 flowers) and the smallest in Japanese pear 'Okusankichi' (126 g/100 flowers). A high proportion of large fruits (> 600 g), 71.4% of total production, was found in the fruits treated with 'Yali' pollen. However, these fruits showed an unfavorable external appearance. Based on individual fruit width differences, 'Chojuuro' treatment produced the smallest difference in fruit diameters (3.2 mm) and 'Yali' treatment' gave the largest (4.8 mm). Also, the difference in fruit length was the largest in 'Yali' (7.5 mm), which also produced the most uneven fruits among the pollinizers used. Meanwhile, the use of pollens of 'Wonhwang' and 'Chuhwangbae' improved productivity by increasing the fruit shape index and the ratio of bigger fruits in total production. Moreover, those pollens also decreased the development of lenticels on fruit skins which gave them a smoother appearance.

부드러운 육질이 매력적인 중생종 배 '신화' (Early Autumn Maturing Pear Cultivar 'Sinhwa' with Fascinating Very Soft Flesh)

  • 강삼석;김윤경;황해성;조광식;신일섭;원경호;최장전;김기홍;조지형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4호
    • /
    • pp.512-516
    • /
    • 2013
  • '신화' 품종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에서 1995년에 '화산'의 뛰어난 맛과 부드러운 육질의 과실특성과 꽃눈의 분화 및 유지성이 좋은 '신고'의 재배적 특성을 가져 재배가 용이한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신고'에 '화산'을 교배하였다. 2004년에 1차 선발하고 2009년에 최종선발 하였다. '신화'의 수세는 강하고, 수자는 반개장성으로 수체특성은 종자친인 '신고'와 유사하다. 특히 꽃눈이 많고, 유지성도 좋아 수체관리가 용이하다. 화기 특성에 있어서 '신화'의 개화기는 4월 11일로 종자친인 '신고'와 비슷하다. 또한 꽃가루도 적어 수분수로 2가지 이상의 품종을 재배해야 한다. '신화'는 검은무늬병(Alternaria kikuchiana)에 포장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검은별무늬병(Venturia nashicola)에 비교적 강하다. 수확기는 나주에서 9월 15일 전후로 화산보다 10일 빨리 수확할 수 있다. 과형은 편원형이며 과피색은 수확기에 황갈색이다. 평균과중 627g이고, 당도는 $13.0^{\circ}Brix$이다. 육질은 부드럽고 과즙이 풍부하여 식미가 우수하다. 상온에서 30일 보관이 가능하다.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and Phenolic Compounds in Asian Pear at Different Stages of Maturity

  • Zhang, Xian;Koo, Ja-Heon;Eun, Jong-B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44-50
    • /
    • 2006
  •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in peel, flesh, and core of three Asian pear cultivars, Hosui, Niitaka, and Chuwhangbae, were determined at different stages of maturity. Antioxidant properties of methanol extracts of peels at various fruit maturity stages were also evaluated. Total phenolic content decreased with maturity. Arbutin, chlorogenic acid, and epicatechin were major phenolic compounds in young fruits. Catechin, 4-hydroxymethyl benzoic acid, and caffeic acid were detected in peel and core of immature and mature pears. 2, 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were 16.30 and $15.73\;{\mu}g$ in peel of immature Hosui and Chuwhangbae pears, respectively, and $11.59\;{\mu}g$ in mature Niitaka pears,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maturity stage in the same cultivar. Inhibitory activities on lipid oxidation of methanol extracts of three cultivars at all maturity stages were similar to that of ${\alpha}$-tocopherol.

신고배 개화기 NaDCC 처리에 의한 검은별무늬병의 방제 (Control Effect of Sodium Dichloroisocyanurate for Pear Scab (Venturia nashicola) on Niitaka Pear during Flowering Period)

  • 남기웅;한미경;윤덕훈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47-357
    • /
    • 2014
  • 본 연구는 배 개화기에 염소계 살균제인 NaDCC(sodium dichloroisocyanurate)의 사용에 따른 배검은별무늬병의 방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건전한 배나무에 배검은 별무늬병원균인 Venturia nashicola의 분생포자를 접종하고 NaDCC를 농도별로 살포한 결과, 무처리에서 51.6% 발생한 반면에 NaDCC 처리시 750mg/L에서는 23.8%, 1,000mg/L에서는 26.2%로 발병억제 효과가 있었다. 원황 등 6개 품종을 대상으로 만개기에 NaDCC를 살포하여도 배꽃의 화분발아에는 피해가 없었다. 신고 배 포장에서 개화초기와 만개기로 구분하여 NaDCC를 살포한 결과 개화초기에 NaDCC를 단독 살포 처리시 98% 이상의 높은 수정율을 나타내어 가장 효과적인 살포시기로 판단되었다. 또한 신고 배 재배포장에서 NaDCC를 배검은별무늬병 방제 적기에 4회를 살포한 결과 NaDCC 750mg/L 이상의 농도로 처리시 발병과율은 0%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