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C_4%24%24A_3%24S

검색결과 1,852건 처리시간 0.051초

네 가지 다른 온도가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유충 생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ur different temperatures on the growth of Aedes albopictus larva)

  • 나수미;장혜지;박소정;이은영;도지선;홍승비;이훈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5-160
    • /
    • 2018
  •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모기 매개 질병이 확산되고 있는 범지구적 차원에서 주요 질병을 매개하는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유충의 생장이 여러 가지 온도 조건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흰줄숲모기 유충 120개체를 채집하여 120개의 $20m{\ell}$ 유리용기(vial)에 한 개체씩 넣어 12개의 수조($17{\times}24{\times}18cm^3$)에 유리용기를 10개씩 분리하고, 3반복수의 수조를 4가지 온도($17^{\circ}C$, $21^{\circ}C$, $24^{\circ}C$, $28^{\circ}C$)로 조절된 배양기에 배치시켰다. 각 수조는 1령 3개체, 2령 3개체, 3령 2개체, 4령 2개체로 구성하여 흰줄숲모기 유충의 온도에 따른 우화율 및 생장 단계 별 평균 사망률, 온도에 따른 생장 단계별 최저 사망률, 온도에 따른 평균 수중 생존기간에 대한 연구를 27일 동안 진행하였다. 그 결과, 온도에 따른 평균 우화율은 $21^{\circ}C$에서 $20.00{\pm}5.77%$, $17^{\circ}C$, $24^{\circ}C$, $28^{\circ}C$에서 $3.33{\pm}3.33%$로 나타났다. 생장 단계별 평균 사망률은 1령이 $19.24{\pm}3.65%$, 2령이 $16.48{\pm}3.25%$, 3령이 $23.54{\pm}5.06%$, 4령이 $40.74{\pm}7.08%$로 나타났다. 온도에 따른 생장 단계별 최저 사망률은 1령이 $17^{\circ}C$에서 $13.33{\pm}6.67%$, 2령이 $21^{\circ}C$에서 $7.41{\pm}7.41%$, 3령이 $24^{\circ}C$에서 $10.74{\pm}6.43%$, 4령이 $28^{\circ}C$에서 $20.37{\pm}5.46%$로 나타났다. 온도에 따른 평균 수중 생존기간은 $17^{\circ}C$$26.33{\pm}0.67$일, $21^{\circ}C$$23.33{\pm}1.33$일, $24^{\circ}C$$20.00{\pm}2.52$일, $28^{\circ}C$$11.67{\pm}1.20$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결과를 통해, 흰줄숲모기 유충의 생장은 $21^{\circ}C$가 가장 적절한 온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장 단계 중 4령에서 가장 많은 개체가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적인 온도 설정을 이용한 흰줄숲모기 유충에 대한 연구 결과는 향후 모기 방제방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딸기 성숙 과정중의 성분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nge in Chemical Composition of Strawberry during Maturing)

  • 이택수;지연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3호
    • /
    • pp.232-239
    • /
    • 1989
  • 비닐 하우스 재배의 가디안 품종과 노지 재배의 가디안 품종 및 보교조생품종을 시료로 하여 낙화 후 34일간 재배시킨 딸기 성숙과정 중의 성분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낙화 후 10일에 $4.13{\sim}4.28$이었던 것이 34일에 $3.40{\sim}3.49$로 감소하였으며, 총산은 26일까지 증가를 보였으나 이후 감소하였다. Vitamin C는 낙화 후 14일까지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이후 경시적으로 증가하여 34일에는 $15.83{\sim}24.90mg%$로 나타났다. 환원당은 낙화 후 26일까지는 증가하였으나, 이후는 감소하였고 총당은 경시적으로 증가하여 34일에는 $5.07{\sim}5.65%$로 나타났다. 유리당으로는 xylose, glucose, fructose가 검출되었다. Glucose, fructose는 경시적으로 증가하였고 이들 함량은 비슷하였다. 무기질은 K가 $3,300{\sim}9,000ppm$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Mg, Na의 순이었으며 Mn, Zn, Cu는 미량으로 나타났다. 딸기 중 methyl alcohol은 $6.00{\sim}21.60mg%$, ethyl alcohol $6.00{\sim}24.40mg%$의 범위로 존재하였다.

  • PDF

오디(Morus alba) 와인의 최적 발효조건 및 발효 특성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lberry (Morus alba) Wine)

  • 김용석;정도영;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3-69
    • /
    • 2008
  • 오디 와인의 제조를 위한 최적 발효 조건을 선정하였으며,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 및 anthocyanin 색소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오디 원료의 일반 성분은 수분 83.75%, 조단백질 1.95%, 조지방 0.22%, 회분 0.97%이었으며, pH 4.56, 적정산도 0.50%, 가용성 고형분 13.0 $^{\circ}Brix$, 색도는 명도(L) 8.96, 적색도(a) 6.55, 황색도(b) 4.96으로 나타났다. 주요 유리당으로 fructose와 glucose가 검출되었으며, 주요 유기산으로 citric, malic, succinic acid가 검출되었다. 시험에 사용한 4종 효모 모두 오디 과즙에서 정상적인 알코올 발효를 하였으며, Saccharomyces cerevisiae KCCM 12224로 발효한 오디 와인의 에탄올 생성량과 적색도가 각각 11.0%와 3.60로서 가장 높았다. 가용성 고형분 24 $^{\circ}Brix$$26^{\circ}C$에서 발효시 에탄올 생성량, 적정산도 및 적색도 등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냈다. 오디와인의 발효 초기 주요 유리당은 sucrose, fructose 및 glucose 이었으며, 발효기간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다. 유기산 중 citric acid의 함량은 발효 기간 중 비슷하게 유지되었고, malic acid는 감소하였으며, lactic acid와 succinic acid는 증가하였다. 오디 와인의 주요 anthocyanin 색소는 cyanidin-3-glucoside(C-3-G)와 cyanidin-3-rutinoside(C-3-R)가 검출되었으며, C-3-G의 함량은 발효 초기 195.95mg%에서 발효 2일째 15.37 mg%로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C-3-R은 발효 기간중 점차 감소하여 발효 10일째 45.53 mg%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오디 와인 제조를 위하여 오디 마쇄액에 $K_2S_2O_5$ 200 ppm을 처리하고, 설탕으로 24 $^{\circ}brix$로 보당한 후 S. cerevisiae KCCM 12224 배양액 3%(v/v)를 접종하여 $26^{\circ}C$에서 8일 동안 발효하는 것이 최적 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적 중성지질 축적 HepG2세포에 미치는 황련해독탕의 약리적 효과 (Pharmacological Effect of Hawangyeonhaedoktang on Experimental Triglyceride Accumulated HepG2 Cells)

  • 차재영;김대진;김석환;김영길;조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86-590
    • /
    • 2003
  • 사람 간 배양세포 유래 HePG2 세포에 영양성분을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중성지질을 축적시킨 상태에서 한방 황련해독탕(HT)의 약리적 효과를 검토하였다. 간세포는 1 mM oleate, 0.2% BSA, glucose 4.5 mg/mL 및 HT 무첨가(대조구) 또는 첨가한(0.5 mg/mL 및 5.0 mg/mL) DME배지에서 6시간 및 24시간 배양하였으며(실험 I), 이때 황련해독탕을 첨가한 배양액에는 [$^{14}$ C]-oleate (0.5 $\mu$Ci/mL medium)를 동시에 첨가하여 중성지질 획분에의 동위원소 추적실험을 하였다. 또한, 간세포에 2 mM oleate, 0.5% BSA, glucose 4.2mg/mL 및 HT 무첨가(대조구) 또는 첨가한(0.5 mg/mL 및 5.0 mg/mL) DME배지에서 6, 24및 48시간 배양(실험 II) 또는 1 및 3시간 배양(실험 III)하였다. 실험 I에서 세포내 중성지질 농도는 HT첨가 6 및 24시간 배양에서 약물농도첨가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때 HT첨가시 [$^{14}$ C]-oleate 동위원소는 세포내 중성지질 획분의 추적량과 세포외 분비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실험 I조건에 비해 고농도의 영양성분을 첨가시킨 실험 II 및 III 조건에서 세포내 중성지질 축적이 확인되었으며, 이 때 HT 첨가 24 및 48시간 배양에서는 세포내 중성지질 축적이 현저히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실험에 사용된 한방 황련해독탕은 사람 간배 양 HePG2 세포내 중성 지질 합성을 저하시켜 중성지질 축적을 억제시킴으로써 지방간 개선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소목으로부터 분리된 Brazilin이 Streptococcus mutans ATCC 25175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Brazilin from Caesalpinia sappan L. on the Growth of Streptococcus mutans ATCC 25175)

  • 권현정;한만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9-215
    • /
    • 2012
  • 본 연구는 소목(C. sappan L.)으로부터 분리된 Brazilin이 S. mutans의 생장 및 배양 환경 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ethanol에 의해 분리된 소목의 수율은 총 4.8%로 나타났으며, 여러 분획물 가운데 brazilin이 포함된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에서 3.94%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다. 2. 소목으로부터 분리된 brazilin의 S. mutans 생장에 대한 효과는 대조군이 24시간에서 0.816으로 최대 생장률을 보였으나, brazilin (0.3 mg/ml, 1 mg/ml, 3 mg/ml)을 투여한 배지는 32시간 만에 최대생장을 보였다. 3. S. mutans를 16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 내 pH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은 5.25이었으며, brazilin (0.3 mg/ml, 1mg/ml, 3 mg/ml)을 투여한 배지는 각각 pH 7.00, pH 7.01, pH 6.98로 유지하여 산 생성을 억제하였다. 4. S. mutans를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 내 탄수화물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보다 소목의 brazilin이 투여된 배지의 탄수화물의 소모량이 적었다. 5. S. mutans를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 내 단백질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최대 생장량을 보인 24 시간에서 대조군은 2.46 mg/ml 이었으며, 소목의 brazilin이 투여된 배지는 2.54 mg/ml 이었다. 6. S. mutans의 다당류 생성에 미치는 효과는 대조군의 경우 배양 8 시간에 300 mg/100 ml을 생성하였으나, 소목의 brazilin이 투여된 배지에서는 200 mg/100 ml을 생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소목의 EtOAc 분획에 존재하는 brazilin은 배지 내 S. mutans 균주의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향후 구강 내 우식원성 세균의 억제물질로 활용을 제시한다.

Aquathermolysis 반응에 의한 감압잔사유의 개질 (Refining of Vacuum Residues by Aquathermolysis Reaction)

  • 고진영;박동호;박승규
    • 공업화학
    • /
    • 제28권4호
    • /
    • pp.467-47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aquathermolysis 반응을 이용하여 감압잔사유(VR)의 개질 반응을 실시하였다. 감압잔사유는 30 bar, $300^{\circ}C$ 이상에서 24 h 동안 수증기(steam)와 반응하면, 구성성분 중에서 레진류와 아스팔텐류가 감소하고, 포화탄화수소류(saturates)나 방향족탄화수소류(aromatics)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수증기(steam)량이 감압잔사유와 동일 중량부 이상으로 과량 사용 시 더 확연하였다. $300^{\circ}C$, 30 bar 이상에서 48 h 반응하는 경우 VR 조성물은 초기상태(S/A/R/A = 7.3%/43.7%/25.6%/23.5%)에서 최종상태(S/A/R/A = 6.8%/57%/12.2%/24.0%)로 레진류의 함량이 전체에서 13% 정도 감소하고 방향족화합물들은 13% 정도 증가하였다. 이때 점도는 880,000 cp에서 290,000 cp로 68% 정도 감소하였다. 수소를 제공하기 쉬운 데칼린(decalin)을 10% 첨가하는 경우 24 h에 점도가 68% 정도 감소하였고, VR 조성물은 초기상태(S/A/R/A = 7.3%/43.7%/25.6%/23.5%)에서 최종상태(S/A/R/A = 4.5%/63.5%/12.5%/20.0%)로 레진류 및 아스팔텐의 함량이 49%에서 17%가 감소하였고, 방향족 화합물의 함량이 63.5%로 극대화되었다. Aquathermolysis 반응으로 형성된 기체층을 포집하여 GC-MS spectroscopy로 분석한 결과 에틸벤젠, 옥탄, 디메틸벤젠 등 다양한 탄화수소 화합물들이 검출됨을 확인하였다.

참메기, Silurus asotus의 수온과 광주기 변화에 따른 산소 소비량 (Oxygen Consumption of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on the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and Photoperiods)

  • 조재윤;김유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6-61
    • /
    • 1999
  • 참메기, Silurus asotus를 대상으로 수온 ($15^{\circ}C,\;20^{\circ}C,\;25^{\circ}C$$30^{\circ}C$)과 광주기 (24L:0D, 12L:12D 및 0L:24D)에 따른 산소 소비량의 변화를 연속적인 컴퓨터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평균 무게 280g의 참메기의 산소 소비량은 수온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15^{\circ}C$에서 $35.2\~96.4mg\;O_2/kg$ fish/hr, $20^{\circ}C$에서$78.6\~127.9mg\;O_2/kg$ fish/hr, $25^{\circ}C$에서$120.1\~231.7mg\;O_2/kg$ fish/hr, $30^{\circ}C$에서 $197.5\~352.3mg\;O_2/kg$ fish/hr으로 나타났다(p<0.05). 광주기에 따른 산소 소비량은 암기 조건에서 보다 명기 조건에서 산소소비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24L:0D와 12L:12D와 비교하여 0L:24D에서 평균 산소 소비량이 낮게 나타났다(p<0.05). 산소 소비량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수온이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12L:12D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새벽녁과 저녁 무렵에 산소 소비량의 급격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특히, 12L:12D의 조건에 두었을 때 명기와 암기에 대한 뚜렷한 반응을 보였다.

  • PDF

합천호의 어류상과 어류 군집구조 (Ichthyofauna and Structure of the Fish Community in Hapcheon Lake on the Hwang River)

  • 이충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1-141
    • /
    • 2005
  • 본 연구는 2004년 5월부터 2005년 2월까지 합천호를 중심으로 댐 내부에서 4곳, 댐 상 하류 하천에서 각각 1곳씩 모두 6개 지점을 중심으로 어류상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두 12과 31속 36종으로 확인되었다. 본 조사 기간동안에 출현한 어류 가운데 우점종으로는 H. eigenmanni로 전체 어류의 28.4%의 출현률을 나타내었고, 아우점종으로는 H. labeo가 24.1%였다. 또한 출현한 어류 중 생산량이 가장 높은 어종은 H. labeo로서 전체의 36.5%의 비중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는 H. eigenmanni 22.3%, C. carpio 7.5%, H. nipponensis 6.9%의 순이었다. 합천댐 일대에서 종별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분류군은 Cyprinidae 어류가 24종으로 전체의 66.7%였고, 그 다음으로는 Cobitidae와 Centropomidae가 각각 2종씩이고, 나머지는 1종씩이었다. 본 조사 구역에서 출현하는 우리나라의 특산어종은 모두 10종, A. koreensis, C. splendidus, S. gracilis majimae, S. chankaensis tsuchigae, M. yaluensis, H. eigenmanni, N. multifasciata, L. mediadiposalis, C. herzi, O. platycephala 등이며, 이 중 H. eigenmanni와 C. herzi는 출현 개체수가 많았으나, 그 외의 종은 비교적 희소하였다. 본 합천댐에서 출현하는 어류 중에서 외래어종은 C. carpio (Israeli), C. cuvieri, L. macrochirus이었고, 우리나라의 다른 하천에서 유입된 P. fulviraco가 확인되었다.

SYNTHESIS OF THE GINSENG GLYCOSIDES AND THEIR ANALOGS

  • Elyakov G. B.;Atopkina L. N.;Uvarova N. I.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93년도 학술대회지
    • /
    • pp.74-83
    • /
    • 1993
  • In an attempt toward the synthesis of the difficulty accessible ginseng saponins the four dammarane glycosides identical to the natural $ginsenosides-Rh_2,$ - F2, compound K and chikusetsusaponin - LT8 have been prepared from betulafolienetriol(=dammar-24-ene-$3{\alpha},12{\beta}\;20(S)-triol).\;3-O-{\beta}-D-Glucopyranoside$ of 20(S) - protopanaxadiol $(=ginsenoside-Rh_2)$ have been obtained by the regio - and stereoselective glycosylation of the $12-O-acetyldammar-24-ene-3{\beta},\;12{\beta},$ 20(S)-triol. The 12-ketoderivative of 20(S)-protopanaxadiol has been used as aglycon in synthesis of chikusetsusaponin - LT8. Attempted regio - and stereoselective glycosylation of the less reactive tertiary C - 20 - hydroxyl group in order to synthesize the $20-O-{\beta}-D-glucopyranoside$ of 20(S)-protopanaxadiol(=compound K) using 3, 12 - di - O - acetyldammar - 24 - ene - $3{\beta},12{\beta},20(S)$-trial as aglycon was unsuccessful. Glycosylation of 3, 12 - diketone of betulafolienetriol followed by $NaBH_4$ reduction yielded the $20-O-{\beta}-D-glucopyranoside\;of\;dammar-24-ene-3{\beta},12{\alpha},$ 20(S)-triol, the $12{\alpha}-epimer$ of 20(S) - protopanaxadiol. Moreover, a number of semisynthetic ocotillol - type glucosides, analogs of natural pseudoginsenosides, have been prepar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