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MgCl_2%24

검색결과 322건 처리시간 0.031초

수종 중금속에 의한 Acid Phosphatase의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nfluence of Certain Heavy Metals on Acid Phosphatase Activities)

  • Choe, Rim-Soon;Kang, Young-Hee;Kim, Woon-So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9-76
    • /
    • 1980
  • $HgCl_2$ 5mg/kg body wt., 10 mg/kg body wt. 그리고 20 mg/kg body wt.와 $CdCl_2$ 10mg/kg. body wt., 15 mg/kg body wt.와 20 mg/kg body wt.를 mouse의 복가에 주사한 후 각각 24시간, 48시간 그리고 72시간 후에 간을 적출하여 disodium p-nitrophenyl phosphate를 기질로 하고 Mundry 비색법으로 acid phosphatase 활성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즉 $HgCl_2$는 5 mg/kg body wt.를 처리한 후 24시간 경과 후 3.47 mg Pi/ml 0.5 hr이었고, 72시간 경과 후에는 5.00 mg Pi/ml/0.5 hr이었고, 20 mg/kg body wt.에서는 24시간 경과 후 6.79 mg Pi/ml/0.5 hr로, 72시간 경과 후에는 3.47 mg Pi/ml/0.5 hr로 나와 대조군의 8.3 mg Pi/ml/0.5 hr의 약 0.5배로 나타났다. EH한 $CdCl_2$는 15 mg/kg. body wt.와 20 mg/kg body wt.는 모두 죽었으니, 10 mg/kg body wt.에서는 거의 50% 정도가 살았고, 24시간, 48시간 그리고 72시간 경과 후에 거의 모두가 11.2 mg Pi/ml/0.5 hr로 나와 대조군의 8.63 mg Pi/ml/0.5 hr 보다 1.5배 정도 높게 나타나 activate시킴을 보여주었다.

  • PDF

Cadmium으로 유발된 흰쥐 간독성에 대한 스쿠알렌 효과 (Effects of Squalene on Mouse Liver Toxicity with Cadmium)

  • 김종세;윤중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2호
    • /
    • pp.141-152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CdCl_2$이 간 미세조직에 일으키는 독성에 대한 50의 억제효과를 연구하는데 있다. 본 실험에서는 총 40마리의 건강한 ICR계 mouse를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먼저 2개군(group A, and B)으로 구분하였다. A군에는 $CdCl_2$(40mg/kg)을 복강투여 하였다. B군에는 SQ (180 mg/kg, 2회/일)과 $CdCl_2$ (4.0 mg/kg)을 동시 복강 투여하였다. 각 군은 24, 48, 72, 96시간째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군 : 핵막은 24시간대에서 매우 불규칙하게 관찰되었고, 48시간대부터는 대체로 원형을 유지하였다. 사립체는 72시간까지 내강이 파괴된 채로 관찰되었고, 96시간대에는 일부에서만 내강 파괴가 관찰되었다. 과립형질 내세망은 내강이 전 시간대에 걸쳐 팽대된 소견을 보였고, 72시간대부터 층판구조를 형성하였다. 용해소체가 24 시간대부터 세포질에서 관찰되었고, 72시간대부터는 글리코겐이 관찰되었다. 2. B군 : 핵막은 전 시간대에 걸쳐 비교적 규칙적인 형태를 보였다. 사립체는 전반적으로 원형 ,세장형 등 정상적인 형태로 관찰되었다. 과립형질내세망은 48시간군에서 내강이 팽대되었고 층판구조가 일부 분절된 소견을 보였지만, 72시간부터는 전형적인 층판구조가 관찰되었다. 용해소체와 glycogen은 24시간대부터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50이 mouse간세포에 미치는 카드뮴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반응 표면 분석법을 사용한 Rhodobacter sphaeroides PS-24 유래 carotenoid 생산 배지 최적화 (Optimization of Medium for the Carotenoid Production by Rhodobacter sphaeroides PS-24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봉기문;김공민;서민경;한지희;박인철;이철원;김평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5-148
    • /
    • 2017
  • 본 연구를 통해 논, 시설재배 밭 토양, 쓰레기장, 하천 및 호수의 퇴적 토양 등 22개소에서 분리한 총 6종의 광합성세균 중 호기 암 배양이 가능한 Rhodobacter sphaeroides PS-24를 분리하였다. 형태학적 특징으로는 그람음성의 막대모양으로, 운동성이 있었다. 분리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Rhodobacter sphaeroides ATH2.4.1과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며, 본 연구에서 Rhodobacter spharoides PS-24로 명명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별균주를 modifed Van niel's yeast 배지에서 배양 후 생성된 carotenoid를 추출한 결과 $12.03{\pm}0.15mg/L$의 함량이 측정되었으며, 반응표면분석법 중 Plackett burman 분석방법과 Box-Behnken 분석방법을 통해 carotenoid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농도를 최적화하였다. 분석결과 각각의 독립변수 yeast extract -0.4144 (1.23 g/L), $Na_2CO_3$ 0.8541 (3.71 g/L)와 $MgSO_4$ 1.00 (1.00 g/L)의 농도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배지 조성을 최적화한 결과 yeast extract 1.23 g, sodium acetate 1 g, $NH_4Cl$ 1.75 g, NaCl 2.5 g, $K_2HPO_4$ 2 g, $MgSO_4$ 1.0 g, mono-sodium glutamate 7.5 g, $Na_2CO_3$ 3.71 g, $NH_4Cl$ 3.5 g, $CaCl_2$ 0.01 g/ liter로 선정하였다. 최적배지를 대상으로 5 L, 50 L, 500 L scale-up을 진행한 결과 최종 carotenoid는 각각 17.98 mg/L, 18.03 mg/L, 18.11 mg/L로 조사되었다. 최적배지의 경우 modified Van niel's yeast 배지보다 약 1.5배 많은 carotenoid를 생산하였으며, 대량배양을 통한 scale-up 과정 시 carotenoid의 생산량은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산업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carotenoid를 생산하는 광합성세균 Rhodobacter spharoides PS-24를 개발하였으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유기농축산에 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미생물제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Mono-Polar Cell 용융염전해(熔融鹽電解)에 의한 마그네슘 제조 (Preparation of Magnesium by Fused Salt Electrolysis Using Mono-Polar Cell)

  • 박형규;김철주;윤호성;김성돈;엄형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3호
    • /
    • pp.62-68
    • /
    • 2009
  • 마그네슘 용융염 전해시 적정 조업조건을 확립하고자 자체 설계 제작한 150A급 mono-polar형 전해조를 사용하여 24시간 연속 전해 조업을 수행하였다. $MgCl_2$ 25%, NaCl 55%, $CaCl_2$ 19%, $CaF_2$ 1%의 전해욕 조성으로 전해온도 $720{\sim}740^{\circ}C$, 전해전압 7V, 음극 전류 밀도 $0.7-0.75A/cm^2$, 전극 간격 6cm의 운전조건에서 24시간 연속 조업을 수행하였으며, 전해 전압 및 전류 변화, 전해 욕 조성 변화, 전류 효율 등을 조사하였다. 시험결과 제작한 전해셀의 조업성이 양호하였으며, 순도 99% 이상의 금속 마그네슘을 회수하였고 전류효율 89%를 달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마그네슘 용융염 전해장치 제작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축적할 수 있었다.

한국대학생(韓國大學生)의 Sodium과 Potassium섭취량(攝取量) 및 대사(代謝)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Their Metabolism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 박태선;이기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8권3호
    • /
    • pp.201-208
    • /
    • 1985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남녀 대학생 집단의 1인 1일 Sodium(Na) 및 Potassium(K)섭취량을 뇨 성상분석과 식이 조사방법에 의해 평가하고 이들과 혈압 및 기타 요인들과의 상관성 유무를 검토하였다. 조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1일 뇨중의 Na 배설량은 남자 대학생의 경우 199.1mEq(11.63g NaCl), 여자 대학생의 경우 174.5mEq(10.21g NaCl)이었고 식이 조사법에 의해 산출된 1인 1일 Na 섭취량은 남녀 각기 218.5mEq(12.77g NaCl), 218.1mEq(12.75g NaCl)로 나타났다. 2) 1일 뇨중의 K 배설량은 남자 대학생이 48.3 rnEq(1889mg), 여자 대학생이 43.9mEq(1,772mg)로 추정되었고, 식이 조사법에 의한 1인 1 일 K 섭취량은 남녀 각기 48.6mEq(1,897mg), 47.4mEq(1,850mg)인 것으로 나타났다. 3) 뇨중 Na/K 비을은 남자 대학생이 $4.67{\pm}2.42$, 여자 대학생이 $4.58{\pm}2.22$로 나타나 평균 $4.62{\pm}2.3$이었다. 4) 1일 총 뇨량은 남자 대학생의경우 1,228ml$($677ml/m^{2}/24hr$), 여자 대학생의 경우 1,116m1$($703ml/m^{2}/24hr$)$인 것으로 나타났다. 5) 뇨중 Na 및 K 배설량, Na/K비율과 혈압간에는 상관 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상의 뇨 분석 결과와 식이 조사결과를 종합해 본다면 이전의 동일 연령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보고에 비해 서울지역 대학생 집단의 Na 섭취량이 현저히 감소된 반면, K 섭취량은 증가하여 Na/K 비율이 크게 감소하였고, 또한 Na 섭취량의 감소로 인한 1일 뇨 부피의 감소가 있었다. 그러나 아직도 미국인에 비해 Na 섭취량은 높고 K 섭취량은 낮아 Na/K비율이 높은 경향에 있다고 보겠다.

  • PDF

Production of Microbial-Transglutaminase [MTG] from Streptoverticillium mobaraense

  • ;김인해;박창수;이재화
    • KSBB Journal
    • /
    • 제22권5호
    • /
    • pp.322-327
    • /
    • 2007
  • Mineral salts in medium usually profoundly influence microorganism growth and protein synthesis. In order to produce microbial transglutaminase (MTG) with a high yield from Streptoverticillium mobaraense, we screened the minerals $CaCl_2,\;CoCl_2,\;FeSO_4,\;ZnSO_4,\;MnSO_4\;and\;CuSO_4$ for MTG ferment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appropriate $FeSO_4$ concentrations could significantly promote cell growth and stimulate the production of MTG. With 15 mg/L of $FeSO_4$ added to medium, 58% improvements were noted in MTG productivity (2.24 U/mL). NaCl, $CaCl_2,\;and\;CoCl_2$ enhanced MTG productivity by less than 15%, and the optimal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as 1 g/L, 2 g/L, and 30 mg/L respectively. Furthermore, it was determined that 7.5 mg/L of $ZnSO_4$ in medium could augment MTG productivity by 20% and induce the stationary phase for MTG production to a period 24 hr earlier. This basic and novel discovery should result in the development of a good complement to the previously defined culture media for MTG fermentation.

Bacillus종의 생광물화에 미치는 영향 인자의 비교 평가 (Comparative Assessment on Indicating Factor for Biomineralization by Bacillus Species)

  • 석희정;김창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9-19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생광물화에 미치는 주요한 영향 인자의 파악 및 광물별 생광물화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CaCl_2$, $MgCl_2$, $CaCl_2-MgCl_2$ 수용액을 이용하여 bottle test를 진행하였으며, 대상 미생물은 생광물화 관련 미생물 중 Bacillus pasteurii와 S 매립지 복토재 내 토착 미생물을 이용하였다. 광물 종류별 실험을 진행한 결과, $CaCl_2$, $MgCl_2$, $CaCl_2-MgCl_2$에 대해 각각 85, 88, 42 mg/L의 암모늄($NH_4{^+}$)이온이 생성되었고 이산화탄소 가스가 각각 12, 12, 24시간 후에 검출되지 않았다. 수용액 내 $Ca^{2+}$$CaCl_2$의 경우 12시간 후 92% 감소하였고 $CaCl_2-MgCl_2$의 경우 36시간 후 85% 감소하였다. 반면에 $Mg^{2+}$$MgCl_2$의 경우 48시간 후 46% 감소하였고 $CaCl_2-MgCl_2$의 경우 72시간 후 38.5% 감소하였다. 이온 농도 또는 광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pH의 경우 생광물화가 일어난 실험군에서만 pH 5.5에서 pH 9로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미생물 활성도($OD_{600}$) 또한 0에서 0.6으로 증가했다. 실험 종료 후,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촬영한 결과, 회전 타원체 모양의 결정체와 사다리꼴 모양의 결정체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X-선 회절분석으로 확인된 $CaCO_3$ (Calcite)와 $MgCO_3$ (Magnesite)이었다. 본 연구 결과 urea를 이용한 생광물화능을 판단할 수 있는 영향인자로서 효소의 활성도, $CO_2$ gas 농도변화, $OD_{600}$, pH, 용액 내 칼슘(또는 마그네슘) 이온농도가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스쿠알렌이 염화수은을 투여한 흰쥐의 간독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qualene on $HgCI_2$ induced Hepatotoxicity in Mouse)

  • 최영복;김종세;윤중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2호
    • /
    • pp.153-163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염화수은이 간 미세조직에 일으키는 독성에 대한 SQ의 억제효과를 연구하는데 있다. 본 실험에는 총 40마리의 건강한 ICR계 mouse를 사용하였다. 염화수은 단독투여군(A군)에는 $HgCl_2$(4.0mg/kg)만을 복강투여하였다. 그리고 SQ과 염화수은 동시투여군 (B군)에는 SQ (180 mg/kg, 2 times/day)과 $HgCl_2$ (4.0 mg/kg)를 동시 복강투여하였다. 그리고 각 군은 24, 48, 72, 96시간대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A군 : 핵은 24시간대에서 핵막의 응축현상이 나타났고, 48시간대에는 뚜렷한 응축현상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96시간대에서는 핵막이 비교적 둥글게 관찰되었다. 전시간대에서 사립체는 내강이 팽대되었고, 사립체릉의 발달이 미약하였다. 또한 기질의 전자밀도가 낮게 나타났다. 72시간대에서는 내 외막의 파괴 현상이 간혹 관찰되었다. 과립형질내세망은 내강의 팽대현상과 층판구조의 붕괴가 24시간대에서 72시간대까지 관찰되었지만, 96시간대부터는 약간의 팽대현상만이 관찰되었다. (2) B군 : 핵막과 염색질은 전시간대에 걸쳐 정상적인 소견을 나타냈다. 사립체는 48시간대에 내 외막의 파괴 현상이 나타났지만, 96시간대에 대부분 정상적인 형태를 이루고 있었고 전자밀도가 약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과립형질내세망은 24시간대와 48시간대에 팽대현상이 나타났지만, 72시간대와 96시간대에는 전형적인 층판구조를 이루기 시작하였으며 주변에 많은 전이소낭들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SQ이 mouse 간세포에 미치는 염화수은의 독성을 감소소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염소 소독시 DON이 유기성 클로라민 생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ssolved Organic Nitrogen on Organic Chloramine Formation during Chlorination)

  • 이원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481-484
    • /
    • 2011
  • 염소 소독시 유기성 클로라민 생성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가 모델 화합물질(예, 아미노산)을 사용한 연구결과로, 실제 자연상태에서 발생된 용존유기질소(DON)에 의한 유기성 클로라민 생성에 적용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지표수에서 추출된 16개 천연유기물질(NOM)을 사용하여 염소 소독시 DON이 유기성 클로라민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크게 염소 주입량과 반응시간, 그리고 DON 분자량이 유기성 클로라민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염소 주입량을 변화시킨 시험결과, 소비된 염소량 1 mg당 0.25 mg이 유기성 클로라민으로 전환되었다. DON은 염소와 반응하여 10분 이내에 빠르게 유기성 클로라민을 생성하였고, 그 후 계속해서 분해(가수분해, 산화)되었다. 반응시간 10분과 24시간의 유기성 클로라민 평균값은 각각 0.78과 $0.16mg-Cl_2/mg-DON$이었다. NOM의 DOC/DON 비율이 낮을수록, 즉 NOM내 DON의 함량비가 높을수록 유기성 클로라민 생성율이 높았다. 10,000 Da 분획시험 결과, DON의 분자량은 유기성 클로라민의 생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대장균 내독소에 의한 토끼 혈중 전해질 농도의 변화 (Alterations in Blood Electrolyte of Rabbits with Experimental Injection of Escherichia coli Endotoxin)

  • Seok-Cheol Choi;Jai-Young Kim;Heun-Young Kwon;Tae-Un Kim;Soo-Myung Hwang;Won-Jae L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9-164
    • /
    • 2000
  • 혈액 전해질 성분들에 대한 대장균 내독소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토끼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장균 내독소 (혈청형 O55 : B5)를 토끼의 귀정맥을 통해 0.10 mg/kg 혹은 0.50 mg/kg 농도로 주입한 후 3, 6, 12, 24시간대에 채혈하여서 $Ca^{++}$, $Mg^{++}$, $Na^{+}$, $K^{+}$, Cl$^{-}$ 농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내독소투여 토끼의 $Ca^{++}$ 농도는 6시간대에 증가하였고, $Mg^{++}$ 농도는 3, 6, 12시간대에, $Na^{+}$$K^{+}$는 모든 채혈시간대에, 그리고 Cl$^{-}$ 농도는 3, 12, 24시간대에 각각 유의하게 높았다 (p<0.05). 흥미롭게도, 고 $Mg^{+}$ 혈증 (약 4.0 mg/dL)을 보인 내독소투여 토끼들은 심각한 임상징후들로 인식되는 분비물의 증가, 쇼크, 빈호흡, 경련, 혹은 설사와 같은 증세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대장균 내독소가 혈액 전해질 농도의 항상성 혼란을 유도하며 이러한 생리적 불균형은 치명적 상황과 그로 인한 죽음을 야기할 수도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