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C_4%24%24A_3%24S

검색결과 1,854건 처리시간 0.042초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 OF THE Gliricidia sepium PROVENANCES IN DRYLAND FARMING AREA IN BALI, INDONESIA

  • Sukanten, I.W.;Uchida, S.;Nitis, I.M.;Lana, K.;Putra,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8권3호
    • /
    • pp.231-239
    • /
    • 1995
  • Alley cropping field experiment has been carried out for 24 months in lime-stone based dryland farming area of southern Bali to study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 of 16 provenances of Gliricidia sepium The design was a completely randomized block: arrangement, consisted of 16 treatments (G. sepium provenances) and 6 blocks as replications with 12 plants per provenance. Of the 16 gliricidia provenances, six were from Mexico (M), four were from Guatemala (G), one each was from Colombia (C), Indonesia (I), Nicaragua (N), Panama (P), Costa Rica (R) and Venezuela (V). After 12 months establishment, the gliricidia were lopped at 150 cm height regularly 4 times a year, twice during the 4 months wet season and twice during the 8 months dry season. The highest ash, mineral, total soluble phenol, prussic acid and digestibility were in V1; the highest crude fiber component was in M39; the highest gross energy was in P13, while the highest organic matter was in M35. Based on the highest nutritive constituents, V1, C24 and G14 were ranked first, second and third respectively, while based on the lowest non-nutritive constituents C24, V1 and N14 were ranked first, second and third, respectively. The importance of such provenances as source of nutrients for the ruminant during the dry season were discussed.

Relationships betwee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s and Meat Quality Traits of Duroc Breeding Stocks in Korea

  • Choi, J.S.;Jin, S.K.;Jeong, Y.H.;Jung, Y.C.;Jung, J.H.;Shim, K.S.;Choi, Y.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9호
    • /
    • pp.1229-1238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of five intragenic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markers (protein kinase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gamma}3$ subunit [PRKAG3], fatty acid synthase [FASN], calpastatin [CAST], high mobility group AT-hook 1 [HMGA1], and melanocortin-4 receptor [MC4R]) and meat quality traits of Duroc breeding stocks in Korea. A total of 200 purebred Duroc gilts from 8 sires and 40 dams at 4 pig breeding farms from 2010 to 2011 reaching market weight (110 kg) were slaughtered and their carcasses were chilled overnight. Longissimus dorsi muscles were removed from the carcass after 24 h of slaughter and used to determine pork properties including carcass weight, backfat thickness, moisture, intramuscular fat, $pH_{24h}$, shear force, redness, texture,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PRKAG3, FASN, CAST, and MC4R gene SNP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meat quality traits (p<0.003). The meats of PRKAG3 (A 0.024/G 0.976) AA genotype had higher pH, redness and texture than those from PRKAG3 GG genotype. Meats of FASN (C 0.301/A 0.699) AA genotype had higher backfat thickness, texture, stearic acid, oleic acid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than FASN CC genotype. While the carcasses of CAST (A 0.373/G 0.627) AA genotype had thicker backfat, and lower shear force, palmitoleic acid and oleic acid content, they had higher stearic acid content than those from the CAST GG genotype. The MC4R (G 0.208/A 0.792) AA genotype were involved in increasing backfat thickness, carcass weight, moisture and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and decreasing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 Duroc mea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ive SNP markers tested can be a help to select Duroc breed to improve carcass and meat quality properties in crossbred pigs.

서해산 동죽 (Mactra veneriformis)의 토사 배출 및 미생물 정화 조건 (Sand Elimination and Microbial Depuration in Surf clam, Mactra veneriformis, Harvested from Western Coast of Korea)

  • 송기철;목종수;강창수;장동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84-189
    • /
    • 2001
  • 본 연구는 서해산 동죽의 토사 배출 및 미생물 정화의 최전 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토사 배출에 대한 수질의 영향, 그리긴 동죽에 대한 폐사율, 토사 잔존유무 및 세균학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동죽의 토사 배출을 위한 적절한 수질조건은 수온 $23^{\circ}C$, 염분농도 $32.9\~35.0\%_{\circ}$, $pH\;7.9\~9.0$이었다. $23^{\circ}C$로 조절한 자연해수 (염분농도 $32.9\%_{\circ}$, pH 7.9)를 사용하여 토사배출 시험을 실시한 결과, 동죽은 마리당 평균 약 210mg의 토사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24시간 후에 $94\%$를 배출하였다. 동죽은 공급 해수의 유수량과 동죽에 대한 해수 비율이 높을수록 양호한 생리상태 및 토사배출 성상을 보였으며, 최적 토사배출조건은 동죽에 대한 수조내 해수 비율을 4,000 L/$m^3$ 이상으로 하여 최저 150 L/minute/$m^3$의 유수량으로 36시간 이상 공급해 주는 것이었다. 동죽의 미생물 정화는 토사 배출과 마찬가지로 유수량이 많을수록 동죽에 대한 해수 비율이 높을수록 효과적이었으며, 위생지표세균인 대장균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가장 효율적인 미생물 정화 조건은 동죽에 대한 해수 비율이 4,000 L/$m^3$ 이상일 때 최저 150 L/minute/$m^3$의 유수량으로 24시간 이상 공급해주는 것이었다.

  • PDF

소염(消炎) 약침(藥鍼)이 대장염 유발 흰쥐의 c-Fos 단백 발현에 미치는 효과 (Pharmacopuncture of Anti-inflammatory Herbal Compounds Suppresses Colon Inflammation-induced c-Fos like Protein Expression in Rats)

  • 송정방;손인철;안성훈;김재효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7-62
    • /
    • 2010
  • Objectives: Colitis is an inflammatory bowel disease characterized by colonic mucosal inflammation and chronic relapsing events repres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ffects of pharmacopuncture of anti-inflammatory herbal compound (AiC) applied to the different acupoints in the acute colitis induced by trinitrobenzenesulphonic acid (TNBS) intracolonic injection in rats. Methods: In Male Sprague - Dawley rats, weighing 250~400g, TNBS (5 mg/kg) was infused intrarectally through a silicon rubber catheter into the anus under isoflurane anaesthesia. Acupoints of LI4 (Hapkok), ST25 (Cheonchu), ST36 (Joksamni), and BL25 (Daejangsu) were intramuscularly injected by AiC, respectively (injection volume & times: 0.2 ml / acupoint, twice times on the 2nd & 3rd day). Expressions of cFos protein in the periaqueductal gray (PAG), locus coeruleus (LC), nucleus of solitary tract (Sol), and the 6th lumbar spinal cord (L6 s.c.) were observed at 24 hr after TNBS induced colitis by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The expression of c-Fos protein in the L6 s.c., Sol, LC and PAG increased 24 hr after TNBS injection into colorectum as compared to normal and 50% ethanol treated group. AiC to LI4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Fos protein in Sol and PAG but not L6 s.c. and LC. AiC to ST36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the c-Fos expression in L6 s.c., Sol and PAG. AiC to ST25 only showed the effects in L6 s.c. and PAG. AiC to BL25 inhibited significantly the expression of c-Fos protein all over the area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endogenous opioids are involved, intrathecal injection of naltrexone (30ug/30ul) was applied before the 2nd pharmacopuncture treatment 24 hr after TNBS-induced colitis in rat. Naltrexone reversed the inhibition of c-Fos protein expression in the spinal cord and brainstem. Conclusions: These data show that pharmacopuncture of Aic potently inhibits signal pathways ascending hypersensitivity of colorectum after TNBS induced colitis and depends on the endogenous opioids according to acupoints.

소변내 방사능배설량비를 이용한 $^{99m}Tc$-DTPA 폐청소율에 관한 연구 (Lung Clearance of Inhaled $^{99m}Tc$-DTPA by Urine Excretion Ratio)

  • 서지영;박계영;정만표;유철규;이동수;김영환;한성구;정준기;이명철;심영수;김건열;한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4호
    • /
    • pp.357-366
    • /
    • 1993
  • 연구배경 : $^{99m}Tc$-DTPA의 폐청소율은 폐포상피세포의 손상도를 반영하고 일부 질환에서는 기존의 폐기능검사보다 더 예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흡입된 $^{99m}Tc$-DTPA의 폐청소율은 $^{99m}Tc$-DTPA가 침착되는 부위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아 체외에서 감마카메라로 폐의 방사능 소실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섬모운동에 의한 청소속도와 폐포상피를 통한 흡수속도를 구분 할 수 없어 전체 폐의 방사능 소실속도가 폐포상피세포의 투과성만을 반영한다고 할 수 없고 또 장시간동안 감마카메라로 촬영을 해야하는 등 방법이 복잡하다. 흡입된 $^{99m}Tc$-DTPA는 체내에서 24시간 이내에 모두 소변으로 배설되고, 첫 2시간동안 소변으로 배설되는 $^{99m}Tc$-DTPA량은 폐포상피세포를 통한 흡수속도에 의해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어, 본 연구자들은 2시간과 24시간 소변내의 방사능배설량의 비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폐청소율을 구하는 방법의 유용성 여부를 관찰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비흡연 정상인과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환자들을 대상으로 폐기능 검사를 시행하였고 $^{99m}Tc$-DTPA를 vaporizer를 통하여 5분간 흡입후 앙와위에서 폐의 후부상을 감마카메라로 1분단위영상방식으로 30분간 컴퓨터에 수록하여 폐방사능 반감기($T_{1/2}$)를 구하였으며, 또 흡입후 2시간과 24시간 소변을 모아 2시간대 24시간 소변내 방사능배설량비를 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비흡연 정상인에서 $T_{1/2}$와 2시간대 24시간 소변내 방사능배설량비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역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r=-0.77, p<0.05). 미만성 폐질환 환자에서 폐방사능 반감기와 2시간대 24시간 소변내 방사능배설량비간에도 역시 의미있는 역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r=-0.63, p<0.05). 2)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환자에서 $T_{1/2}$$38.65{\pm}11.63$분으로 비흡연 정상인의 $55.53{\pm}11.15$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으며, 2시간대 24시간 소변내 방사능배설량비 역시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환자에서 $52.15{\pm}10.07%$로 비흡연 정상인의 $40.43{\pm}5.53%$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 3) $T_{1/2}$나 2시간대 24시간 소변내 방사능배설량비는 환자군에서 폐확산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결론 : 이상의 결과로 $^{99m}Tc$-DTPA의 2시간대 24시간 소변내 방사능배설량비는 폐포상피세포의 투과성을 잘 반영하여 폐포상피세포의 손상정도를 반영하는 간편한 bedside 검사로 생각되며 특히, 폐포상피세포 투과성이 증가되어 있는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환자에서 예민한 추적경사로 폐확산능과 상호보완적으호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Dapagliflozin이 혈당과 심혈관계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및 안전성 (Dapagliflozin's Effects on Glycemia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Incidence of Adverse Event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 이혜진;금민정;김재송;김수현;손은선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14-220
    • /
    • 2017
  • Background: Dapagliflozin is an oral selective inhibitor of sodium-glucose cotransporter 2(SGLT2), the kidney transporter chiefly responsible for glucose reabsorption from the glomerular filtrate. Because this mechanism does not require the action of insulin, dapagliflozin rarely causes hypoglycemia. Dapagliflozin may affect blood glucose control as well as blood pressure and the body weight which are one of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However, dehydration and ketoacidosis are reported as the side effects of the dapagliflozin treatment and the safety issues have been occurr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adverse events of dapagliflozin in Korean patients. Methods: From December 2014 to August 2015,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type 2 diabetes patients who were prescribed dapagliflozin at Severance Hospital. Results: A total of 202 Korean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in the reduction of blood gluco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Dapagliflozin decreased 0.74% of HbA1c after 24 weeks. Significantly more participants achieved the target HbA1c level(HbA1c<7%) after 24 weeks(n=42, 35.3%) than before taking dapagliflozin(n=21, 17.6%). Blood pressure decreased 5.7 mmHg systolic blood pressure(SBP), 1.9 mmHg diastolic blood pressure(DBP) after 24 weeks. More than one quarter of participants(n=35, 29.4%) experienced weight loss. Most common adverse event was genitourinary symptoms.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dapagliflozin in improving glycemic control, blood pressure control, and weight lo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elderly and female patients, who have higher incidence of adverse events, should use dapagliflozin cautiously.

비닐하우스 재배농민에 대한 'house병'의 실태 조사 (A Survey on the 'House Diseases' for Vinyl House Cultivation Farmers)

  • 전제균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8권1호
    • /
    • pp.21-32
    • /
    • 1996
  • 비닐하우스 재배농민들의 건강문제와 비닐하우스 내의 환경 상태를 파악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1995년 8월 10일부터 9월 10일까지 1개월 동안 김천시 인근의 5개지역에서 농사를 짓는 성인 남녀 가운데 무작위로 추출된, 비닐하우스 재배농민 209명과 일반농민 161명을 대상으로 직접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닐하우스 농민의 농사경력 평균 17.29, 15.08년이 일반농민의 31.24, 25.58년에 비해 짧았으며(P<0.05), 노동시간은 거의 비슷하였다. 월간 노동일수를 보면 비닐하우스 재배농민 남녀 각각의 평균이 28일, 27.52일로 일반농민 평균 26.57일, 25.95일에 비해 더 많았다. 2. 비닐하우스 재배농민의 농부증 신체 증상 호소율은 요통, 어깨결림, 수족감각 둔화, 어지러움 등으로 나타났으며, 일반 농민들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3. 지난 1년동안 농약살포 회수는 비닐하우스 재배농민이 평균 23.79회로서 일반농민의 8.36회 보다 약 3배 많았으며(P<0.05), 농약중독 경험율도 비닐하우스 재배농민이 $9.09\%$로 일반 농민 $1.24\%$보다 높게 나타났다(P<0.01). 4. 비닐하우스 내부 및 외부의 온도, 습도 그리고 불쾌지수를 보면 비닐하우스 내부 온도는 평균 $34.6{\pm}5.05^{\circ}C$로서 외부의 $22.9{\pm}4.3^{\circ}C$에 비해 $11.7^{\circ}C$이상 차이가 있었으며, 습도의 경우 비닐하우스 내부가 $65.9\%$로서 외부의 $76.5\%$보다 $10.6\%$ point 낮게 나타났다. 불쾌지수는 비닐하우스 내부 평균이 $83{\pm}4.61$, 외부 평균이 $70.64{\pm}5.61$로서 내부가 높게 나타났다. 5. 지난 1년간 농부중의 신체증상을 치료한 의료기관을 보면 비닐하우스 재배농민은 물리치료 $43.06\%$, 약국 $24.40\%$, 병원 $18.66\%$, 한의원 $5.74\%$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반농민은 약국 $34.16\%$, 물리치료 $27.33\%$, 병원 $18.63\%$, 민간요법 $11.18\%$순으로 나타났다(P<0.01).

  • PDF

자일리톨 섭취에 따른 Streptococcus mutans의 글루칸 생성관련 유전자 발현 억제효과 (INHIBITION OF GLUCAN SYNTHESIS RELATED GENE EXPRESSION OF STREPTOCOCCUS MUTANS BY XYLITOL TREATMENT)

  • 김지혜;이영은;안상헌;최연희;남순현;송근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31-53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자일리톨의 섭취가 Streptococcus mutans의 대표적인 독성인자 중 하나인 글루칸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글루칸 합성효소인 glucosyltansferase의 mRNA 발현을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해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4개월 동안 자일리톨껌을 섭취한 군에서 타액 내 Streptococcus mutans의 colony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2. 비수용성 글루칸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gtfB, gtfC의 발현은 자일리톨껌을 섭취한 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 하게 감소하였다(p<0.05). 특히 gtfB의 발현은 12개월과 24개월째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 gtfC의 발현은 24개월째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3. 수용성 글루칸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gtfD의 발현 역시 자일리톨껌을 섭취한 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또한 gtfD의 발현은 12개월과 24개월째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자일리톨의 섭취는 구강 내 Streptococcus mutans의 글루칸 합성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Streptococcus mutans의 수적인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응집성 Saccharomyces cerevisiae CA-1의 분리와 에탄올 발효 (Screening and ethanol Fermentation of Flecculent Saccharomyces cerevisiae CA-1)

  • 이용범;심상국;한면수;정동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23-729
    • /
    • 1995
  • A flocculating sugar tolerant yeast strain was isolated from fermenting Takju. This strain was identified as Saccharomyces cerevisiae CA-1 according to the Lodder's yeast taxonomic studies. The isolated yeast could grow in 50% glucose and in 7% ethanol in the YPD medium. It's optimal growth temperature, initial pH, shaking rate and initial glucose concentration for ethanol fermentation showed 35$\circ$C, 4.5, 150 rpm, 15%, respectively. Ethanol concentration was 63 g/l in 20% glucose after 24 hours, fermentation yield was 0.49 g-ethanol/g-glucose in 10% glucose after 24 hours and ethanol productivity was 3.09 g/l$\cdot $h in 10% glucose after 12 hours in batch fermentation. Repeated batch fermentation was possible for over 50 days and ethanol yield, ethanol productivity and substrate conversion rate were 0.39-0.50 g/g, 1.63-2.08 g/l$\cdot $h and more than 99%, respectively during these periods.

  • PDF

동백가는나방(Caloptilia theivora)의 생활사, 발생소장 및 천적의 종류 (Life History, Seasonal Occurrence and Natural Enemies of Caloptilia theivora (Lepidoptera: Gracillariidae) at Tea Tree Plantation)

  • 이승찬;김상수;김도익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9-233
    • /
    • 1995
  • 우리나라 주요 녹차재배지에 발생하는 동백가는나방(차굴나방 전가칭. Caloptilia theivora (Walshingham))의 생활사와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백가는나방은 야외 사육상 조건에서 년 6세대 경과하였는데, 난에서 우화까지의 평균기간은 봄.가을에는 32.1~38.6일, 여름에는 24.8~32.7일이었으며, 성충수명은 봄.가을에 8.4~14.5일, 여름에는 6.3~8.6일이었고 산란수는 55~71개였다. 유충의 연중 발생소장을 보면, 1992~1993년에는 5월 중순에 발생 peak를 보이기 시작하여 3~4회의 peak가 나타났으나 1994년에는 발생량이 감소하여 초기에는 뚜렷한 발생 peak가 나타나지 않다가 9월 하순~10월 초순에 발생량이 가장 많았으며, 잎에서 용태로 월동하였다. 동백가는나방의 유증기생봉으로는 Stenomesius japonicus (Ashmead). Sympiesis ringoniellae Kamijo, S. dolichogaster Ashmead와 Elasmus sp.등 4종이 채집 동정되었으며, S. dolichogaster가 우점종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