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C Rock Quality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6초

포졸란성 규회암의 시멘트 몰탈 압축강도 증진에 관한 효과 (Effect of the Thermally Activated Diatomaceous Rock on Improv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ement Mortar)

  • 백운화;임남웅;류한길;박종옥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6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6-171
    • /
    • 1996
  •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raw diatomaceous rock, after thermally activated for converting into a pozzolanic form, can improve cement quality(i.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ement-mortar. The diatomaceous rock, heat-treated at 75$0^{\circ}C$ for 30minutes as an optimum pozzolanic form was mixed with OPC(Ordinary Portland Cement) on a weight basis from 0, 2.5, 5.0, 10, 20, 40%. The cement quality was then assessed by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analysis of XRD(S-Ray Diffraction) and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PDF

양양철광산 선광 부산물의 순환자원화 (Recycling of the Waste Rock and Tailings from Yangyang Iron Mine)

  • 정문영;안용현;김영훈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5권4호
    • /
    • pp.23-31
    • /
    • 2016
  • 양양철광산 선광 부산물(폐석, 광미)의 폐기물공정시험기준에 의한 중금속용출량은 환경기준값 보다 낮아 유해성이 없으므로 그 자체를 물질전환법에 의해 순환자원화 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 선광 광미를 시멘트 부원료로 사용할 경우에는 시멘트 품질안정성 차원에서 전 알카리($R_2O$)함량이 포틀랜드 시멘트(KS L 5201) 품질 기준치인 0.6%를 초과하지 않도록 광미 첨가량을 3%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된다. 재활용 점토벽돌(KS I 3013) 1종 규격에 부합되는 비소성 에코벽돌은 무기결합제의 15%를 광미로 그리고 일반잔골재의 100%를 철광산 폐석으로 대체하여 제조 가능하였다. 이처럼 선광 부산물을 시멘트 부원료 및 비소성 에코벽돌로 순환자원화함으로서 광미 적치장의 축소 및 유지관리비용 절감 그리고 에너지 사용 및 $CO_2$ 발생 절감으로 환경적 효과 및 경제적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을 것이다.

HPLC를 이용한 어류 중의 Spiramycin 분석 (Analysis of Spiramycin in Fish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이태식;이희정;조미라;변한석;손광태;박미정;이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78-84
    • /
    • 2006
  •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ssay method for spiramycin in fish muscle was developed. The developed method was evaluated and validated by monitoring spiramycin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lack rock fish (Sebastes schlegeli) and in live conger eel (Anguilla japonica) in fish farms and distribution centers. Using the developed method, the recovery rate was up to 82.4-88.8%,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methods (77.6-87.1%). In particular, the proposed sample treatment protocol was suitable for use with fish samples to remove low molecular weight materials and pigments that could interfere an accurate analysis. The prepared stock solution was very stable, and it remained chemically stable for 5 weeks at $4^{\circ}C$. The performance limit of the developed method for spiramycin acid in fish muscle was 0.05 ppm. One hundred thirty-four fish samples including olive flounder, black rock fish and live conger eel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modified method and to monitor the actual condition of spiramycin usage in fish farms. Olive flounder and black rock fish were collected from fish farms in coastal areas of Korea, and live conger eels were purchased from a fish market in the Busan area from September 2001 to March 2002. According to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method, it was considered suitable for the monitoring of spiramycin in fish muscle. The suggested method of analysis for spiramycin in fish muscle is registered in the Korean Official Methods of Food Analysis and is currently tieing utilized for fishery products inspection by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the National Fisheries Products Quality Inspection Service.

국내산 및 수입산 천일염 이용 배추김치의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 Kimchi Prepared with Domestic and Imported Solar Salts during Storage)

  • 이인선;김향숙;김혜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63-374
    • /
    • 2012
  •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 (Kimchi cabbage) kimchi prepared using various kinds of domestic solar salts (KS5Y, KS2Y, KS1Y, KFS, and KSS) and imported solar salts (AS1Y and CS1Y) were compared with Korean processed salt (KRS) and Mexican rock salt (MR1Y) during 60 days of storage. Sodium contents of MR1Y, AS1Y, and domestic KRS with values of 363,653.40, 358,952.40, and 356,799.90 mg/dL,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KFS with a value of 280,249.80 mg/dL (p < 0.001). Thus, the kimchi using KFS was expected to have 22-23% lower sodium content compared to that of the other kimchis. KFS magnesium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st at 4,464.10 mg/dL and calcium was significantly the highest in samples of KS1Y with a value of 711.31 mg/dL. Most of the pHs and acidities in the kimchi samples were in the optimum range due to the relatively low storage temperature of $2^{\circ}C$. The salt concentrations of all kimchis using domestic solar salt during storage was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ose using the imported salts or KRS. Sensory saltiness of the KS1Y sample group was significantly the lowest value (6.08) at 0 days of storage (p < 0.001) and maintained relatively low saltiness during the entire storage period. The crispness of the KS2Y, KS1Y, and KSS sample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10.02, 9.77, and 9.49,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of KRS (7.64) at 60 days of storage (p < 0.001). The KFS sample group had the higher acceptance values for pickled seafood aroma, sour aroma, salt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compared to those in the other samples.

생애주기비용과 성능을 고려한 생태복원 공법 가치분석 - 습식 비탈면 기반재를 사례로 - (A Value Analysis of Ecological Restoration Construction Considering Life Cycle Cost and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Wet Media for Slope Revegetation -)

  • 이란;김성희;김보희;임수현;김성일;구본학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101-109
    • /
    • 2014
  • 환경을 훼손하지 않는 경제 성장을 위하여 건설부문의 비용 절감 및 품질 향상의 요구가 커지면서 VE/LCC 분석기법의 활용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생애주기비용과 성능 분석을 고려한 비탈면 생태복원 공법의 가치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비탈면 생태복원 시공조건을 경사도와 기반조건으로 3가지 조건을 나누고 각 조건별로 비탈면 생태복원 공법 3가지를 선정하여 총 9가지 조건별로 생애주기비용 분석과 성능 분석을 통하여 가치 분석을 실시하였다. 비탈면의 경사도와 기반조건에 따라 조건 1은 경사도 1:1.2 이하, 일반토사이고, 조건 2는 경사도 1:1.0 이하, 리핑암이다. 조건 3은 경사도 1:0.7 이하, 연암 및 발파암이다. 생애주기비용과 성능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가치 분석을 한 결과, 조건1에서 B공법 108.4점, A공법 90.3점, C공법 45.8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조건 2에서는 A공법 89.1점, B공법 47.5점, C공법 47.0점 순으로 나타났고, 조건 3에서는 A공법 89.1점, B공법 55.4점, C공법 40.2점 순으로 나타나, 조건 1에서는 B공법이 높았으나, 조건 2, 3에서는 A공법의 점수가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생애주기비용과 성능 분석을 고려하여 비탈면 생태복원 사업의 원가절감 및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약지반 암버럭 치환공법의 구조물 안정성과 경제성 분석 - 청주시 미호천 횡단도로를 대상으로 (Analysis on the Safety of Structure and Economics of Replacement Method Using Rock Debris in the Soft Ground - Case Study of Miho Stream Crossing Road in Cheongju City)

  • 허강국;박형근;안병철;민병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705-713
    • /
    • 2016
  • 연약지반 공사는 설계단계에서 고려하지 못한 변수들이 시공단계에서 발생되어 구조물의 안정성과 설계변경에 따른 공사비 증가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충청북도 오창지역에 조성되는 산업단지 진입도로 조성구간을 연구대상으로 하며, 연약지반 처리공법으로 암버럭을 이용한 치환공법 및 사용하중을 고려한 과재성토를 연약지반 처리대책으로 선정, 구조물의 안정성 및 공기 단축으로 공사비 절감효과 분석에 목적이 있다. 연구구간의 연약지반 두께는 사질토 및 점성토 연약지반으로 2.4~5.5m로 규모가 작으나 지표하 1.5~5.9m의 지층사이에 불균등하게 분포하며, 침하발생은 크지 않으나 장래 부등침하와 단차 발생이 예상되어 연약지반 처리후 현장 계측결과를 분석하여 장래 침하거동을 예측하였다. 또한, 치환재료는 지역특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양질토사를 암버럭으로 치환하여 안정성 증가, 공기단축 등으로 공사비 29%를 절감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제체내 간극수압 소산, 지하수위 변동 등의 예측과 실제 계측된 연약지반의 압밀과의 관계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할 경우, 다양한 현장조건에서 연약지반 거동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상남도 합천군 신설도로의 SL-2 암반사면에 대한 지질공학적 고찰 (An Analysis for Engineering-Geological Factors on the SL-2 Rock Slope along New Road at Hapcheon-Gun, Gyeongsangnam-Do)

  • 최정찬;송용선;라원진;김남훈
    • 암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80-190
    • /
    • 2005
  • 경상남도 합천군에 건설 중인 도로사면에 당초 설계와는 다른 암질 및 불연속면이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당초 설계와는 달리 소규모 산사태가 발생되어 정상적인 공사추진에 애로사항이 있으므로, 현장조사 및 실내작업을 통하여 지정된 사면에 대한 전체적인 지질공학적인 분석을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측량, 슈미트해머(Schimidt Hammer) 시험, 불연속면 조사를 시행하였고 실내에서 DIP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면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평면, 전도 및 쐐기파괴의 가능성이 있으며 용출수가 집중되는 곳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강 공사가 요구되고 있다.

Effect of the thickness of CeO$_2$ buffer layer on the YBCO coated conductor

  • Dongqi Shi;Ping Ma;Ko, Rock-Kil;Kim, Ho-Sup;Ha, Hong-Soo;Chung, Jun-Ki;Kyu-Jeong, Song;Park, Chan;Moon, Seung-Hyun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4
    • /
    • 2004
  • Three group samples with difference thickness of $CeO_2$ capping layer deposited by PLD were studied. Among them, one group $CeO_2$ films were deposited on stainless steel tape coated with IBAD- YSZ and $CeO_2$ buffer layer ($CeO_2$/IBAD-YSZ/SS); other two groups of $CeO_2 YSZ Y_2O_3$multi-layer were deposited on NiW substrates for fabrication of YBCO coated conductor through RABiTS approach. The pulsed laser deposition (PLD) and DC magnetron sputtering were employed to deposit these buffer layers. On the top of buffer layer, YBCO film was deposited by PLD. The effect of thickness of $CeO_2$ film on the texture of $CeO_2$ film and critical current density ($J_c$) of YBCO film were analyzed. For the case $CeO_2$ on $CeO_2$/IBAD-YSZ/SS, there was a self-epitaxy effect with the increase of $CeO_2$ film. For $YSZ/Y_2O_3$ NiW which was deposited by PLD or DC magnetron sputtering, there is not self-epitaxy effect. However, the capping layer of $CeO_2$ film deposited by PLD improved the quality of buffer layer for $YSZ/Y_2O_3$ which was deposited by DC magnetron sputtering, therefore increased the $J_c$ of YBCO film.

물성에 의한 석재의 품질도 (Quality of Building Stones by Physical Properties)

  • 박덕원
    • 지질공학
    • /
    • 제14권1호
    • /
    • pp.61-69
    • /
    • 2004
  • 석재는 주로 장식용 및 조각용으로 사용되며 따라서 우수한 물성도 골고루 지녀야 한다. 다양한 물성 중에서 공극계수가 석재의 유용성을 지배하므로 공극의 성질과 연관하여 석재의 품질구분 설정을 시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화강암질암류 및 화강암질편마암의 심도별 시추코아 시료가 사용되었다. 공극률과 흡수율의 상관도에서 문경 화강암질편마암($Gn_1$)의 측정치 범위가 가장 넓은 분포상을 보이며, 포천화강암($Gr_2$), 문경화강암($Gr_1$)의 순으로 그 범위는 감소한다. 각 암체의 강도는 변질도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압축강도와 인장강도와의 상관성에서도 측정치의 범위는 $Gn_1$, $Gr_2$ 그리고 $Gr_1$의 순으로 감소한다. 석재의 품질구분 설정에 있어 공극률이 대표적인 물성으로 채택되어 여러 물성에 대한 상대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다. 공극률(n)-비중(G), 흡수율(Ab), 압축강도(${\sigma}_c$), 인장강도(${\sigma}_t$), 쇼아경도(Hs) 그리고 탄성계수($E_{t}$)와의 상관도에서 각 등급별 기준이 설정된다.

제주 분지 올리고세층의 층서 및 퇴적환경

  • 김재호;이용일
    • 한국석유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석유지질학회 1999년도 제6차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9-37
    • /
    • 1999
  • Stratigraphic subdivision, correlation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Oligocene strata in the Cheju basin are studied using microfossils, wireline-log, trace elements from Geobuk-1, Okdom-1 and JDZ V-2 exploratory wells as well as seismic attributes. Application of these Integrated approaches is becoming increasingly an important tool in sedimentary and petroleum ge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integrated sequence-stratigraphic interpretation for petroleum system in the Cheju basin. During the last several years the Cheju basin has been studied for petroleum potential in terms of sequence stratigraphy. The strata assigned to be of the Early Miocene in the previous studies are reinterpreted to be of Oligocene in age.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se strata are also reinterpreted to have been influenced significantly by marine floodings. This interpretation is supported by the lines of evidence such as occurrences of abundant dinoflagellates and calcareous nannofossils, higher sulfur (1000-10000 ppm), TOC contents $(>1{\~}3{\%})$ and hydrogen index, and specific biomarkers such as dinostrane and $C_{30}$ 4-methyl steranes. Seismic facies, determined as a fairly continuous amplitude reflection, relatively parallel uniform strata, also provides a clue for recognizing marine transgressions during the Oligocene. Two 2nd--order stratigraphic cycles are observed in Oligocene strata based on well-log responses and the presence of microfossils. Each sequence comprises shallow marine deposits in the lower part and inner-outer neritic deposits in the upper part, thus showing a upward-deepening trend. In petroleum exploration point of view, the presence of marine strata would provide a better exploration potential for source rock and reservoir quality in the Cheju basin, offshore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