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 Society

검색결과 631건 처리시간 0.023초

식후 정상 한국인의 혈장 gastrin 농도 (Plasma Gastrin Concentration after a Carbohydrate Meal and a Protein Meal in Normal Human Subjects)

  • 김명석;박형진;조양혁;권경옥;이윤렬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5권2호
    • /
    • pp.83-89
    • /
    • 1981
  • 한국 정상 성인에서 탄수화물 음식물(쌀밥)과 단백질 음식물(햄버거)의 섭취가 혈장 gastrin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평균 연령이 28세($20{\sim}40$세)되는 정상 성인 남녀 8명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15시간 이상 절식한 이들에게 쌀밥(250 g) 및 햄버거(200 g)의 섭취전 30분, 섭취직전, 섭취후 15, 30, 45, 60, 90 및 120분에 각각 말초 정맥에서 채혈한 다음 방사면역 측정방법(radioimmunoassay)으로 혈장 gastrin 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쌀밥 및 햄버거의 섭취로 인하여 혈장 gastrin 농도가 공복시의 값에 비하여 각각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2) 햄버거의 섭취로 인한 혈장 gastrin 농도의 상승은 쌀밥에 의한 상승값에 비하여 유의하게 더 많았다. 3) 햄버거의 섭취후 gastrin 분비가 많았던 개인은 쌀밥의 섭취후에도 그 분비가 많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단백질 음식물의 섭취가 gastrin 분비에 촉진적 영향을 미침과 아울러 탄수화물 음식물의 섭취도 gastrin 분비에 촉진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군산지역 저수지의 수질특성 및 부영양화 평가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Evaluation of Eutrophication for Reservoirs in Kunsan)

  • 김종구;오승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57-367
    • /
    • 2007
  • Recently, eutrophication or lake and reservoir has become serious problem to man who want use that water for several purpose. In order to solve the eutrophication problem, the trophic state of that eutrophic lake and reservoir should be measured properly. For the purpose of this, various method to indicate the trophic state of lake and reservoir was developed by many researcher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characteristics and eutrophication of water qualitymfor small scale reservoir in Kunsan. On-site investigation to 5 reservoirs and laboratory experiment were carried out during four seasons from November, 2003 to July, 2004. Twelve items measured field ana a laboratory. Measured data was analyzed to quantitative method by multivariate approach and eutrophication index. The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ing. 1)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for reservoir in Kunsan, Okgu reservoir and Oknua reservoir was exceeded 4 grades of agricultural water standard in TP, TN and COD. This means that eutrophication was gone much, therefore, water-purity control of reservoir need. While, Mije reservoir that is used to Kunsan citizens' recreation was good in water quality. But, water quality exceeded 4 grades of agricultural Dater standard sometimes. 2) As a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of water qualify, Interrelation between variables which is connected with eutrophication was expressed good relationship as above 6.000 i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r) between COD and chlorophyll-a, total phosphorus and chlorophyll-a, total nitrogen and chlorophyll-a were 0.750, 0.720 and 0.600 respectively. Therefore, Change of water quality can grasp according to eutrophication progress degree. 3) If do evaluate to eutrophication by quantitative method which is proposed by OECD, US-EPA and Forsberg & Ryding, in the case of chlorophyll a, Okgu, Oknua and Daewi reservoir was eutrophic state and Mije and Geumgul reservoir was mesotrophic state. But, estimation by TN and TP showed highly eutrophic state (hypereutrophic) in all reservoirs. 4) If do evaluate by eutrophication index which is Carlson's TSI, revised carlson TSI and Walker's index, in the case of chlorophyll a, TSI values of Okgu, Oknua and Daewi reservoir is eutrophic state more than 50 and Mije and Geumgul reservoir was mesotrophic state as range of $40{\sim}50$ in TSI value. But, in the case of TP as nutrients, all reservoirs showed highly eutrophic state which was exceed to 70 in TSI value. According to above results, the water quality for small scale reservoirs in Kunsan is progressing by trophic state. therefore, for continuous use as agriculture water, we had better do establishment of management plan about water quality.

알팔파근류균(根瘤菌)의 분리(分離) 및 질소고정능력(窒素固定能力)의 비교(比較) (Isolation of Alfalfa Nodule Bacteria ana Assessement of their Nitrogen Fixing Capacities)

  • 최우영;김성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3호
    • /
    • pp.166-172
    • /
    • 1979
  • 두과목초(荳科牧草)의 증산(增産)과 질산비료(窒酸肥料)의 소비절약(消費節約)을 위(爲)하여 근류균(根瘤菌)의 실용화(實用化)를 위(爲)한 일련(一連)의 연구(硏究)를 시도(試圖)하고 그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알팔과군(群)을 대상(對象)으로 근류균(根瘤菌)을 분리(分離)하고 우수균주(優秀菌株)를 선발(選拔)하였다. 1. 대관령(大關嶺), 제주도(濟州道) 및 기타지역(其他地域)에서 수집(蒐集)한 근류(根瘤)로부터 47주(株)의 근류균(根瘤菌)을 분리(分離)하였다. 2. 분리균주(分離菌株)에 대(對)하여 형태적(形態的) 및 배양적(培養的) 성질(性質)을 검토(檢討)하는 동시(同時)에 항원(抗原)의 특성(特性)을 비교(比較)하고 lysogeny 여부(與否)를 확인(確認)한 결과(結果) : (1) yeast mannitol broth 및 agar 상(上)에서의 생육형태(生育形態) 및 증식속도(增殖速度)를 달리하였으며 congo red에 의한 착색정도(着色程度)에도 차이(差異)가 있었고 (2) 항원성(抗原性)의 상호(相互) 근연성(近緣性)이 인정(認定)적는 균주(菌株)는 M-11/SU47, M-13/M-15 및 M-3/M-5 이었으며 (3) latent phage의 감염균주(感染菌株)가 발견(發見)되지 않았다. 3. 항온조명실내(恒溫照明室內)에서 행(行)한 시험관법(詩驗管法)에 의한 식물접종시험(植物接種試驗)을 통(通)하여 분리균주(分離菌株)의 근류형성(根瘤形成) 및 질소고정능력(窒素固定能力)을 비교한 결과(結果), 공시숙주식물(供試宿主植物)에 대(對)하여 근류(根瘤)를 형성(形成)하지 못하는 즉(卽) 친화력(親和力)이 없는 균주(菌株), 근류(根瘤)는 형성(形成)하나 숙주식물(宿主植物)의 생육(生育)에는 영향(影響)을 주지 못하는 무효균주 그리고 숙주식물(宿主植物)의 생육(生育)을 크게 촉진(促進)하는 유효균주등으로 구분(區分)할 수 있었으며 특(特)히 유효균주중에서 M-8, 9, 14, 20, 21, 25 및 34균주등(菌株等)은 질소시용구(窒素施用區) 수준(水準) 또는 그 이상(以上)으로 숙주식물(宿主植物)의 생육(生育)에 유효한 결과(結果)를 나타내었다.

  • PDF

양계사료의 TME측정에 영향하는 요인에 관한 시험 II. 사료투입량 및 사료급여형태가 옥수수와 대두박의 대사 에너지가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ffecting True Metabolizable Energy Determination of Poultry Feedingstuffs Effect of level of feed input and diet types on apparent and true metabolizable energy of corn and soybean meal.)

  • 이영철;강도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6-52
    • /
    • 1983
  • 사료급여량이 옥수수와 대두박의 TME(AM $E_{F}$ )와 TME(AM $E_{FC}$ )가에 미치는 영향과 사료의 형태(단미와 배합)가 옥수수의 TME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옥수수 대두박의 AME, AM $E_{F}$ 가는 공히 각급이수준간 현저한 유의차(P<.05)가 있었으며, 특히 50mg 급이수준에서 옥수수, 대두박 공히 가장 높았다. 반면 옥수수의 AME 가는 50과 75mg 합이수준간에는 유의차(P>.05)가 없었다. 2. 옥수수의 TME와 AM $E_{FC}$ 가는 각 급이수준간 유의차가 없었던(P>.05) 반면 대두박은 각 수준간 현저한 차가(P<.05) 있었다. 5 mg 급이수준에서 대두박의 AM $E_{FC}$ TME 가가 가장 높은 사실은 특히 대두박의 경우에는 TME 측정상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하는 것이다. 3. 단미 또는 배합사료 형태로 측정한 옥수수의 TME가는 두 형태간 유의성은 없었다. (P>.05)

  • PDF

양계사료의 TME측정에 영향하는 요인에 관한 시험 I. AME, AME$_{F}$ 및 TME 측정법 비교시험 (Factors Affecting True Metabolizable Energy Determination of Poultry Feedingstuffs I. Comparative study on the measuring methods or AME, AME$_{F}$ and TME value of feedingstuffs.)

  • 이영철;강도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5-45
    • /
    • 1983
  • 본 시험은 현행 ME 측정방법을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옥수수, 수수, 대맥, 어분, 대두박에 대하여 TCM, IM과 AME$_{F}$, TME bioassay법을 비교측정한 결과 다음의 성적을 얻었다. 1. TCM 및 IM에 의해 AME 측정시 어분을 제외하곤 각 방법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p>.05) TCM에 의한 측정치는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2. AME$_{F}$와 AME가 간에는 수수를 제외하고는 유의차 (p>.05)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AME$_{F}$ bioassay를 이용 AME 측정상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3. 옥수수, 수수, 대맥의 AME$_{FC}$, TME치는 AME, AME$_{F}$)에 비하여 유의적(p<.05)으로 높은 반면 어분과 대두박은 비슷하거나 낮았다. 이러한 사실은 AMF$_{FC}$와 TME측정법은 어분 및 대두박의 AME$_{FC}$나 TME가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있음을 지적하는 것이라 하겠다. 4. TME, AME$_{FC}$와 T-AME가를 비교시 옥수수ㆍ수수ㆍ대맥의 TME가는 AME$_{FC}$나T-AME가 보다 유의적(p<.05)으로 높았으나 반면 어분, 대두박은 현저히 낮았다(p<.05). 따라서 TME, AME$_{FC}$와 T-AMF 간의 관계는 특히 단백질사료와 같은 각 사료의 종료마다 일정치 않았다.

  • PDF

메추리의 난각과 난각막의 두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ickness of Egg Shell Membrane and Egg Shell in Quail Eggs)

  • 하정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7-53
    • /
    • 1980
  • 본 시험은 메추리의 난각과 난각막의 두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해서, 공시난 520개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메추리 란의 외모색에 따라 구분한 사종의 난각은 그 색에 따라서 대반점백색난각. 대반점난각, 소반점보라난각, 소반점베이지난각으로 구분되고, 그 평균 란중은 8.993g, 8.866g, 8.403g, 8,109g이었다. 2) 사종 난각의 평균 두께는 대기점백색락각이 0.171mm, 대반점각이 0.169mm. 소반점베이지난각이 0.160mm, 소반점보라난각이 0.156mm였다. 3) 사종의 난각막의 평균 두께는 대반점 난각이 0.0449mm. 대연점백색난각이 0.0431mm, 소반점베이지난각이 0.398mm 소반점보라난각이 0.0397mm였다. 4) 난각과 난각막의 두께간에서 빈의 상관계수가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5) 일반적으로 난각의 두께가 닭에 비하여 매우 엷었다. 그러나 난각막의 두께는 대동소이했다.

  • PDF

양계사료의 TME 측정에 영향하는 요인에 관한 시험 III. 분채집시간과 가용성 탄수화물의 급이가 내인성 에너지 손실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ffecting True Metabolizable Energy Determination of Poultry Feedingstuffs III. Effects of excreta collecting period and of feeding of soluble carbohydrates on metabolic and endogenous energy losses)

  • 이영철;강도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3-59
    • /
    • 1983
  • 본 시험은 분채취시간 및 Corn Starch, Glucose Mixture (Starch (50) + Glucose (50))의 급이가 성웅계의 내인성에너지 (FEm+UEe) 손실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Period II(24-28hr)의 분배설량, 에너지량과 N 손실량은 Period I(0-24hr)의 경우보다 높았으나 유의차 (P=.05)는 없었다. 2. 체중(X)과 분배설량, 에너지 및 N 손실량 (Y) 간에는 유의차 상관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는데 (P>.05) 이는 체중이 내인성에너지 (FEm+UEe) 손실에 영향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것이었다. 3 Glucose, Mixture 급이구는 절식구에 비하여 분배설량, 에너지 및 N 손실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P<.05). 4. Corn Starch 급이구의 분배지량, N 손실량은 절식구에 비해 유의적 (P<.05)으로 감소했으나 내인성에너지 손실량은 두 구간 유의차가 없었다. (P>.05) 이는 Corn Starch의 Apparent Digestibility가 Glucose, Mixture구 보다 낮았음을 지적하는 것이다. 5. 급이구의 N 손실량은 절식구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한 사실은 탄수화물 급이가 절식동안 조직의 이화작용에 의한 에너지 손실의 일부를 보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기니픽을 이용한 BR92021(정제 브이아이 장티푸스 백신)의 항원성 평가 (Antigenicity Tests of BR92021, a Vi polysaccharide Typhoid Vaccine, in Guinea Pigs)

  • 정태천;김갑호;배주현;구희경;서정은;박종일;차신우;임상민;정한선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7권3호
    • /
    • pp.300-306
    • /
    • 1999
  • To study the antigenicity of BR92021(Vi polysaccharide typhoid vaccine), active systemic ana-phylaxis an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were tested in guinea pigs. The groups were as follows: group I(low dose, 30 $\mu\textrm{l}$/kg), group II(high dose, 300 $\mu\textrm{l}$/kg), group III(300 $\mu\textrm{l}$/kg plus complete Freund's adjuvant), group IV(positive control, ovalbumin plus complete Freund's adjuvant) and group V(saline-treated control). Male Hartley guinea pigs at 7 weeks of age were sensitized subcutaneously with the test article or saline three times per week for three weeks(j.e., total 9 times). For groups III and IV, animals were sensitized subcutaneously with either the test article or ovalbumin plus complete Freund's adjuvant once per three week for 6 weeks(i.e., total 3 times). Twelve days after the last sensitization, the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sensitized animals for the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test. In addition, the sensitized animals were subjected to the active systemic anaphylaxis test on fourteen days after the last sensitization by an intravenous challenge with either the test article or ovalbumin. In group I, mild(1/5) or moderate(4/5) symptoms of anaphylactic shock were observed. In group II, no sign(1/5), moderate(3/5) and severe(1/5) symptoms were observed. In group III, four animals of revealed moderate signs and one of 5 showed no signs of anaphylactic shock. In group IV, all 5 animals showed severe signs of shock. In group V, one of 5 revealed moderate and four of 5 showed no signs. The necropsy findings related to the active systemic anaphylaxis were observed in most animals of groups I to V In the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test, the antiserum was diluted 10- to 5120- fold and was injected intradermally on the clipped back of recipient animals, followed by an intravenous challenge with either the test article or ovalbumin. No animals in groups I, II, III and V showed the positive reaction, whereas all animals in group IV, the positive control, showed the positive reaction at the dilution range of x1280 to x5120.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test article, BR92021, may have weak antigenic potential in male guinea pigs.

  • PDF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한 대식 세포 활성 증후군을 첫 증상으로 한 소아 전신 홍반 루푸스 (Macrophage Activation Syndrome Triggered by Herpes Viral Infection as the Presenting Manifestation of Juvenil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 노지혜;정도영;전인수;김황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2권3호
    • /
    • pp.210-215
    • /
    • 2015
  • 대식세포 활성 증후군(MAS, Macrophage activation syndrome)은 전신 홍반성 루푸스(SLE, systemic lupus erythematous) 환자에서 감염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드문 합병증이다. MAS는 기저의 자가면역질환의 임상양상과 유사하게 나타나거나 혹은 감염성 합병증과 혼돈될 수 있어 감별에 주의 하여야 한다. 14세 여환이 2주간 지속되는 발열과 통증을 동반하는 얼굴의 피부 발진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피부 발진과 간비대, 범혈구 감소증, aspartate aminotransferase, lactate dehydrogenase, 혈청 ferritin이 상승하여, MAS를 의심하였다. 피부 병변과 항핵체 양성, C3와 C4의 감소, 간접 쿰스검사 양성으로 SLE를 진단하였다. 따라서 본 증례는 MAS가 HSV에 의하여 촉발된 것을, SLE의 첫 증상으로서 나타낸 증례로서, 촉발 요인 및 기저질환을 치료함으로써 중증의 합병증 없이 호전되었다.

화진포호의 어류군집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in the Lagoon Hwajinpo, Korea)

  • 박승철;최재석;최의용;장영수;이광열;최준길
    • 생태와환경
    • /
    • 제40권3호
    • /
    • pp.449-458
    • /
    • 2007
  • 화진포호의 어류군집과 시 공간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2005년 11월부터 2006년 8월까지 4회에 걸쳐 다양한 조사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24과 37종 35,812개체였다. 우점종은 H. nipponensis (60.8%), T. hakonensis (19.8%), 그리고 K. punctatus (5.5%) 등 주로 주연성담수어인 것으로 나타났다. 출현한 37종 중 일차담수어와 해산어는 각각 8종(21.6%), 주연성담수어는 21종(56.8%)이었다. 채집된 어종들의 생체량은 총 279.3kg이었으며 T. hakonensis 152.9 kg, H. nipponensis 40.0 kg, K. punctatus 31.4 kg, C. haematochelius 25.3 kg등의 순으로 나타나 내륙의 인공담수호에 비해 생산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시기별 군집의 변화양상은 '갯터짐 현상'에 따라 변화하지만 일부 주연성담수어 개체군은 호내에서 생활사를 가지며 안정된 군집을 이루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화진포호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석호 중 비교적 양호한 자연 상태의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지속적인 관찰과 모니터링을 통하여 본 석호를 비롯한 다른 석호의 관리와 회복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