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h_T%24-index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7초

Estimation for Retention Factor of Isoflavon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 Lee, Seung-Ki;Row, Kyung-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9호
    • /
    • pp.1265-1268
    • /
    • 2003
  • The estimation of retention factors by correlation equations with physico-chmical properties maybe helpful in chromatographic work.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water solubility (S), hydrophobicity (P), total energy ($E_t$), connectivity index 1 ($^1{\chi}$), hydrophilic-lipophlic balance (x) and hydrophilic surface area (h) of isoflavones. The retention factors were experimentally measured by RP-HPLC. Especially, the empirical regulations of water solubility and hydrophobicity were expressed in a linear form. The equation between retention factors and variou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soflavones was suggested as $k = a_0 + a_1\;log S + a_2log\;P^Q + a_3(E_t) + a_4(^1{\chi}) + a_5(x) + a_6(h)$,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estimated were relatively higher than 0.95. The empirical equations might be successfully used for a prediction of the various chromat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stances, with a similar chemical structure.

재발성 호흡기 증상을 동반한 병적 위식도 역류 질환에서 이중 채널 식도내 pH 검사의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Dual-probe Esophageal pH Monitoring in Pathological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with Recurrent Respiratory Symptoms)

  • 최윤창;문경래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6권1호
    • /
    • pp.17-23
    • /
    • 2003
  • 목 적: 24시간 이 중 채널 식도 pH 검사를 하여 위식도 역류와 호흡기 증상과의 상호 관계를 알아보고 호흡기 증상이 있는 역류 환자에서 원위부와 근위부 식도 pH 측정치를 비교하고자 연구하였다. 방 법: 1998년 8월부터 2002년 8월까지 조선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위식도 역류의 증상이 있거나 3주일 이상의 만성 기침 등 잦은 호흡기 증상이 있어 식도 pH 검사를 실시한 34명 중 원위부 식도에서 병적인 역류를 보인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적 역류의 기준은 95백분위수 이상의 역류지표 (reflux index)를 병적 역류로 정의하였다. 결 과: 1) 대상 34명에서 호흡기 증상이 있는 16명 중 12명(75%), 호흡기 증상이 없는 18명 중 5명(28%)에서 원위부 식도에서 병적 역류를 보였다. 2) I군에서 근위부와 원위부의 역류 지수, 총 역류횟수, 5분 이상 지속된 역류의 횟수, 최장 역류 시간 등 모든 항목들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II군에서 근위부와 원위부의 최장 역류 시간을 제외한 모든 항목들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 4) 근위부 식도에서 I군과 II군의 모든 항목들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결 론: 원위부 위식도 역류를 보이는 환자에서 호흡기 증상의 유무에 따라 근위부 식도 pH 검사 결과의 모든 항목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재발성 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서 이중채널 식도 pH검사의 유용성에 대해 재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종자저장온도 및 전처리가 야생 하늘타리와 노랑하늘타리의 종자발아 및 유묘 생육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Storage Temperature and Pre-Treatment on Germination, Seedling Quality on Wild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and Trichosanthes kirilowii var. japonica Kitam)

  • 이수광;김효연;구자정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3-59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ed storage temperature and pre-treatment on seed germination, seedling quality and vigor index of wild Trichosanthes kirilowii and Trichosanthes kirilowii var. japonica. As a result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T. kirilowii was the 95% at seed stored in room temperature and then soaking for 24 hours in $dH_2O$. An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T. kirilowii var. japonica was 96% at seed stored in $2^{\circ}C$ and then soaking for 24 hours in $GA_3$ (100 ppm). But the seed germination rate was non-significance in pre-treatment at seed stored in room temperature $2^{\circ}C$. Seedlings of T. kirilowii and T. kirilowii var. japonica showed not only the best seedling quality but also seedling vigor index in seed stored at $2^{\circ}C$ and then soaking for 24 hours in $GA_3$ (100 ppm). In this research, T. kirilowii and T. kirilowii var. japonica seed were stored in room temperature or $2^{\circ}C$, and then sown in peat moss, seed germination rate was more than 90% and production of superior quality seedlings.

일부 청정식품의 경도 차이에 따른 치면세균막 제거 및 구취감소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Reduction of Dental Plaque Control and Oral Malodor according to Hardness of Detergent Food)

  • 김민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24-330
    • /
    • 2017
  • 본 연구는 수분이 많은 청정식품의 경도라는 규격화된 기준을 두어, 경도에 따른 청정 작용의 효과 차이를 알아보고, 그 효과로 구취가 제거되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평균 20.8세의 여성 19(95.0%)명, 남성 1(5.0%)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PASW SPSS statistics 24.0(IBM Co,Armonk,NY,USA)를 사용하였으며, 제1종 오류는 0.05로 하였다. 모든 청정식품에서의 섭취 전과 섭취 후의 치면 세균막의 제거정도는 오이는 PHP Index, 토마토는 PHP Index와 plaque rate, 배추는 plaque rate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경도에 따른 청정식품 종류의 치면세균막 제거 효과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모든 청정식품에서의 구취제거 효과에는 구취성분 중 $H_2S$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변화량의 평균이 배추, 토마토, 오이순으로 청정식품의 경도에 따라서는 구취제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향후 청정식품 종류의 다양화와 많은 피험자의 수, 구취측정 시간을 통제하는 등의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후속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실생활에서도 이를 활용한 식이조절법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식품에 관한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여성의 연령에 따른 비만도가 피부저항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mpacts of Women with Age-related Obesity on Skin Resistance Variability(SRV))

  • 김현주;정혁상;손영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9-92
    • /
    • 2012
  • Purpose: Obesity affects dysfunction of Hypothalamus-Pituitary-Ovary(H-P-O) axis. Dysfunction of H-P-O axis could be related to Skin Resistance Variability (SRV).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s of obesity which related to female age on SRV. Methods: We randomly selected 400 women who had taken CP-6000A test and InBody test on the same day at Oriental Hospital of Sangji University from Jan. 2008 to Jun. 2011. In this study, the Body Mass Index(BMI) range of normal group is 18.5~24.9, obesity group is over 25, the age range of childbearing age group is 24~34 years, post-menopause group is 50~65 years. 139 women that met the criteria of this study were assorted by their BMI and age. After detection of SRV, SPSS 19.0 has conjugated for data analysis and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paired samples t-test were used to verify the results. Results: At 1st and 2nd trial, the height of 3 area of childbearing age obesity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hildbearing age normal group. At 1st and 2nd trial, the height of 1, 2 area of childbearing age obesity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hildbearing age normal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1st and 2nd trial, the height of 1, 2, 3 area of post-menopause obesity group was mostly higher than that of post-menopause normal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e SRV of obesity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normal group in most of 1, 2, 3 area.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시설양묘과정에서 용기에 따른 편백 유묘의 생장 특성 변화 (Container Types Influence Chamaecyparis obtusa Seedling Growth During Nursery Culture)

  • 조민석;양아람;황재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556-563
    • /
    • 2014
  • 본 연구는 시설양묘과정에서 편백 용기묘(2-0묘) 생산을 위해 요구되는 적정 용기의 구 용적 및 생육밀도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용기 20구(400 mL/구, 150본/$m^2$), 24구(320 mL/구, 200본/$m^2$), 35구(240 mL/구, 260본/$m^2$)에서 편백의 근원경, 간장, 생체량, 뿌리밀도 및 묘목품질지수를 조사 분석하였다. 용기에 따른 근원경, 간장, 생체량, 뿌리밀도 및 묘목품질지수는 20구 용기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지만, H/D율과 T/R률은 용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단위 면적 당 총 물질생산량은 35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20구와 24구 용기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또한, H/D율과 T/R률을 제외한 근원경, 간장, 물질생산량, 뿌리밀도 및 묘목품질지수는 용기 구 용적과는 정의상관관계, 생육밀도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양묘 단계에서 편백 2-0묘는 20구(400 mL/구, 150본/$m^2$) 용기가 적정 규격으로 판단된다. 편백 2-0묘 생산을 위한 적정 용기의 선정으로 우량 묘목 생산 및 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와 함께 우수한 조림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oretical Study for the ITO/Si based High Contrast Grating Structure with Focusing Capability and its Fabrication

  • Kim, J.Y.;Yeon, K.H.;Kyhm, J.;Cho, W.J.;Kim, T.J.;Kim, Y.D.;Song, J.D.
    •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 /
    • 제24권6호
    • /
    • pp.250-253
    • /
    • 2015
  • High contrast grating (HCG) is the structure made up of the sub-wavelength grating of high-index and the surrounding layer of low-index, which reveals high contrast between two materials. Its advantages include high reflectivity over a broad bandwidth, polarization and wavelength selectivity, optical high-Q resonator, and phase modulation. In this work, the HCG structure comprising of indium tin oxide (ITO) and Silicon (Si), for the surrounding layer and the grating layer respectively, was studied. Its theoretical model was established, and transmittance, phase and optical behavior were calculated by rigorous coupled-wave analysis and finite element method. Furthermore, the established structure was fabricated to validate its feasibility. The fabricated structure shows the focusing capability whose length is about $10{\mu}m$, and the feasibility of the structure was demonstrated. It is also meaningful that ITO layer can contribute to the fabrication of the HCG structure, leading to enable the structure to be electrical-driven.

페퍼민트분말 급여가 비육기 재래흑돼지의 육질 특성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Peppermint (Mentha piperita L.) Powder on Meat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Finishing Korean Native Black Pigs)

  • 지중룡;최영민;송동용;최호성;나종삼;심관섭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24-231
    • /
    • 2011
  • 본 연구는 페퍼민트 급여가 재래흑돼지의 육질특성과 근육내 지방산 조성 및 콜레스테롤 함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페퍼민트 분말을 평균체중이 $77{\pm}5$ kg일 때부터 출하까지 0.2%(T1) 또는 0.4%(T2)를 50일간 급여하였으며, 도축 후 등심근을 채취하여 다양한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T2처리구에서 조지방 함량이 대조구보다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사후 45분 pH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24시 pH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T2처리구가 높게 나타났다(p<0.05). 육색에 있어서 명도와 황색도는 T2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연도와 보수력 역시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퍼민트 첨가는 지방산 조성과 콜레스테롤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T1은 대조구보다 포화지방산이 감소하고 불포화지방산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콜레스테롤 감소지수는 T1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페퍼민트 첨가 사료는 돈육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지방산 및 콜레스테롤의 건강기능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며, 보다 심도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높은 굴절률을 가지는 Polytriazine 유도체에 대한 연구 (Study of Polytriazine Derivatives having High Refrative Index)

  • 이용희;김재종;하태욱;차정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1-35
    • /
    • 2003
  • 몇 가지 합성한 poly(6-dialkylamino-1,3,5-triazine-2,4-dithioxylene) 유도체들은 poly(6-dialkylamino-1,3,5-triazine-2,4-dithiol과 m- 또는 p-dibromide xylene으로부터 $70^{\circ}C$에서 약 24시간 동안 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와 중축합반응 시켜서 얻었다. 합성해서 얻은 유도체들의 굴절률이 97~196.6을 보였으며, 물흡광계수는 97~196.6범위에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고분자 유도체들이 높은 전자밀도를 가지는 황 원자와 트리아진 고리를 가지므로 인해 복굴절 현상이 없으면서 높은 굴절률을 가진다는 것을 알았다.

  • PDF

연속회본식 반응조를 이용한 축산폐수의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eatment of Livestock Wastewater by Sequencing Batch Reactor)

  • 박석환;정문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2-66
    • /
    • 199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ivestock wastewater excepting pig feces and the variation tendency of water quality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polluting materials by establishing the sequencing batch reactor in the field.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livestock wastewater as follows: BOD: 619.80, COD$_{cr}$: 782.70, NH$_{3}$-N: 194.20, TKN: 232.81, PO$_{4}$-P: 24.10, T-P: 215.14 (mg/l) 2. During the reaction, nega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pH and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3.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organic material by the index of BOD and COD was about 90%. 4. Nitrogen removal efficiency was 65.6% by total Kjeldahl nitrogen index, and phosphorous removal efficiency was about 47% by PO$_{4}$-P concent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