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8B%A4%EC%B2%B4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44초

Expression of Acetohydroxyacid Synthase from Bacillus anthracis and Its Potent Inhibitors

  • Choi, Kyoung-Jae;Pham, Chien Ngoc;Jung, Hoe-Il;Han, Sung-Hwan;Choi, Jung-Do;Kim, Jin-Heung;Yoon, Moon-Yo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7호
    • /
    • pp.1109-1113
    • /
    • 2007
  • Acetohydroxyacid synthase (AHAS, EC 2. 2. 1. 6) is the enzyme that catalyses the first step in the common pathway of the biosynthesis of the branched chain amino acids, valine, leucine and isoleucine. For the first time, the AHAS gene from Bacillus anthracis was cloned into the expression vector pET28a(+), and was expressed in the E. coli strain BL21(DE3). The purified enzyme was checked on 12% SDS-PAGE to be a single band with molecular weight of 65 kDa.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B. anthracis AHAS was at pH 7.5 and 37 oC, respectively. Kinetic parameters of B. anthracis were as follows: Km for pyruvate, K0.5 for ThDP and Mg2+ was 4.8, 0.28 and 1.16 mM respectively. AHAS from B. anthracis showed strong resistance to three classes of herbicides, Londax (a sulfonylurea), Cadre (an imidazolinone), and TP (a triazolopyrimidin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se herbicides could be used in the search for new anti-bacterial drugs.

배양액의 종류 및 광질이 물냉이의 생육 및 Glucosinolate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Nutrient Solution and Light Quality on Growth and Glucosinolate Contents of Watercress in Hydroponics)

  • 최재윤;김성진;복권정;이광야;박종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71-380
    • /
    • 2018
  • 배양액의 종류 및 LED를 이용한 다양한 광질 조건이 물냉이의 생장과 glucosinolates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3주간의 수경재배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물냉이 종자를 암면배지에 파종 후 발아시켜, 2주간 육묘하였다. 유묘들은 semi-DFT 시스템에 이식하였다. 환경조절실은 주간온도 $20{\pm}1^{\circ}C$와 야간온도 $16{\pm}1^{\circ}C$, 주간습도 $65{\pm}10%$와 야간습도 $75{\pm}10%$의 범위에서 조절되었으며 16/8h 조건의 광주기와 $180{\pm}10{\mu}mol{\cdot}m^{-2}{\cdot}s^{-1}$ 광강도를 유지하였다. 배양액은 오오츠카 하우스 1A(OTS), 한국원시(HES)과 화란온실작물연구소(PBG) 배양액을 초기 EC 1.0-1.3, pH 6.2와 형광등을 광원으로 실험하였다(실험-1). 광질에 대한 생육과 glucosinolates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단색광(적색: R10, 백색: W10) 처리구와 혼합광(적청녹색: R2B1G1, 백청녹색: W2B1G1, 적색: R10, 적청색: R5B1, 적청색: R3B1)처리구를 두었다. 물냉이 지상부의 생육은 3개의 배양액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뿌리의 생체중은 HES와 비교하여 PBG와 OTS에서 13.7%와 55.1% 증가하였다. OTS 처리는 PBG와 HES 처리구에 비해 gluconasturtiin 함량이 96%, 65% 증가하였다. 백색광조건(W10)과 비교하여 적색광(R10) 처리는 초장이 101.3% 증가하였다. 청색광비율의 증가는 지상부 생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물냉이의 건물중 당 glucosinolates 함량은 R2B1G1 처리구와 비교하여 R3B1 처리구에서 144.5% 증가하였으며, W10 처리구와 비교 시, 약 70%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R3B1 처리구에서 물냉이의 생육과 총 glucosinolates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Spirocyclopropyl-carbocyclic Nucleoside as a Novel Scaffold for Potent Anti-HCV Agents

  • Li, Hua;Yoo, Jin-Cheol;Hong, Joon-He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4호
    • /
    • pp.1146-1152
    • /
    • 2011
  • The discovery of 2'-spirocyclopropyl-ribocytidine (J. Med. Chem. 2010, 53, 8150-8160) as a potent inhibitor of RNA synthesis by NS5B ($IC_{50}=7.3{\mu}M$), the RNA polymerase encoded by hepatitis C Virus (HCV), has led to the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several carbocyclic versions of 2'-spiropropyl-nucleosides. The cyclopentenol intermediate 7 was successfully constructed via ring-closing metathesis (RCM) from divinyl 6. Spirocyclopropanation of enone 8 was effected by using (2-chloroethyl)-dimethylsulfonium iodide and potassium tert-butoxide to form the desired intermediate 9. The synthesized nucleoside analogues 21-24 were assayed for their ability to inhibit HCV RNA replication in a subgenomic replicon Huh7 cell line. Among them, the cytosine nucleoside analogue 22 exhibited significant anti-HCV activity ($EC_{50}= 8.2{\mu}M$).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광질과 광주기에 따른 씀바귀의 생육 (Light Quality and Photoperiod Affect Growth of Sowthistle (Ixeris dentata Nakai) in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 김혜민;강정화;정병룡;황승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1호
    • /
    • pp.67-76
    • /
    • 2016
  • 본 연구는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 내에서 광질과 광주기에 따른 씀바귀(Ixeris dentata Nakai)의 생육 증진을 위한 적정 생육환경 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씀바귀 종자는 240구 플러그 트레이에 파종하였고,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LED(R:B:W = 8:1:1)하에서 24시간 광주기로 3일간 발아 하였다. 묘는 $230{\mu}mol{\cdot}m^{-2}{\cdot}s^{-1}$의 광도의 3종류의 광질(R:B:W = 8:1:1, R:W = 3:7, R:B = 8:2)과 4종류의 광주기[24/0, 16/8, 8/16, 4/20 (명기/암기)]하에서 $20cm{\times}20 cm$의 재식밀도로 난괴법으로 배치 하였다. 씀바귀는 정식 후 온도 $21{\pm}2^{\circ}C$, 상대습도 $70{\pm}10%$ 조건에서 40일 동안 재배 되었다. 관수는 담액식 양액 재순환 방식을 이용하였다(pH 7.0, EC $2.0dS{\cdot}m^{-1}$). 24/0(명기/암기)의 광주기 처리와 RW 광질 처리에서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 엽장, 엽면적은 가장 우수했다. 16/8(명기/암기)의 광주기 처리와 RB 광질에서 엽수는 가장 많았으며, 잎끝마름 발생률은 24/0(명기/암기)의 광주기 처리에서 다른 처리보다 높게 나타났다. 엽록소 값은 16/8(명기/암기) 광주기 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광질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엽록소형광은 24/0(명기/암기) 광주기 처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현저히 낮은 값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밀폐형 식물공장 시스템 안에서 씀바귀 재배의 경제적인 실현가능성과 생산적인 측면에서 16/8(명기/암기) 광주기 처리, RW의 광질에서 씀바귀를 재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오이연작토양(連作土壤)의 화학성(化學性), 미생물상(微生物相) 및 Biomass 에 미치는 담수처리(湛水處理)의 영향(影響) (Effects of Water-logging on the Chemical Properties, Microflora and Biomass in Continuous Cropping of Cucumber Soils)

  • 김현우;김용웅;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6-155
    • /
    • 1989
  • 오이연작토양(連作土壤)에 담수처리(湛水處理)를 하여 오이를 재배(栽培)하면서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 미생물조(微生物租) 및 미생물성(微生物性) Biomass의 변화(變化)를 조사분석(調査分析)하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1. 토양화학성중(土壤化學性中) pH는 5.50~5.90으로 높아지고, EC는 0.3mmhos/cm 이하(以下)로 감소(減少)하여 염류온도장해(鹽類溫度障害)의 가능성(可能性)이 줄었으며, 토양염류(土壤鹽類)의 균형(均衡)도 Ca/Mg는 2.5 Ca/K는 4.8, Mg/K는 2.0에 근접(近接)하였다. 2. 담수처리후(湛水處理後) 세균(細菌)과 방사상균(放射狀菌)의 수(數)는 증가(增加)하였으나, 사상균(絲狀菌)과 병원성(病源性) Fusarium 속균(屬菌), 그리고 Pythium과 Phytophthora속균(屬菌)의 수(數)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3. B/F치(値)는 담수처리시(湛水處理時)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며 처리별(處理別)로는 7일간(日間) 담수구(湛水區)보다 20일간(日間) 담수구(湛水區)의 B/F치(置)는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4. Biomass 함량(含量)은 10.4~36.1mg/100g이었으며 담수구(湛水區)의 Biomass 함량(含量)은 비담수구(非湛水區)보다 더 높았으며, 담수기간(湛水期間)이 길수록 더 높았으며, 시기별(時期別)로는 생육중기(生育中期)의 함량(含量)이 초기(初期)보다 낮은 경향(傾向)이었으나, 일반적(一般的)으로 증가(增加) 하는 경향(傾向)이었다.

  • PDF

$TiS_2$ Composite/SPE/Li Cell의 충방전에 따른 AC 임피던스의 변화 (Variation of AC Impedance of the $TiS_2$ Composite/SPE/Li Cell with Cycling)

  • 김종욱;구할본;문성인;윤문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5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034-1038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develop $TiS_2$ composite cathode for lithium polymer battery(LPB). $TiS_2$ electrode represent a class of insertion positive electrode used in Li secondary batter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reparation of $TiS_2$ composite cathode and AC impedance response of $TiS_2$ composite/SPE/Li cells as a function of state of charge(SOC) and cycling. The resistance of B type cell using $TiS_2PEO_8LiClO_4PC_5EC_5$ composite cathode was lower than that of A type cell using $TiS_2PEO$ composite cathode. The cell resistance of B type cell is high for the first few percent discharge, decreases for midium discharge and then increases again toward the end of discharge. We believe the magnitude of the cell resistance is dominated by passivation layer impedance and small cathode resistance. AC impedance results indicate that the cell internal resistance increase with cycling, and this is attributed to change of passivation layer impedance with cycling. The passivation layer resistance($R_f$) of B type cell decreases for the 2nd cycling and then increases again with cycling. Redox coulombic efficiency of B type cell was about 141% at 1st cycle and 100% at 12th cycle. Also, $TiS_2$ specific capacity was 115 mAh/g at 12 cycle.

  • PDF

솔 - 젤법을 이용한 Bismuth Layered Structure를 가진 강유진성 박막의 제조 및 특성평가에 관한 연구 (II. MOD법으로 제조한 강유전성 $Sr_{0.7}/B_{2.3}(Ta_{1-x}Nb_x)_2O_9$ 박막의 유전특성) (The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smuth Layered Ferroelectric Thin Films by Sol-Gel Process (II. Dielectric Properties of Ferroelectric $Sr_{0.7}/B_{2.3}(Ta_{1-x}Nb_x)_2O_9$ Thin Films Prepared by MOD Process))

  • 최무용;송석표;정병직;김병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62-68
    • /
    • 1999
  • Ferroelectric $Sr_{0.7}/B_{2.3}(Ta_{1-x}Nb_x)_2O_9$(x=0, 0.1, 0.2, 0.3) thin films were deposited on $Pt/SiO_2/Si$ substrate by MOD(Metalorganic Decomposition) process. Metal carboxylate and metal alkoxide were used as precursors, and 2-methoxyethanol, xylene as solvents. After spin coating, thin films were pre-annealed at $400^{\circ}C$, followed by RTA(Rapid Thermal Annealing) and final annealing at $800^{\circ}C$ in oxygen atmosphere. These procedures were repeated three times to obtain thin films with the thickness of $2000{\AA}$. To enhance the nucleation and growth of layered-perovskite phase, thin films were rapid-thermally annealed above $720^{\circ}C$ in oxygen atmosphere. As RTA temperature increased, fluorite phase was transformed to layered-perovskite phase. And the change of Nb contents affected dielectric / electr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The ferroelectric characteristics of $Sr_{0.7}/B_{2.3}(Ta_{1-x}Nb_x)_2O_9$ thin film were Pr=8.67 $\mu{C}/cm^2$, Ec=62.4kV/cm and $I_{L}=1.4\times10^{-7}A/cm^2$ at the applied voltage of 5V, respectively.

  • PDF

부하 변조 및 위상 보상 DGS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를 이용한 도허티 증폭기 (Doherty Amplifier Using Load Modulation and Phase Compensation DGS Micro-Strip Line)

  • 최흥재;임종식;정용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815-824
    • /
    • 2005
  • 본 논문에서 우리는 새로운 방식의 IMT-2000 대역 DGS(Defected Ground Structure) 도허 티 증폭기를 제안하였다. 근본적으로 도허티 증폭기의 능동 로드-풀 회로 해석 기법은 이상적인 고조파 단락 상태를 가정한다. 그러나 기존의 논문에서는 대부분 이러한 이상적인 고조파 단락을 간과하고 있었다. 우리는 도허티 주 증폭기의 부하 변조 동작에 필수적인 출력단의 임피던스 변환 전송 선로와 보조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 보정을 위한 오프셋 전송 선로에 DGS를 적용함으로써 이러한 가정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이득, 효율 그리고 최대 출력 전력을 개선하였으며, 선형성 개선과 상당한 크기 감소 효과도 얻을 수 있었다. 제안된 DGS 도허티 증폭기의 2차, 3차 고조파는 비교 대상으로 제작된 일반적인 도허티 증폭기에 비해 각각 44.92 dB, 23.77 dB 이상 차단되었다. 그 결과로서 얻어진 DGS 도허티 증폭기의 P1 dB는 0.42 dB 증가하였고 드레인 효율은 최대 $13.4\%,$ 이득은 0.33 dB 증가하였으며, WCDMA 1 FA 신호에 대한 ACPR 특성이 최대 5.4 dEc 개선되었다. 게다가 주 증폭기와 보조 증폭기 경로에서 각각 $90^{\circ}$ 전기각에 해당하는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전체 회로의 크기를 상당히 줄일 수 있었다.

곡류 등 다소비 식품 중 곰팡이독소 안전성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of Mycotoxins in Grains and Commonly Consumed Foods)

  • 김재관;김영숙;이창희;서미영;장미경;구은정;박광희;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70-476
    • /
    • 2017
  • 시중 유통 중인 곡류, 콩류, 견과류, 종실류 등 134건에 대하여 8종의 곰팡이독소를 LC-MS/MS를 이용하여 동시 분석하였다. 전체 시료 중 22건에서 fumonisin $B_1$, $B_2$, zearalenone, ochratoxin A 등 4종이 검출되어 16.4%가 곰팡이독소에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성이 강한 aflatoxin $B_1$, $B_2$, $G_1$, $G_2$는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된 곰팡이독소 중 fumonisin ($B_1+B_2$)은 $0.48{\sim}560.2{\mu}g/kg$, zearalenone은 $0.22{\sim}28.6{\mu}g/kg$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평균 검출량은 fumonisin이 곡류 $49.3{\mu}g/kg$, 유지종실류 $10.1{\mu}g/kg$, zearalenone이 곡류 $1.9{\mu}g/kg$, 콩류 $1.5{\mu}g/kg$이었으며, ochratoxin A는 곡류에서 $0.08{\mu}g/k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기장에서 검출된 ochratoxin A는 $4.8{\mu}g/kg$으로 기준치인 $5.0{\mu}g/kg$에 근접하여 검출되었는데 생산년도가 2016년인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곰팡이독소가 검출된 나머지 품목은 2015년에 생산되었는데 특히 곡류 중 율무와 수수는 대부분의 시료에서 곰팡이독소가 검출됐으며 땅콩 및 견과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곰팡이독소가 검출된 품목의 검출빈도를 살펴보면 율무 66.7%, 수수 87.5%, 조 20%, 기장 20%로 곡류 중 약 27%가 독소에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고, 콩류는 팥에서 60%가 검출되어 콩류 전체로는 12.5%가 오염됐으며 유지종실류는 깨에서 33.3%가 검출되어 유지종실류 전체로는 11.8%가 독소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곰팡이독소 중 fumonisin과 zearalenone이 동시에 검출된 품목은 율무 2건, 수수 3건이었으며 fumonisin이 검출된 경우 대부분의 시료에서 fumonisin $B_1$, $B_2$ 가 동시에 검출되었으나 율무, 조, 참깨 각 1건에서 fumonisin $B_1$만 검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산출한 1인 1일 노출량은 곡류의 경우 fumonisin $1.4{\times}10^{-2}{\mu}g/kgb\;.w./day$, zearalenone $5.6{\times}10^{-4}{\mu}g/kg\;b.w./day$, ochratoxin A $2.2{\times}10^{-5}ng/kg\;b.w./day$이었으며 콩류에서는 zearalenone $5.4{\times}10^{-5}{\mu}g/kg\;b.w./day$, 종실류는 $7.4{\times}10^{-5}{\mu}g/kg\;b.w./day$으로 이를 바탕으로 WHO/JECFA에서 제시한 자료를 바탕으로 PMTDI 대비 인체 노출량을 산출한 결과 fumonisin은 곡류 0.72% 종실류 0.004% zearalenone 곡류 0.11%, 콩류 0.01%에 해당하는 양이었으며 ochratoxin A는 PTWI 대비 0.14%, EC의 TDI 대비 0.45%로 검출된 곰팡이독소가 인체에 대한 유해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 곰팡이독소는 기준치 이내의 아주 적은 양 검출되었지만 기후 온난화로 인해 독성이 강한 곰팡이독소가 생성되기 쉬운 환경으로 변해가고 있어 농산물의 생산, 저장, 포장 과정에 이르기까지 보다 폭 넓은 연구가 이루어져 곰팡이독소로 인한 안전성 논란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Methionine Aminopeptidase (MAP) Gene from Tetragenococcus halophilus CY54 Isolated from Myeolchi-Jeotgal

  • Tae Jin Kim;Min Jae Kim;Yun Ji Kang;Ji Yeon Yoo;Jeong Hwan Ki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6-31
    • /
    • 2023
  • A map gene encoding methionyl-specific aminopeptidase (MAP; EC 3.4.11.18) was cloned from Tetragenococcus halophilus CY54. Translated amino acid sequence of CY54 MAP showed high similarities with those from Enterococcus faecalis (83.8%) and Streptococcus salivarius (62.2%) but low similarities with MAPs from Lactobacillus and Lactococcus genera. The map gene was overexpressed in E. coli BL21(DE3) using pET26b(+),pET26b(+), and the recombinant MAP was purified by using an Ni-NTA column. The size of recombinant MAP was 29 kDa as determined by SDS-PAGE.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of CY54 MAP were pH 5.0 and 60℃, respectively. The activity of CY54 MAP was most significantly increased by Co2+ ion (159%), and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t 12% NaCl. Km and Vmax were 0.64 ± 0.006 mM and 10.12 ± 0.014 U/mg protein, respectively when met-pNA was used as the substrate. This is the first report on a MAP from Tetragenococcus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