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CO_2%24 concentration

검색결과 575건 처리시간 0.028초

온실재배 어윈 망고의 위치 별 2변수 엽 광합성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Two-Variable Spatial Leaf Photosynthetic Model of Irwin Mango Grown in Greenhouse)

  • 정대호;신종화;조영열;손정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61-166
    • /
    • 2015
  • 가온 온실에서 재배하는 망고의 생육에 적합한 광도와 $CO_2$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위치 별 엽의 광합성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윈망고(Mangifera indica L. cv. Irwin)의 위치 별 엽 광합성속도를 측정하여 광도와 $CO_2$ 농도의 2변수 엽 광합성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상단부, 중단부, 하단부 엽의 위치에 따른 엽 광합성속도 측정은 LI-6400 광합성 분석 장치를 사용하였다. 광도 0, 50, 100, 200, 300, 400, 600, $800{\mu}mol{\cdot}m^{-2}{\cdot}s^{-1}$, $CO_2$ 농도 100, 400, 800, 1200, $1600{\mu}mol{\cdot}mol^{-1}$의 조합 조건에 해당하는 엽 광합성속도를 위치 별로 측정하였다. 광도와 $CO_2$ 농도에 대하여 Negative exponential 함수로 표현된 엽 광합성속도 모델을 곱하여 2변수 엽 광합성 모델을 구축하였다. 상단부 엽의 경우 엽 광합성속도는 광도 $400{\mu}mol{\cdot}^{-2}{\cdot}s^{-1}$, 중단부와 하단부 엽은 $200{\mu}mol{\cdot}^{-2}{\cdot}s^{-1}$에서 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_2$ 농도 $1600mol{\cdot}mol^{-1}$에서도 엽 광합성속도가 증가하여 포화되지 않는 특성을 보였다. 2변수 엽 광합성 모델의 검증 결과, 중단부에 비하여 상단부와 하단부엽에 대해서 높은 신뢰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위치 별 2변수 엽 광합성 모델을 활용하여 어윈 망고의 온실 재배 시 광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광도와 $CO_2$ 농도 조건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Rat를 이용 산소 및 유해가스 노출에 따른 운동성 변화와 치사농도 연구 (Effects on Physiological Activities Caused by Oxygen Deficiency and Exposure to Noxious Gases in SD Rats)

  • 김현영;이성배;한정희;강민구;예병진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4권3호
    • /
    • pp.181-191
    • /
    • 2009
  • As an effort to prevent serious accidents involving oxygen deficiency and suffocation in confined spaces and to identify the causes of such accident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relevant accidents and system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is study also conducted a number of experiments at lethal concentration levels of oxygen deficiency using SD rats and observed the changes of experimental animals with humidity, organic gas (toluene), hydrogen sulfide, carbon monoxide and so on at the oxygen deficient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 conducted using SD rats at lethal concentration levels of oxygen showed that there were no casualties at the 7% oxygen concentration level, but the mortality increase to 20% at 6% oxygen, it was jumped to 90% at 5% oxygen, and it was also dramatically reached 100% at 4% oxygen concentration. Therefore, 5.5% was calculated as the $LC_{50}$ (rat, 4hr) from these dose-response experiments with oxygen deficiency. 2. When we changed the level of toluene, $H_2S$, CO, humidity, and so on, in an oxygen deficient environment, it was observed that the small concentrations of $H_2S$ and CO make the highest effect on animals. In case of 350 ppm $H_2S$, it resulted in 30% mortality, and the 100% mortality was shown in 1,200 ppm CO concentration. The mortality increased as an oxygen deficient condition. However in the case of toluene up to 1,000 ppm, it were not affected with oxygen deficiency, and it did not indicat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rtality as 20%, 90% humidities.

지구온난화에 따른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의 생육반응에 관한 연구 (Effects of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Growth Response of Quercus acutissima and Q. variabilis)

  • 정중규;김해란;유영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48-656
    • /
    • 2010
  • 지구온난화는 자연생태계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식물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는 분류학 적으로 가깝고, 우리나라 산림 저지대에서 우점종이다. 본 연구는 두 종의 어린 묘목이 $CO_2$농도와 기온이 증가하면 생육반응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CO_2$농도는 700~800ppm으로, 기온은 대조구보다 약 $3^{\circ}C$높게 처리하여 생장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상수리나무는 지구온난화처리구에서 뚜렷하게 차이나는 형질이 줄기 길이와 식물체 무게이고, 굴참나무는 줄기 직경과 줄기 무게이었다(p<0.05). 또한 평균 변화율로 보았을 때 굴참나무보다 상수리나무에서 많은 종류의 형질이 크게 변화하였다. 이는 지구온난화조건이 되면 한반도 중부지방에서 굴참나무보다 상수리나무의 생육반응이 더 민감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주성분분석은 두 종이 $CO_2$농도와 기온이 증가하면 종과 상관없이 유사한 경향성으로 배열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반응을 결정짓는 형질은 잎 수, 잎 넓이, 잎 폭, 지상부 길이, 잎 길이, 지상부 무게, 줄기 무게, 잎 무게, 지하부 무게와 식물체 무게 등 대부분의 측정된 것들과 관련이 있었다.

광주지역 다중이용시설에서 실내공기질 농도와 상관성 분석 (The Concentration of Indoor Air Quality and Correlations of Materials at Multiple-use Facilities in Gwangju)

  • 이대행;이세행;배석진;김난희;박강수;김도술;백계진;문용운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1001-1010
    • /
    • 2010
  • 광주지역 다중이용시설 54개소와 공중이용시설 15개소에 대한 입자상물질(미세먼지, 석면), 가스상물질($CO_2$, CO, $NO_2$, HCHO, Rn, VOCs), 총부유세균의 농도에 대해서 조사하고 각 항목간의 상관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세먼지($PM_{10}$)는 실내주차장에서 평균 $69.2\;{\mu}g/m^3$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보육시설, 대규모점포, 지하역사 순이었다. 일산화탄소는 실내주차장에서 평균 2.7 ppm으로 가장 높았고, 이산화탄소는 의료시설에서 604.1 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산화질소는 실내주차장에서 0.036 ppm으로 가장 높았다. 포름알데하이드는 54개 전체시설에서 기하평균 $3.6\;{\mu}g/m^3$이었으며, 미술관은 $631.8\;{\mu}g/m^3$로 가장 높았다.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은 모든 시설에서 기하평균 $24.14\;{\mu}g/m^3$이었고, 이 중 톨루엔이 $15.30\;{\mu}g/m^3$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자일렌, 에틸벤젠, 벤젠, 스티렌 순으로 조사되었다. 총부유세균은 찜질방에서 평균 $625.3\;CFU/m^3$로 가장 높았고, 보육시설, 의료기관, 대규모점포 순이었다. 석면은 보육시설에서, 라돈은 미술관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육시설에서 미세먼지와 총부유세균은 로그함수의 결정계수($R^2$) 0.5332로 양의 상관성을 보여주었고,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는 보육시설과 실내주차장에서 양의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휘발성물질간의 상관식은 모든시설에서 직선함수보다는 로그함수에 의해 잘 설명되었다.

양쪽성 메조 포러스 실리카에 의한 수용액 속의 MX의 흡착 (Adsorption of MX (3-chloro-4 (dichloromethyl)-5-hydroxy-2-(5H)-furanone) on amphiphilic mesoporous silica in aqueous solution)

  • 유은아;정강섭
    • 분석과학
    • /
    • 제24권2호
    • /
    • pp.94-10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양쪽성 메조 다공성 실리카를 다양한 조건(용매, 계면활성제와 올리고머의 량, 용액의 pH)에서 합성하였다. 메조 다공성 실리카를 사용하여 염소 소독으로 인해 음용수 중에 미량 존재하는 변이원성 물질인 MX (3-chloro-4-(dichloromethyl)-5-hydroxy-2-(5H)-furanone)의 흡착에 관한 특성을 연구하였다. 소수성과 친수성의 양쪽성 폴리우레탄 올리고머를 사용하여 합성된 메조다공성 실리카의 경우 뛰어난 흡착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보조 계면 활성제의 경우에는 비이온성이며 분자량이 큰 폴리 에틸렌 프로필렌 옥사이드(PEO-PPO)를 사용하여 합성된 메조 다공성 실리키가 가장 좋은 흡착 특성을 보였다.

합성가스/디젤 혼소압축착화 엔진의 합성가스 혼합비와 압축비에 따른 연소 및 배출가스 특성 (Syngas/Diesel Dual Fuel Combustion in a Compression Ignition Engine with Different Composition Ratios of Syngas and Compression Ratios)

  • 이준순;정탄;이용규;김창업;오승묵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5-42
    • /
    • 2019
  • Syngas is widely produced by incomplete combustion of coal, water vapor, and air (oxygen) in a high-temperature/high-pressure gasifier through a coal-gasification process for power generation. In this study, a simulation syngas which was mainly composed of $H_2$, CO, $CO_2$, and $N_2$ was fueled with diesel. A modified single cylinder compression ignition (CI) engine is equipped with intake port syngas supply system and mechanical diesel direct injection system for dual fuel combustion. Combus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engine were investigated by applying various syngas composition ratios and compression ratios. Diesel fuel injection timing was optimized to increase indicated thermal efficiency (ITE) at the engine speed 1,800 rpm and part load net indicated mean effective pressure ($IMEP_{net}$) 2 to 5 bar. ITE of the engine increased with the $H_2$ concentration, compression ratio and engine load. With 45% of $H_2$ concentration, compression ratio 17.1 and $IMEP_{net}$ 5 bar, ITE of 41.5% was achieved, which is equivalent to that of only diesel fuel operation.

해수중의 총이산화탄소와 총알칼리도 분석을 위한 탄산염 화학 이론 및 측정방법 (Determination of Total CO2 and Total Alkalinity of Seawater Based on Thermodynamic Carbonate Chemistry)

  • 모아라;손주원;박용철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
    • /
    • 2015
  • 본 연구에서 새롭게 도출된 총알칼리도($Alk_T$)와 총이산화탄소($TCO_2$) 분석방법의 정밀도와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스크립스 해양 연구소에서 제조된 이산화탄소 표준물질(Batch 132; $Alk_T=2229.24{\pm}0.39{\mu}mol/kg$, $TCO_2=2032.65{\pm}0.45{\mu}mol/kg$)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알칼리도와 총이산화탄소의 평균 농도는 각각 $2354.09{\mu}mol/kg$$2089.60{\mu}mol/kg$으로 제시된 농도 값과 총알칼리도는 약 5.6%, 총이산화탄소는 약 2.3%의 차이를 보였다. 기존의 알칼리도 측정방법(Gran Titration)과 본 연구 분석 방법을 중탄산나트륨($NaHCO_3$) 0.340 g($Alk_T$ $2023.33{\mu}mol/kg$) 용액에 적용하여 비교 실험을 진행한 결과, 기존의 방법으로 측정된 중탄산나트륨의 평균 알칼리도 농도는 $2193.39{\mu}mol/kg$(sd=57.15, n=7)이었고, 본 연구방법의 경우 $2017.02{\mu}mol/kg$(sd=10.98, n=7)의 알칼리도 평균 농도를 보였다. 또한, 초순수와 해수에 중탄산 나트륨을 첨가해 총알칼리도의 수득률(recovery yield)을 측정한 실험에서 초순수에 대한 첨가실험은 다양한 농도 변화 범위($0{\sim}4952.39{\mu}mol/kg$) 내에서 평균 약 100.8%($R^2$=0.999), 해수에 대한 첨가실험은 다양한 농도 변화 범위($0{\sim}2041.32{\mu}mol/kg$)내에서 평균 약 102.3%($R^2$=0.999)로 나타났다. 해수의 이산화탄소 분압($pCO^2$)을 측정하는 Pro Oceanus사의 PSI-Pro$^{TM}$을 사용하여 측정된 이산화탄소 분압과 본 연구를 통해 측정된 $H_2CO_3^*$ 농도와의 비교 실험을 시행한 결과, 약 2주간의 경시변화 실험을 통하여 측정된 이산화탄소 분압은 $427{\sim}705{\mu}atm$의 변화를 보였고, 본 연구방법으로 측정된 $H_2CO_3^*$의 농도는 $9.15{\sim}15.24{\mu}mol/kg$의 변화를 보였다. 측정된 분압과 계산된 $H_2CO_3^*$ 농도의 결정계수($R^2$)는 0.977로 나타났다. 본 연구방법을 적용해 동해 강릉 사천항의 표층 해수 중의 총알칼리도와 총이산화탄소의 일 변화 측정실험 결과, 두 항목의 농도는 일몰 이후 증가하고 일출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이산화탄소와 용존산소의 농도는 상반되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이는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과 호흡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현장 선상에서 시행된 북동태평양의 클라리온-클리퍼톤 균열대(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에서 총알칼리도와 총이산화탄소의 측정실험 결과, 표층(0~60 m)과 저층(200~2000 m)에서 총알칼리도의 평균 농도는 각각 $2422.38{\mu}mol/kg$(sd=78.73, n=20)과 $2465.87{\mu}mol/kg$(sd=57.68, n=103)로 측정되었고, 표층과 저층저층의 총이산화탄소 평균 농도는 각각 $2134.47{\mu}mol/kg$(sd=65.40, n=20)과 $2431.87{\mu}mol/kg$(sd=65.02, n=103)으로 측정되었다. 총알칼리도와 총이산화탄소의 수직 분포는 수심이 증가할수록 점차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측정된 농도 결과는 부근해역에서의 기존 연구결과보다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부산지역 고농도 오존일의 선행 기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ntecedent Meteorologic Conditions on High Ozone Days in Busan)

  • 도우곤;정우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993-1001
    • /
    • 2015
  • Comparing to the other air pollutants like $SO_2$, CO, the number of exceedance of the ozone national ambient air quality standard(NAAQS) and the ozone warning increased recently in Bus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eliminary symptoms for high ozone days in Busan area. In order to find out the preliminary symptoms, the hourly ozone data at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and the hourly meterological parameters at Busan regional meteorological 2007 to 2013 were used for the analysis. Averaged daily max ozone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0.055 ppm) at Noksan and Youngsuri in the ozone season from 2007 to 2013. The horizontal distributions of daily max. ozone including all stations in Busan at high ozone days(the day exceeding 0.1 ppm of ozone concentration at least one station) were classified from two to five clusters by hierarchial cluster analysis. The meteorological variables showing strong correlation with daily max. ozone were the daily mean dew point temperature, averaged total insolation, the daily mean relative humidity and the daily mean cloud amount. And the most frequent levels were $19-23^{\circ}C$ in dew point temperature, $21-24 MJ/m^2$ in total insolation on the day before, $2.6-3.0 MJ/m^2$ on the very day, 67-80% in relative humidity and 0-3 in cloud amount.

뮤코펙트 정(염산암브록솔 30 mg)에 대한 암브렉트 정의 생물학적 동등성 (Bioequivalence of AmbrectTM Tablet to MucopectTM Tablet (Ambroxol hydrochloride 30 mg))

  • 유정연;정선경;최미희;한상범;이경률;이희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3권3호
    • /
    • pp.215-221
    • /
    • 2003
  • A bioequivalence study of $Ambrect^{TM}$ tablets (Dong Wha Pharm. Ind. Co., Ltd.) to $Mucopect^{TM}$ tablets (Boehringer Ingelheim Korea, Ltd.)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Twenty four healthy male Korea volunteers received each medicine at the ambroxol hydrochloride dose of 30 mg in a $2{\times}2$ crossover study. There was a one-week wash out period between the doses. Plasma concentrations of ambroxol were monitored by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or over a period of 24 hours after the administration. $AUC_t$ (the area under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curve from time zero to 24 hr) was calulated by the linear trapezoidal rule method. $C_{max}$ (maximum plasma drug concentration) and $T_{max}\;(time\;to\;reach\;C_{max})$ were compiled from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data. Analysis of variance was carried out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AUC_t\;and\;C_{max}$. No significant sequence effect was found for all of the bioavailability parameters indicating that the crossover design was properly performed. The 90% confidence intervals of the $AUC_t$ ratio and the $C_{max}$ ratio for $Ambrect^{TM}/Mucopect^{TM}$ were 0.89-1.01 and 0.89-1.02,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within the acceptable bioequivalence intervals of 0.80-1.25. Thus, our study demonstrated the bioequivalence of $Ambrect^{TM}\;and\;Mucopect^{TM}$ with respect to the rate and extent of absorption.

Saccharomyces cerevisiae에 의한 Pb 생체흡착 (Pb Biosorption by Saccharomyces cerevisiae)

  • 안갑환;서근학
    • KSBB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173-180
    • /
    • 1996
  • S. CereVlSWe를 이용하여 Pb 이온의 흡착 능력을 조사하였다. 살아있는 S. CereVlSWe 및 멸균된 S. cereVlswe 보다 건조분쇄 된 S. cerevisiae가 Pb 흡착 능력이 가장 좋았다. 통일의 중금속 농도에서 중금 속 단위 흡착량은 미생물 농도가 높아짐에 감소하였다. 살아있는 S. cereVlsiae의 흡착 능력 순서는 Pb > >Cu> Cd = Co>Cr > Zn = Ni순이었다. 중금속 흡 착에서 0.1 M NaOH로 24시간 전처리하여 흡착량을 1.5배 증가시킬 수 있었다. 0.1 M HCl 및 0.1 M $H_2S_O4$ 로 Pb이온을 효과적으로 탈착시킬 수 있었다. Pb 이온의 흡착평형은 Freundlich 흡착등온식과 Langmuir 흡착등온식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