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C_4%24%24A_3%24S

검색결과 1,852건 처리시간 0.041초

캔 및 병 오렌지쥬스의 저장중 중금속과 비타민 C 함량의 변화 (Changes in Heavy Metals and Vitamin C Content during the Storage of Canned and Bottled Orange Juices)

  • 이남경;윤재영;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42-747
    • /
    • 1995
  •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캔 및 병 오렌지쥬스를 20, 30, 40, $50^{\circ}C$에서 24주 동안 저장하면서 4주 간격으로 개봉하여 중금속(Sn, Fe, Pb) 함량, 비타민 C 함량, 갈색도와 pH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병쥬스에서는 Sn, Fe, Pb 모두 저장 중 그 함량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캔쥬스는 중금속 용출에 대한 온도의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즉, Sn농도는 16주 후 저장 전의 $2.7{\sim}13.1$배로 증가하였고, Fe농도는 24주 후 $4.3{\sim}5.2$배로 증가하였으며 Pb농도는 24주 후 $1.1{\sim}2.9$배로 증가하였다. 캔쥬스의 총 비타민 C 잔존율은 24주 후 $20^{\circ}C$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30{\sim}50^{\circ}C$에서는 $13{\sim}76%$로 감소하였고, 병쥬스의 경우는 $4{\sim}80%$로 감소하였다. 캔쥬스의 갈색도는 24주 후 $40^{\circ}C$ 이하에서는 조금 증가하였으나 $50^{\circ}C$에서는 완전히 변색되었으며 병쥬스의 경우는 모든 온도에서 캔쥬스보다 좀 더 변색되었다. 오렌지쥬스의 pH는 $40^{\circ}C$ 이하에서 포장용기에 상관없이 저장 중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50^{\circ}C$에서는 24주 후 캔용기의 팽창과 함께 pH의 급격한 증가를 나타냈다.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캔쥬스의 품질유지를 위한 유통기한을 재검토해야 될 것이다.

  • PDF

1-tert-butoxycarbonyl-4-[N-(tert-butoxycarbonyl)-N-(ethoxycarbonylmethyl)amino]-3-phenylsulfonylpyrrolidind의 결정구조해석 (Crystal structure of 1-tert-butoxycarbonyl-4-[N-(tert-butoxycarbonyl)-N-(ethoxycarbonylmethyl)amino]-3-phenylsulfonylpyrrolidind)

  • 조소라;김문집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7-35
    • /
    • 1995
  • 1-tert-butoxycarbonyl-4-[N-(tert-butoxycarbonyl)-N-(ethoxycarbonylmethyl)amino]-3-phenylsulfonylpyrrolidind [C24H36O8N2S;이하 BEP]의 분자 및 결정구조를 X-선 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이 결정의 분자는 C24H36O8N2S, 삼사정계이고 공간군은 P1이다. 단위세포 길이는 a=11.363(8)Å, b=11.589(6)Å, c=11.013(10)Å,α=95.32(6)°,β=98.64(7)°,γ=79.57(5)°,V=1406.8(18)Å3, t=293K, Z=2이다. 구조해석에 사용한 X-선은 CuKα선(λ=1.5418Å)을 사용하였다. 분자구조는 직접법으로 풀었으며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다. 최종 신뢰도 R값은 F≥4 σ(F)인 3621개의 회절반점에 대하여 R=9.78% 이었다.

  • PDF

Idiopathic infantile hypercalcemia with severe nephrocalcinosis, associated with CYP24A1 mutations: a case report

  • Yoo, Jeesun;Kang, Hee Gyung;Ahn, Yo Ha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6권1호
    • /
    • pp.63-67
    • /
    • 2022
  • Nephrocalcinosis often occurs in infants and is caused by excessive calcium or vitamin D supplementation, neonatal primary hyperparathyroidism, and genetic disorders. Idiopathic infantile hypercalcemia (IIH), a rare cause of nephrocalcinosis, results from genetic defects in CYP24A1 or SLC34A1. Mutations in CYP24A1, which encodes 25-hydroxyvitamin D 24-hydroxylase, disrupt active vitamin D degradation. IIH clinically manifests as failure to thrive and hypercalcemia within the first year of life and usually remits spontaneously. Herein, we present a case of IIH wih CYP24A1 mutations. An 11-month-old girl visited our hospital with incidental hypercalcemia. She showed failure to thrive, and her oral intake had decreased over time since the age of 6 months. Her initial serum parathyroid hormone level was low, 25-OH vitamin D and 1,25(OH)2 vitamin D levels were normal, and renal ultrasonography showed bilateral nephrocalcinosis. Whole-exome sequencing revealed compound heterozygous variants in CYP24A1 (NM_000782.4:c.376C>T [p.Pro126Ser] and c.1310C>A [p.Pro437His]). Although her hypercalcemia and poor oral intake spontaneously resolved in approximately 8 months, we suggested that her nephrocalcinosis and renal function be regularly checked in consideration of potential asymptomatic renal damage. Hypercalcemia caused by IIH should be suspected in infants with severe nephrocalcinosis, especially when presenting with failure to thrive.

발효 온도-시간 조합이 배추김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Time on the Properties of Baechu Kimchi)

  • 강정화;강선희;안은숙;유맹자;정희종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0-42
    • /
    • 2004
  • 김치냉장고에서 배추김치에 가장 적합한 발효온도와 시간 및 저장온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발효와 저장 온도-시간 조합을 달리하여 16주 동안 저장하면서 배추김치의 품질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pH의 변화는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pH가 크게 감소하여 $20^{\circ}C$ 24시간 발효/$-1^{\circ}C$ 저장 조합과 $5^{\circ}C$ 6일 발효/$-1^{\circ}C$ 저장 조합의 경우 초기 1주 동안 pH가 크게 감소한 이후에는 아주 서서히 감소하였다. Hardness와 chewiness는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더 낮은 값을 보였는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특히 초기 4주 동안 크게 감소하였다. 관능적 특성에서 탄산미는 $20^{\circ}C$ 24시간 발효/$-1^{\circ}C$ 저장 조합에서는 4주. $5^{\circ}C$ 3일 발효 또는 6일 발효/$-1^{\circ}C$ 저장 조합에서는 8주 후가 가장 좋았다. 신맛은 $20^{\circ}C$ 24시간 발효/$-1^{\circ}C$ 저장 조합에서는 8주. $5^{\circ}C$ 3일 또는 6일 발효/$-1^{\circ}C$ 저장 조합에서는 12주후에 강한 신맛을 주었고 무발효/$-1^{\circ}C$ 저장 조합에서는 16주 후까지 신맛이 서서히 증가되었다. 따라서 총 기호도는 $20^{\circ}C$ 24시간 발효/$-1^{\circ}C$ 저장 조합에서는 4주. $5^{\circ}C$ 3일 또는 6일 발효/$-1^{\circ}C$ 저장 조합에서는 8주 후가 가장 좋았다. 총 균수는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높았고 $20^{\circ}C$ 24시간 발효/$-1^{\circ}C$ 저장 조합의 경우 5일 후에 $4.47{\times}10^8$으로 최고치를 나타낸 후에 16주 후에는 $1.51{\times}10^5$까지 감소하였다. 젖산균 수는 $5^{\circ}C$ 6일 발효/$-1^{\circ}C$ 저장 조합의 경우 Leuconostoc은 6일 후에 $1.05{\times}109$으로 Lactobacillus는 5일 후에 $1.35{\times}109$으로 최고치를 나타내 $20^{\circ}C$ 24시간 발효/$-1^{\circ}C$ 저장 조합의 경우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20^{\circ}C$ 24시간 발효/$-1^{\circ}C$ 저장 조합의 김치냉장고에서 배추김치는 4주가 최적 가식기간이었고, $5^{\circ}C$ 6일 발효/$-1^{\circ}C$ 저장 조합과 $5^{\circ}C$ 3일 발효/$-1^{\circ}C$ 저장 조합에서는 8주가 최적 가식기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Metal Anion Polymerization에 관한 연구 (제3보). The Temperature Effect on Polymolybdate Ions Equilibrium in 1 M $NaClO_4$Solution (Studies on Polymerization of Metal Anion (III). The Temperature Effect on Polymolybdate Ions Equilibrium in 1 M $NaCIO_4$ Solution)

  • 안상운;박의서
    • 대한화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45-153
    • /
    • 1973
  • 1M $NaCIO_4$용액에서 다중몰리브덴산염 음이온 평형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20~50$^{\circ}$C온도 범위 내에서 고찰해 보았다. 이 온도 범위에서 생성된 다중몰리브덴산염 음이온은 평형 온도에 관계없이 헵타몰리브덴산염($Mo_7O_{24}^{-6}$) 이온과 헵타몰리브덴산염의 양성자화된 꼴($H_LMo_7O_{24}^{(6-L)-}$) 이었다. 실렌의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한 헵타몰리브덴산염 형성에 대한 평형상수는 지적한 평형 온도에서 각각 다음과 같다. $8H^{+}+7MoO_4^{2-}=Mo_7O_{24}^{6-}+4H_2O$, $k_{7.8}=2.77{\times}10^{53}:20^{\circ}C= 9.29{\times}10^{51}:40^{\circ}C$,$k_{7.8}= 4.22{\times}10^{52}:30^{\circ}C = 9.29{\times}10^{51}:50^{\circ}C$ 위 반응에 대하여 반트호프 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엔탈피 변화는 31.50kcal/mole이었다. 프로톤화헵타몰리브덴산염 이온 형성에 대한 평형상수 계산법을 유도하여 프로톤화헵타몰리브덴산염 형성에 대한 평형상수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H + Mo_7O_{24}^{-6} = H_LMo_7O_{24}^{(6-L)-} : L = 1\;or\;2$, $k_1 = 2.31{\times}10^4=2.53{\times}10^4=2.76{\times}10^4= 3.10{\times}10^4$, $k_2 = 6.19{\times}10^7\;20^{\circ}C = 7.80{\times}10^7\;30^{\circ}C = 1.22{\times}10^8\;40^{\circ}C = 2.03{\times}10^8\;50^{\circ}C$ 다음 단계 반응에 대하여 반트호프 방정식에 의하여 계산한 엔탈피 변화는 다음과 같다. $H^{+}+Mo_7O_{24}^{6-}= HMo_7O_{24}^{5-}\;{\Delta}H^{\circ}=1.900 kcal/mole$, $2H^{+}+Mo_7O_{24}^{6-}=H_2Mo_7O_{24}^{4-}\;{\Delta}H^{\circ}=7.500kcal/mole$

  • PDF

YRp7 vector를 이용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amylase gene의 cloning I I.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발현 (Cloning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amylase gene using YRp7 as a vector II. Expression of cloned amylase gen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서정훈;김영호;전도연;배영석;홍순덕;이종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3-218
    • /
    • 1986
  • B. amyloliquefaciens의 $\alpha$-amylase 유전자가 S. cerevisiae 내에서 형질발현하는 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YRp7 plasmid에 B. amyloliquefaciens amylase유전자를 cloning하여 만든 pEA24를 형질전환시켰다. 먼저 YRp7 plasmid를 이용하여 형질전환 최적 조건을 검토하여 본 바, PH 7과 8사이, 반응온도 3$0^{\circ}C$에서 40%의 polyethylene glycol(MW 4,000)을 처리한 후 2 %의 agar를 함유한 재생배지에 중층도말 하였을 때 형질전환율이 가장 높았다. 형질전환주로부터 생성된 amylas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S. cerevisiae에서 약간의 amylase활성을 나타내어 최고 B. amyloliquefaciens의 2% 정도였고, 세포외효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들 형질전환 주가 가지고 있는 pEA24 plasmid의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YRp7보다 불안정하였으며, 추출한 DNA를 전기영동하여 그 band를 확인하였다.

  • PDF

강낭콩 미숙종자내 신규 Saringosteryl Glucoside의 동정 (Identification of Novel Saringosteryl Glucoside in Phaseolus vulgaris Seed)

  • 김성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4호
    • /
    • pp.441-444
    • /
    • 1994
  • 강낭콩(Phaseolus vulgaris L.) 미숙종자로부터 신규 phytosteryl glucoside를 순수분리하였다. 이 화합물은 positive FAB-MS에서 m/z 613에 $[M+Na]^{+}$를, 696에 $[M+Matrix]^{+}$의 강한 ion peak를 나타내었고, negative FABMS에서 m/z 589에 $[M-1]^{-}$의 강한 ion peak를 나타내어 그 분자량은 590으로 확인되었다. 400 MHz $^1H-NMR$ 분석 결과 이 화합물은 24-hydroxy-24-vinyl-cholesterol(saringosterol)과 ${\beta}-D-glucopyranose$가 연결되어 있는 saringosteryl glucoside임을 알 수 있었고, 이 화합물의 acetyl화 화합물의 400 MHz $^1H-NMR$의 분석을 통하여 이 화합물은 saringosterol의 C-3 수산기와 ${\beta}-D-glucopyranose$의 C-1'의 수산기가 탈수축합되어 있는 $3-O-{\beta}-D-glucopyranosyl-24-hydroxy-24-vinyl-cholesterol$(saringosteryul glucoside)로 구조결정되었다. 이 saringosteryl glucoside는 천연으로부터 처음 동정된 신규 화합물이며, 이 화합물의 aglycone인 saringosterol도 고등 식물에서는 처음으로 발견된 것이다.

  • PDF

개불의 지질에 관한 연구 -지질, 지방산 및 Sterol 조성에 관하여- (Studies on Lipids of Urechis unicintus -on the Composition of Lipids, Fatty acid and Sterol-)

  • 조용계;김경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55-259
    • /
    • 1983
  • 개불지질의 성상을 밝힐 목적으로 그 지방산조성 및 sterols 조성에 대하여 분석 검토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지질과 부검화물함량은 각각 $1.9\%,\;14.3\%$였으며, 요오드값은 111이었다. (2) 조지질의 조성은 인지질이 $39.8\%$, 유리 sterols이 $27.7\%$, triglyceride가 $21.4\%$였다. (3) 지방산조성은 $C_{20:4}$$19.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C_{16:0},\;C_{20:1},\;C_{18:1}$이 각기 $13.7\%,\;11.3\%,\;10.4\%$였으며 또 polyene산 monene 산 및 포화산으로 계산하면 각각 $39.7\%,\;31.9\%$$26.6\%$였다. (4) 5종의 sterols이 검출되었는데 cholesterol이 $57.6\%$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brassicasterol이 $20.3\%$, 24-methylene cholesterol of $17.7\%$, 22-dehydro cholesterol of $3.0\%$, 22-trans-24-norcholesta-5,22-dien-3-${\beta}$-ol 이 $1.4\%$였다.

  • PDF

준밀리미터파 BWLL용 HBT 전력증폭기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a HBT Power Amplifier for Quasi Millimeter-wave Broadband Wireless Local Loop Applications)

  • 김창우;채규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3C호
    • /
    • pp.234-240
    • /
    • 2002
  • AlGaAs/InGaAs/GaAs HBT를 이용하여 준밀리미터파 광대역 무선망(BWLL) 시스템의 가입자용 장치에 사용 가능한 전력증폭기를 개발하였다. 베이스 접지 HBT 소자의 비선형 등가 회로를 추출하여 선형 및 비선형 회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출력 전력 정합 회로를 갖는 증폭기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세라믹 기판 위의 스텁을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형태로 증폭기를 구현하였다. 제작된 전력증폭기는 24.4 GHz에서 최대 포화 출력 25.5 dBm, 35%의 전력 부가 효율을 얻었으며, 24.8 GHz에서는 7.5 dB의 최대 선형 이득을 얻었다. 또한, 24.25 GHz∼24.75 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22 dBm 이상의 포화 출력 전력과 25% 이상의 전력 부가 효율을 얻었다.

임신 ddy Mice에서 착상전기 방사선 조사에 따른 산전 사망 및 외부 기형 발현 (Prenatal Deaths and External Malformations Caused by X-Irradiation during the Preimplantation Period of ddy Mice)

  • 노희정;최일봉;구연화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233-243
    • /
    • 1998
  • 목적 : 착상전기의 진단 및 치료 영역의 방사선 조사가 임신 ddy mouse에서 산전 사망과 외부 기형을 유발하는지, Compaction전 시기의 반응에 시기별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계통에 따르는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임신 ddy mouse 대조군 32 마리와 실험군 53 마리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실험군에 대한 방사선 조사는 착상전의 중요한 두 시기인 24 h p.c.와 48 h p.c.에 진단 영역에서도 이용되는 방사선 선량인 0.1, 0.5 Gy를 포함하여 0.75, 1.5, 3 Gy를 조사한 후, 임신 18일에 희생시켜 산전 사망 즉 착상전 사망, 배 사망 및 태아 사망과 외부 기형을 관찰하였다. 결과 : 1) 착상전 사망은 24 h p.c. 및 48 h p.c.에서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많이 발생하였으며 선량 의존성을 나타냈고, 시기별 한계 선량은 각각 0.05 Gy 및 0.075 Gy이상으로 24 h p.c.가 48 h p.c.보다 방사선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시기임을 알 수 있었다. 2) 배 사망은 48 h p.c.의 0.1 Gy 조사군을 제외한 24 h p.c. 및 48 h p.c.의 모든 조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많이 발생하였고 선량 의존성을 보였으며, 한계 선량은 각각 0.1 Gy 및 0.25 Gy이상으로 24 h p.c.가 48 h p.c.보다 방사선 조사에 의한 배 사망의 감수성이 높았다. 3) 태아 사망은 24 h p.c. 및 48 h p.c.의 실험군 모두에서 발생하지 않았다. 4) 외부 기형은 24 h p.c. 실험군에서 뇌노출 기형 2예, 안검결손 기형 3예, 무안구증 3예, 구개열 2예, 복벽 파열 2예, 꼬리 기형 2예 및 다리 기형 1예, 국소 복벽 결손 1예 등이 발생하였는데, 그 중 진단 영역의 방사선 선량인 0.1 Gy군에서 안검결손 기형 1예, 복벽 파열 1예, 0.5 Gy군에서 뇌노출 기형 1예, 꼬리 기형 2예 및 다리 기형 1예가 발생하여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으며 이 시기의 한계선량은 0.2 Gy이상이었다. 48 h p.c.군에서도 안검결손 기형 1예, 꼬리 기형 2예가 발생하였으나 대조군과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통해 치료 영역뿐만 아니라 진단 영역의 방사선 조사로도 착상전기 임신 ddy mouse에서 착상전 사망 및 배 사망이 발생하고 24 h p.c.에서는 기형도 유발되어 이 시기의 방사선 영향이 "all-or-none" 반응만 일어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으며, 24 h p.c.가 48 h p.c.보다 방사선 감수성이 높은 시기라는 사실과 함께 다른 연구 결과들과 비교하여 계통에 따르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가임기 여성의 방사선 진단 및 치료시 Rugh의 10일 법칙을 적용하여 착상전기 방사선 조사로 인한 부작용들을 적극적으로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