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_0$ variation

검색결과 613건 처리시간 0.032초

6배체 트리티케일X밀 잡종 초기 세대의 염색체수 변이 (Variation in Chromosome Number in Early Generation from Cross between Hexaploid Triticale(X Triticosecale Wittmack) and Wheat (Triticum aestivum L.))

  • 황종진;이홍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0-318
    • /
    • 1991
  • 트리티케일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6배체 트리티케일인 신기호밀(TC)과 6배체 보통밀 5개 품종을 교잡한 잡종 초기세대의 화분 모세포와 체세포의 염색체수 변이를 검토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트리티케일과 밀의 F$_1$에서 화분모세포 염색체수는 조합간 변이를 보였으며 5조합 평균으로 볼때 1가 염색체 11.9, 2가 염색체 14.4, 3가 염색체 0.44개였다. 2 트리티케일과 밀의 F$_1$ 화분 임성과 교잡률 (F$_1$, F$_2$, F$_1$/P$_2$), 화분임성과 염색체수, 2가 염색체수와 교잡률(F$_1$, F$_2$, F$_1$/P$_2$)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F$_1$ 화분 임성 및 교잡률과 1가 염색체및 3가 염색체수와는 각각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체세포 염색체수는 F$_1$은 42개였고 F$_2$와 F$_1$/P$_2$은 고이수체(42개 이상)빈도가, F$_1$/P$_2$은 저이수체(42개 이하)의 빈도가 높았다. 4. 이하의 결과는 트리티케일과 밀을 교배하여 얻은 F$_2$나 여교잡세대에서의 체세포 염색체수 구성이 Random이 아님을 암시하고 있다.

  • PDF

급속 OUR 모니터링을 이용한 Microbial Respiration (MR) 영향인자 평가 (Factors Affecting Microbial Respiration (MR) by Rapid Oxygen Uptake Rate (OUR) Monitoring)

  • 박세용;모경;김연권;김문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630-635
    • /
    • 2011
  • 본 연구는 급속 OUR (Oxygen Uptake Rate)방법의 영향인자 평가로서 최적의 미생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인자를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폐수를 이용하여 OUR변화에 따른 SCOD의 변화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최적의 F/M비는 0.03~0.05이었고, pH는 6.0~8.5, 온도는 $20{\sim}30^{\circ}C$에서 OUR 값이 가장 높았으며, 질산화에 대한 산소소모는 미비했다. OUR 변화에 따른 SCOD (Soluble COD)의 변화는 OUR 변곡점 시간 전후로 SCOD의 분해속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하수처리장의 유입수 실시간 예측을 통해 최적의 운영을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절리성 암반의 이차원 균열텐서 파라미터와 수리적 특성 간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2-D Fabric Tensor Parameters and Hydraulic Properties of Fractured Rock Mass)

  • 엄정기;한지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7권2호
    • /
    • pp.100-108
    • /
    • 2017
  • 균열텐서 파라미터는 절리의 기하학적 속성이 결합된 효과를 지시하는 척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불연속절리망(DFN)에서 유체 유동통로의 연결 상태를 정량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차원 DFN의 균열텐서 파라미터와 수리적 특성 간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DFN에서 임의 방향으로의 수리전도도는 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산정된 균열텐서성분과 강한 비선형 관계를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서로 다른 규모의 이차원 DFN 블록에서 방향에 따른 균열텐서의 일차불변량($F_0$)을 방사형 도표로 나타내었을 때, 방향에 따른 $F_0$ 값의 유의미한 변화가 없는 원형의 플롯은 절리성 암반을 대표요소체적으로 취급하기 위한 필요조건이 될 수 있다. DFN 블록에서 임의 방향으로 개별체 해석기법으로 산정한 수리전도도와 이론적 수리전도도 사이의 상대오차(ER)는 $F_0$의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 $F_0$는 평균 블록수리전도도와 강한 함수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시족도리풀(Asarum misandrum)의 유전적 다양성 및 집단 구조 (Genetic varia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of Asarum misandrum (Aristolochiaceae) in Korea)

  • 소순구;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81-187
    • /
    • 2013
  • 한국과 일본에만 한정 분포하는 각시족도리풀(Asarum misandrum) 4개 집단의 자생지 상태와 합리적인 보전전략의 수립을 위하여 7개의 allozyme marker를 이용하여 유전적 다양성과 구조를 분석하였다. 각시족도리풀 집단의 대립 유전자의 수(A)는 2.05개, 다형적 유전좌위의 비율(P)은 71.4%, 이형접합체의 평균 기대치($H_E$)는 0.294를 나타내어 분포 역이 넓고 주로 내륙에 분포하는 특산식물과 유사하거나 다소 높은 수준의 유전적 다양도를 유지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자가수분이 가능하지만 타가수정을 주로 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유전적 구조분석 결과 집단간 $F_{IS}$는 양의 값을 나타내었고 집단간 유전적 분화도는 매우 낮은 결과(0.112)를 보였다. 각시족도리풀의 자생지가 비록 적정 수준의 유전적 다양도을 보이고 있지만, 한국과 일본의 남쪽지방에만 한정분포하는 특징, 불연속적이고 분산되어있는 자생지의 상태, 대부분의 자생지에서 적은 개체가 나타나며 특이하고 희귀한 꽃 때문에 남획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 등은 이 식물의 보전을 위한 관심을 필요로 한다. 각시족도리풀은 최근에 기록되어 현재 희귀식물로 지정된 종은 아니지만 보전적 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며 이 종의 보전을 위해 종 생물학적 정보를 수집하고 유전적 변이의 유지기작을 포함한 합리적인 보전전략의 수립이 요구된다.

대청호 내 실시간 수질측정자료를 이용한 CCME WQI의 적용 (Application of Canadian Council of Ministers of the Environment Water Quality Index (CCME WQI) in Daecheong Reservoir using Automatic 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 임병진;홍지영;연인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796-801
    • /
    • 2010
  • Water quality index (WQI) can be a great tool that allows experts to translate large amount of complex water quality data into a format more easily understood by the public and policy makers. Canadian Council of Ministers of the Environment Water Quality Index (CCME WQI) can be calculated with the three factors (Scope: $F_1$, Frequency: $F_2$, Amplitude: $F_3$). After all, the WQI for a specific site is produced as a number between 0 to 100; the scale is also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i.e., Excellent, Good, Fair, Marginal and Poor. The WQI was found to be highly related to Chl-a, pH, temperature among the collected items. When the more input parameters were used, the range of variation generally became smaller. $F_3$ among the factors of WQI was influenced by algae. It showed a similar variation tendency between WQI and algal bloom in 2008.

전자 주입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OLEDs의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ties of OLEDs depending on Thickness variation of Electron Injection Layer)

  • 차기호;이영환;이종용;정동회;신종열;김태완;홍진웅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7
    • /
    • pp.69-70
    • /
    • 2006
  • We studied increasement of efficiency of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depending on thickness variation of LiF, Material of Electron Injection Layer in structure of ITO/Hole Injection Layer (PTFE)/Hole Transportion Later (TPD)/Emitting Layer (Alq3)/Electron Injection Layer (LiF)/Al. TPD and $Alq_3$ is deposited as rate of 1.3~1.5 [${\AA}/s$] in high vacuum ($5{\times}10^{-6}$ [torr]). In result of these studies, we can know maximum efficiency in 0.7 [nm], thickness of LiF. And samples with electron injection material are increased about 5-fold in maximum efficiency in compare with sample without electron injection material.

  • PDF

1년생 현사시 및 양황철의 물질생산 및 재질특성 (The Yield and Wood Quality of 1-year-old Hybrid Poplars : Populas alba X P. glandulosa $F_1$ and Populus nigra var. italica X P. maximowiczii $F_1$ Clones)

  • 노의래;김영모;전계상;심상영
    • 임산에너지
    • /
    • 제1권2호
    • /
    • pp.1-19
    • /
    • 1981
  • In order to investigate biomass yield of one-year-old hyblrid poplars, Pripulusalba x P. glandulosa $F_1$ and Populus nigra var. italica x P. maximowiczii $F_1$clones, as energy and fiber resources, dry matter yield, leaf area, leaf area index, dry matter production ability, specific gravity and fiber length and width were measured. Dry matter yield was 1.89 ton/ha for Poplus alba x P. glandulosa $F_1$ and 3.63 ton/ha for Populus nigra via.italica x P. merximowiczii $F_1$ clones in the planting density of 20,000 trees/ha and in the planting density of 40,000 trees/ha was 3.87 ton/ha for Populus alba x P. glandulosa $F_1$and 5.64 ton/ha for Populus nigra var. italica x P. maximowiczii $F_1$ clones. Leaf area index was 1.24mtim2 in the planting density of 20,000 trees/ha and 2.45 m31m3 in the density of 40,000 trees/ha for Populus alba x P. glandulosa $F_1$ clones and it was 1.96 m21m2 in the planting density of 20,000 trees/ha and 3.36 m21m2 in the density of 40,000 trees/ha for the hybrid $F_1$ Populus nigra var. italica x P. maximowiczii clones. The average specific gravity of the hybrid poplars was 0..36 when bark and pith were included and 0.31 when bark and pith were removed in the plot of 20,000 trees/ha and in the 40,000 trees/ha plot showed 0.35 and 0.31 respectively, for Populus alba x P. glandulosa $F_1$clones. It was 0.36 when bark and pith were included and 0.32 when bark and pith were removed in the 20,000 trees/ha plot and in the 40,000 trees/ha plot was 0.34 and 0.31 respectively for Populus nigra var. italica x P. maximowiczii $F_1$clones. The average fiber length was 0.57 mm in the 20,000 trees/ha plot and 0.58 mm in the 40,000 trees/ha plot for Poplus alba x P. glandulosa $F_1$clones and was 0.60 in both plots of 20,000 trees/ha and 40,000 trees/ha for Populus nigra var. italica x P. maximowiczii $F_1$ clones. There is a big clonal variation among those clones studied, showing high selection potential in both species.

  • PDF

Genetic Variation of Strawberry Fusarium Wilt Pathogen Population in Korea

  • Cho, Gyeongjun;Kwak, Youn-Sig
    • Mycobiology
    • /
    • 제50권1호
    • /
    • pp.79-85
    • /
    • 2022
  • Strawberries are a popular economic crop, and one of the major plantations and exporting countries is Korea in the world. The Fusarium oxysporum species complex (FOSC) is a soil-borne pathogen with genetic diversity, resulting in wilt disease in various crops. In Korea, strawberries wilt disease was first reported in the 1980s due to the infection of FOSC, causing significant economic damage every year. The causal agent, F. oxysporum f. sp. fragariae, is a soil-borne pathogen with a characteristic of FOSC that is difficult to control chemically and mutates easily. This study obtained genetic polymorphism information that was based on AFLP, of F. oxysporum f. sp. fragariae 91 strains, which were isolated from strawberry cultivation sites in Gyeongsangnam-do and Chungcheongnam-do, and compared strains information, which was the isolated location, host variety, response to chemical fungicide, and antagonistic bacteria, and mycelium phenotype. As a result, AFLP phylogeny found that two groups were mainly present, and group B was present at a high frequency in Gyeongsangnam-do. Group B proved less sensitive to tebuconazole than group A through Student's t-test. In addition, the fractions pattern of AFLP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strain information using PCA and PERMANOVA, and the main criteria were separated localization and strawberry varieties (PERMANOVA; p< 0.05). And tebuconazole was different with weak confidence (PERMANOVA; p< 0.10).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 oxysporum f. sp. fragariae should be continuously monitored and managed, including group B, which is less chemically effective.

A Prosodic Analysis on the Korean Subjective Particles -With Reference to the Establishment of Acoustic Features-

  • Seong, Cheol-Ja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0권3E호
    • /
    • pp.3-9
    • /
    • 2001
  • This study aims to describe a prosodic pattern on the Korean subjective particles with respect to their discourse function. 4 kinds of Korean subjective particles were mainly investigated with reference to sentential location, grammatical relations that precede or follow the word including subjective particles, and prosodic phrasing. F0 and energy were gradually diminished as the particles moved down to the sentential final position. 'Ga'particle, which has been potentially regarded as having a grammatical focusing function, looks like to show relatively higher F0 in sentential medial in discourse. At sentential medial position, when the words including 'ga, eun, and neun'particles were preceded by adverbials, the acoustic variables of particles tended to be diminished by some ratio in comparison with the mean value. The duration of particles might vary with respect to style variation and especially that it tended to diminish from 150 basic, 50 separate, and finally 50 discourse successively. And there's some specific phenomenon that prosodic phrasing itself was relatively easily taken place after 'eun' and 'neun' particles. Finally, I tried to catch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which would be established as acoustic features) of inter-word position at which specific subjective particles were intervened. These acoustic features can be made up of the duration and F0 fluctuation activated in the successive 3 syllables in which word (or prosodic) boundary was located.

  • PDF

정밀여과 모세관 막을 이용한 벤토나이트 콜로이드 현탁액의 투과유속 감소특성 (Characteristics of Flux Decline in Microfiltration Capillary Membrane of Bentonite Colloidal Suspensions)

  • 남석태;한명진
    • 멤브레인
    • /
    • 제15권1호
    • /
    • pp.52-61
    • /
    • 2005
  • 폴리에틸렌 정밀여과 모세관막을 이용한 벤토나이트 콜로이드 현탁액의 투과유속 감소특성을 검토하였다. 운전시간이 경과하면서 투과유속이 감소되는 원인은 막표면 위에서 케익층의 성장과 입자들에 의한 세공막힘 때문이었으며, 운전시간이 경과하여 정상상태에 도달하면 투과유속은 케익여과 모델에 의해 지배받는다. 운전압력이 높은 경우의 투과유속 감소는 세공막힘과 케익층이 치밀해졌기 때문이다. 운전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J/J₁는 감소하였으며, 0.5 kg/sub f//㎠일 때의 45%, 2.0 kg/sub f//㎠일 때 38%로 감소하였다. 운전압력 0.5 kg/sub f//㎠에서 총 막오염에 대한 성분오염의 비율은 표준세공막힘 14.6%, 완전세공막힘 23.4% 그리고 케익여과 62.0% 이었다. 순환흐름속도의 증가로 인해 투과유속은 증가하였고, 그 효과는 운전압력이 1.0 kg/sub f//㎠일 때가 운전압력 2.0 kg/sub f//㎠ 경우보다 컸다. 세공크기가 0.34 ㎛인 막의 투과유속은 세공의 크기가 0.24 ㎛인 막보다 컸으며, 용액의 농도에 따른 투과유속은 농도가 낮은 용액이 컸다. 세공크기가 0.34 ㎛인 막의 막오염 형태는 유사하지만 농도가 200 ppm인 용액의 경우 1000 ppm인 용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미약한 세공막힘 현상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