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B3%B5%EA%B8%B0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1초

광학입자계수기를 이용한 안면도 연직 에어러솔 수농도 크기 분포 특성 (Features on the Vertical Size Distribution of Aerosols using Ballon-borne Optical Particle Counter at Anmyeon)

  • 최병철;;임재철;정상부;김윤석;;;;김상백;홍기만;이영곤;유희정
    • 대기
    • /
    • 제15권3호
    • /
    • pp.149-153
    • /
    • 2005
  • A balloon-borne Optical Particle Counter (hereafter "OPC Sonde"), which was developed by the atmospheric research group of Nagoya University, is used for getting the information of vertical profile of particle size and concentration in Anmyeon ($36^{\circ}32^{\prime}N$ $126^{\circ}19^{\prime}E$) on 18 March 2005. A range of five different particle sizes is shown in the vertical profile of aerosol number density estimated from the OPC Sonde. It was found that small size particles have vertically larger aerosol number density than relatively big ones. For all size ranges the vertical aerosol number density shows a decreased pattern as the altitude becomes higher. The aerosol number density of $0.3{\sim}0.5{\mu}m$, $0.5{\sim}0.8{\mu}m$, $0.8{\sim}1.2{\mu}m$ size ranges at the 10km height, which is the tropopause approximately, are $1,000,000ea/m^3$, $100,000ea/m^3$, $10,000ea/m^3$ respectively. The data of OPC Sonde are also compared with the data of PM10 $\beta$-ray) and Micro Pulse Lidar which are operating at Korea Global Atmosphere Watch Observatory in Anmyeon.

재래산양 적혈구를 이용한 한우 순환 혈액내 rosette 형성 세포 정량 (Enumeration of Korean native goat erythrocytes (KGRBC)-rosette forming cells in peripheral blood of Korean cattle)

  • 정기수;김년수;김동훈;강명대;송희종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25-530
    • /
    • 1989
  • In order to enumerate the T-lymphocytes in bovine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PBL) by E rosette assay, KGRBC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2-aminoethylisothiouronium bromide(AET) and dextran(Dex), singly or in combination. To further standardize the assay, optimum concentration of AET- and/or Dex-treatment and incubation time for rosette forming cell(RFC) counts were determined. The levels of B-lymphocytes in the PBL were evaluated by erythzocyte-antibody($EA_{Fc}$)- and erythrocyte-antibody-complement (EAC)-rosetting technique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The PBL from 20 clinically normal Korean cattle were formed as low percentage of spontaneous E-rosette ($6.7{\pm}2.4%$) in control group, whereas in KGRBC treated with 0.1M AET for 20 minutes and 8% Dex were formed as $37.3{\pm}2.7%$ and $45.1{\pm}2.1%$, respectively. And the synergistic effects were noted no less than $66.5{\pm}5.6%$ when the KGRBC treated with 0.1M AET and 8% Dex subsequently and rate of RFR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between 3~24 hours incubation time at $4^{\circ}C$, EA-and EAC-RFR were $23.3{\pm}9.1%$ and $23.1{\pm}7.9%$,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KGRBC would be a useful agent for the enumeration of T-lymphocytes by E rosette assay and B-lymphocytes by EA- or EAC-rosette assay in cattle-PBL.

  • PDF

수도(水稻)에서 여러 질소효율의 개념(槪念)과 상호관계(相互關係) (Concepts concerning various nitrogen efficiencies and their interrelation in rice plant)

  • 박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9-80
    • /
    • 1975
  • 수도(水稻)의 수량(收量)과 여러가지 질소효율간, 질소효율 상호간(相互間), 효율과 흡수량간(吸收量間)의 관계(關係)를 설정(設定)하고 3개(個) 연간(年間)의 3요소시험(要素試驗) (30~50개지역(個地域)) 결과자료(結果資料)로 검토(檢討)하였다. 설정(設定)된 상호관계(相互關係)는 고도유의상관(高度有意相關)을 보이므로 실험결과(實驗結果)에 잘 일치(一致)하였다. 시비하(施肥下)에서 다수성(多收性)은 시료(肥料)의 이용율(利用率)(Eu)을 증가(增加)시켜 일차적(一次的)으로 질소흡수(窒素吸收)를 증가(增加)시키고 흡수시료질소吸收肥料窒素(Nf) 효율(Ef) 및 시비효율(Fe)을 증가(增加)시키며 이차적(二次的)으로 질소효율(E)을 증가(增加)시키는데 의존(依存)한다. 흡수(吸收)된 토양질소(土壤窒素)(Ns) 효율(Es)은 Ef보다 E에 대(對)한 기여도(寄與度)가 컸으며 모든 질소효율은 동반질소(同伴窒素)의 흡수량(吸收量) 및 상대(相對)되는 다른 질소효율에 역상관(逆相關)을 보였다. Es와 Ef는 1. 감법(減法) 2. Cs (Cs=Ns/Ns+Nf) 대(對) E plotting 법(法)과 3. 표식비료(標識肥料)를 사용(使用)한 E-Cs 및 Y-Ns Plotting 법(法)이 있으며 Plotting 법(法)은 E-Es Cs+B 식(式) 또는 Y=Es Ns+Ef Nf식(式)을 사용(使用)하며 B=Ef Cf로 Ef Nf와 함께 주어진 조건하(條件下에서 상수(常數)로 본다. Es는 Ef보다 대부분(大部分)의 경우 (80%) 크며 포장간(圃場間)에 Es보다 Ef에 차이가 크며 Ef는 특히 비료(肥料)의 형태(形態)에 의존(依存)한다. 설정검토(設定檢討)된 상호관계(相互關係)는 다음과 같다. 1. Y=$Es{\cdot}Ns+Ef{\cdot}Nf$ (Y는 수량(收量)) 2. E=$Es{\cdot}Cs+Ef{\cdot}Cf(Cf=Nf/Ns/Nf)$ 3. E=b-aN, E=E, Es 또는 Ef이고 N=N, Ns 또는 Nf이다. (E=Y/N, N=Ns+Nf), b는 주어진 조건(條件)에서의 E의 이론적(理論的) 최대치(最大値)이고 a는 Y=EN 곡선(曲線)의 N=0에서의 접선(接線)의 기울기이다. 4. Fe=$Ef{\cdot}Eu$, Se=$Es{\cdot}Eu$ (Se는 토양유효질소의 종조생산효율) 5. E=$Se{\cdot}Cs/Eu+Fe{\cdot}Cf/Eu$ 6. Y=$Es{\cdot}Eu{\cdot}Sf+Ef{\cdot}Eu{\cdot}Fn$ 또는 Y=$Es{\cdot}Eu{\cdot}Ea{\cdot}Sn+Ef{\cdot}Eu{\cdot}Fn(Sf=Ea{\cdot}Sn$, Ea는 비료질소(肥料窒素)와 대등(對等)한 토양유효질소(Sf)를 전토양질소(全土壤窒素)(Sn)로 나눈 유효화율).

  • PDF

Gene Expression Profile of Zinc-Deficient, Homocysteine-Treated Endothelial Cells

  • Kwun, In-Sook;Beattie, John H.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4호
    • /
    • pp.390-394
    • /
    • 2003
  • In the post-genome period, the technique for identifying gene expression has been progressed to high throughput screening. In the field of molecular nutrition, the use of screening techniques to clarify molecular function of specific nutrients would be very advantageous. In this study, we have evaluated Zn-regulated gene expression in Zn-deficient, homocystein-treated EA.hy926 cells, using cDNA microarray, which can be used to screen the expression of many genes simultaneously. The information obtained can be used for preliminary assessment of molecular and signaling events modulated by Zn under pro-atherogenic conditions. EA.hy926 cells derived from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were cultured in Zn-adequate (control, 15 $\mu$M Zn) or Zn-deficient (experimental, 0 $\mu$M Zn) Dulbecco's MEM media under high homocysteine level (100 $\mu$M) for 3 days of post-confluency. Cells were harvested and RNA was extracted. Total RNA was reverse-transcribed and the synthesized cDNA was labeled with Cy3 or Cy5. Fluorescent labeled cDNA probe was applied to microarray slides for hybridization, and the slide was then scanned using a fluorescence scanner. The expression of seven gen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one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sponse to treatment of EA.hy926 cells with Zn-deficient medium, compared with Zn-supplemented medium. The upregulated genes were oncogenes and tumor suppressor genes, cell cycle-related genes and transporter genes. The down-regulated gene was RelB, a component of the NF-kappaB complex of transcription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e effectiveness of cDNA microarray for expression profiling of a singly nutrient deficiency, namely Zn. Furthur study, using tailored-cDNA array and vascular endothelial cell lines, would be beneficial to clarify the molecular function of Zn in atherosclerosis, more in detail.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the Inner Shell of Chestnut

  • SON Kyung Hun;YANG He Eun;LEE Seung Chul;CHUNG Ji Hun;JO Byoung Kee;KIM Hyun Pyo;HEO Moon Yo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3권3호
    • /
    • pp.150-155
    • /
    • 2005
  • The ethanolic extract of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Fagaceae) inner shell (CISE) and one of its components, ellagic acid (EA), were evaluated for their protective effects against 1, 1-diphenyl-2-picryl hydrazine (DPPH) free radical generation and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DNA damage in a mammalian cell line. CISE and EA were shown to possess the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against DPPH radical generation, significantly. They were also found to strongly inhibit hydrogen peroxide-induced DNA damage from Chinese hamster lung (CHL) cell, assessed by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assay and 8-hydroxy -2'-deoxy guanosine (8-OH-2'dG) assay. Furthermore, topical application of CISE [$12.5\%$(w/w) cream] and ellagic acid [$1.0\%$(w/w) cream] for 14 days potently inhibited malondialdehyde (MDA) formation of mouse dorsal skin (a marker of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ultraviolet B exposure. Therefore, CISE and its component, ellagic acid, may be the useful natural antioxidants by scavenging free radicals,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protecting oxidative DNA damage when topically applied.

돼지 말초혈액 단핵세포의 면양 및 재래산양 적혈구 rosette 형성능 비교 (Comparison of sheep erythrocytes and Korean native goat erythrocytes-rosette forming rate of pig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 김영진;송희종;김종면;강명대;윤창용;김태중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5-179
    • /
    • 1992
  • 돼지(n=22) 순환혈액내 단핵세포(PB-MNCs)중 T 및 B 림프구를 정량하고자 rosette 형성기법을 적용하였다. T 림프구는 여러 농도의 2-aminoethylisothiouronium bromide(Aet)나 dextran(Dex) 용액 또는 Aet와 Dex로 조합 처리된 면양(SRBC) 및 재래산양(GRBC)의 적혈구를 사용한 E-rosette 법으로, B 림프구는 erythrocyeantibody(EA) 및 erythrocyte-antibody-complement(EAC) rosette 법으로 각각 정량하였다. 한편 rosette 형성세포의 냉장정치시간에 따른 판독결과를 비교하여 적정판독시간대를 구명한 바 아래의 결과를 얻었다. 1. PB-MNCs와 SRBC/GRBC와의 자연 rosette형성을(RFR)은$ 32.9{\pm}7.9%/31.3{\pm}9.4%$인데 비하여 Aet 또는 Dex 처리군에서는 모두 증가되었고 특히 0.15M Aet$(40.2{\pm}4.6%/37.0{\pm}3.3%)$ 및 8% Dex$(71.5{\pm}4.5%/69.9{\pm}5.8%)$ 처리군에서 각각 높게 나타났다. 한편 0.1M Aet처리후 8% Dex 첨가군에서는 $67.8{\pm}7.4%$$69.8{\pm}8.5%$로 나타나 복잡한 Aet와 Dex를 복합처리하기 보다는 8% Dex 단독처리가 간편함을 알 수 있었다. 2. Rosette 형성세포의 냉장보관중 최적판독시간대는 10~20시간의 범위이었다. 3. EA 및 EAC의 RFR은 SRBC의 경우 $39.1{\pm}10.2%$, $27.6{\pm}7.0%$, GRBC의 경우 $32.6{\pm}6.1%$, $21.0{\pm}3.2%$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돼지 PB-MNCs내의 T 및 B 림프구를 rosette 형성법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rosette assay에서 SRBC 뿐아니라 GRBC의 이용이 가능함을 제시한다.

  • PDF

개에서 실험적으로 유발한 척수손상에 대한 전침과 감압술의 병용 효과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Electroacupuncture and Surgical Decompression on Experimental Spinal Cord Injury in Dogs)

  • 김순영;김민수;서강문;남치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7-301
    • /
    • 2005
  • 개에 실험적으로 후구마비를 유발한 후 감압술과 전침술을 병행 처치하였을 때 그 임상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3.15.0kg, 12년령의 신경계 질환이 없는 임상적으로 건강한 10두의 수캐를 각 5두씩 감압술 및 전침술 병용군 (A군)과 감압술 단독군 (B군)으로 편성하여 각 군의 실험견에 약 $40\%$의 척수압박을 하여 심부통각 지각이 있는 후구마비를 유발하였다. 후구마비 유발 48시간 후, 두 군 모두에 편측추궁절제술을 실시하고 압박물을 제거하였고, 감압술 및 전침술 병용군은 감압 이틀 후부터 회복시점까지 2일에 1회씩 전침 치료를 하였다. 실험기간 중, 매일 Talrov's grading system 변법을 사용하여 임상적 평가를 하였다. 실험전과 치료종료 시점의 체성감각유발전위(SEPs)를 측정하여 측정된 유발전위를 신경전도 속도로 환산하여 신경기능을 확인하였다. 감압술 및 전침술 병용군에서는 술후 보행능력 회복까지 $10.0\pm2.7$일이 걸렸으며, 완전회복까지는 $17.2\pm3.9$일이 소요되어 보행능력 회복에서 완전회복까지 $7.2\pm1.8$일의 재활기간이 필요하다. 한편 감압술 단독 적용군은 술 후 보행능력 회복까지 $13.4\pm3.7$일이 걸렸으며, 완전회복까지는 $34.2\pm14.5$일이 소요되어 보행능력 회복에서 완전회복까지 $20.8\pm11.8$일의 재활기간이 필요했다. 완전회복 후의 SEPs의 전도속도는 실험전의 정상범위로 회복된 양상을 보였다. 감압술 적용 후, 보행능력 획득까지의 기간은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가 없었으나, 완전회복 및 재활기간에 있어서는 감앗술과 전침 병용군이 더 짧은 치료기간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개에서 추간판 탈출증에 의한 후구마비가 있는 경우, 감압술과 전침 치료를 병행하면 기능회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건으로 판단된다.

희귀수종 먹넌출 엽의 형태적 특성과 유전변이 (Characteristics of Leaf Morphology and Genetic Variation of the Rare Woody Plant, Berchemia racemosa var. magna)

  • 송정호;임효인;장경환;한진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13-618
    • /
    • 2013
  • 우리나라에서 안면도에만 분포하는 먹넌출 집단의 생명자원보존을 위하여 엽의 형태적 특성과 I-SSR 표지자를 이용한 유전변이를 조사하였다. 10가지 엽특성에 대한 ANOVA 분석결과 모든 특성에서 개체 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조사된 39개체의 평균특성은 엽신장 11.8 cm, 최대엽폭 7.1 cm, 엽지수 1.67, 상1/3폭 5.4 cm, 하1/3폭 6.2 cm, 엽병길이 3.6 cm, 엽두께 0.19 mm, 엽맥수(좌) 11.5개, 엽맥수(우) 11.4개, 엽면적 61.7 $cm^2$로 나타났다. 변이계수 값은 엽두께, 엽병길이, 엽면적이 각각 18.8%, 21.7%, 22.0%로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특성들에서는 15% 이내의 비교적 낮은 변이를 나타냈다. 선발된 8개 I-SSR Primer에서 총 50개의 증폭산물을 얻었으며, 유효대립 유전자의 수 1.719개, 다형적 유전자좌의 비율 26.0%, 이형접합도의 기대치 0.410 및 Shannon의 다양성지수 0.598로 각각 나타났다. 안면도 먹넌출 집단은 제한된 지역에 분포하며 개체수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유전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otonation and Stability Constants for $Co^{2+},\;Ni^{2+},\;Cu^{2+},\;and\;Zn^{2+}$ of the Open-Chain Polyamine 1-Amino-13-(2-pyridyl)-3,6,9,12-tetraaza-tridecane. Crystal Structure of Its Nickel(Ⅱ) Complex

  • 김선덕;김준광;정우식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8권6호
    • /
    • pp.653-656
    • /
    • 1997
  • The new unsymmetric $N_6$ ligand 1-amino-13-(2-pyridyl)-3,6,9,12-tetraazatridecane (aptatd) containing one pyridyl group has been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by EA, IR, and NMR. Its proton association constants $(log K_H^n)$ and stability constants $(log K_{ML})$ for Co(Ⅱ), Ni(Ⅱ), Cu(Ⅱ), and Zn(Ⅱ) ions were determined at 298.1 K and ionic strength 0.100 mol $dm^{-3}$ (KNO₃) in aqueous solution by potentiometry: log $K_H^1$=8.80, log $K_H^2$=8.49, log $K_H^3$=6.84, log $K_H^4$=4.17, log $K_H^5$=3.47; log $K_{ML}(Co^{2+})$=18.00, log $K_{ML}(Ni^{2+})$=21.31, log $K_{ML}(Cu^{2+})$=23.62, log $K_{ML}(Zn^{2+})$=15.60. The X-ray structure of its nickel(Ⅱ) complex [Ni(aptatd)]$(ClO_4)_2$ are reported: orthorhombic space group Pbca, a=15.715(1) Å, b=14.280(2) Å, c=19.443(2) Å, V=4363.4 (9) ų with Z=8. The geometry around nickel is a distorted octahedron with the pyridine nitrogen atom being cis to the nitrogen atom of the terminal primary amine.

감국 정식시기와 거리에 따른 생육특성과 성분 분석 (Growth Characteristics and Ingredi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Transplanting Date and Distance of Dendranthema (L.).)

  • 정재한;박노복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2권1호
    • /
    • pp.65-77
    • /
    • 2020
  • 시중에서 많이 판매되는 국화차의 대명사인 감국(Dendranthema indicum (L.) DesMoul.)을 산업화하기 위해, 2018년 가을에 자생지에서 감국(Dendranthema indicum (L.) DesMoul.) 종자를 채취하여 냉장 보관 후 종자를 발아시켰다. 어린 묘종은 2, 3, 4월에 노지에 시기별, 간격별에 따른 꽃의 수확량과 잎, 줄기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감국(Dendranthema indicum (L.) DesMoul.) 꽃을 채취한 후 잎, 줄기를 채취하여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국화 묘종을 정식시기별로 심었을 때 꽃은 4월에 정식한 처리구에서 17.1개로 가장 많았다. 꽃의 지름은 2.9cm, 꽃수는 16개, 생체중은 6.5~6.6g, 건체중은 1.1~1.2g이었다. 잎은 3, 4월에 심은 처리구에서 46~47개, 엽장은 5.2~5.3cm, 옆폭은 3.5~3.6cm이었다. 2. 국화 묘종을 정식거리별로 심었을 때 꽃수는 20×20cm 간격으로 심었을 때 16.2개로 가장 작았고, 30~50cm 간격에서는 16.8~17.1개 이었다. 꽃 지름은 2.7~2.8cm, 꽃잎수는 8개, 꽃잎 길이는 0.8cm, 꽃 한 개의 생체중은 6.5~6.6g이었다. 잎수는 30×30cm, 40×40cm에서 47개로 가장 많았고, 엽장은 50×50cm처리구에서는 가장 긴 6.2cm로 나타났지만 그 외 처리구에서는 5.2cm이었다. 3. 국화 잎+줄기의 추출수율은 7.93%였고, 추출 용매색은 50, 60%는 연녹색, 70, 80, 90, 100%는 녹색으로 나타났다. 감국 꽃은 추출수율이 7.58%, 추출 용매색은 50, 60, 70%에서는 연노란색, 80, 90%에서는 노란색, 100%에서는 진노란색이었다. 4. 국화 꽃에 함유된 성분은 gallic acid, 4-hydroxy benzoic acid, methyl gallate, 4-hydroxy-3-methoxy benzoic, caffeic acid, salicylic acid, p-coumaric acid, sinapic acid, naringin, 4-melthoxyben, flavone 등 11가지 성분을 확인하였다. 함량은 29.200~36.900ppm이었다. 5. 국화 잎+줄기에 함유된 성분은 salicylic acid가 6,129.526ppm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4-methoxyben 1,966.714ppm이었다. 함유량이 10ppm 이하로 나타난 것은 methyl gallate 8.197ppm, 4-hydroxy-3-methoxy benzoic 6.994ppm, caffeic acid 5.566 ppm, flavone 4.522ppm, p-coumaric acid 3.787 ppm, gallic acid 1.893ppm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