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m'

검색결과 41,604건 처리시간 0.073초

카자흐스탄 듀셈바이지역의 퇴적분기형 연-아연 광화작용에 대한 잠재력 연구 (Potential Study for the Sedimentary Exhalative Pb-Zn Mineralization in Dyusembay Area, Kazakhstan)

  • 노상건;이승한;박기웅;정현국;윤지성;김선옥;박맹언
    • 자원환경지질
    • /
    • 제51권3호
    • /
    • pp.213-222
    • /
    • 2018
  • 카자흐스탄 듀셈바이지역에서 변성퇴적암을 모암으로 발달한 연-아연 광화대가 확인되었다. 이 광화대에서 채취된 암추시료의 암석학적 특징, 변질지수(Alteration Index) 및 광석의 산화-환원 민감도(Redox-sensitive)를 퇴적분기형(SEDEX-type) 광상과 대비하였다. 광화작용은 습곡과 단층에 의해 규제되며 주로 흑연질천매암의 엽리를 따라 발달한다. 주요 광석광물은 황철석, 자류철석, 섬아연석 및 방연석이며, 세립질 석영과 함께 산점상 또는 층상으로 발달되어 있다. 광화대의 연변부는 전반적으로 견운모 및 녹니석을 수반하는 광역변성작용의 특징을 보인다. 모암을 관입한 마츄빈 화강암류 인근에서 열수작용에 의한 각력화와 망상의 석영-방해석 맥에 수반되는 연-아연 광화작용이 확인된다. 광화작용은 광석광물의 산출형태, 공생광물, 화학조성 및 동위원소 특성에 의해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광화 제1유형은 엽층리가 잘 발달된 모암 내에 미립의 황철석, 자황철석 및 섬아연석이 엽층리에 평행하게 단속적으로 배태되는 특징을 가지며, 지구화학적 분석결과 퇴적분기형 광화작용의 초기 단계 특징과 유사하다. 광화 제2유형은 광역변성작용에 의해 모암에 형성된 엽리에 평행하게 광석광물이 농집되어 나타나며, 석영 및 백운모(${\pm}$ 흑운모)와 공생하는 특징을 보인다. 광화 제3유형은 열수각력대 내에 발달하며, 모암의 엽리면과 각력 사이의 열극에 규제되어 층상, 망상 및 세맥상의 형태로 발달하는 특징을 가진다. 듀셈바이 연-아연 광화대의 모암은 유사한 변성정도를 나타내고, 명확한 변질대의 분대 현상이 관찰되지 않는다. 또한 광화 제1유형, 제2유형 및 제3유형 모두 유사한 희토류원소(REEs) 패턴을 나타내므로 동일한 기원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광화대에서 산출되는 황화광물은 제한된 범위의 황 동위원소 값(제2유형: ${\delta}^{34}S=-13.3{\sim}-11.7$‰, 제3유형: ${\delta}^{34}S=-13.9{\sim}-8.2$‰)을 가지며, 동위원소 지질온도계 적용 결과, 제2유형($T=251{\pm}38^{\circ}C{\sim}277{\pm}40^{\circ}C$)과 제3유형($T=360{\pm}2^{\circ}C$, $537{\pm}29^{\circ}C$)이 각각 다른 온도 범위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모암의 변성작용과 마츄빈 화강암류의 관입에 의한 영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Th-Zr-Sc을 이용한 퇴적환경 분석 및 V/Mo 값을 이용한 산화-환원 민감도 검토 결과, 열수퇴적물은 침전 후 환원환경을 겪었으며 이후 변성작용과 화성암체의 관입에 의한 영향을 받은 것을 지시한다. 또한, 주성분을 이용한 SEDEX 지수를 산출하여 퇴적분기형 광상 판별도에 도시해본 결과 원지성 광화대에 대비된다. 따라서 듀셈바이 연-아연 광화대는 퇴적암을 모암으로 발달하는 층상 퇴적분기형 광상의 원지성 광화대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광주지역 제조업 근로자의 근무형태가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orking patterns on eating habits in manufacturing workers of Gwangju area)

  • 임지숙;허영란;정은;이재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6호
    • /
    • pp.495-505
    • /
    • 2016
  • 본 연구는 산업체에 근무하는 직장인의 근무형태별 특성을 살펴보고 그에 따라 식습관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소재한 K 제조 공장에 재직 중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식습관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근무형태에 따른 식습관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의 나이는 40~49세 및 50세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근무기간은 근무형태와 상관없이 대부분 10년 이상의 경력에 하루 평균 8~10시간을 근무하였다. 단순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연령, 근무기간, 평균근무시간, 교육수준, 가족월 평균수입, 주관적 건강인식, 중등도 신체활동여부, 음주량, 흡연량, 수면시간, 이상지질혈증 처음진단시기를 보정하여 조사대상자들의 식습관, 카페인 섭취량,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분석한 결과 평소의 식사량에 대해 비교대근무 근로자가 $1.4{\pm}0.9$, 교대근무 근로자가 $1.1{\pm}0.5$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 < 0.001), 균형 잡힌 식사 정도는 비교대근무 근로자가 $1.5{\pm}0.6$, 교대근무 근로자 $1.3{\pm}0.4$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005). '채소 섭취'는 비교대근무 근로자가 $1.9{\pm}0.7$, 교대 근무 근로자 $1.7{\pm}0.5$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 = 0.024), '해조류 섭취' 역시 비교대근무 근로자자 $1.7{\pm}0.6$, 교대근무 근로자 $1.5{\pm}0.4$로 교대근무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p = 0.049). 반면 '1일 3끼의 식사 중 거르는 일이 있습니까'는 비교대근무에서 $2.1{\pm}0.8$ 교대근무에서 $2.5{\pm}0.5$로 식습관 조사 항목 중 유일하게 교대근무 근로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또한 근무형태별 식습관 점수 합계는 비교대근무 $16.1{\pm}0.6$, 교대근무 $14.0{\pm}0.3$으로 비교대근무 근로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p = 0.035). 직무요구도에서 받는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비교대근무에서 $46.2{\pm}2.6$, 교대근무에서 $34.0{\pm}1.4$로 비교대근무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p = 0.001), 직무 자율성 결여는 교대 근무 근로자가 $50.7{\pm}1.0$, 비교대근무 근로자가 $44.2{\pm}1.0$으로 교대근무 근로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조직적 관리체계에 대한 직무 스트레스는 교대근무 $57.0{\pm}1.2$, 비교대근무 $50.9{\pm}2.0$로 교대근무 근로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36). 연구대상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제요인 분석은 스트레스 정도의 총합으로부터 정도에 따라 백분위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적게 받는 근무형태는 교대근무 근로자로 28.1%를 나타냈고,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근무형태는 교대근무 근로자에 비해 비교대근무 근로자가 39.7%로 나타나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교대근무 근로자는 중등도 신체활동과 음주량 및 흡연자가 비교대근무 근로자에 비해 높았으며, 식습관도 좋지 않았다. 사무직을 포함하는 비교대근무 근로자는 교대근무 근로자들에 비해 신체활동이 적고, 직무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으며, 식습관은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인 식습관 평가 점수는 비교대근무 근로자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설문조사가 재직근로자의 일부에 국한되었고, 대상자들의 설문결과 근무형태와 무관하게 전반적으로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무직과 생산직 근로자를 포함한 비교대 근로자가 생산직 교대 근무자들에 비해 식행동이 바람직하지 못하고, 직무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 연구가 단면연구로서 서로의 인과관계를 유추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후속연구로는 사무직과 생산직에 근무하는 비교대 근로자 간에, 혹은 생산직에만 근무하는 비교대 근로자와 교대근로자 간의 식습관과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비교하는 세분화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얕은 부영양 저수지의 육수학적 특성-계절에 따른 수질변화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in a Shallow Eutrophic Reservoir)

  • 김호섭;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37권2호통권107호
    • /
    • pp.180-192
    • /
    • 2004
  • 본 연구는 2002년 11월부터 2004년 2월까지 수심이 얕은 부영양상태의 저수지에서계절에 따른 수질변화와이에 대한 유입 부하량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수심간의 수온차가 $1^{\circ}C\;m^{-1}$ 이상의 수온약층이 5월에 형성되었고, 심층에서 2 mg $O_2\;L^{-1}$ 이하의 낮은 산소농도가 5월부터 9월까지 관찰되었다. $Z_{eu}/Z_{m}$은 0.2${\sim}$l.1의 범위로 수온약층 형성으로 혼합 층이 수심 4m근처이고 유광대 층이 수심 4.3m였던 5월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기간 동안에 유광대층에 비해 혼합층의 수심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체내 질소는 1.1 ${\sim}$ 4.5 mg N $L^{-1}$ 의범위로, 대부분이 용존 형태(Avg. 58.7%)로 존재하고 있었으며 결빙된 수표면의 해빙 시에 암모니아성 질소와 질산성질소가 증가하였다. 저수지내 총인 농도는43.g${\sim}$126.6 ${\mu}g\;P\;L^{-1}$범위로 대부분은 입자성인의 형태(Avg. 80%)로 존재하고 있었다. 용존무기인 농도는 심층에서의 일시적인 증가가 관찰된 7월과 8월을 제외하고는 10 ${\mu}g\;P\;L^{-1}$ 이하였다. 엽록소 a 농도의 뚜렷한 증가는인 유입부하량이 많았던 7월 (99 ${\mu}g\;L^{-1}$)과 11월 (109 ${\mu}g\;L^{-1}$)에 관찰되었고 수체내 총인과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r=0.55, P<0.008, n=22).수층간의 평균 엽록소 a 농도는11월 8일에 84.5${\pm}$29.0 ${\mu}g\;L^{-1}$으로 가장 높았고 2월에13.5${\pm}$ 1.0 ${\mu}g\;L^{-1}$로 가장 낮았다. 유입수량이 증가할 수록유입수내 층인 농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r=0.69,P<0.001), 1년 중 강우량이 많았던 7월 25일 하루동안에 연간 총인 유입부하량의 40.5%가 유입되었고, 11월 8일에도 17.1%가 유입되었다. 유역으로부터 유입되는총인 부하량은 159.0kg P $yr^{-1}$였고, 식물플랑크톤에 의해직접 이용 될 수 있는 용존무기인 부하량은 126.3 kg P $yr^{-1}$로 총인의 77.7%에 해당하였다. 총 질소 부하량은 5.0 ton $yr^{-1}$로 총 인 부하량(159.0 kg P $yr^{-1}$)에 비해 30배 정도 많았으며, 총질소 부하 중 무기질소 부하량은3.9 ton $yr^{-1}$로 총 질소의 78%였다. 인 임계 부하량은 1.6 g ${\cdot}$ $m^{-2}$${\cdot}$$yr^{-1}$으로 과잉임계부하량을 상회하는 수준 이였다. 본 연구결과 저수지의 유역으로부터 유입되는 많은양의 유입 인 부하는 저수지 수질의 계절적인 변화 뿐 만아니라 부영양화의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중영양상태의 수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총인 유입부하량(159 kg $yr^{-1}$)의 71%가 감소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여름철 심층 산소 고갈이 야기되었고, 이 시기에 퇴적물로 용출된 인이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이용될 수 있기때문에 퇴적물에 대한 관리도 수행될 필요가 있다.

『황제내경소문(黃帝內經素問)·칠편대론(七篇大論)』 왕빙 주본(注本)을 통(通)한 운기학설(運氣學說) 관(關)한 연구(硏究)

  • 김기욱;박현국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4권
    • /
    • pp.109-140
    • /
    • 1995
  • As we considered in the main subjects, investigations on the theory of 'Doctrine on five elements' motion and six kinds of natural factors(運氣學說)' through 'Wang Bing's Commentary(王氷 注本)' of 'The seven great chapters in The Yellow Emperor's Internal Classic Su Wen' ("黃帝內經素問 七篇大論") are as follows. (1) In The seven great chapters("七篇大論")' Wang Bing supplement theory and in the academic aspects as a interpreter, judging from 'forget(亡)' character. expressed in the 'The missing chapters("素問遺篇")', 'Bonbyung-ron("本病論")' and 'Jabeob-ron(刺法論)', 'The seven great chapters("七篇大論")' must be supplementary work by Wang Bing. Besides, he quoted such forty books as medical books, taoist books, confucianist books, miscellaneous books, etc in the commentary and the contents quoted in the 'Su Wen(素問)' and 'Ling Shu("靈樞")' scripture nearly occupy in the book. As a method of interpreting scripiure as scripture, he edited the order of 'Internal Classic("內經")' ascended from the ancient time and when he compensated for commentary, with exhaustive scholarly mind and by observing the natural phenomena practically and writing the pathology and the methods of treatment. We knew that the book is combined with the study of 'Doctrine on five elements motion and six kinds of natural factors(運氣學說)' (2) When we compare, analyze the similar phrase of 'The seven great chapters in The Yellow Emperor's Internal Classic Su Wen'("黃帝內經素問ㆍ七篇大論") through 'Wang Bing's Commentary(王氷 注本)', he tells abouts organized 'five elements(五行)' and 'heaven's regularly movement(天道運行)' rather than 'Emyangengsangdae-ron("陰陽應象大論")' in 'The seven great chapters("七篇大論")'. Also the 'Ohanunhangdae-ron("五運行大論")' because the repeated sentences with 'Emyangengsangdae-ron("陰陽應象大論")' is long they are omitted. And in the 'Youkmijidae-ron("六微旨大論")', 'Cheonjin ideology(天眞四象)' based on the 'Sanggocheonjin- ron("上古天眞論")', 'Sagijosindae-ron("四氣調神大論")' is written and in the 'Gigoupyondae-ron("氣交變大論")', the syndrome and symptom are explained in detail rather than 'Janggibeobsi-ron("藏氣法時論")', 'Okgijinjang-ron ("玉機眞藏論")' and in the 'Osangieongdae-ron("五常政大論")', the concept of 'five element(五行)' of the 'Gemgwejineon-ron("金櫃眞言論")' is expanded to 'the five elements' motion concept(五運槪念)' and in the 'Youkwonjeonggidae-ron("六元正紀大論")', explanations of 'The five elements' motion and six kinds of natural factors(運氣)' function are mentioned mainly and instead systematic pathology is not revealed rather than 'Emyangengsangdae-ron("陰陽應象大論")'. And in the 'Jijinyodae-ron("至眞要大論")', explanations of the change of atmosphere which correspond to treatment principle by 'The three Yin and Yang(三陰三陽)' as a progressed concepts are revealed. Therefore there are much similarity between the phrase of 'Emyangengsangdae-ron("陰陽應象大論")' and 'chapters of addition(補缺之篇)'. Generally, the doctrine which 'The seven great chapters("七篇大論")' are added by Wang Bing(王氷) is supported because there are more profound concepts rather than the other chapter in 'The seven great chapters("七篇大論")'. (3) When we study Wang Bing's(王氷) 'Pattern on five elements motion and six kinds of natural factors(運氣格局)' in 'The seven great chapter("七篇大論")', in the 'Cheonwongi-dae-ron("天元紀大論")', With 'Cheonjin ideology(天眞思想)' and the concepts of 'Owang(旺)'${\cdot}$'Sang(相)'${\cdot}$'Sa(死)'${\cdot}$'Su(囚)'${\cdot}$'Hu(休)' and 'Cheonbu(天符)'${\cdot}$'Sehwoi(歲會)' are measured time-spacially to the concept of 'Three Sum(三合)' the concept of 'Taeulcheonbu(太乙天符)' is explained. In the 'Ounhangdae-ron("五運行大論")', 'The calender Signs five Sum(天干五合)' is compared to the concepts of 'couples(夫婦)', 'weak-strong(柔强)' and in the 'Youkmijidae-ron("六微旨大論")', 'the relationship of obedience and disobedience(順逆關係)' which conform to the 'energy status(氣位)' change and 'monarch-minister(君相)' position is mentioned. In the 'Gikyobyeondae-ron("氣交變大論")', the concept of 'Sang-duk(相得)', 'Pyungsang(平常)' is emphasized but concrete measurement is mentioned. In the 'Osangieongdae-ron("五常政大論")', the detailed explanation with twenty three 'systemic of the five elements' motion(五運體系)' form and 'rountine-contrary treatment(正治. 反治)' with 'chill-fever-warm-cold(寒${\cdot}$${\cdot}$${\cdot}$凉)' are mentioned according to the 'analyse and differentiate pathological conditions in accordance with the eight principal syndromes(八綱辨證)'. In the 'Youkwonjeonggidae-ron("六元正紀大論")', Wang Bing of doesn't mention the concepts of 'Jungwun(中運)' that is seen in the original classic. In the new corrective edition, as the concepts of 'Jungwun, Dongcheonbu, Dongsehae and Taeulcheonbu(中運, 同天符, 同歲會, 太乙天符)' is appeared, Wang Bing seems to only use the concepts of 'Daewun, Juwun, and Gaekwun(大運, 主運, 客運)'. In the 'Jijinyodaeron("至眞要大論")', Wang Bing added detailed commentary to pathology and treatment doctrine by explaining the numerous appearances of 'Sebo, sufficiency, deficiency(歲步, 有餘, 不足)' and in the relation of 'victory-defeat(勝復)', he argued clearly that it is not mechanical estimation. (4) When we observe the Wang Bing's originality on the study of 'the theory of Doctrine on five elements' motion and six kinds of natural factors(運氣學說)', he emphasized 'The idea of Jeongindogi and Health preserving(全眞導氣${\cdot}$養生思想)' by adding 'Wang Bing's Commentary(王氷 注本)' of 'The seven great chapters("七篇大論")' and explained clearly 'The theory of Doctrine on five elements' motion and six kinds of natural factors(運氣學說)' and simpled and expanded the meaning of 'man, as a microcosm, is connected with the macrocosm(天人相應)' and with 'Atmosphere theory(大氣論)' also explained the meaning of 'rising and falling mechanism(升降氣機)'. In the sentence of 'By examining the pathology, take care of your health(審察病機 無失氣宜)'. he explained the meaning of pathology of 'heart-kidney-water-fire(心腎水火)' and suggested the doctrine and management of prescription. In the estimation and treatment, by suggesting 'asthenia and sthenia(虛實)' two method's estimation, 'contrary treatment(反治)' and treatment principals of 'falling heart fire tonifyng kidney water(降心火益腎水)', 'two class of chill and fever(寒熱二綱)' were demonstrated. There are 'inside and outside in the illness and so inner and outer in the treatment(病有中外 治有表囊)'. This sentence suggests concertedly. 'two class of superfies and interior(表囊二綱)' conforming to the position of disease. Therefore Wang Bing as an excellent theorist and introduced 'Cheoniin ideology(天眞思想)' as a clinician and realized the medical science. With these accomplishes mainly written in 'The theory of Doctrine on five elements' motion and six kinds of natural factors(運氣學說)' of 'The seven great chapters("七篇大論")', he interpreted the ancient medical scriptures and expanded the meaning of scriptures and conclusive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Korean Oriental Medicine(韓醫學)'.

  • PDF

적조생물의 구제 -2. 황토에 의한 적조생물의 응집제거- (Removal of Red Tide Organisms -2. Flocculation of Red Tide Organisms by Using Loess-)

  • 김성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55-462
    • /
    • 2000
  • 점증하는 적조로부터 수산피해를 줄이는 것은 시급한 문제이다. 황토를 살포하여 적조생물입자를 응집 제거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되고 있다. 황토를 이용하여 적조생물입자에 대한 응집실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실험에 사용한 황토입자의 입도 분포는 정규분포를 보여주는 하나의 peak로 나타났으며, 입자의 평균 지름은 $25.0 {\mu}m$이고, 약$84.5{\%}$의 황토입자가 $9.8-55.0{\mu}m$의 범위에 속하며 변동계수는 $65.1{\%}$이었다. 황토의 금속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규소 (Si)가 $48{\%}$, 알루미늄 (Al)이 $35{\%}$, 철 (Fe)이 $11{\%}$로서 $94{\%}$를 차지하며 나머지 $48{\%}$는 칼릅 (K), 구리 (Cu), 아연 (Zn), 티타늄 (Ti)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전자현미경 사진에 나타난 황토입자의 표면은 거칠고 다공질이며 부정형의 입자로 되어 있었다. 황토입자는 $10^(-3)M$ NaCl의 수용액 중에서 pH가 증가함에 따라 negative zeta potential 값이 증가하여 pH 9.36에서 -71.3mV를 나타내고 이후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pH 1.98에서 +1.8 mV를 나타내어 amphoteric surface charge를 가지는 물질의 성질을 나타내었다. 전하결정이온은 $H^+, OH^-$ 이온이고, pH 2 부근에서 PZPC를 나타내었다. 용액의 전해질이 NaCl일 경우 $10^(-2)M (pNa=2)$ 이상의 농도에서는 $Na^+$ 이온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황토입자의 negative zeta potential 값은 일률적으로 감소하다가 $Na^+$ 이온의 농도가 1M (pNa=0)이 되었을 때 zeta potential은 0에 근접하였다. 용액의 전해질이 2 :l electrolyte ($CaCl_2$$MgCl_2$)의 경우 $Ca^(+2)$ 이온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황토입자의 negative zeta potential 값이 일률적으로 감소하다가 약 $10^(-3)M (pCa=3)$의 농도에서 등전점을 나타내고 전하역전이 일어났다. 해수중의 황토와 적조생물 입자는 비슷한 negative zeta potential을 나타내었고, 점토 중에서 해사가 가장 큰 negative zeta potential을 나타내었다. 해수중에서 황토입자와 적조생물입자의 EDL은 해수에 포함된 고농도의 염류 농도로 인하여 극히 얇게 압축되고, 이런 상태에서 두 입자가 상호 접근할 경우 모든 간격에서 LVDW attractive force의 절대값이 EDL repulsive force의 절대값보다 항상 큰 값을 나타낸다. 해수중에서 황토입자와 적조생물입자는 모든 간격에서 negative total interaction energy 값 (attractive force)을 나타내어 항상 용이하게 floe을 형성할 수밖에 없는 조건에 있다. 적조생물입자의 응집제거 효율은 황토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지수함수적 ($Y=36.04{\times}X^(0.11); R^2=0.9906$)으로 증가하였으며, 황토의 농도 800mg/l까지 급격한 증가를 보이다가 황토의 농도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서 완만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적조생물은 황토 6,400mg/l에서 거의 $100{\%}$ 응집제거 되었다. 황토 800 mg/l을 사용하고 G-value를 $1, 6, 29, 139 sec^(-1)$로 단계적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응집제거 효율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응집반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황토입자와 적조생물입자 사이에 충분한 충돌이 일어날 수 있도록 교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나타내 주는 것이다. $800mg/l$의 농도에서 황토는 철을 함유하지 않은 다른 점토보다 $28.8{\~}60.3{\%}$ 더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 황토에는 >SiOH의 음전하단과 수중의 phenolphthalein alkalinity를 소모하는 수화금속화합물의 양전하단이 공존하며, 이 수화금속화합물에 의하여 황토가 나머지 점토 특히 해사와 다른 응집특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금원사대가의학(金元四大家醫學)이 조선조의학(朝鮮朝醫學) 형성(形成)에 미친 영향(影響) (The influence of the four noted physicians of Geum-Won era on the completion of the medicine in the Chosun dynasty)

  • 정면;홍원식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9권
    • /
    • pp.432-552
    • /
    • 1996
  • The influence of the four noted physicians of Geum-Won era(金元代) on the completion of the medicine in the Chosun dynasty(朝鮮朝)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our noted physicians of Geum-Won era were Yoo-Wan-So(劉完素), Jang-Jong-Jung(張從正), Lee-Go(李杲), Ju-Jin-Heung(朱震亨). 2. Yoo-Wan-So(劉完索) made his theory on the basic of Nae-Kyung("內經") and Sane-Han-Lon("傷寒論"), his idea of medicine was characterized in his books, for exemple, application of O-Oon-Yuk-Ki(五運六氣), Ju-Wha theory(主火論) and hang-hae-seng-je theory(亢害承制論). from his theory and method of study, many deviations of oriental medicine occurred. He made an effort for study of Nae-Kyung, which had been depressed for many years, on the contrary of the way old study that Nae-Kyung had been only explained or revised, he applied the theory of Nae-Kyung to clinical care. The theory of Yuk-Gi-Byung-Gi(六氣病機) and On-Yeul-Byung(溫熱病) had much influenced on his students and posterities, not to mention Jang-Ja-Wha and Ju-Jin-Heung, who were among the four noted physicians therefore he became the father of Yuk-Gi(六氣) and On-Yeul(溫熱) schools. 3. Jang-Jong-Jung(張從正) emulated Yoo-Wan-So as a model, and followed his Yuk-Gi-Chi-Byung(六氣致病) theory, but he insisted on the use of the chiaphoretic, the emetic and the paregoric to get rid of the causes, specially he insisted on the use of the paregoric, so they called him Gong-Ha-Pa(攻下派). He insisted on the theory that if we would strenthen ourselves we should use food, id get rid of cause, should use the paregoric, emetic and diaphoretic. Jang-Jong-Jung'S Gang-Sim-Wha(降心火) theory, which he improved Yoo-Wan-So's Han-Ryang(寒凉) theory influenced to originate Ju-Jin-Heung'S Ja-Eum-Gang-Wha(滋陰降火) theory. 4. Lee-Go(李杲) insisted on the theory that Bi-Wi(脾胃) played a loading role in the physiological function and pathological change, and that the internal disease was originated by the need of Gi(氣) came from the disorder of digestive organs, and that the causes of internal disease were the irregular meal, the overwork, and mental shock. Lee-Go made an effort for study about the struggle of Jung-Sa(正邪) and in the theory of the prescription he asserted the method of Seung-Yang-Bo-Gi(升陽補氣), but he also used the method of Go-Han-Gang-Wha(苦寒降火). 5. The authors of Eui-Hak-Jung-Jun("醫學正傳"), Eui-Hak-Ib-Moon("醫學入門"), and Man-Byung-Whoi-Choon("萬病回春") analyzed the medical theory of the four noted physicians and added their own experiences. They helped organizing existing complicated theories of the four noted physicians imported in our country, and affected the formation of medical science in the Choson dynasty largely. Eui-Hak-Jung-Jun("醫學正傳") was written by Woo-Dan(虞槫), in this book, he quoted the theories of Yoo-Wan-So, Jang-Jong-Jung, Lee-Go, Ju-Jin-Heung, especially, Ju-Jin-Heung was respected by him, it affected the writing of Eui-Lim-Choal-Yo("醫林撮要"). Eui-Hak-ib-Moon("醫學入門"), written by Lee-Chun(李杲), followed the medical science of Lee-Go and ju-jin-heung from the four noted physicians of Geum-Won era. Its characteristics of Taoism, idea of caring of health, and organization affected Dong-Eui-Bo-Kham("東醫寶鑑"). Gong-Jung-Hyun(龔延賢) wrote Man-Byung-Whoi-Choon("萬病回春") using the best part of the theories of Yoo-Wan-So, Jang-Jong-Jung, Lee-Go, Ju-Jin-Heung, this book affected Dong-Eui-Soo-Se-Bo-Won("東醫壽世保元") partly. 6. our medical science was developed from the experience of the treatment of disease obtained from human life, these medical knowledge was arranged and organized in Hyang-Yak-Jib-Sung-Bang("鄕藥集成方"), medical books imported from China was organized in Eui-Bang-Yoo-Chwi("醫方類聚"), which formed the base of medical development in the Chosun dynasty. 7. Eui-Lim-Choal-Yo("醫林撮要") was written by Jung-Kyung-Sun(鄭敬先) and revised by Yang-Yui-Soo(楊禮壽). It was written on the base of Woo-Dan's Eui-Jung-Jun, which compiled the medical science of the four noted physicians of Geum-Won era. It contained confusing theories of the four noted physicians of Geum-Won era and organized medical books of Myung era, therefore it completed the basic form of Byun-Geung-Non-Chi (辨證論治) influenced the writing of Dong-Eui-Bo-Kham("東醫寶鑑"). 8. Dong-Eui-Bo-Kham("東醫寶鑑") was written on the base of basic theory of Eum-Yang-O-Haeng(陰陽五行) and the theory of respondence of heaven and man(天人相應說) in Nae-Kyung. It contained several theories and knowledge, such as the theory of Essence(精), vitalforce(氣), and spirit(神) of Taoism, medical science of geum-won era, our original medical knowledge and experience. It had established the basic organization of our medical science and completed the Byun-Geung-Non-Chi (辨證論治). Dong-Eui-Bo-Kham developed medical science from simple medical treatment to protective medical science by caring of health. And it also discussed human cultivation and Huh-Joon's(許浚) own view of human life through the book. Dong-Eui-Bo-Kham adopted most part of Lee-Go(李杲) and Ju-Jin-Heung's(朱震亨) theory and new theory of "The kidney is the basis of apriority. The spleen is the basis of posterior", so it emphasized the role of spleen and kidney(脾腎) for Jang-Boo-Byung-Gi(臟腑病機). It contained Ju-Jin-Heung's theory of the cause and treatment of disease by colour or fatness of man(black or white, fat or thin). It also contained Ju-Jin-Heung's theory of "phlegm break out fever, fever break out palsy"(痰生熱 熱生風) and the theory of Sang-Wha(相火論). Dong-Eui-Bo-Kham contained Lee-Go's theory of Wha-Yu-Won-Bool-Yang-Lib (火與元氣不兩立論) quoted the theory of Bi-Wi(脾胃論) and the theory of Nae-Oi-Sang-Byun(內外傷辨). For the use of medicine, it followed the theory by Lee-Go. lt used Yoo-Wan-So'S theory of Oh-Gi-Kwa-Keug-Gae-Wi-Yul-Byung(五志過極皆爲熱病) for the treatment of hurt-spirit(傷神) because fever was considered as the cause of disease. It also used Jang-Jons-Jung's theory of Saeng-Keug-Je-Seung(生克制勝) for the treatment of mental disease. 9. Lee-je-ma's Dong-Eui-Soo-Se-Bo-Won("東醫壽世保元") adopted medical theories of Song-Won-Myung era and analyzed these theories using the physical constitutional theory of Sa-Sang-In(四象人). It added Dong-Mu's main idea to complete the theory and clinics of Sa-Sang-Eui-Hak(四象醫學). Lee-Je-Ma didn't quote the four noted physicians of Geum-Won era to discuss that the physical constitutional theory of disease and medicine from Tae-Eum-In(太陰人), So-Yang-In(少陽人), So-Eum-In(少陰人), and Tae-Yang-In(太陽人) was invented from their theories.

  • PDF

유통업체 종사자의 유동근무제에 대한 선호성향에 대한 연구 (Distributors' Preference for the Flextime System)

  • 이원행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4호
    • /
    • pp.13-20
    • /
    • 2012
  • 유동근무제는 고정된 시간대에만 근무하지 않고 조직과 종업원의 협의에 의하여 근무시간대를 유연하게 조절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유동근무제가 성과나 생산성, 조직에 대한 태도, 결근율 및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그 초점을 맞추었으나, 한국의 대부분 기업들이 아직 이 제도를 채택하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는 서울에 주소지를 둔 유통업체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노동자들의 개인적 특성이 유동근무제의 선호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제도도입을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노동자들의 연령은 유동근무제의 선호성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36세 이상의 노동자들은 35세 미만의 노동자들에 비해 선호성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선호성향이 여성보다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 역시 유동근무제는 자기개발과 직장생활을 공존하게 할 수 있어 아무래도 자기개발에 관심이 적은 여성보다는 남성들의 태도가 더 호의적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통제의 위치와 유동근무제에 대한 선호성향은 약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내적 통제를 지향하는 노동자일수록 유동근무제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성취욕구가 높은 노동자일수록 유동근무제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보여줬다. 성취욕구가 높은 사람들은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는데 있어서 과감하게 도전을 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직무만족과 유동근무제의 선호성향과는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 PDF

소나무 천연집단(天然集團)의 변이(變異)에 관(關)한 연구(硏究)(V) -인제(麟蹄), 정선(旌善), 삼척집단(三陟集團)의 침엽(針葉) 및 재질형질(材質形質)- (The Variation of Natural Popul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 (V) -Characteristics of Needle and Wood of Injye, Jeongsun, Samchuk Populations-)

  • 임경빈;권기원;이경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25
    • /
    • 1977
  • 소나무 천연집단(天然集團)의 변이(變異)를 조사(調査)하기 위(爲)해 1971년(年), 1975년(年)에 각각(各各) 3개집단(個集團)을 조사(調査)한데 이어 1976년(年)에 강원도(江原道)의 이제군(麟蹄郡) 기린면(麒麟面) 진동리(鎭東里)(집단(集團) 7)와 정선군(旌善郡) 임계면(臨溪面) 약천리(藥川里) (집단(集團) 8) 그리고 삼척군(三陟郡) 하장면(下長面) 한소리(汗沼里)(집단(集團) 9)에서 각각(各各) 1개집단(個集團)(한 집단(集團)에서 20주(株))씩의 임분(林分)을 택(擇)하였으며 외형적(外形的)으로 우량(優良)하다고 생각되는 임목개체(林木個體)를 대상(對象)으로 조사(調査)하였다. 대상임목(對象林木)은 외부(外部)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성(特性), 침엽(針葉)의 특성(特性), 재질(材質)의 특성(特性)이 조사분석(調査分析)되었고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3개집단(個集團)의 평균임령(平均林齡)은 50~63년간(年間)에 있고 성장(成長)은 비슷하였다. 직관(直觀)으로 판단(判斷)할 때 삼척집단(三陟集團)이 우량수형(優良樹型)을 가진 것으로 생각되었다. 지하고율(枝下高率)은 정선집단(旌善集團)이 0.53으로 가장 높은 값이었고 수관지수(樹冠指數)는 0.91로서 불량(不良)하다고 생각되었다. 삼척집단(三陟集團)은 세지성(細枝性)이라는 점(點)과 분지각(分枝角)이 가장 예각(銳角)이란 점(點)에 있어서 바람직했다. 수관장(樹冠長)은 모두 비슷했다. 2. 지하고대(地下高對) 수고(樹高) 그리고 수관지수(樹冠指數)의 빈도분포(頻度分布)를 보면 집단간(集團間)에 차이(差異)가 있는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3. 거치밀도(鋸齒密度)는 3개집단(個集團) 모두 약 27로서 집단간(集團間) 유의차(有意差)는 없었고 개체간차(個體間差)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높은 밀도(密度)를 가지는 개체(個體)(40이상(以上)의 것)가 있었다. 기공열수(氣孔列數)와 수지도수(樹指道數)에 있이거도 집단간차이(集團間差異)는 없었고 개체간차이(個團間差異)는 컸다. 4. 수지도지수(樹指道指數)(R.D.I.)에 있어서는 집단(集團)8이 0.074로서 다른 두집단(集團)의 2-3배(倍)의 값을 보였다. 5. 10년단위(年單位) 평균(平均) 연륜폭(年輪幅)의 성장과정(成長過程)은 초기(初期)(30년(年)까지)에는 집단간(集團間)의 차이(差異)가 있었으나 그 이후(以後)가 되면서 같은 값에 접근(接近)했다. 6. 평균추재졸(平均秋材卒)에 있어서는 집단간(集團間)의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Range에 있어서 차이(差異)가 있었다. 가령 집단(集團)8은 23~30인데 집단(集團)9는 16~36으로 7 : 20의 차(差)를 나타내고 있다. 7. 목재비중(木材比重)은 평균치(平均値)에 있어서 집단간(集團間)의 차이(差異)가 없었고 Range에 있어서도 그러하였다. 수령(樹齡)의 증가(增加)에 따라 비중(比重)은 증가(增加)하나 그 증감(增減)의 과정(過程)은 집단(集團)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다. 8. 가도관장(假導管長)은 집단간차이(集團間差異)가 없고 Range 또한 비슷하고 수령(樹齡)의 증가(增加)에 따라 그 길이가 증가(增加)하고 있었다. 증가경향(增加傾向)의 집단간차이(集團間差異)가 없었다.

  • PDF

조계산(曹溪山) 삼림식생(森林植生)의 생태학적(生態學的) 연구(硏究) (Ecological Studies on the Forest Vegetation in the Mt. Joghe)

  • 장석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1호
    • /
    • pp.54-71
    • /
    • 1991
  • 1980년(年) 7월(月)부터 1989년(年) 8월(月)까지 조계산(曹溪山) 삼림식생(森林植生)을 조사(調査)하고 식생구조(植生構造)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조사(調査)된 관속식물(管束植物)은 750종류(種類)로 49목(目), 122과(科), 434속(屬), 627종(種), 1아종(亞種), 111변종(變種), 11품종(品種)으로 조사(調査)되었으며, Abies, Erythrortium, Spiranthus, Paeonia, Dictammus, Bupleurum 6속(屬)과 단풍마(Dioscorea quinguelobia), 타래난초(Spiranthes sinensis), 금난초(Cephalanthera falcata), 참당귀(Angelica gigus), 큰꽃으아리(Clematis patens), 산작약(Paeonia japonica), 부용(Hibiscus mutabilis), 단풍취(Ainsliama aceritolin), 백선(Dictamnus dasycarpus), 민백미꽃(Cynanchum ascyritolium), 봄구슬봉이(Gentiana thunbergii), 병개암나무(Corylus hallaisanensis), 잣나무(Pinus koraiensis), 바위말발도리(Deutzia prunifolia), 산앵도나무(Vaccinium koreanum), 엘레지(Erythronium japonicum), 땅비싸리(Indigofera kirilowii) (17종), 애기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var. humillis), 줄사철나무(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곱향나무(Juniperus communis var. nipponica), 송금나무(Callicarpa japonica var. taqiletti)(4변종)와 그리고 털생강나무(Lindera abtusiloba for. villosum)(1품종) 등을 추가 하였다. 2. 조계산식물상(曹溪山植物相)의 Raunkiaer의 Life form spectrum은 $CH-D_1-R_5-e$ type으로 분류(分類)되었으며 분포지(分布地)은 Nakai, 이(李), 임(任)의 남부형(南部型)에 일치(一致)하며 난대분자(暖帶分子)도 Lygodium, Cyrtomium, Torreya, Melia, Cayratia Thea, Bamboo등 7속(屬)이 분포(分布)한 것으로 나타냈다. 3. 삼림(森林) 식생(植生)의 Simpson 평균(平均) 종다양도(種多樣度) DS=0.9로 나타났고 Shannon-Wienner의 다양도(多樣度) 지수(指數) H1. 400로 다양(多樣)한 식생(植生) 군락(群落) 구성(構成)을 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4. Pte Q는 1.81로서 전국평균 1.68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귀화 식물에 대한 UI=28.75 외래수종(外來樹種)에 대한 UI=17.49로 백운산(白雲山), 내장산(內藏山)과 유사하였다. 5. 조계산(曹溪山) 삼림식생(森林植生)은 졸참나무, 서어나무, 굴참나무, 소나무, 신갈나무, 굴피나무, 상수리나무의 7개 자연군락(自然群落)과 때죽나무, 노각나무, 비목나무, 느티나무, 붉나무, 층층나무, 물푸레나무, 들메나무 등 8개(個)의 대상군락, 잣나무 편백, 일본잎갈나무, 밤나무, 리기다소나무, 일본목련, 삼나무 등 7개(個)의 인공식재군락(人工植栽群落)이 포함되어 자연식생, 대상식생, 인공식재림 등의 3개(個)의 식생형(植生型)이 분류(分類)되었다. 6.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 방법(方法)에 의(依)하여 1/25000 지형도(地形圖)에 현존식생도(現存植生圖)와 계층구조도(階層構造圖)를 작성(作成)하였다. 7. 중요(重要)한 종(種) 또는 특이(特異) 군락(群落)으로는 이(李) 김(金)과 박(朴)이 보고(報告)한 털조장나무(Lindera sericea) 새이삭여뀌(Persicaria tilitorme), 대팻집나무(flex macrophda), 민대팻집나무(I. macropoda for. pseudo-macropoda),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진퍼리잔대(Aden ophora), 히어리(Corylopsis coreana)등은 일치(一致)하였고, 산앵도나무(Vaccinium coreanum), 약난초(Cremastra appendiculinium), 곱향나무(Juniper communis var. nipponica), 금난초(Cephalanthera falcata), 애기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var. humilis), 큰꽃으아리(Clematis patens), 산작약(Paeonia obovata), 바위말발도리(Deatzia prunifolia), 백선(Dictmnus dasyarpus), 참당귀(Angelica gigics), 시호(Bupleurum falcatum)등의 종(種)이 추가(追加)되었다.

  • PDF

비대칭 헤드기어의 적용시 상악제 1 대구치에 나타나는힘과 변위 및 초기 응력분포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A THREE-DIMENSIONAL FEM COMPARISON STUDY ABOUT THE FORCE, DISPLACEMENT AND INITIAL STRESS DISTRIBUTION ON THE MAXILLARY FIRST MOLARS BY THE APPLICATION OF VAR10US ASYMMETRIC HEAD-GEAR)

  • 김종수;차경석;주진원;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5-38
    • /
    • 2001
  • 편측성 II급 부정 교합 환자를 만나는 것은 임상에서는 흔한 일이지만, 치료 방법은 제한적 인 것이 사실이다. 그 중에서도 asymmetric head-gear는 그 사용의 횟수에 비해 정확하고 완전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며,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장치의 디자인에 대한 정보 역시 아직도 논란이 많고, 그 동안의 연구들도 확실한 해답을 주지는 못하고 있다. 더욱이 asymmetric iace-bow를 유한요소법을 통해 해석한 것은 그 예를 찾아볼 수 없었기에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발치나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정상교합자를 대상으로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편측성 II급 부정교합의 상악 치열궁을 모델링하고, RMO사의 Face-Bow($Penta-Form^{TM}$/Medium size)를 기본 모델로 오른쪽의 outer-bow가 15mm, 25mm, 35mm씩 짧은, 세 개의 asymmetric face-bow를 모델링한 후, 편측성 II급 부정교합 상악 치열궁 모델의 좌,우측 상악 제 1대구치에 세 종류의 asymmetric face-bow를 적용, 편측당 0.3kgf의 힘으로 견인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양쪽 제 1 대구치가 받는 힘의 총합은 세 경우 모두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근심위치된 치아가 받는 힘의 크기는 증가하였고, 정상 위치된 치아가 받는 힘의 크기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2. 양쪽 제 1 대구치가 받는 측방력은, 정상 위치된 치아에서는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협측으로의 힘이 커졌고, 근심 위치된 치아에서는 협측으로의 힘이 작아지는 경향을 보여,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전체적인 측방력이 정상 위치된 치아의 협측으로 이동되는 경향을 보이긴 했지만, 양쪽 제 1 대구치 모두 협측으로 힘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Archial Expansion Effect"를 보였다. 3. 양쪽 제 1 대구치가 받는 원심력과 정출력, 그리고 distal tipping의 양은, 정상 위치된 치아에서는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감소하였고, 근심 위치된 치아에서는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 양쪽 제 1 대구치의 rotation은, 정상 위치된 치아에서는 distal-in의 rotation을 보였으며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그 양이 증가하였고, 근심 위치된 치아에서는 두 가지의 결과를 나타냈는데, outer-bow가 15mm 짧은 경우에는 distal-in의 rotation을 보였으나, 25mm와 35mm 짧은 경우에는 distal-out의 rotation을 보여 15mm와 25mm 사이에 변환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치근 분지부 직하방에서 치근막의 초기 응력분포를 관찰한 결과, 정상 위치된 치아의 원심협측 치근에서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압축응력이 구개측에서 원심측으로, 그리고 협측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6. 치근 분지부 직하방에서 치근막의 초기 응력분포를 관찰한 결과, 정상 위치된 치아의 원심협측 치근을 제외한 근심협측 치근과 구개측 치근, 그리고 근심 위치된 치아의 세 개의 치근 모두는,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응력의 크기만 변할 뿐 전체적인 응력분포의 양상에는 변화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