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라고'

Search Result 1,82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ir Resources; Basic Necessity for Human Being (空氣와 사람)

  • Rhee, Doo-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3 no.2
    • /
    • pp.1-10
    • /
    • 1987
  • 먼저 辭典式 풀이를 빌려 空氣와 大氣의 뜻을 살펴보면 韓$\cdot$$\cdot$$\cdot$中 兼用 漢字大典(敎育出版社)에 의하면 "空氣"란 '地球의 表面을 둘러싼 無色 透明한 氣體, 大氣'라고 풀이하고, "大氣"란 '1. 天地의 氣運 2.공기' 라고 풀이하고 있으며, 또 동아 신콘사이스 國語辭典에 의하면 "空氣"란 '地球의 表面 下層을 둘러싸고 있는 빛깔이나 냄새가 없고 투명한 기체'라고 풀이하고 "大氣"란 '地球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를 전체로 일컫는 말'이라고 풀이하고 있으며, 또한 李熙昇編 국어 대사전에 의하면 "空氣"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무색, 투명, 무취의 기체'라고 풀이하고 "大氣"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氣體의 層'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辭典式 풀이를 綜合해 보면 "空氣"란 "地球를 둘러싸고 있는 無色 透明의 氣體"라고 定義되고 "大氣"란 "空氣全體" 卽 "地球를 둘러싸고 있는 氣體의 層"이라고 定義된다.

  • PDF

노우빵꾸의 특성을 갖는 파아마포옴 타이어에 대해서

  • GoCheon, Ri-Ung
    • The tire
    • /
    • s.45
    • /
    • pp.20-24
    • /
    • 1973
  • 자동차타이어의 최대의 유리성은 공기를 잘 활용하는 데 있다. 그러나 일단 공기를 잃은 타이어는 즉시 사용불능으로 화하고수리는 할 수 있어도 시간과 수리라 하는 큰 로쓰를 초래하는 결과가 된다. 그래서 과거 80년간 많은 타이어 기술자는 빵꾸라고 하는 현상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타이어의 개발에 어느 정도의 노력과 지혜를 짯었는가? 동경의 타이어…라고 하면 "노우 빵꾸 타이어"라고까지 일컬어진다. 그것은 시대가 고속화에로 진입함에 따라 빵구는 귀중한 생명까지도 빼았는 큰 사고를 초래하는 원인의 하나로도 되어 왔든만큼 더욱 중대성을 가져왔다. 이때문에 절대로 빵구나서는 곤란하다고 하는 용도의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에 대해서는 승차감, 속도 등의 요구는 무시하고서 이미 여러 가지의 노우 빵꾸 타이어가 제조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보급의 속도와 보통의 승차감의 노우 빵꾸 타이어는 생각할 수 없는 것일까?…이러한 발상으로부터 개발된 타이어에 "파아마포옴 타이어"라고 하는 것이 있다. 매이커어는 미국의 굳이어 이다. 그럼 그 마아마포옴 타이어란? ……간단히 말하면 중의 공기를 스폰지상의 포옴재로 한 것이다. 따라서 승차감은 결코 나쁘지 않다. 속도도 50km까지라면 염려없다. 하나 그 타이어의 제조법이 간단하지가 않다. 특히 "열처리의 단계에서 포옴재를 타이어의 속에 균등하게"라고 하니 큰 일이다. 이하는 일본 굳이어 타이어 기술부에 의한 파아마 포옴 타이어의 개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Structural Ceramics (구조 세라믹스의 개발과 응용)

  • 김태우
    • Journal of the KSME
    • /
    • v.34 no.5
    • /
    • pp.326-333
    • /
    • 1994
  • 신소재의 보편적인 정의는 "재료의 원료를 새로 개발하거나, 종래의 원료에 개선된 제조기술 또는 응용기술을 적용시켜 종래에 없던 우수한 특성, 기능을 갖게 하는 소재"라고 한다. 즉, 고 부가 가치의 금속, 세라믹스, 폴리머, 복합재료를 총칭하여 신소재 또는 첨단소재(advanced materials) 라고 하며, 산업기기의 중요한 기능소재로서 기계공업의 발전에 필수적이다. 1970년대부터 1980 년대 초반에 걸쳐 본격적으로 시작된 세라믹스에 관한 연구는 제조 및 사용분야 전반에 걸쳐 기술혁신을 가져왔다. 그후 천연 광석분말만이 아니라 새로운 화학적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을 사용하여 창출된 재료라는 뜻으로 "뉴(new)세라믹스"라고 불려지거나, 개선된 제조기술을 통하여 재료의 섬세한 미세조직을 얻음으로 우수한 특성을 갖는 재료라는 뜻으로 "파인(fine)세라믹스" 등의 이름이 붙여지게 되었다. 이제 센서용 소재는 물론이고, 가위, 손목시계 케이스, 바이오 세라믹스 등에 이르기까지 10년 전보다 훨씬 다양하게 세라믹스를 사용한 물체를 발견할 수 있다. 이들 세라믹스 중 기계적, 또는 열 응력을 받는 구조물에 적용되는 것을 구조 세라믹 스(structural ceramics)라고 한다. 이 글에서는 차세대 자동차 및 항공기에까지 적용이 시도되고 있는 이들 구조세라믹스를 대상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제조법, 응용분야, 연구동향 및 전망을 정리하고자 한다.조법, 응용분야, 연구동향 및 전망을 정리하고자 한다.

  • PDF

논단 - 우리 농업의 미래 밝고 희망적이다

  • Park, Hae-Sang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60
    • /
    • pp.10-13
    • /
    • 2010
  • 요즘 농업의 어려움은 주식시장에서 흔히 쓰는 "바닥 다지기"라고 표현하고 싶다. 이 바닥만 튼튼히 잘 다져 놓으면 미래농업은 우뚝 설 수 있으리 라고 본다. 미래농업은 농식품산업과 생명산업(BT), 두 축을 중심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할 것이다.

  • PDF

Study on the Recognition of Brucellosis for Rural Residents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브루셀라증 인지도)

  • Lim, Hyun-Sul;Min, Young-Su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0 no.1
    • /
    • pp.51-62
    • /
    • 2005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cognition on brucellosis in rural communities and to apply the results to counterplan for brucellosis control and prevention. Methods: The authors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rom September 8 to 13, 2004 among the residents in 2 rural communities: 507 people at Gigye-myeon and 521 people at Buk-myeon. The authors developed a questionnaire which investigated age, gender, general recognition of brucellosis, status of cattle breeding, compensation for loss due to brucellosis and so on. Results: The study group contained 195 (19.0%) stock breeders (veterinarians and cattle merchants were included) and 833 (81.0%) non-stock breeders. For the question, 'Have you ever heard about brucellosis or do you know about brucellosis?', 283 respondents (27.5%) replied affirmatively. For the question, 'Do you know that pregnant women who suffer brucellosis may have a miscarriage?', 98 respondents (35.1%) replied affirmatively. For the question, 'Have your cattle ever aborted or calved a premature calf?', 28 respondents (14.9%) replied affirmatively. For the question, 'Have you ever handled an abortus or a premature calf with your bare hands?', 10 respondents (5.3%) replied affirmatively. For the question, 'Do you know that the government compensates for slaughter loss due to brucellosis?', 46 respondents (25.0%) replied affirmatively. Conclusions: Many people were ignorant about brucellosis. Therefore, their ignorance must be corrected by a publicity campaign. Some stock breeders handled the cattle abortus with their bare hand. Stock breeders must wear protective equipment during working. The authors expect that this study will assist in establishing both a safe cattle breeding environment and preventive strategies for diminishing the incidence of brucellosis.

  • PDF

건강관리코너 - "감기"라고 얕보지 마세요!

  • Choe, Byeong-Hwi
    • 방재와보험
    • /
    • s.96
    • /
    • pp.58-61
    • /
    • 2003
  • 겨울이면 누구에게나 불청객 감기가 찾아오기 마련이다. 흔히들 "독감예방주사를 맞았는데, 왜 감기에 걸리냐?" 라고 묻는다. 독한 감기인 독감예방 주사를 맞았으면 이반 감기정도는 당연히 면역이 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다. 그런데 감기와 독감은 전혀 다른 질병이다. 증상이 심한 감기가 독감이 아니라, 원인 바이러스의 종류가 다른 것이다. 그러므로 독감 예방 주사를 맞았다 하더라도 일반 감기의 원인인 바이러스는 면역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감기에 걸리는 것이다.

  • PDF

김현회의 자재칼럼 (18) - 약관(弱冠)의 거보(巨步)

  • Kim, Hyeon-Hoe
    • 월간 기계설비
    • /
    • s.230
    • /
    • pp.82-83
    • /
    • 2009
  • 창립 20주년을 맞은 대한설비건설협회의 회장님과 회원사 그리고 관계자 여러분께 먼저 가슴 깊이 축하의 말씀을 드린다. 창립 이후 20년의 역사를 한마디로 함축하라면 일취월장(日就月將) 또는 괄목상대(刮目相對)라고 할 것이요, 세마디 키워드로 정리하자면 '첨단화', '대형화', '전문화'라고 하겠다. 물론 기술력과 자재 산업 발전이 그 곁에서 일조했음은 이론의 여지가 없으리라 생각한다. 9월 자재 가격은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PDF

나의 주장 - 과학기술인이여, 목숨을 걸자!

  • Lee, Su-Yeo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9 s.364
    • /
    • pp.16-17
    • /
    • 1999
  • 지금 우리과학기술계는 '목숨을 걸고 뛸 사람'이 필요하다. 목숨을 걸고 연구를 기획하고 개발해야 한다. 또 평가자도 목숨을 걸고 올바른 평가를 내려야 하며 내일의 과학한국을 위한 후진양성도 목숨을 걸고 해야한다. 먼 훗날 손자손녀가 "할아버지는 무엇을 하셨나요"라고 물으면 "목숨을 걸고 과학기술을 하여 너희들이 이처럼 번영을 누리는 것이다"라고 자랑스럽게 말할 수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 PDF

De re context and some semantic traits of 'rago' (대물(de re) 문맥과 '-라고'의 몇 가지 의미론적 특성)

  • Min, Chanhong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6 no.1
    • /
    • pp.61-85
    • /
    • 2013
  • The author, after introducing the concept of de re belief and discussing de re/de dicto ambiguity in belief context and modal context, concludes that modal sentences of Korean language does not show any distinctive traits against English. He, after discussing this ambiguity in negative sentence a la Russell, tries to show that Korean provides two way of negation construction, one of which corresponds to de re negation (primary occurrence in Russell's terms). De re reading makes referentially transparent context, thus permits substitutions of identicals salva veritate; De dicto reading does not. Korean ending 'rago', used with quotation verbs, speech act verbs and cognitive attitude verbs, deserves some attention in that it permits de re sentences in addition to de re/de dicto ambiguous sentences. 'Rago' also makes speaker's commitment to the content of the intensionally contained clause 'neutral', in contrast with other Korean endings such as 'um/im' and 'raneun gut' which make speaker's positive commitment. This explains why the maxim of western epistemology that knowledge presupposes truth does not hold in Korean 'rago' sentences.

  • PDF

Architecture and Depositional Style of Gravelly, Deep-Sea Channels: Lago Sofia Conglomerate, Southeyn Chile (칠레 남부 라고 소피아 (Lago Sofla) 심해저 하도 역암의 층구조와 퇴적 스타일)

  • Choe Moon Young;Jo Hyung Rae;Sohn Young Kwan;Kim Yeadong
    • The Korean Journal of Petroleum Geology
    • /
    • v.10 no.1_2 s.11
    • /
    • pp.23-33
    • /
    • 2004
  • The Lago Sofia conglomerate in southern Chile is a lenticular unit encased within mudstone-dominated, deep-sea successions (Cerro Toro Formation, upper Cretaceous), extending from north to south for more than $120{\cal}km$. The Lago Sofia conglomerate is a unique example of long, gravelly deep-sea channels, which are rare in the modern environments. In the northern part (areas of Lago Pehoe and Laguna Goic), the conglomerate unit consists of 3-5 conglomerate bodies intervened by mudstone sequences. Paleocurrent data from these bodies indicate sediment transport to the east, south, and southeart. The conglomerate bodies in the northern Part are interpreted as the tributary channels that drained down the Paleoslope and converged to form N-S-trending trunk channels. In the southern part (Lago Sofia section), the conglomerate unit comprises a thick (> 300 m) conglomerate body, which probably formed in axial trunk channels of the N-5-trending foredeep trough. The well-exposed Lago Sofia section allowed for detailed investigation of sedimentary facies and large-scale architecture of the deepsea channel conglomerate. The conglomerate in Lago Sofia section comprises stratified conglomerate, massive-to-graded conglomerate, and diamictite, which represent bedload deposition under turbidity currents, deposition by high-density turbidity currents, and muddy debris flows, respectively. Paleocurrent data suggest that the debris flows originated from the failure of nearby channel banks or slopes flanking the channel system, whereas the turbidity currents flowed parallel to the orientation of the overall channel system. Architectural elements produced by turbidity currents represent vertical stacking of gravel sheets, lateral accretion of gravel bars, migration of gravel dunes, and filling of channel thalwegs and scoured hollows, similar to those in terrestrial gravel-bed braided rivers. Observations of large-scale stratal pattern reveal that the channel bodies are offset stacked toward the east, suggestive of an eastward migration of the axial trunk channel. The eastward channel migration is probably due to tectonic tilting related to the uplift of the Andean protocordillera just west of the Lago Sofia deep-sea channel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