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5EA%25B5%25B4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초

Esophageal Reconstruction with Gastric Pull-up in a Premature Infant with Type B Esophageal Atresia

  • Han, Young Mi;Lee, Narae;Byun, Shin Yun;Kim, Soo-Hong;Cho, Yong-Hoon;Kim, Hae-Young
    • Neonatal Medicine
    • /
    • 제25권4호
    • /
    • pp.186-190
    • /
    • 2018
  • Esophageal atresia (EA) with proximal tracheoesophageal fistula (TEF; gross type B) is a rare defect. Although most patients have long-gap EA, there are still no established surgical guidelines. A premature male infant with symmetric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birth weight, 1,616 g) was born at 35 weeks and 5 days of gestation. The initial diagnosis was pure EA (gross type A) based on failure to pass an orogastric tube and the absence of stomach gas. A "feed and grow" approach was implemented, with gastrostomy performed on postnatal day 2. A fistula was detected during bronchoscopy for recurrent pneumonia; thus, we confirmed type B EA and performed TEF excision and cervical end esophagostomy. As the infant's stomach volume was insufficient for bolus feeding after reaching a body weight of 2.5 kg, continuous tube feeding was provided through a gastrojejunal tube.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esophageal reconstruction with gastric pull-up was performed on postnatal day 141 (infant weight, 4.7 kg), and he was discharged 21 days postoperatively. At 12 months after birth, there was no catch-up growth; however, he is currently receiving a baby food diet without any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EA, bronchoscopy is useful for confirming TEF, whereas for those with long-gap EA with a small stomach volume, esophageal reconstruction with gastric pull-up after continuous feeding through a gastrojejunal tube is worth considering.

CMIP5 MME와 Best 모델의 비교를 통해 살펴본 미래전망: II. 동아시아 단·장기 미래기후전망에 대한 열역학적 및 역학적 분석 (Future Change Using the CMIP5 MME and Best Models: II. The Thermodynamic and Dynamic Analysis on Near and Long-Term Future Climate Change over East Asia)

  • 김병희;문혜진;하경자
    • 대기
    • /
    • 제25권2호
    • /
    • pp.249-260
    • /
    • 2015
  • The changes in thermodynamic and dynamic aspects on near (2025~2049) and long-term (2075~2099) future climate changes between the historical run (1979~2005) and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4.5 run with 20 coupled models which employed in the phase five of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CMIP5) over East Asia (EA) and the Korean Peninsula are investigated as an extended study for Moon et al. (2014) study noted that the 20 models' multi-model ensemble (MME) and best five models' multi-model ensemble (B5MME) have a different increasing trend of precipitation during the boreal winter and summer, in spite of a similar increasing trend of surface air temperature, especially over the Korean Peninsula. Comparing the MME and B5MME, the dynamic factor (the convergence of mean moisture by anomalous wind) and the thermodynamic factor (the convergence of anomalous moisture by mean wind) in terms of moisture flux convergence are analyzed. As a result, the dynamic factor causes the lower increasing trend of precipitation in B5MME than the MME during the boreal winter and summer over EA. However,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 dynamic factor causes the lower increasing trend of precipitation in B5MME than the MME during the boreal winter, whereas the thermodynamic factor causes the higher increasing trend of precipitation in B5MME than the MME during the boreal summer. Therefore, it can be not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MME and B5MME on the change in precipitation is affected by dynamic (thermodynamic) factor during the boreal winter (summer) over the Korean Peninsula.

우리밀 Ethanol-Acetic Acid 추출물에 함유된 대식세포의 식작용 활성 증강 물질의 분리.정제 (Purification of Macrophage Phagocytic Activity-Enhancing Component from Ethanol-Acetic Acid Extract of Korean Wheat)

  • 최면;김선률;김종대;이상영;김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12-31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밀로부터 대식세포 식작용 활성화시키는 물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고분밀의 EA 추출물이 가장 높은 식작용 활성 증강효과를 보임을 알았고, EA 추출물을 정성한 후 순수 분리 정제하여 대식세포 활성 증강효과를 나타내는 단일 물질을 찾고자 하였다. TLC 방법을 이용하여 ASW와 고분밀의 EA 추출물을 정성한 결과 약 5개 정도의 band를 확인한 후,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EA 추출물을 분획하였다. 1차 column chromatography만으로는 single fractionation이 어려워 분획물을 fraction A, B, C, D로 분류하여 식작용 활성 증강효과를 측정하였다. 대분류된 각 fraction의 식작용 활성 증강효과를 측정한 결과 고분밀의 fraction b가 대부분의 활성을 가진 분획으로 사료되었다. 2차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해 fraction b만응 분리 하였으며, 구조결정 실험과 동물실험을 추가로 시행하여 fraction b의 효과를 입증할 것이다.

  • PDF

Pseudomonas aeruginosa BCNU 1204의 항균활성과 활성 물질 (Antimicrobial Activity of Pseudomonas aeruginosa BCNU 1204 and Its Active Compound)

  • 신화진;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4-89
    • /
    • 2019
  • 신규 항세균물질을 탐색하는 사전조사에서 몇몇 분리균주들이 그람양성 세균과 그람음성 세균 모두에 항균활성을 보이며, 심지어 methicillin내성 Staphylococcus aureus (MRSA)에도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균주 중에서 한 균주가 표현형과 계통분석을 이용하여 특히 16S 리보좀 RNA 유전자 염기서열에 기초하여 Pseudomonas aeruginosa로 동정되었다. BCNU 1204 균주의 항균물질은 King's medium B (pH 7.0)에서 $35^{\circ}C$의 온도 조건으로 4일 배양 후 가장 최대로 생산되었다. 항균물질을 각종 유기용매로 분획한 결과, P. aeruginosa BCNU 1204의 dichloromethane (DCM)분획과 ethylacetate (EA) 분획이 그람 양성 세균에 강력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ethylacetate (EA) 분획이 methicillin내성 Staphylococcus aureus (MRSA)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Recycling preparative LC와 preparative TLC 로 활성물질 하나(분획 5-2)를 분리하여 GC-MS 분석한 결과 phenazine 화합물에 속하는 phenazine-1-carboxylic acid 로 동정하였다. 그리고 MRSA 균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가 MRSA균주인 CCARM 3089, 3090, 3091 그리고 3095 균주에 대하여 각각 $25{\mu}g/ml$, $50{\mu}g/ml$, ${\geq}25{\mu}g/ml$ 그리고 ${\geq}50{\mu}g/ml$ 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P. aeruginosa BCNU 1204 분리균주는 항 MRSA 항생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잠재 가치가 높은 생물자원으로 기대되며, P. aeruginosa BCNU 1204 균주로부터 리더 화합물을 획득하기 위한 보다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야생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씨 생리활성물질의 산화억제 효과 (Effects of Feral Haw (Crataegus pinnatifida BUNGE) Seed Extract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 ;김민아;김한수;성종환;이영근;김동섭;정헌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6-39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야생산사씨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고자 70% methanol, 70% ethanol, chloroform:methanol (CM, 2:1, v / v), n-butanol, ethyl acetate (EA) 용매로 추출하여, 시료 농도 0.2 mg/ml, 0.5 mg/ml, 0.8 mg/ml에서 측정 비교 하였다. DPPH, reducing power, FRAP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70% methanol, 70% ethanol, EA, CM, n-butanol 추출물 순으로 높게 측정되어 모두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DPPH에서 70% methanol 추출물은 18.22%~65.42%, 70% ethanol 추출물은 15.97%~60.25%의 우수한 radical 소거 활성을 보였다. NO radical 소거 활성은 n-butanol, EA, CM, 70% methanol, 70% ethanol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으며, $OH^-$ radical 소거 활성은 n-butanol, 70% methanol, 70% ethanol, CM, EA 추출물 순으로 측정되었다. 모든 용매 추출물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표준물질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사씨 용매 추출물 중 70% methanol 및 70% 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대부분 높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산사씨는 우수한 천연 항산화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Scavenging Capacities of DPPH and ABTS Free Radical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and their Fractions from Sophora tonkinensis

  • Eun Sun Moon;Ji Yoon Lee;Seongdae Kim;Chang Won Choi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6-46
    • /
    • 2021
  •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cavenging capacity (SC) of DPPH and ABTS free radicals for ethanol extract (STR-E) and its active fractions from Sophora tonkinensis root (STR). Four different fractions from STR-E were prepared by using different types of solvents such as chloroform (STR-E-C), ethyl acetate (STR-E-EA), n-butanol (STR-E-B), and water (STR-E-W). STR-E-C showed the highest value of total phenolic content, while STR-E showed the highest value of total flavonoid and terpenoid content. In STR-E and its four fractions, STR-E-EA showed the strongest SC with the lowest SC50 values of the DPPH radicals and ABTS radicals.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th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s treated with STR-E, STR-E-C, and STR-E-EA, respectively. No cytotoxic effect to RAW 264.7 cells was observed at 20 ~ 25 ㎍/ml of STR-E, 10 ㎍/ml of STR-E-C, and 5 ㎍/ml of the STR-E-EA, presenting cell viability values close to that of the untreated control (100%). STR-E, STR-E-C, and STR-E-EA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LPS-induced nitric oxide (NO) in a dose-dependent manner. Results of reverse-transcription (RT)-qPCR analysis showed that the peak mRNA levels of IL-1β, TNF-α, iNOS, IL-6, and IL-10 were observed in the LPS-stimulated macrophages at 4 h, 2 h, 12 h, 12 h, and 12 h, respectively. The peak mRNA levels of IL-1β, TNF-α, iNOS, and IL-6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LPS-stimulated macrophages co-treated with 20 ㎍/ml and 25 ㎍/ml of STR-E, respectively. In the case of IL-10, its peak mRNA level slightly increased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d with the LPS-stimulated macrophages, the peak mRNA levels of IL-1β, TNF-α, iNOS, and IL-6 reduced in the LPS-stimulated macrophages co-treated with 10 ㎍/ml and 20 ㎍/ml of STR-E-C,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peak mRNA level of IL-10 significantly increased at 8 h. Compared with the LPS-stimulated macrophages, the peak mRNA levels of IL-1β, TNF-α, iNOS, and IL-6 reduced in the LPS-stimulated macrophages co-treated with 5 ㎍/ml and 10 ㎍/ml of STR-E-EA,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peak mRNA level of IL-10 increased at 4 h. Taken together, our data indicated that STR-E, STR-E-C, and STR-E-EA activate macrophages to secrete both pro-inflammatory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s.

  • PDF

PubMed 검색(檢索)을 이용한 전립선(前立腺) 질환(疾患)의 침치료(鍼治療)관련 연구(硏究)에 대한 고찰(考察) (The Review on the Prostate Disease-related Studies with Acupuncture Therapy in PubMed)

  • 송호섭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5-73
    • /
    • 2004
  •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review on the prostate disease-related studies with Acupuncture therapy in renowned medical internet site of PubMed, and to make master plan of the study, especially, on Bee Venom Acupuncture(BVA) of Prostate disease and then to devise the idealistic therapeutic ways of it. Method : We made the internet search with the key words of bee venom(bee venom therapy, apitoxin, apitherapy, bee sting, bee sting therapy), acupuncture, prostate, prostatitis, prostrate cancer in Pubmed, from June 1st to July 1st,2004. Results : 1.25 papers were found in 19 publised jounals. of which two named'Urology'and Prostate' had three papars, two called 'JUrology' and 'Cancer Immunol Immunother' had two papers, and the others had a paper respectively. 2. In the classification by papers' types, Review papers were 8 and Original were 17 where there were 5 clinical trials, 11 experimental studies and 1 epidemiologic paper. Of 5 clinical trials, 2 belonged to Randomized Control Study, and of 11 experimental studies, 4 belonged to in vitro and 7 belonged to in vivo with in viro studies, and 1 epidemeologic belonged to meta-analysis. 3. In the classification by prostate diseases, 4 were about prostatitis, 3 were about prostate related symptoms, 16 were about prostate cancer, and two were about the others. 4. In the classification by applied treatment methods, 5 were related with Acupuncture, 10 were related with BVA(Bee Venom, Bee), and 10 were related with the others. Of 5 related with Acupuncture, 3 used general acupuncture, 1 used electrical acupuncture, and 1 used general acupuncture and electrical acupuncture at the same time. 5. In 2 RCTs of Clinical trials, Control group was set up to the group using different compatible treatment method or using meridians not related with treating prostate disease. Single or double blind methods couldn't be found. 6. In the clinical trials, IPSS, NIH, CPSI or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were used as the Index of Evaluation. 7. The Leg Greater Yang Bladder Meridian(B), The Leg Lesser Um Kidney Meridian(K) and Conception Vessel Meridian(CV) were used as major meridians, and B10(Taejo, Dazhu), B23(Shinsu, Shenshu), B28(Panggwangsu, Pangguangshu), B35(Hoeyang, Huiyang), B39(Wiyang, Weiyang), B40(Wijung, Weizhong), B54(chilbyon, Zhibian), K1(Yongchon, Yongquan), K10(Umgok, Yingu), CV3(Chungguk, Zhongji), CV4(Kwanwon, Guanyuan),S6(Hyopko, Jiache) were used as acupoints. Electrical acupuncture(EA) was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and CV3(Chungguk, Zhongji), CV4(Kwanwon, Guanyuan) were mainly selected as EA applied acupoints. 8. It is mostly said that Acupuncture appeared to be a safe, effective, and durable treatment alternative in improving symptoms of patients with prostate diseases, refractory to conventional medicine. A larger controlled study was required to confirm these encouraging initial results. Conclusion : Papers about BVA of Prostate cancer or Prostatitis were not found, and low permeability of Prostate is concerned, BVA with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effect can be adopted as a new alternatives of Prostate disease treatment, so it is thought that Study of how to make access to prostate, animal experiment including in vivo and in vitro and more clinical trials with using acupoints on related meridian should be followed.

무청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coagulation Activities of Korean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 이예슬;권경진;김미선;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28-235
    • /
    • 2013
  • 우리나라 대표 채소중의 하나인 무의 지상부는 과거 채소가 귀했던 겨울철 주요한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 공급원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무청김치 및 우거지 등으로 식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도시와 농촌의 격리, 산업화의 정착, 식생활 습관의 변화 등으로 인해, 무청은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며, 무청의 효율적인 이용 및 유용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청을 이용한 새로운 건강식품소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조선무의 무청을 대상으로 ethanol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들을 조제하여, 이들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무청의 ethanol 추출물의 수율은 5.6%이었으며, 이들의 n-hexane, ethylacetate 및 butanol 분획 효율은 각각 25.3, 3.6, 19.4%로 나타났으며, 물 잔류물은 51.7%를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결과 ethylacetate 분획에서 97.57 및 152.91 mg/g의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ethylacetate 분획물은 매우 강력한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다. 먼저 항균 활성의 경우 무청 n-hexane 및 ethylacetate 분획물은 그람 양성균(S. aureus, L. monocytogenes 및 B. subtilis)에 대해 양호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람 음성균에서는 E. coli 및 P. aeruginosa를 제외한 P. vulgaris와 S. typhimurium에 대해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즉, 물 잔류물을 제외한 모든 분획물에서 부분적인 항세균활성이 나타나, 무청 추출물이 다양한 항세균 활성물질을 포함함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ethylacetate 분획물에서 우수한 DPPH 소거능, ABTS 소거능,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혈전 활성 평가에서도 ethylacetate 분획물에서 양호한 트롬빈 및 프로트롬빈 억제활성과 함께, 강력한 내인성 혈전 생성억제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무청이 영양적 측면 및 유용생리활성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식품소재임을 제시하고 있으며, 무청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개발 및 ethylacetate 분획을 이용한 유용 소재개발의 기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복상어와 고등어의 Trypsin에 관한 비교효소학적 연구 -2. 정제 Trypsin의 효소적 성질- (Comparative Studies on the Enzymatic Properties of Trypsins from Cat-shark and Mackerel -2. Enzymatic Properties of the Trypsins-)

  • 변재형;조득문;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83-391
    • /
    • 1992
  • 전보(Pyeun 등, 1991)에 이어 복상어의 췌장에서 정제한 trypsin과 고등어 유문수에서 정제한 trypsin A 및 trypsin B에 대하여 그 효소적 특성을 비교 검토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30^{\circ}C,\;45^{\circ}C,\;45^{\circ}C$$60^{\circ}C$의 각 온도 조건에서 효소의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복상어의 trypsin이 고등어의 두 trypsin보다 안정하였으며, 고등어 trypsin A는 가장 불안정하였다. $55^{\circ}C$에서의 변성속도정수는 복상어 trypsin이 $10.68\times10^{-4}\;sec^{-1}$, 고등어 trypsin A는 $47.18\times10^{-4}\;sec^{-1}$, 그리고 고등어 trypsin B는 $34.06\times10^{-4}\;sec^{-1}$로서 고등어 trypsin A의 변성속도가 가장 빨랐다. 활성화에너지는 복상어 trypsin이 4.07 kcal/mole, 고등어 trypsin A는 11.61kcal/mole, 그리고 고등어 trypsin B는 8.43kcal/mole이었다. 2. Km정수는 복상어 trypsin이 248.59uM, 고등어 trypsin A는 53.7uM, 그리고 고등어 trypsin B는 $96.50\mu M$이었다. 3. Dixon식에서 구한 저해제 TLCK에 대한 저해제 정수는 복상어 trypsin이 $1.50\times10^{-6}M$,고등어 trypsin A는 2$2.86\times10^{-6}M$, 그리고 고등어 trypsin B는 $3.90\times10^{-6}M$였으며, 저해제 DFP에 대한 저해제 정수는 복상어 trypsin이 $9.28\times10^{-6}M$ 고등어 trypsin A는 $2.11\times10^{-4}M$, 그리고 고등어 trypsin B는 $1.60\times10^{-4}M$이었다. 4. 복상어와 고등어 trypsin의 효소적 특성의 두드러진 차이는 pH와 온도에 대해서 복상어의 trypsin은 고등어의 두 trypsin보다 알칼리성측과 고온에 대해 안정하였으며, 저해제에 의하여서는 복상어 trypsin이 보다 예민하게 나타났다. 또한 BA-p-NA 합성기질에 대한 친화성에 있어서는 고등어의 두 trypsin이 복상어의 trypsin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5. 아미노산 조성은 세 효소 모두 비슷하였으나, 고등어 trypsin B의 경우 arginine의 함량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산성아미노산과 염기성아미노산의 비는 복상어 trypsin이 3.57, 고등어 trypsin A는 3.36, 그리고 고등어 trypsin B는 2.23이었다.

  • PDF

가열 양파의 조직 연화 방지를 위한 전처리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treatment Methods to Prevent Tissue Softening of Heated Onion)

  • 최준봉;조원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6-6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식자재로서 사용 빈도는 높지만 가열에 의해 조직감 손상이 급격한 양파의 조직 연화 방지를 위해 먼저 저온가열 조리 및 레토르트와 같은 고온 가열 살균 시 일어나는 물리적 특징과 조직감 변화를 측정하고 kinetic model을 제안하여 가열연화 mechanism을 밝혔다. 가열 중 양파의 firmness 변화는 $60-80^{\circ}C$ 저온에서의 조직 경화와 $90-100^{\circ}C$ 고온에서의 기질 a, b에 의한 가열 연화를 감안한 3-mechanism model로 설명이 가능하였으며, firmness 증가를 가져오는 양파 내 PE 활성은 $70^{\circ}C$에서 가장 높았다. $70^{\circ}C$ 이하 양파 PE system의 firmness 성분 빈도인자 $K_{op}$$1.25{\times}10^{10}$, 활성화 에너지는 $23.25kcal/mol{\cdot}K$로서 동력학적 특성이 배추와 유사하였다(6,7). 또한 $80-100^{\circ}C$$H_f$$K_{of}$$Ea_f$의 값은 $6.75{\times}10^4$, $12.90kcal/mol{\cdot}K$이었으며, $H_S$$K_{os}$, $Ea_s$는 각각 $4.80{\times}10^4$, $13.12kcal/mol{\cdot}K$였다. 배추류 채소 Ea 값 $19-23kcal/mol{\cdot}K$과 비교 시 낮은 값이 나와 양파 조직이 배추 보다 온도 변화에 더 민감하여 빠른 시간에 손상 됨을 알 수 있었다. $121^{\circ}C$에서 가열하는 retort의 경우 초기 3분 내에 모든 세포벽 구성 물질이 동시에 거의 파괴되어 조직감 손상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인 가열연화 기작이 적용되지 않았다. 또한 양파의 예비 열처리를 통해 펙틴의 메톡실기 분해효소인 PE의 활성을 촉진시켜 생성된 유리 카르복실기에 첨가한 $Ca^{2+}$이 cross-linkage를 형성하는 조직경화 기작을 확산과 흡착 현상으로 해석하였다. $20^{\circ}C$ 상온에서는 삼투압 차에 따른 자연 확산으로 칼슘의 이동 현상 해석이 가능하여, Fick의 비정상 상태의 확산모델이 유효하였으며, 겉보기 확산계수는 $3.83{\times}10^{-12}m^2/s$이었다. $50-90^{\circ}C$에서는 단순 삼투압 차에 PE의 활성 촉진에 의한 칼슘의 지속적인 adsorption으로 삼투압 등장 상태로의 지연 효과가 더해져 칼슘량은 $70^{\circ}C$에서 최대가 되어 $20^{\circ}C$ 보다 5.5배 증가 하였다. $80-90^{\circ}C$에서는 열변성에 의한 PE의 불활성으로 유리 carboxyl기를 생성시키지 못하여 칼슘 결합량이 감소하였다. $50-90^{\circ}C$의 칼슘 겉보기 흡착계수는 2.9-8.2(${\times}10^7$, $1/(g{\cdot}min)$)이며, $70^{\circ}C$에서 가장 높아 활발한 결합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칼슘의 흡착반응 활성화 에너지는 6.44 kcal/mol로서 배추의 염절임 시 나트륨의 확산 반응 활성화 에너지 16 kcal/mol 보다 2.5배 작은 값을 보여 단순 삼투압 차에 의한 확산 반응보다 활발하게 반응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12,13,17). 또한 본 연구의 가열연화 기작 고찰을 통해 레토르트 처리한 양파의 조직감(견고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65-75^{\circ}C$, 0.3-0.5% 유산칼슘 용액에서 60-120분간 예비 열처리하는 저온 장시간(Low Temperature Long Time, LTLT) 블렌칭 방법도 확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