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Pt-SnO_2%24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34초

Pt 및 $SnO_2$ 촉매하에서의 일산화탄소의 산화반응 (Catalytic Oxidation of Carbon Monoxide on Pt and $SnO_2$)

  • 주광렬;김하석;부봉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83-192
    • /
    • 1980
  • $SnO_2$, Sb-doped $SnO_2$>, 그리고 백금촉매하에서 일산화탄소의 산화반응을 연구하였다. $SnO_2$ 및 Sb-doped $SnO_2$ 촉매하에서 산화반응은 CO 및 $O_2$에 대해서 각각 1차, 백금 촉매하에서는 1/2차 반응에 따랐다. $SnO_2$에 소량의 Sb첨가(dopant composition : 0.05∼0.1mole%)는 반응속도를 증가시키고 그 이상의 첨가는 오히려 반응속도를 감소시켰다. 백금 촉매하의 산화반응에서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속도가 오히려 감소하는 억제효과를 보여주었다. 각 촉매하에서 산화반응의 활성화에너지는 Sb-dopoped $SnO_2$ 촉매 (dopant compisito : 0.05 mole%)에서 5.7 kcal, 백금 촉매에서 6.4 kcal이었다. 실험적으로 얻은 반응차수와 doping 효과로부터 가능한 반응메카니즘을 제안하였다.

  • PDF

$MnO_2$가 첨가될 PSS-PT-PZ 세라믹의 유전 및 초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lectric and Pyroelectric Properties of the PSS-PT-PZ Ceramics Added $MnO_2$)

  • 이성갑;류기원;이영희;배선기;박창엽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4-197
    • /
    • 1991
  • In this study, $(Pb_{0.99}La_{0.01})[(Sb_{1/2}Sn_{1/2})_{0.10}Ti_{0.25}Zr_{0.65}]O_3$, added $MnO_2$ (0-0.30[mol%]) ceramics were fabricated by the mixed oxide method. The sintering temperature and time were $1250[^{\circ}C]$, 2[hr], respectively. In the $(Pb_{0.99}La_{0.01})[(Sb_{1/2}Sn_{1/2})_{0.10}Ti_{0.25}Zr_{0.65}]O_3$ added $MnO_2$ (0.24[mol%]) specimens,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and dielectric loss were minimum values 3.52, 0.003, respectively, and Curie temperature were highest values $256[^{\circ}C]$. Pyroelectric coefficient and voltage responsivity of the $(Pb_{0.99}La_{0.01})[(Sb_{1/2}Sn_{1/2})_{0.10}Ti_{0.25}Zr_{0.65}]O_3$, and added $MnO_2$ (0.24[mol%]) specimen were good values, $6.73{\times}10^{-8}[C/cm^2K],\;125[v/W]$, respectively. Figure of merit of pyroelectric current, voltage and detectivity of the specimen, $(Pb_{0.99}La_{0.01})[(Sb_{1/2}Sn_{1/2})_{0.10}Ti_{0.25}Zr_{0.65}]O_3$ added $MnO_2$ (0.24[mol%]) were good values $2.714{\times}10^{-8}[Ccm/J],\;7.706{\times}10^{-11}[Ccm/J],\;2.640{\times}10^{-8}[Ccm/J]$, respectively. Voltage responsivity of the $(Pb_{0.99}La_{0.01})[(Sb_{1/2}Sn_{1/2})_{0.10}Ti_{0.25}Zr_{0.65}]O_3$ added $MnO_2$ (0.24[mol%]) specimen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hopper frequency.

  • PDF

PSS-PT-PZ초전형 적외선 검출기의 잡음특성 (Noise properties of the PSS-PT-PZ pyroelectric infrared detector)

  • 우승일;류기원;이성갑;이성희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6권6호
    • /
    • pp.573-581
    • /
    • 1993
  • 0.10Pb(Sb$_{1}$2/Sn$_{1}$2/)O$_{3}$-0.25PbTiO$_{3}$-0.65PbZrO$_{3}$ 세라믹을 소결온도 및 시간을 각각 1200-1250[.deg.C]에서 2, 4, 6시간으로 변화시켜 제작하였으며 시편의 소결조건 및 MnO$_{2}$(0~0.30mol%)첨가량에 따른 잡음특성을 관찰하였다. 초전계수 및 전압감도는 1250[.deg.C]에서 2시간 소결시킨 시편에서 각각 3.49x$10^{-8}$[C/$cm^{2}$K], 147[V/W]의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초전형 적외선 검출기의 잡음특성에 있어 증폭기의 전류잡음 .DELTA.V$_{i}$가 총 잡음전압에 대해 지배적인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MnO$_{2}$가 0.24[mol%] 첨가된 1250[.deg.C]에서 2시간 소결시킨 시편에서 가장 양호한 pop-corn잡음특성을 나타내었다.다.

  • PDF

열처리에 따른 $Pb[(Zr,Sn)Ti]NbO_3$ 박막의 강유전 특성 (Ferroelectric properties of $Pb[(Zr,Sn)Ti]NbO_3$ Thin Films by Annealing)

  • 최우창;최혁환;이명교;권태하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2)
    • /
    • pp.24-27
    • /
    • 2000
  • Ferroelectric P $b_{0.99}$〔(Z $r_{0.6}$S $n_{0.4}$)$_{0.9}$ $Ti_{0.1}$$_{0.98}$N $b_{0.02}$ $O_3$(PNZST) thin films were deposited by a RF magnetron sputtering on (L $a_{0.5}$S $r_{0.5}$)Co $O_3$(LSCO)/Pt/Ti/ $SiO_2$/Si substrate using a PNZST target with excess PbO of 10 mole%. The thin films deposited at the substrate temperature of 500 $^{\circ}C$ were crystallized to a perovskite phase after rapid thermal annealing(RTA) The thin films annealed at 650 $^{\circ}C$ for 10 seconds in air exhibited the good crystal structures and ferroelectric properties. The remanent polarization and coercive field of the PNZST capacitor were about 20 $\mu$C/$\textrm{cm}^2$ and 50 kV/cm, respectively. The reduction of the polarization after 2.2$\times$10$^{9}$ switching cycles was less than 10 %.0 %.%.0 %.0 %.

  • PDF

Pb(Sb1/2Sn1/2)O3-PbTiO3-PbZrO3 세라믹스의 유전 및 압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the Pb(SbS11/2TSnS11/2T)OS13T-PbTiOS13T-PbZrOS13T Ceramics)

  • 정장호;류기원;이성갑;이영희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41권5호
    • /
    • pp.517-524
    • /
    • 1992
  • In this study, 0.10Pb(SbS11/2TSnS11/2T)OS13T-(0.90-x)PbZrOS13T (0.25 x 0.40) ceramics were fabricated by the atmospheric method. The sintering temperature and time were 1250[$^{\circ}C$] and 2[2hr], respectively. The structureal,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with composition of PbTiOS13T were studied. As the results of XRD ans SEM, the crystal structure of a specimen was rhombohedral, lattice constant and average grain size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s of PbTiOS13T.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and Curie temperature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s of PbTiOS13T, 0.10PSS-0.40PT-0.50PZ specimen had the highest values of 904 and 265[$^{\circ}C$], respectively. In increasing of PbTiOS13T contents form 25[mol%] to 40[mol%], piezoelectric charge constant and electromechanical coupling factors were increased form 114[pC/N] to 142[pC/N], 17[%] to 24[%] and mechanical quality factor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s of PbTiOS13T. In the 0.10PSS-0.40PT-0.50PZ specimens, those values were 14.2[kV/cm] and 9.43[x10S0-6TC/cmS02T], resectively.

동일면상에 heater와 감지전극을 형성한 마이크로가스센서의 제작 및 특성 (Characteristics and Fabrication of Micro-Gas Sensors with Heater and Sensing Electrode on the Same Plane)

  • 임준우;이상문;강봉휘;정완영;이덕동
    • 센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5-123
    • /
    • 1999
  • PSG(800nm)/$Si_3N_4$ (150nm)로 구성된 유전체 membrane 윗면에 heater와 감지전극을 등일면상에 동시에 형성하였다. 제작된 소자의 전체 면적은 $3.78{\times}3.78mm^2$이고, diaphragm의 면적은 $1.5{\times}1.5mm^2$이며, 감지막치 면적은 $0.24{\times}0.24mm^2$였다. 그리고 diaphragm내의 열분포 분석을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실제로 제작된 소자의 열분포와 비교하였다. 소비전력은 동작온도 $350^{\circ}C$에서 약 85mW였다. Sn 금속막을 상온과 $232^{\circ}C$의 두 가지 기판온도에서 열증착하였고, 이를 $650^{\circ}C$의 산소분위기에서 3시간 열산화함으로써 $SnO_2$ 감지막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SEM과 XRD로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작된 소자에 대해서 온도 및 습도에 대한 감지막의 영향 및 부탄가스에 대한 반응특성도 조사하였다.

  • PDF

ATO nanoparticle에 담지된 백금 촉매의 전기화학적 알콜 산화 반응에 관한 연구 (Electrocatalytic alcohol oxidation on Pt/ATO nanoparticle)

  • 이국승;박인수;정대식;박희영;성영은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63-466
    • /
    • 2006
  • 직접 알콜 연료전지는 액체인 알콜을 직접 연료전지에 공급하여 연소시킴으로써 높은 효율을 갖는 휴대용전원으로 주목받는 장치이다. 직접 알콜 연료전지에 담지체로 사용되는 탄소 소재는 넓은 표면적과 우수한 전기전도도를 가지고 있다는 장점 있으나 금속 촉매와의 상호작용이 약하여 촉매 활성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산화물을 담지체로 사용할 경우 이러한 금속-담지체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촉매활성 증가 및 입자성장 억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티몬 도핑된 주석산화물 (Sb-doped SnO2 : ATO nanoparticle)을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담지체어 적용하였으며 합성 과정은 다음과 같다. SnC14 5H2O SbC13, NaOH, HCl 수용액 혼합물을 삼구 플라스크에 넣고 $100^{\circ}C$ 온도에서 환류(reflux) 시킨 후 세척 및 건조하여 Air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였다. 합성된 산화물 수용액에 폴리올 방법으로 합성된 백금 콜로이드를 담지하였으며, 세척과 건조를 통하여 산화물에 담지된 백금 촉매를 촉매를 합성하였다. 촉매의 구조분석을 위해 XRD, TEM을 사용하였으며, 전극촉매로서의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cyclic voltammetry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백금의 담지량에 따른 Costripping voltammetry특성과 메탄올 및 에탄올 산화 반응 특성에 대하여, 탄소를 담지체로 사용한 Pt/C 촉매와 비교 평가하였다. 알콜 산화반응 평가결과, 주석산화물에 담지한 촉매가 탄소를 담지체로 사용한 촉매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활성증가는 메탄올에 비해 에탄올 산화 반응의 경우 크게 증가하였다. 막과 비교해 보았다. $ZrO_2$ 입자는 전도성이며 동시에 친수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용 막에 비하여 함수율 및 수소이온 전도도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복합막의 이러한 물성은 $100^{\circ}C$이상의 고온에서 전해질 막 내의 물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단위 전지 운전 온도 $130^{\circ}C$, 상대습도 37%의 운전 조건에서도 상당히 우수한 전지 성능을 보임에 따라 고온/저가습 조건에서 상용 Nafion 112 막보다 우수한 막 특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소/배후방사능비는 각각 $2.18{\pm}0.03,\;2.56{\pm}0.11,\;3.08{\pm}0.18,\;3.77{\pm}0.17,\;4.70{\pm}0.45$ 그리고 $5.59{\pm}0.40$이었고, $^{67}Ga$-citrate의 경우 2시간, 24시간, 48시간에 $3.06{\pm}0.84,\;4.12{\pm}0.54\;4.55{\pm}0.74 $이었다. 결론 : Transferrin에 $^{99m}Tc$을 이용한 방사성표지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고, $^{99m}Tc$-transferrin의 표지효율은 8시간까지 95% 이상의 안정된 방사성표지효율을 보였다. $^{99m}Tc$-transferrin을 이용한 감염영상을 성공적으로 얻을 수 있었으며, $^{67}Ga$-citrate 영상과 비교하여 더 빠른 시간 안에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99m}T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