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Squalene on $HgCI_2$ induced Hepatotoxicity in Mouse

스쿠알렌이 염화수은을 투여한 흰쥐의 간독성에 미치는 효과

  • Choi, Young-Bok (Dept. of Biological Science,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osun University) ;
  • Kim, Jong-Se (Dept. of Biological Science,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osun University) ;
  • Yoon, Jung-Sik (Dept. of Biological Science,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osun University)
  • 최영복 (조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과학부) ;
  • 김종세 (조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과학부) ;
  • 윤중식 (조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과학부)
  • Published : 2000.06.0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squalene (SQ), one of the natural chelator, on the ultrastructural changes in the mouse liver caused by $HgCl_2$. A total of 40 healthy ICR that weighted 30 gm $({\pm}2gm)$ was used for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and B. The group A administrated $HgCl_2$ (4.0mg/kg) to the intraperitoneal. The group B administrated $HgCl_2$ (4.0 mg/kg) to the intraperitoneal treated with SQ (180 mg/kg, 2 times/day). Each group was observed at 24, 48, 72, 96 hours after injected $HgCl_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roup A Nucleus showed condensation of nuclear membrane at the 24 hours. At the 48 hours, observed distinct condensation. But nuclear membrane be seen relative rounded-shape at the 96 hours. At overall the time, inner cavity of mitochondria swollen and development of cristae weakened. Also electron density of matrix was a little low. At the 72 hours, destruction of the inner and outer membrane of mitochondria observed occasionally. Swelling of inner cavity of rER and destruction of lamellae be found from 24 hours to 72 hours, but at the 96 hours, only some swelling 2. Group B Nuclear membrnae and chromatin be seen normal shape at overall the time. Mitochondria showed destruction of the inner membrane until the 48 hours, but mostly normal shapes. Electron density showed high on the all groups. RER be found swelling of inner cavity at the 24 and 48 hours, but found typical lamellae and observed a number of transfer vesicles around rER at the 72 and 96 hou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qualene attenuates the toxic effect of the $HgCl_2$ in the mouse liver.

본 연구의 목적은 염화수은이 간 미세조직에 일으키는 독성에 대한 SQ의 억제효과를 연구하는데 있다. 본 실험에는 총 40마리의 건강한 ICR계 mouse를 사용하였다. 염화수은 단독투여군(A군)에는 $HgCl_2$(4.0mg/kg)만을 복강투여하였다. 그리고 SQ과 염화수은 동시투여군 (B군)에는 SQ (180 mg/kg, 2 times/day)과 $HgCl_2$ (4.0 mg/kg)를 동시 복강투여하였다. 그리고 각 군은 24, 48, 72, 96시간대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A군 : 핵은 24시간대에서 핵막의 응축현상이 나타났고, 48시간대에는 뚜렷한 응축현상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96시간대에서는 핵막이 비교적 둥글게 관찰되었다. 전시간대에서 사립체는 내강이 팽대되었고, 사립체릉의 발달이 미약하였다. 또한 기질의 전자밀도가 낮게 나타났다. 72시간대에서는 내 외막의 파괴 현상이 간혹 관찰되었다. 과립형질내세망은 내강의 팽대현상과 층판구조의 붕괴가 24시간대에서 72시간대까지 관찰되었지만, 96시간대부터는 약간의 팽대현상만이 관찰되었다. (2) B군 : 핵막과 염색질은 전시간대에 걸쳐 정상적인 소견을 나타냈다. 사립체는 48시간대에 내 외막의 파괴 현상이 나타났지만, 96시간대에 대부분 정상적인 형태를 이루고 있었고 전자밀도가 약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과립형질내세망은 24시간대와 48시간대에 팽대현상이 나타났지만, 72시간대와 96시간대에는 전형적인 층판구조를 이루기 시작하였으며 주변에 많은 전이소낭들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SQ이 mouse 간세포에 미치는 염화수은의 독성을 감소소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