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 re context and some semantic traits of 'rago'

대물(de re) 문맥과 '-라고'의 몇 가지 의미론적 특성

  • Received : 2012.01.23
  • Accepted : 2013.02.10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e author, after introducing the concept of de re belief and discussing de re/de dicto ambiguity in belief context and modal context, concludes that modal sentences of Korean language does not show any distinctive traits against English. He, after discussing this ambiguity in negative sentence a la Russell, tries to show that Korean provides two way of negation construction, one of which corresponds to de re negation (primary occurrence in Russell's terms). De re reading makes referentially transparent context, thus permits substitutions of identicals salva veritate; De dicto reading does not. Korean ending 'rago', used with quotation verbs, speech act verbs and cognitive attitude verbs, deserves some attention in that it permits de re sentences in addition to de re/de dicto ambiguous sentences. 'Rago' also makes speaker's commitment to the content of the intensionally contained clause 'neutral', in contrast with other Korean endings such as 'um/im' and 'raneun gut' which make speaker's positive commitment. This explains why the maxim of western epistemology that knowledge presupposes truth does not hold in Korean 'rago' sentences.

대언 믿음과 대물 믿음의 구별을 소개하고, 믿음 문맥과 양상 문맥에서 대언(de dicto)/대물(de re) 애매성이 동일하게 나타나는데, 양상 구문의 경우 한국어는 영어와 차별화되는 특징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지적한다. 부정문에서도 대언/대물 구문의 애매성이 나타나는 바, 이와 관련하여 한국어는 대물 부정문에 해당하는 통사 구조를 허용한다. 대물 구문은 지시적으로 투명한 구문이요 따라서 동일자 대입률을 허용하는 구문이며, 대언 구문은 지시적으로 불투명한 구문이요 동일자 대입률을 허용하지 않는 구문이다. 그런데, 인용 동사, 언어행위동사, 인지태도 동사들과 함께 사용되는 한국어의 인용 어미 '라고'는 특이하게도 영어와 평행하게 대언/대물 애매성을 갖는 문장 뿐 아니라 애매성 없는 대물 구문을 구성하는 문장도 제공한다. 또한, '라고' 구문은 내포절의 내용에 대한 화자의 공약에 있어서도 중립적이다. 한국어에서는 내포절의 내용에 대한 화자의 긍정적인 공약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음/임' 또는 '라는 것'이라는 어미를 사용한다. 이런 점 때문에 '앎이 진리를 전제한다'는 서구 인식론의 원칙은 인식 문장을 한국어 어미 '라고'를 사용하는 문장으로 표현하려고 할 때에는 어려움을 겪게 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