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da1^+$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3초

The Fission Yeast Hda1p Functions on the Regulation of Proper Cell Division

  • Hwang, Hyung-Seo;Suh, Na-Young;Song, Ki-Won
    • BMB Reports
    • /
    • 제33권3호
    • /
    • pp.263-267
    • /
    • 2000
  • We cloned $hda1^+$ (histone deacetylase 1) of fission yeast Schizosaccharomyces pombe. The hda1 of S. pombe was previously reported to encode for an active histone deacetylase (Rundlett et al., 1996; Olsson et al., 1998). The $hda1^+$ is phylogenetically related to the new open reading frame HOS2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only shows a partial homology to the well-known histone deacetylase subclasses, RPD3 and HDA1. A single hda1 mRNA of 1.8 kb was detected at the same level in actively growing and nitrogen-starved cells. When highly over-expressed in S. pombe from an inducible promoter, $hda1^+$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and caused defects in morphology and cell division. The increased histone deacetylase activity was detected in hdar over-expressing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da1p should function on the regulation of cell division possibly by (Allfrey, 1966) direct deacetylation of cytoskeletal (Wade et al., 1997) and cell division regulatory proteins, (Wolffe, 1997) or by controlling their gene expressions.

  • PDF

Histone H4-Specific Deacetylation at Active Coding Regions by Hda1C

  • Lee, Min Kyung;Kim, TaeSoo
    • Molecules and Cells
    • /
    • 제43권10호
    • /
    • pp.841-847
    • /
    • 2020
  • Histone acetylation and deacetylation play central roles in the regulation of chromatin structure and transcription by RNA polymerase II (RNA Pol II). Although Hda1 histone deacetylase complex (Hda1C) is known to selectively deacetylate histone H3 and H2B to repress transcription,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its potential roles in histone H4 deacetylation. Recently, we have shown that Hda1C has two distinct functions in histone deacetylation and transcription. Histone H4-specific deacetylation at highly transcribed genes negatively regulates RNA Pol II elongation and H3 deacetylation at inactive genes fine-tunes the kinetics of gene induction upon environmental changes. Here, we review the recent understandings of transcriptional regulation via histone deacetylation by Hda1C. In addition, we discuss the potential mechanisms for histone substrate switching by Hda1C, depending on transcriptional frequency and activity.

위치 선택적 관능기화 그래핀의 합성과 특성분석 (Syntheses and Characterizations of Position Specific Functionalized Graphenes)

  • 허철;장진해
    • 폴리머
    • /
    • 제37권2호
    • /
    • pp.218-224
    • /
    • 2013
  • Hummers and Offeman 방법을 이용하여 흑연으로부터 산화 그래핀(graphene oxide; GO)을 합성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두 가지 다른 작용기화 그래핀(FGS)을 합성하였다. 그래핀 판상(graphene sheet; GS)에 수직방향으로 hexadecylamine(HDA)이 치환된 Ver-HDA-GS을 HDA와 에폭시기를 반응하여 얻었고, 한편으로, 환원된 GO(Reduced-GO; RGO)를 통하여 hexadecanol(HDO)와 알코올을 반응시켜 HDO가 수평 방향으로 치환된 Hor-HDO-GS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GO, RGO, Ver-HDA-GS 그리고 Hor-HDO-GS의 합성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FTIR을 이용하였으며, 합성된 물질들의 열 안정성 및 모폴로지를 각각 확인하였다. 원자간력 현미경(AFM)을 통해서 Ver-HDA-GS는 한 층 또는 두 층 두께의 그래핀으로 이루어졌고, 평균 두께는 1.76 nm임을 확인하였다. 합성된 FGS들의 열 안정성은 GO나 RGO보다 더 나았으며, 분산도의 경우에 Ver-HDA-GS는 DMSO, 톨루엔, 클로로포름, 데카린 등의 일상적인 용매에서 잘 분산되었다.

A Histone Deacetylase, MoHDA1 Regulates Asexual Development and Virulence in the Rice Blast Fungus

  • Kim, Taehyun;Lee, Song Hee;Oh, Young Taek;Jeon, Junhy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6권4호
    • /
    • pp.314-322
    • /
    • 2020
  • Interplay between histone acetylation and deacetylation is one of the key components in epigenetic regulation of transcription. Here we report the requirement of MoHDA1-mediated histone deacetylation during asexual development and pathogenesis for the rice blast fungus, Magnaporthe oryzae. Structural similarity and phylogenetic analysis suggested that MoHDA1 is an ortholog of Saccharomyces cerevisiae Hda1, which is a representative member of class II histone deacetylases. Targeted deletion of MoHDA1 caused a little decrease in radial growth and large reduction in asexual sporulation. Comparison of acetylation levels for H3K9 and H3K14 showed that lack of MoHDA1 gene led to significant increase in H3K9 and H3K14 acetylation level, compared to the wild-type and complementation strain, confirming that it is a bona fide histone deacetylase. Expression analysis on some of the key genes involved in asexual reproduction under sporulation-promoting condition showed almost no differences among strains, except for MoCON6 gene, which was up-regulated more than 6-fold in the mutant than wild-type. Although the deletion mutant displayed little defects in germination and subsequent appressorium formation, the mutant was compromised in its ability to cause disease. Wound-inoculation showed that the mutant is impaired in invasive growth as well. We found that the mutant was defective in appressorium-mediated penetration of host, but did not lose the ability to grow on the media containing H2O2. Taken together, our data suggest that MoHDA1-dependent histone deacetylation is important for efficient asexual development and infection of host plants in M. oryzae.

TOMO HDA와 Radixact 치료 계획 간 Transfer에 대한 유용성 평가 : Planning Study (Usability Assessment of Plan Transfer between TOMO HAD and Radixact : Planning Study)

  • 안예찬;김종식;권동열;김진만;최병기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0권1_2호
    • /
    • pp.117-128
    • /
    • 2018
  • 목 적 : iDMS(Integra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내 TOMOTHERAPY 치료 계획을 ACCURAY $Precision^{TM}$ 1.1.1.1을 이용하여 본원의 TOMO HDA와 Radixact 장비 간 Transfer하였고 선량학적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치료 계획 Transfer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두경부암 두 부위와 전립선암 두 부위의 치료를 가정하여 4개의 서로 다른 치료 계획을 세웠다. 각 치료 계획은 95 % 처방선량(Prescription dose)이 표적 체적의 99 % 이상 조사되도록 설계하였고, 정상장기 선량은 SMC tolerance dose protocol을 기준으로 하였다. 수립된 치료 계획은 각 장비로 Transfer 시켰으며 Transfer된 치료 계획의 DVH(Dose Volume Histogram) 분석을 통해 선량학적 차이를 비교 평가하였다. 결 과 : Transfer된 치료 계획에서 CTV 및 GTV의 Mean Dose는 증가 및 감소하였으나 유의할 만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CTV 및 GTV 처방 선량의 Target Coverage는 HDA에서 Radixact로 Trasnfer 시 전부 감소하였으며, CTV에 대한 CI 및 HI 변화도 0.1 이내였다. Normal Organ Dose는 두 치료 계획 모두 HDA에서 Radixact로 Transfer 시 대부분의 항목에서 선량이 증가하였다. 결 론 : 본 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Radixact에서 HDA 장비로 치료 계획 Transfer 시 Target Coverage는 기준 이상이었으며 Normal Organ Dose 또한 대부분 같거나 감소하였다. HDA에서 Radixact로 치료 계획 Transfer 시 Target의 Coverage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Normal Organ Dose는 Optic Chiasm($D_{max}$ 1.38 Gy 증가), Bladder($D_{max}$ 3.07 Gy 증가), Penile Bulb($D_{max}$ 1.14 Gy 증가) 등 부작용(side effects)을 일으킬 수 있는 장기에서 선량이 증가였다. 이에 따라 치료 계획 Transfer 시 선량 변화에 주의해야 하며 장비 점검으로 인한 일회성 Transfer는 효율적인 방사선 치료를 위해 유용할 것이나, Transfer된 치료 계획으로 치료가 수회간 이어질 경우 치료 계획을 다시 세워 진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연자육의 6-하이드록시도파민으로 유도된 도파민 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Nelumbinis Semen Against Neurotoxicity fuduced by 6-Hydroxydopamine in Dopaminergic Cells)

  • 김효근;오명숙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7-92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water extracts from Nelumbinis semen (NSW) in dopaminergic cells. Methods : We performe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cation scavenging assay, and determination of total polyphenolic content to examine the antioxidant effects of NSW. We also evalua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against 6-hydroxydopamine (6-OHDA)-induced toxicity using 3-(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MIT) assay, trypan blue cytotoxicity assay, and nitric oxide assay in SH-SY5Y cells and tyrosine hydroxylase (TH) immunohistochemistry in primary rat dopaminergic neurons. Results : NSW showed $IC_{50}$ values of 184.80 and 92.90 ${\mu}$g/mL in DPPH and in ABTS assays, respectively. NSW showed 1.05% of total polyphenol contents. NSW showed protective effect against 6-0HDA-induced neurotoxicity whereas no influence on cell viability at the concentration of 1${\sim}$50 ${\mu}$g/mL. NSW reduced NO generation while 6-OHDA produced it. Moreover, it protected rat dopaminergic neurons against 6-0HDA at a dose of 1 ${\mu}$g/mL.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NSW has neuroprotective effect against 6-0HDA-induced neurotoxicity through antioxidant activity in dopaminergic cell culture.

적응적 경판정 출력을 이용한 고속 분산 비디오 복호화 기술 (Adaptive Hard Decision Aided Fast Decoding Method in Distributed Video Coding)

  • 오양근;심혁재;전병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7권6호
    • /
    • pp.66-74
    • /
    • 2010
  • 최근 부호화기의 성능 및 전력이 제한된 환경을 위한 비디오 부호화 기술로 분산 비디오 부호화 기술 (DVC : Distributed Video Coding)이 각광받고 있으며, Wyner-Ziv (WZ) 부호화 기술은 이의 대표적인 기술이다. WZ 부호화기는 기존 인트라 부호화 기술과 채널 부호를 사용하여 각각 키 (key)프레임과 WZ 프레임을 독립적으로 부호화한다. WZ 복호화기는 프레임 간 시간적 유사도를 기반으로, 복호화 된 키 프레임으로부터 보조 정보 (Side Information)를 생성한다. 보조 정보는 가상의 채널 잡음이 존재하는 WZ 프레임으로 간주되고, 가상의 채널 잡음은 채널 부호 복호화 과정을 통해 제거된다. 따라서 WZ 부호화 기술의 성능은 채널 부호의 성능에 크게 좌우된다. 현존하는 채널 부호 중 LPDC 채널 부호와 Turbo 채널 부호는 강력한 에러 정정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확률적인 계산을 기반으로 반복적인 복호화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반복적인 복호화 과정은 상당히 소모적인 과정으로 WZ 복호화기의 복잡도를 증가시킨다. 실제 WZ 부호화 기술에 LDPCA 채널 부호를 사용한 경우, WZ 복호화기 전체 복잡도에서 채널 복호화 과정이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60%에 이른다. 채널 복호화 과정 복잡도의 감소를 위해 채널 부호 분야에서 제안되었던 HDA (Hard Decision Aided) 방법을 LDPCA 채널 부호에 적용할 경우, 채널 복호화 과정의 복잡도는 상당히 줄어든다. 하지만 HDA 방법 적용을 위해 설정할 경계치에 따라 율 왜곡 측면에서 상당한 성능 저하가 있을 수 있으며. 적정 경계치는 영상마다 각각 다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특성에 따라 경계치가 설정되는 적응적 HDA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적정 율 왜곡 성능을 유지하며, 채널 복호화 과정 및 WZ 복호화 과정에서 각각 약 62%, 32%의 시간 절감 성능을 보인다.

Caramel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roducts of caramel-type-browning reaction)

  • 신민자;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29-639
    • /
    • 2000
  • 10$0^{\circ}C$ 이상에서 당단독, 당과 유기산 또는 유기산염의 caramel 갈색화 반응과 당과 아미노산의 Maillard 갈색 화 반응의 갈색화 물질의 항산화성을 측정하고자 0.1M 의 xylose(XY), glucose(GL), sucrose(SU)를 단독으로, 0.1M glucose에 0.02M의 citric acid를 혼합한 glucose-citric acid(GLCA), 0.02M의 sodium citrate를 혼합한 glucose-sodium citrate(GLSC)와 0.1M의 glycine을 혼합한 glucose-glycine(GLGC)을 80, 120 및 14$0^{\circ}C$에서 12, 24시간 가열하여 얻은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수소공여능(HDA)에 의한 항산화성을 측정하였으며 이들의 무수 ethanol 추출물의 옥배유 기질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여 기존 항산화제(TBHQ, TOCO)와 비교,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Caramel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수소공여능(HDA)에 의한 환원력은 갈색화 반응온도 및 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체적으로 증가되었으며 갈색도가 큰 반응계일수로 환원력이 크게 나타났다. XY, GL, SU, GLCA, GLSC 및 GLGC 갈색화 반응액의 수소공여능은 8$0^{\circ}C$에서 24시간 반응 후 각각 0.290, 0.299, 0.281, 0.301, 0.362 및 0,387로 그 크기는 GLGC > GLSC > GLCA > GL > XY > SU 순이었다. 12$0^{\circ}C$에서 24시간 반응 후의 GLCA와 GLGC에서 갈색도의 증가와는 달리 HDA는 오히려 낮아졌으며, 14$0^{\circ}C$ 에서는 대부분의 갈색화 반응액의 HDA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높아졌지만 GLCA와 GLGC의 HDA는 낮아져서 각각 0.275 및 0.305로 된 반면에 GLSC의 HDA는 계속 증가하여 0.543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의 HDA는 GLSC > SU > GL > GLGC > XY > GLCA 순이었다. 2.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무수 ethanol 추출물을 첨가한 옥배유의 항산화 효과는 TBHQ에는 못미치나 TOCO 보다는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것도 있었다. 8$0^{\circ}C$에서 24시간 진행된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경우는 TBHQ > GLCA > GLGC > TOCO > SU > XY > GL > GLSC > control의 순으로 8$0^{\circ}C$에서는 갈색화 반응 중간생성물은 모두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GLCA의 항산화 효과는 TBHQ 보다는 크게 떨어지나 GLGC, TOCO보다는 높은 항산화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120및 14$0^{\circ}C$에서 24시간 진행된 갈색화 반응생성물의 항산화 효과는 SU, GLCA에서만 보였으며 이들의 항산화 효과는 Maillard형 갈색화 반응액인 GLGC의 항산화 효과 보다 높았다. 그 크기는 TBHQ > SU > TOCO > GLCA > control > GLSC > GLGC > XY > GL의 순으로 80, 120및 14$0^{\circ}C$에서의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항산화성은 8$0^{\circ}C$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볼 때 각종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수소공여능에 의한 환원력과 항산화 효과의 관계는 환원력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효과는 증가하지 않고 감소하여 갈색화 반응물의 항산화 효과와 환원력 사이에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 같았다.

  • PDF

토모치료기 CatcherTM Couch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Study of the CatcherTM Couch's Usefulness)

  • 엄기천;이충환;전수동;송흥권;백금문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65-74
    • /
    • 2019
  • 목 적: 최근 Radixact® X9에서는 치료테이블의 처짐을 방지하는 CatcherTM가 추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선량전달을 위한 토모테라피의 메가볼트 전산화단층촬영(MVCT) 영상유도방사선치료 시 Tomo-HDA®의 General Couch와 Radixact® X9의 CatcerTM Couch의 치료테이블 처짐 정도를 팬텀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비교하고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팬텀연구를 위해 란도팬텀을 이용하였으며, 치료부위에 따른 변화를 위해 두경부와 골반부에 중심점을 설정하였다. 또한, 무게에 따른 변화를 위해 자체 제작한 저용융점납합금을 이용하였다. 납합금의 무게를 점차 증가시켜(A: 15kg, A+B: 30kg, A+B+C: 45kg) MVCT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수직오차 및 회전(Pitch)오차를 측정하였다. 환자연구를 위해 본원에서 토모테라피를 이용하여 방사선치료를 받은 120명의 환자를 선정하였다. Tomo-HDA®과 Radixact® X9에서 각각 60명씩 치료를 받았으며, 치료부위는 두경부와 골반부로 30명씩 분류하여 선정하였다. 환자연구 방법으로는 치료 첫 날 획득한 MVCT 영상의 척추를 기준으로 수직오차 및 회전(Pitch) 오차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결 과: 팬텀연구 결과 Tomo-HDA®의 General Couch에서는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두경부와 골반부 모두 수직 및 회전(Pitch)오차가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두경부에서 최대 7.52mm, 0.38°, 골반부에서 최대 11.94mm, 0.92° 발생하였다. Radixact® X9의 CatcherTM Couch에서는 0.02~0.1mm, 0~0.04°의 오차범위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자연구 결과 Radixact® X9의 CatcherTM Couch에서 두경부 4.79mm, 0.33°, 골반부 7.66mm, 0.22° 더 낮게 측정되었다. 결 론: 팬텀연구 결과 Tomo-HDA®의 General Couch에서는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수직오차 및 회전(Pitch) 오차가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특히 두경부보다는 골반부에서 더 많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목적인 Radixact® X9의 CatcherTM Couch에서는 무게와 부위라는 변수상관 없이 일정한 오차가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CatcherTM Couch는 Couch 처짐이라는 Mechanical error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두경부보다는 골반부에서 더 유용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방사선치료 시 Radixact® X9의 CatcherTM Couch를 사용한다면 토모테라피의 특성상 보정할 수 없는 회전(Pitch)오차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Controlled Synthesis of Colloidal Cu Nanowires and Nanoplates and Their Tunable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s

  • Seokhwan Kim;Jong Wook Roh;Dong Choon Hyun;Seonhwa Park;Yuho Min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7권5호
    • /
    • pp.547-553
    • /
    • 2024
  • Precise control over the morphology of nanostructures is critical for tailoring thei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This study addresses the challenge of developing a simple, integrated method for synthesizing both 1D and 2D colloidal Cu nanostructures in a single system, achieving successful tuning of their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LSPR) properties. A facile hydrothermal synthesis utilizing potassium iodide (KI) and hexadecylamine (HDA) is presented for controlling Cu nanostructure morphologies. The key to achieving 1D nanowires (NWs) and 2D nanoplates (NPs) depends on the controlled adsorption of HDA molecules and iodide (I-) ions on specific crystal facets. Depending on the morphologies, the resultant Cu nanostructures exhibit tunable LSPR peaks from 558 nm [nanoplates (NPs)] to 590 nm [nanowires (NWs)]. These results pave the way for the scalable and cost-effective production of plasmonic Cu nanostructures with tunable optical properties, holding promise for applications in sensing, catalysis, and photonic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