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FA_s$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초

Early Access to COVID-19 Vaccines and Rodrigo Duterte-style Vaccine Diplomacy

  • Ybiernas, Vicente Angel S.
    • 수완나부미
    • /
    • 제14권2호
    • /
    • pp.149-173
    • /
    • 2022
  • Vaccine nationalism and its implications to vaccine supply were a huge concern globally when COVID-19 vaccines first became available in 2021. At the time, vaccine supply was limited and it was difficult for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to get adequate supply of the COVID-19 vaccine to inoculate their people. At its most benign, vaccine nationalism delayed the access of poorer countries to vaccines that are widely considered as the long-term solution to the COVID-19 pandemic. Poorer countries needed to resort to diplomacy to wrangle early access to vaccine supply from vaccine-producing countries like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others. In particular, Philippine President Rodrigo Duterte leveraged his country's Visiting Forces Agreement (VFA) with the United States and the need for Filipino nurses by countries like the United Kingdom and Germany to secure early access to COVID-19 vaccines. It all seems trivial now (in 2022) because of better global vaccine supply, but in 2021 when countries scrambled for access to scarce COVID-19 vaccines, Rodrigo Duterte leveraged the Philippines' assets to gain early access to vaccine supply.

Effect of Phytogenic Feed Additives in Soybean Meal on In vitro Swine Fermentation for Odor Reduction and Bacterial Community Comparison

  • Alam, M.J.;Mamuad, L.L.;Kim, S.H.;Jeong, C.D.;Sung, H.G.;Cho, S.B.;Jeon, C.O.;Lee, K.;Lee, Sang Su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266-274
    • /
    • 2013
  • The effect of different phytogenic feed additives on reducing odorous compounds in swine was investigated using in vitro fermentation and analyzed their microbial communities. Soybean meal (1%) added with 0.1% different phytogenic feed additives (FA) were in vitro fermented using swine fecal slurries and anaerobically incubated for 12 and 24 h. The phytogenic FAs used were red ginseng barn powder (Panax ginseng C. A. Meyer, FA1), persimmon leaf powder (Diospyros virginiana L., FA2), ginkgo leaf powder (Ginkgo biloba L., FA3), and oregano lippia seed oil extract (Lippia graveolens Kunth, OL, FA4). Total gas production, pH, ammonianitrogen ($NH_3$-N), hydrogen sulfide ($H_2S$), nitrite-nitrogen ($NO_2{^-}$-N), nitrate-nitrogen ($NO_3{^-}$-N), sulfate (${SO_4}^{--}$), volatile fatty acids (VFA) and other metabolites concentration were determined. Microbial communities were also analyzed using 16S rRNA DGGE. Results showed that the pH values on all treatments increased as incubation time became longer except for FA4 where it decreased. Moreover, FA4 incubated for 12 and 24 h was not detected in $NH_3$-N and $H_2S$. Addition of FAs decreased (p<0.05) propionate production but increased (p<0.05) the total VFA production. Ten 16S rRNA DGGE bands were identified which ranged from 96 to 100% identity which were mostly isolated from the intestine. Similarity index showed three clearly different clusters: I (FA2 and FA3), II (Con and FA1), and III (FA4). Dominant bands which were identified closest to Eubacterium limosum (ATCC 8486T), Uncultured bacterium clone PF6641 and Streptococcus lutetiensis (CIP 106849T) were present only in the FA4 treatment group and were not found in other groups. FA4 had a different bacterial diversity compared to control and other treatments and thus explains having lowest odorous compounds. Addition of FA4 to an enriched protein feed source for growing swine may effectively reduce odorous compounds which are typically associated with swine production.

닭의 대장을 돼지의 대장이나 소의 제 1위 (Rumen)와 비교 연구 (Comparison of the Chicken Large Intestine to the Large Intestine of Pigs and the Rumen of Cows)

  • 남기홍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1-95
    • /
    • 2006
  • 닭의 대장은 해부학적, 생리학적으로 돼지의 대장이나 소의 men과 다르다. 닭의 대장은 소의 men이나 돼지의 대장에 비교하여 잘 발달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닭의 대장속에 있는 미생물군은 rumen 속의 것과 비슷하다. 특히 닭의 맹장속에는 많은 미생물이 있으며 이 미생물군은 나이, 사료, 성성숙의 정도, 항생제 사용 유무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단백질은 장내의 미생물 형성에 중요한 영양소이다. 닭에서 소장의 길이는 전장 길이의 65%를 차지하며 닭의 맹장은 8.1 %그리고 직장과 공장은 4.6 %를 차지한다. 소장 내에 분포하는 미생물 군은 현재까지 약 10%가 구명된 상태로서 나머지 90%에 대한 정보는 전무하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에너지, 저급지방산 (VFA)과 그리고 전해물질이 대장에서 약간씩 흡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닭의 소장은 각종 효소등이 분비되어 소화가 일어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앞으로도 많은 연구가 과당류 즉 sucrose thermal oligosaccharide caramel (STOP), fructooligosaccharides (FOS), mannanoligosaccharide (MOS), galactooligosaccharide (GOS) 그리고 isomaltooligosaccharides (IMO)등이 맹장과 대장내에서 어떻게 소화가 일어나는지에 관해서 집중되어야 한다. 과량의 섬유질 함량은 닭의 소화에 치명적일 수 있지만 적당량을 사료에 혼합하여 급여하면 소장의 길이와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메치오닌 수산화물의 첨가가 남은 음식물의 보관 중 성상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ionine Hydroxy Analogue on changes of Characteristics of food wastes in Incubator)

  • 이현준;김현섭;정하연;강수원;기광석;조광근;조재순;홍중산;김명국;이홍구;최윤재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3호
    • /
    • pp.59-67
    • /
    • 2002
  • 이 시험은 현재 우리나라 환경문제 중 하나로서 큰 오염원으로 인식되고 있는 남은 음식물의 재활용과 사료로서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한 보존재로서 MHA의 적정 사용량을 알아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소규모 식당에서 발생하는 남은 음식물을 수집하여 methionine 수산화물(MHA)을 처리하여 $40^{\circ}C$ 인큐베이터안에서 40일동안 변화를 관찰하였다. MHA를 원물중량의 1%, 3%, 5% 첨가구를 두고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염도는 MHA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p<0.05) pH는 MHA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휘발성지방산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는 30일 이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MHA처리구는 1, 3, 5% 첨가구 모두 15일차까지 감소하고 이후 일정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암모니아태 질소함량은 MHA의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시료의 외관상 변화는는 대조구에서 표면 곰팡이 발생과 연화정도가 심하게 나타내었으며, MHA 첨가구에서는 1%구에서는 표면의 얇은 곰팡이는 나타내었으나 내부는 변화를 보이지 않아 남은음식물의 고온상태에서의 변패 변질 방지를 위해 MHA를 1% 이상 첨가하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 PDF

Effects of Essential Oils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IgG Concentration and Fecal Noxious Gas Concentration of Weaned Pigs

  • Cho, J.H.;Chen, Y.J.;Min, B.J.;Kim, H.J.;Kwon, O.S.;Shon, K.S.;Kim, I.H.;Kim, S.J.;Asamer,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호
    • /
    • pp.80-85
    • /
    • 2006
  • Ninety six crossbred pigs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ssential oils (Fresta F $Conc^{(R)}$)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immune response and fecal noxious gas of weaned pigs. Treatments were 1) NC (negative control; basal diet without antibiotics), 2) PC [positive control; basal diet+CSP (CTC+Sulfathiazole+Penicillin) 0.1%], 3) NCF (basal diet+Fresta F $Conc^{(R)}$ 0.03%) and 4) PCF [basal diet+CSP (CTC+Sulfathiazole+Penicillin) 0.1%+Fresta F $Conc^{(R)}$ 0.02%]. From d 0 to 14, ADFI was increased in pigs fed PCF diet (p<0.05). From d 14 to 28, pigs fed PCF diet had greater ADG and ADFI than pigs fed NC diet (p<0.05). From d 28 to 49, ADG and ADFI in pigs fed PCF diet were higher than in pigs fed NC diet (p<0.05). Through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ADG and ADFI in pigs fed PCF diet were the highest compared to pigs fed NC and PC diets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cal consistency score among the treatments (p>0.05). No statistical differences (p>0.05) were found in red blood cells (RBC) counts, white blood cells (WBC) counts, lymphocyte counts, total protein and albumin. Serum IgG concentration of PCF treatment was greater than that of other treatments (p<0.05). From d 0 to 1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gestibility of dry matter and nitrogen among the treatments (p>0.05). From d 14 to 28, digestibility of dry matter in pigs fed PC, NCF and PCF diets was higher than that of pigs fed NC diet (p<0.05) and treatments with added essential oils were higher than other diets on digestibility of nitrogen (p<0.05). Also, from d 28 to 49, digestibility of nitrogen in pigs fed PCF diet was the highest among others (p<0.05). On d 14 and 28, no statistical differences (p>0.05) were found in volatile fatty acid (VFA), ammonia nitrogen ($NH_3$-N) and hydrogen sulfide ($H_2S$) concentrations among treatments. On d 4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FA concentration among the treatments (p>0.05). $NH_3$-N concentration in pigs fed PCF diet was lower than in pigs fed other diets (p<0.05). $H_2S$ concentration in pigs fed diets with added essential oils was lower than others.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ietary addition of essential oils and antibiotics into diets for weanling pigs improved growth performance, IgG concentration and nitrogen digestibility and decreased noxious gas concentration. Essential oils can be used to partly replace antibiotics in diets for weaned pigs without negative affects on growth performance.

휘발성지방산으로부터 미생물연료전지에 의한 전기 생산 (Electricity Generation from Volatile Fatty Acids (VFAs) Using a Microbial Fuel Cell)

  • 오상은;김수정;양재의;정영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9-185
    • /
    • 2007
  • 미생물연료전지는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면서 동시에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커다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유기성폐기물들이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고농도의 VFAs가 생성되므로 미생물연료전지가 이들 VFAs로부터 전기를 얻을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cetate, propionate, butyrate 및 실제 폐수인 식품가공폐수로부터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하여 전기발생 여부를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미생물연료전지를 이용하여 VFAs(acetate, propionate, butyrate)와 식품가공폐수로부터 전기를 얻을 수 있었고 투여한 acetate 농도에 비례하여 cathode로 전달되는 전자(Coulomb)는 비례하였다. 낮은 농도의 acetate에서 발생파워와 acetate 농도 사이에는 비례관계를 보였다. 이는 미생물연료전지가 낮은 농도의 유기물을 측정하는 센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acetate에 순화된 산화전극에 butyrate를 넣었을 때 순화의 시간이 필요하였으며 일정 순화시간 후 voltage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propionate를 넣었을 때는 순화시간 없이 급격하게 voltage가 상승하였다. 따라서 미생물연료전지의 생성파워가 향상된다면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면서 실생활에 이용할 수 있는 전기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Isopropyl Alcohol Infusions on the Ruminating Behavior of Goats

  • Asato, N.;Hirata, T.;Hirayama, T.;Onodera, R.;Shinjo, A.;Oshiro,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8호
    • /
    • pp.1085-1089
    • /
    • 2001
  • Metabolites, such as isopropyl alcohol (IPA) produced by rumen fermentation, were intravenously infused into a jugular vein of goats during feeding to explore the mechanism and roles of IPA in ruminating behavior (number of boli and ruminating time). Three female goats were confined in metabolism cages with a stanchion, The ruminating behavior measured by the number of ruminations, ruminating time, number of remastications, and remasticating time decreased (p<0,05) with intravenous IPA infusion. The IPA concentrations and VFA concentrations increased in the blood circulation. Our data suggest that sensitive receptors of rumination to IPA are more likely to be in an area such as the brain stem where they can respond to blood metabolite levels.

유형별 완전혼합사료 급여가 반추위내의 발효성상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ypes of TMR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Nutrients Digestibility in Sheep)

  • 이덕윤;고종렬;최낙진;이상석;송재용;이세영;박성호;성하균;하종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805-812
    • /
    • 2003
  • 본 시험은 유형이 서로 다른 세 가지 형태의 TMR을 반추위에 누관이 장착된 면양을 이용하여 3${\times}$3 라틴 방각법으로 반추위내 발효성상, 효소역가 및 전장 소화율을 조사하였다. 시험 결과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반추위 내 pH, 암모니아태 질소 농도, 총 VFA, 각종 VFA생성량, A/P ratio 및 각종 효소(CMCase, Xylanase 및 Protease) 역가는 건TMR를 급여했을 때와 비교하여 습TMR과 발효TMR급여 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건물, 유기물, 조단백질, 조지방, NDF 및 ADF의 전장 소화율도 건TMR 급여 시 보다 습TMR과 발효TMR를 급여했을 때 높게 향상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보다 안정적이고 활발한 반추위 발효과정과 영양소 이용효율 측면에서 건TMR보다 습TMR이나 발효TMR이 우수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산삼배양액 이용에 관한 반추위 미생물 대사 연구 (Effects of the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Vitro)

  • 배귀석;남경표;김혜숙;이상구;최행석;민우기;주종원;맹원재;장문백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6호
    • /
    • pp.987-996
    • /
    • 2003
  • 본 실험은 수준별 산삼 배양액에 의한 반추위 내 미생물 발효성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산삼 배양액의 수준에 따른 반추위 내 발효성상에 미치는 영향은 WGM을 3%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 및 다른 WGM 수준 첨가 처리구에 비하여 미생물 단백질 합성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삼 배양액 내에 존재하는 saponin의 영향으로 배양 초기 NH3-N 농도의 수준이 WGM를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은 경향(P〈0.05)을 보였으나, 미생물단백질 합성량은 WGM 처리구에서 6시간 이후 급격히 증가(P〈0.05)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용해도가 높거나 급여 초기 사료의 이용율이 저하되는 급여 체계에서 산삼 배양액을 첨가는 초기 반추위 미생물의 이용율을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반추위 내 프로토조아의 수는 WGM 처리구에서 전반적으로 배양 9시간까지 낮아졌고, 3%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는데(P〈0.05), 프로토조아 제거효과에 의해 반추위 미생물합성량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NDF와 ADF 소화율은 대조구와 모든 처리구에서 배양시간 경과에 따라 높아졌고, NDF 소화율은 대조구와 WGM 3% 처리구에서 그리고 ADF 소화율은 처리구별 차이가 없었다. Total VFA 생성량은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고, 배양 12시간부터는 5%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따라서 용해도가 높거나 급여 초기 사료의 이용률이 저하되는 급여 체계에서 산삼 배양액을 첨가는 초기 반추위 미생물의 사료 이용률 증진과 프로토조아 제거효과에 의해 반추위 미생물합성량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청초와 볏짚을 이용한 완전배합발효사료의 저장기간에 따른 화학조성분의 변화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Ensiling Periods of Total Mixed Fermentation Feeds using Rice Straw and Green Forages)

  • 이현준;김원호;김현섭;임근발;안병석;조광근;강승하;강상기;이홍구;우정희;최윤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769-782
    • /
    • 2002
  • 호맥, 연맥 및 혼합목초의 3가지 사료작물 청예를 수확시기를 일반적인 수확적기와 7일 조기수확으로 수확시기를 달리하고 볏짚과 밀기울과 곡류로서 옥수수와 콩을 체중 550Kg, 일일산유량 15Kg인 젖소착유우의 체중유지와 우유생산량을 유지하기 위한 완전사료로서 배합한 후 각각 7개의 60리터 밀폐용기에 충분히 진압하여 담근 후 제조 당일과 5, 10, 25, 35, 60 및 100일에 각각 개봉하여 각각의 TMFF의 영양적 가치변화를 조사하였다. 각 TMFF의 평균 수분, 조단백질(CP), ADF, NDF, Ca 및 P 함량은 각각 72${\sim}$75%, 14.75${\sim}$18.24%, 12.47${\sim}$19.07%, 39.82${\sim}$47.01%, 0.99${\sim}$1.07% 및 0.38${\sim}$0.41%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TMFF의 초종간 비교에 있어서는 조단백질 함량은 혼합목초-TMFF가 가장 높게 나타내었으며, ADF, NDF함량에 있어서는 호맥-TMFF의 것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내었다(P<0.05). 수확시기에 따라서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제조 후 경과일수에 따라서는 전체적으로 영양성분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 0.05). TMFF의 내부온도는 외기의 영향을 받으며 평균적으로 1${\sim}$5 정도 낮게 나타내었는데, 겨울철에 제조된 연맥-TMFF에 있어서는 제조 후 10일까지는 오히려 6${\sim}$9 정도 더 높게 나타내었다가 이후 감소하여 초기발효열로 인한 TMFF의 내부온도 상승 양상을 나타내었다(P<0.05). TMFF의 산도(pH)는 전체적으로 4.0${\sim}$4.2범위로서 초종의 차이나 수확시기에 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TMFF의 암모니아태질소($NH_3$-N) 함량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7.79${\sim}$8.23mg/$d{\ell}$의 범위에서 수확시기와 제조 후 경과일수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MFF의 휘발성지방산 함량은 호맥-TMFF의 acetic acid와 butyric acid 함량이 높게 나타내었으며 제조일수의 경과에 따라서는 lactic acid와 butyric acid 함량이 각각 증가하여 나타내었다(P<0.05). 그리고 제조가 완료된 TMFF에서 채취한 볏짚들의 시험관내 건물소화율 시험결과에 있어서 무처리볏짚에 비하여 15${\sim}$20% 이상의 소화율 향상을 나타내었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