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for Engineering-Geological Factors on the SL-2 Rock Slope along New Road at Hapcheon-Gun, Gyeongsangnam-Do

경상남도 합천군 신설도로의 SL-2 암반사면에 대한 지질공학적 고찰

  • Choi Jung-Cha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Song Yong-S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a Won-Jin (Department of Planning & Design, Rich E & C Co., Ltd.) ;
  • Kim Nam-Ho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최정찬 (부경대학교 환경 해양대학 환경지질과학과) ;
  • 송용선 (부경대학교 환경 해양대학 환경지질과학과) ;
  • 라원진 (리치이엔씨 설계사업부) ;
  • 김남훈 (부경대학교 환경 해양대학 환경지질과학과)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The road slope at Hapcheon-Gun, Gyeongsangnam-Do is under construction, but actual rock quality & discontinuities on the cut slope are something different from the primary design. Therefor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ole engineering-ge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is slope through site investigation and laboratory analyses because small scale landslides have been occurred during this road construction. For this object, various analyses were performed such as surveying, Schimidt Hammer test, discontinuity investigation and laboratory analysis using DIPS far evaluating slope stability. As the result, it is identified that reinforcement work is needed because plane, toppling & wedge failures will be possibly occurred and seepages are concentrated at several points.

경상남도 합천군에 건설 중인 도로사면에 당초 설계와는 다른 암질 및 불연속면이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당초 설계와는 달리 소규모 산사태가 발생되어 정상적인 공사추진에 애로사항이 있으므로, 현장조사 및 실내작업을 통하여 지정된 사면에 대한 전체적인 지질공학적인 분석을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측량, 슈미트해머(Schimidt Hammer) 시험, 불연속면 조사를 시행하였고 실내에서 DIP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면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평면, 전도 및 쐐기파괴의 가능성이 있으며 용출수가 집중되는 곳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강 공사가 요구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1999, 도로절개면 유지관리시스템 개발 및 운 용 II, p. 260
  2. 건설진흥회, 1998, 건설공사표준품셈 암분류기준, p. 92-93
  3. 김옥준 홍만섭, 박희인, 박양대, 김기태, 윤선, 1964, 한국 지질도 1:50,000 산청도폭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p. 25
  4. 이수곤, 1993, 서울일원의 화강암과 편마암 절취사면의 안정성연구, 제2집, 한국지반공학회 사면안정위원회 학술발표집, p. 167-189
  5. 장기홍, 1968, 한국지질도 1:50,000 합천도폭 설명서. 국립 지질조사소. p. 21
  6. 황인전과 박정서, 1968, 한국지질도 1:50,000 안의도폭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p. 25
  7. Kim, C.B. and Turek, A., 1996, Advances in U-Pb zircon geochronology of Mesozoic plutonism in the southwestern part of Ryeongnam massif, Korea. Geochemical Journal, 30, p. 323-338 https://doi.org/10.2343/geochemj.30.323
  8. Sanyo Testing Machins Co., Ltd., 2001, Instruction Manual on Rock Hammer, p.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