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8B%A4%EC%B2%B4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42초

Anti-inflammatory and PPAR Subtypes Transactivational Activities of Phenolics and Lignans from the Stem Bark of Kalopanax pictus

  • Quang, Tran Hong;Ngan, Nguyen Thi Thanh;Minh, Chau Van;Kiem, Phan Van;Nhiem, Nguyen Xuan;Tai, Bui Huu;Thao, Nguyen Phuong;Luyen, Bui Thi Thuy;Song, Seok-Bean;Kim, Young-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11호
    • /
    • pp.4049-4054
    • /
    • 2011
  • A new compound, kalopanaxin F (3), and 11 known compounds (1, 2, 4-12), were isolated from the stem bark of Kalopanax pictus.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on the basis of chemical and spectroscopic methods. Five of the compounds (2, 3, 5, 6, and 12) significantly inhibited $TNF{\alpha}$-induced NF-${\kappa}B$ transcriptional activity in HepG2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IC_{50}$ values ranging from 6.2 to 9.1 ${\mu}M$. Furthermore, the transcriptional inhibitory function of these compounds was confirmed based on decreases in COX-2 and iNOS gene expression in HepG2 cells. Compounds 3-7, 9, and 12 significantly activated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PPARs dose-dependently, with $EC_{50}$ values ranging from 4.1-$12.7{\mu}M$. Compounds 4 and 5 exhibited $PPAR{\alpha}$, $PPAR{\gamma}$, and $PPAR{\beta}({\delta})$ transactivational activities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EC_{50}$ values of 16.0 and 17.0, 8.7 and 16.5, 26.2 and 26.3 ${\mu}M$, respectively.

Bacillus coagulans IDCC 1201이 생산하는 Phyt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hytase from Bacillus coagulans IDCC 1201)

  • 이승훈;권혁상;구교탄;강병화;김태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8-34
    • /
    • 2006
  • 현재 probiotics로 상업화되어 있는 B. coagulans IDCC 1201(상업용 명칭 : Lactobacillus sporogenes)이 acid phytase 및 $Co^{2+}$를 cofactor로 갖는 metalloenzyme 특성을 가진 phytase를 생산하고, cofactor로 사용되는 $Co^{2+}$ ion이 B. coagulans IDCC 1201 유래 phytase의 열 안정성에 기여하였다. 또한 B. coagulans IDCC 1201의 phytase 유전자 서열을 분석한 결과 B. subtilis 168 유래의 enzyme 서열과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B. coagulans IDCC 1201 장내 균총의 정상화를 가져와, 질병 예방과 면역력 향상을 구현함과 동시에 가축이 곡물에 함유된 phytic acid의 섭취로 인한 항영양인자, 환경오염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사료 첨가제로써의 산업적 효용가치가 풍부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과 과실로부터 분리한 polygalacturonase-inhibiting protein(PGIP)의 생화학적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 Apple Polygalacturonase-inhibiting Protein (PGIP) from Apple Fruits)

  • 이동훈;강상구;강인규;이윤경;최철;변재균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53-658
    • /
    • 2006
  • 사과 겹무늬썩음병균이(Botryosphaeria dothidea) 생성하는 세포벽 분해효소인 endopolygalaturonase를 억제하는 polygalacturonase-inhibiting protein (PGIP)를 사과 과실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되어진 사과 PGIP는 사과 겹무늬썩음병균이 생성하는 PG에 대하여 혼합형의 저해를 나타내었다. PGIP의 반응 최적온도는 $40^{\circ}C$이며 최적 pH는 5.0이었다. 이 효소는 $60^{\circ}C$까지는 비교적 안정하였으나 $70^{\circ}C$에서는 효소의 활성이 완전히 억제되었으며 pH 4.0에서 8.0까지는 안정하였다. PGIP는 $K^+$, $Cu^{2+}$, $Mg^{2+}$, $Ca^{2+}$$Zn^{2+}$ 등의 금속이온과 SDS 그리고 CDTA에 의해 효소의 활성이 저해되었다.

화학독립영양미생물 Aeromonas sp. strain JS-1의 RubisCO 정제 및 특성

  • 나숙현;배상옥;김민정;김성준;정선용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461-464
    • /
    • 2002
  • 화학독립영양미생물 Aeromonas sp. strain JS-l는 호수와 웅덩이의 표층수에서 분리 동정 되었고 분리된 strain JS-1은 에너지원과 탄소원으로써 각각 $H_2$$CO_2$를 이용하였다. RubisCO(EC 4.1.1.39)는 Aeromonas sp. strain JS-l으로부터 ammonium sulfate 침전과 DEAE-sepharose CL-6B,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방법으로 정제되었다. RubisCO의 분자량은 gel filtration에 의해 대략 560 kDa임을 확인되었으며, SDS-PAGE에 의해 Large subunit(56 kDa)와 Small subunit(14 kDa)로 구성된 $L_8S_8$구조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Ribulose 1,5-bisphosphate (RuBP), $NaH^{14}CO_3$$Mg^{++}$의 Km값은 각각 0.25 mM, 5.2 mM, 0.91 mM이었으며, 효소반응의 최적온도는 $50^{\circ}C$였으며, 열 안정성은 $45^{\circ}C$까지 안정하였다.

  • PDF

증포 처리한 삼채 뿌리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team-Dried Allium hookeri Root)

  • 전현일;장하나;양재헌;송근섭;김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12-417
    • /
    • 2015
  • 증포 처리가 삼채 뿌리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증포 처리한 삼채 뿌리는 생 삼채 뿌리보다 황 함량이 각각 2.0배와 2.1배 감소하였다. pH와 총당은 증포 처리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적정산도와 갈변도는 증가하였다. 색도의 경우 L과 b 값은 감소하였으나 a 값은 증가하였다.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증포 4회가 DPPH radical assay, ABTS radical assay 및 reducing power에서 $EC_{50}$ 값이 각각 0.44 mg/mL, 9.01 mg/mL 및 0.48 mg/mL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TPC($34.47{\mu}g/mg$)와 갈변도(2.05 at 280 nm와 0.20 at 420 nm)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들 성분과 각 항산화 활성에 대한 $EC_{50}$ 값의 $R^2$는 0.87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증포 처리는 삼채 뿌리의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인 가공 방법으로 판단된다.

Pyribenzoxim 1% 유제(乳劑)의 경엽(莖葉) 부착량(附着量)과 약효(藥效), 약해(藥害)의 관계(關係) (Foliar Retention of the Herbicide Pyribenzoxim(1% EC), and Its Effects on Herbicidal Activity and Rice Phytotoxicity)

  • 구석진;김정수;이재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04-313
    • /
    • 1998
  • 유제(乳劑)를 살포하였을 때 벼와 피에 대한 경엽부착량을 다양한 조건에서 조사하고 그것을 약효 및 약해와 연관시켜 보았다. 경엽부착량의 측정은 형광물질인 rhodamine B를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피에 대한 경엽부착량은 표준처리조건 (약량; 30g ai/ha, 처리물량; 1000 L/ha)에서 disk-type 노즐 (국내 수동배부식 분무기용)로 전착제 가용시, 비가용시, flat-fan 노즐 (구미 boom-sprayer용)로 전착제 가용시, 비가용시, 경엽 생체중 1g 당(當) 각각 2.3-2.7, 1.4-1.5, 0.6-0.7, $0.3-0.5{\mu}g$ 이 었다. 2 처리물량을 고정시키고 농도를 변화시킨 경우와 농도를 고정시키고 처리물량을 변화시킨 경우에 부착량 증감의 기울기는 각각 1.0-1.8, 1.6-2.4로 후자의 경우가 변동의 폭이 더 컸다. 3. 피에 대한 경엽부착량은 약효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으며, 90% 방제를 나타내는 부착량은 경엽 생체중 1g 당(當) 약 $0.8{\mu}g$이었고, 그 이하의 부착량에서는 약효가 거의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4. 벼에 대한 경엽부착량은 표준처리조건에서 disk-type 노즐로 전착제 가용시, 비가용시, flat-fan 노즐로 전착제 가용시, 비가용시, 경엽 생체중 1g 당(當) 각각 1.9-2.3, 1.2-1.3, 0.6-0.9, $0.3{\mu}g$이었다. 5. 처리물량을 고정시키고 농도를 변화시킨 경우와 농도를 고정시키고 처리물량을 변화시킨 경우에 부착량 증감의 기울기는 각각 1.0-2.8, 1.3-4.4로 파에서와 마찬가지로 후자의 경우가 변동의 폭이 더 컸다. 6. 4배 이내의 약량(농도) 또는 살포량 증가 시에 벼에 대한 pyribenzoxim의 경엽부착량의 증가나 노즐, 전착제 유무에 의한 차이는 약해와 관련이 없었다. 7. 타(他)약제와 혼용시 벼에 대한 pyribenzoxim의 경엽부착량은 약제에 따라 약 30-50%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한계상태 정의에 따른 FRP Rebar 보강 콘크리트 슬래브의 구조거동 예측 (Prediction of Structural Behavior of FRP Rebar Reinforced Concrete Slab based on the Definition of Limit State)

  • 오홍섭;김영환;장낙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4호
    • /
    • pp.371-381
    • /
    • 2020
  • FRP로 보강된 콘크리트 부재의 파괴형태는 콘크리트 압괴와 섬유 파단으로 정의되며, 설계방법에 따라 한계상태를 조금씩 다르게 정의하고 있다. FRP 보강재는 섬유에 따라 성능이 상이하기 때문에 사용상태와 극한상태의 성능을 예측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까다롭다. 특히 많이 사용되고 있는 ACI 440의 기준은 주로 저탄성계수를 갖는 GFRP를 중심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다른 섬유에 대한 적용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ACI440의 휨한계상태는 보강비에 따라 압괴와 파단이 동시에 발생하는 천이영역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균형보강비에서의 거동예측이 상대적으로 어렵고, 사용성 예측 방법이 하중조건에 따라 민감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복잡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0.8~1.2 𝜌b의 보강비를 갖는 슬래브의 실험결과와 문헌고찰을 통하여 설계방법별 거동예측의 신뢰성과 편이성을 고찰하였다. 해석결과 Model Code의 모멘트 곡률식(LIM-MC) 간략식의 경우 FRP 보강구조물에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EC2에 기반한 한계상태 설계법이 상대적로 극한강도설계법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olymorphisms in Heat Shock Proteins A1B and A1L (HOM) as Risk Factors for Oesophageal Carcinoma in Northeast India

  • Saikia, Snigdha;Barooah, Prajjalendra;Bhattacharyya, Mallika;Deka, Manab;Goswami, Bhabadev;Sarma, Manash P;Medhi, Subhas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8호
    • /
    • pp.8227-8233
    • /
    • 2016
  • Background: To investigate polymorphisms in heat shock proteins A1B and A1L (HOM) and associated risk of oesophageal carcinoma in Northeast India.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cludes oesophageal cancer (ECA) patients attending general outpatient department (OPD) and endoscopic unit of Gauhati Medical College. Patients were diagnosed based on endoscopic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Genomic DNA was typed for HSPA1B1267 and HSPA1L2437 SNPs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Results: A total of 78 cases and 100 age-sex matched healthy controls were included in the study with a male: female ratio of 5:3 and a mean age of $61.4{\pm}8.5years$. Clinico-pathological evaluation showed 84% had squamous cell carcinoma and 16% were adenocarcinoma. Dysphagia grades 4 (43.5%) and 5 (37.1%) were observed by endoscopic and hispathological evaluation. The frequency of genomic variation of A1B from wild type A/A to heterozygous A/G and mutant G/G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chi sq=19.9, p=<0.05] and the allelic frequency also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chi sq=10.3, with cases vs. controls, OR=0.32, $p{\leq}0.05$]. The genomic variation of A1L from wild T/T to heterozygous T/C and mutant C/C were found positively associated [chi sq=7.02, p<0.05] with development of ECA. While analyzing the allelic frequency,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chi sq=3.19, OR=0.49, p=0.07]. Among all the risk factors, betel quid [OR=9.79, Chi square=35.0, p<0.05], tobacco [OR=2.95, chi square=10.6, p<0.05], smoking [OR=3.23, chi square=10.1, p<0.05]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sumers vs. non consumers regarding EC development. Alcohol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association [OR=1.34, chi square=0.69, p=0.4] independently. Conclus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esent study provides marked evidence that polymorphisms of HSP70 A1B and HSP70 A1L genes ar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ECA in a population in Northeast India, A1B having a stronger influence. Betel quid consumption was found to be a highly significant risk factor, followed by smoking and tobacco chewing. Although alcohol was not a potent risk factor independently, alcohol consumption along with tobacco, smoking and betel nut was found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ECA.

방울토마토 담액재배시 $\textrm{NH}_4\textrm{H}_2\textrm{PO}_4$ 농도에 기초한 배양액 조절 (Management of Nutrient Solution Based on $\textrm{NH}_4\textrm{H}_2\textrm{PO}_4$Concentration in Deep Flow Culture of Cherry Tomato)

  • 이문정;김성은;김영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88-194
    • /
    • 1995
  • 야마자키 토마토용 배양액을 이용하여 토마토를 담액 재배할 경우, pH 7.5 정도인 수돗물을 용수로 한 배양액에 NH$_4$H$_2$PO$_4$를 사용하므로써 배양액의 pH를 안정시키는 동시에, 적정 식물생장을 유도할 수 있는 NH$_4$H$_2$PO$_4$농도를 찾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NH$_4$H$_2$PO$_4$의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배양액의 pH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EC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NH$_4$-N 8/3 me/$\ell$ 처리구에서는 식물체에 황화현상이 나타났다. NH$_4$-N이 4/3 me/$\ell$ 혹은 5/3 me/$\ell$인 처리구에서 pH와 EC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엽장이나 줄기직경은 NH$_4$-N 2/3 me/$\ell$처리구에서 큰 값을 나타냈고, 과실의 당도는 NH$_4$-N 5/3 me/$\ell$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토마토의 담액 재배시 수확기 이전에는 NH$_4$-N을 2/3 me/$\ell$로 하고, 수확기에는 NH$_4$-N을 4/3-5/3 me/$\ell$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Organic Dyes using CdSe-Mn-C60 Nanocomposites

  • Jiulong Li;Jeong Won Ko;Weon Bae Ko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7권4호
    • /
    • pp.181-187
    • /
    • 2022
  • CdSe-Mn nanocomposites were synthesized using a microwave method with sodium sulfite (Na2SO3), selenium (Se), cadmium sulfate octahydrate (3CdSO4·8H2O), ammonia solution (NH3·H2O), and manganese (II) sulfate monohydrate (MnSO4·H2O). We obtained CdSe-Mn-C60 nanocomposites by calcining CdSe-Mn nanocomposites and fullerene (C60) in an electric furnace at 700 ℃ for 2 h. X-ray diffraction, Raman spect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ere used to characterize the crystal structures, lattice vibrations, and surface morphologies of the products, respectively. The photocatalytic activities of the CdSe-Mn-C60 nanocomposit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s of organic dyes such as BG, MB, MO, and RhB under ultraviolet (UV) irradiation at 254 nm. UV-visible spectrophotometry was used to confirm the degradation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