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_2$

검색결과 51,311건 처리시간 0.07초

아마종실과 $\alpha$-Tocopherol, 셀레늄 급여가 육계 혈액의 탐식세포로부터 생성되는 $O_{2}$-와 $H_{2}$ $O_{2}$ 에 의해 유도된 화학발광(chemiluminescence) 생성 (Effect of Full-Fat Flax, $\alpha$-Tocopherol and Selenium on Phagocytes Chemiluminescence of Broiler Chickens)

  • 안종남;채현석;김동운;권명상;박병성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39-244
    • /
    • 2001
  • 육계를 13주간 사육하면서 5주령부터 시험사료를 급여한 후 세포표면항원의 발현과 탐식세포에서 생성되는 $O_{2}$ -와 $H_{2}$ $O_{2}$ 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항원 특이적인 항체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마종실과 항산화제 무첨가구 ($T_{1}$), 아마종실만을 혼합한 사료 ($T_{2}$), 아마종실에 ;$\alpha$ -tocopherol 첨가구 ($T_{3}$ )와 아마종실에 $\alpha$ -tocopherol과 셀레늄 첨가구 ($T_{4}$ )를 육계에 급여한 바, 시험사료를 2주간 급여시 호중구 및 macrophages와 같은 탐식 세포의 $O_{2}$ -와 $H_{2}$ $O_{2}$ 생성 능력은 시험구 ($T_{2}$ , $T_{3}$ ,$T_{4}$ )들이 $T_{1}$ 구보다 증가하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시험사료를 4주간 급여시 $O_{2}$ -와 $H_{2}$ $O_{2}$ 생성 능력은 $T_{2}$ 구와 $T_{1}$ 구간 큰 차이는 없었으나 $T_{3}$ 구와 $T_{4}$ 구의 $O_{2}$ -생성능력은 $T_{1}$ 구보다 각각 6%와 18%가 증가하였고, $H_{2}$ $O_{2}$ 생성 능력은 각각 9.5%와 10.9%가 증가하였다. 시험사료를 8주간 급여한 후 $T_{3}$$T_{4}$ 구의 $O_{2}$ -생성능력은 $T_{1}$ 구에 비하여 50%가 넘은 유의성 (P<0.01) 있는 강력한 증가가 있었고, $H_{2}$ $O_{2}$ 생성능력은 각각 6.6%와 9.3%가 증가하였다.

  • PDF

표적 위치의 불확실성과 표적 가시성이 주의깜박거림 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ocation Uncertainty and Visibility of Targets on the Strength of Attentional Blink)

  • 김기연;현주석
    • 인지과학
    • /
    • 제27권2호
    • /
    • pp.275-301
    • /
    • 2016
  • 주의깜박거림(AB)이란 시야의 고정 위치에 신속순차제시(RSVP)되는 항목들 중에 출현하는 두 표적에 대해 후행 표적(T2)이 선행 표적(T1)의 출현 이후 약 500ms 이내에 출현할 경우 그에 대한 의식적 수준의 보고가 어려워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T1 기억공고화에 요구되는 주의자원량이 T2에 대한 AB 강도를 결정한다는 병목 모형을 토대로 T1에 대한 표적 가시성 처치가 T2에 대한 주의깜박거림의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T1 저가시성 조건의 경우 T1에 배경화면과의 명암대비가 낮은 회색을 그리고 T1 고가시성 조건의 경우 선명한 색상을 부여해 흰색의 나머지 방해자극들과 구분되도록 처치하였다. 또한 표적 위치에 대한 불확실성 부여를 위해 시야의 네 위치에 전개되는 다중 RSVP 배열 내에 T1과 T2를 제시해 표적처리에 관여하는 주의 자원을 평균적으로 소진시켰다. 두 편의 실험에서 T2에 대한 AB의 강도는 고가시성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큰 것이 관찰되었으며 T2의 가시성을 증가시켰을 때 T1 가시성 처치의 영향력이 더욱 분명해졌다. 이러한 결과는 T1 병목 해소를 위해 할당되는 가용한 주의 자원의 양이 부족할수록 더욱 T1 가시성 효과의 영향력이 분명해짐을 시사하며, T1의 가시성 수준이 T1 병목의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는 병목 모형의 제안을 지지한다.

Holstein 거세 비육우 성장단계별 채식 행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Eating Behavior of Holstein Steers by Growth Stages (Bos taurus))

  • 허병준;김은중;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34-241
    • /
    • 2021
  • 본 연구는 Holstein 거세 비육우의 성장 단계에 따른 채식 및 반추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공시 Holstein 거세우는 육성 단계(T1), 비육전기 단계(T2) 그리고 비육 후기 단계(T3)을 각각 3두씩, 총 9두를 3처리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사료급여는 농후사료 체중의 1.62%, 조사료는 자유 채식시킨 후 육안으로 48시간 채식 행동관찰을 실시하였다. 체중대비 건물섭취량은 T1구(2.21%) 가장 높게 T3구(1.39%)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채식시간은 T1, 반추시간은 T2 그리고 휴식시간은 T3 구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0.01). 저작 시간은 T1 및 T2구에 비하여 T3구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식괴수와 총 저작수는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T2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그러나 식괴 당 저작수 및 분 당 식괴수는 T1구가 높게 나타났지만 상호 처리간 유의적인 수준은 나타나지 않았다. 음수 회수 및 배분 회수는 처리구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배뇨 회수는 어린 단계인 T1 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음수 시간, 배분시간, 배뇨시간은 T1 구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개체 차이가 심하여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비육후기 단계(T3)는 육성(T1) 및 비육전기(T2)비하여 체중대비 채식량이 낮음에 따라 채식시간 반추시간은 줄어들고 휴식시간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3구는 총 식괴수 및 총 저작수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2 Toxin이 병아리 비장세포의 유전질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2 Toxin on the Mitogen-Induced Blastogenesis in Chick Splenic Cell)

  • 전향숙;정덕화;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85-589
    • /
    • 1994
  • 시험관 내에서 T-2 toxin이 병아리 비장세포의 blastogenesis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B-cell mitogen인 lipopolysaccharide 및 T-cell mitogen인 concanavalin A 자극에 대해 T-2 toxi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억제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노출시기를 달리하여 T-2 toxin을 투여한 병아리의 비장세포에서 mitogen 자극에 내한 반응을 안아 본 결과, 부화하기 전과 후에 계속 T-2 toxin에 노출시킨 실험군은 가장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화전 혹은 부화후 어느 한 시기에만 T-2 toxin에 노출된 실험군은 비교적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박테리오파아지 T7 의 기능에 관한 연구;복제단백질간의 단백질 상호작용 (Funcyional Studies on Gene 2.5 Protein of Bacteriophage T7 : Protein Interactions of Replicative Proteins)

  • 김학준;김영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85-192
    • /
    • 1996
  • 박테리오파지 T7 gene 2.5 단백질은 single-stranded DNA 결합 단백질로 박태리오파지 T7의 DNA복제, 재조합, 및 수선에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Gene 2.5 protein은 T7의 DNA 합성과 성장에 필수적인 단백질이다. Gene 2.5 Protein이 중요시 되는 이유는 이 단백질이 T7의 다른 복제 필수단백질인 T7의 다른 복제 필수단백질인 T7 DNA polymerase 와 gene 4 protein(helicase/primase)와 서로 상호작용할 것으로 제안되었기 때문이다. (Kim and Richardson, J. Biol. Chem., 1992;1994). 이 단백질의 단백질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domain은 carboxyl-terminal domain일 것으로 여러 실험에서 대두되었기에, 이 domain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야생형과 변이체 gene 2.5 단백질들을 각각 GST에 융합한후 fusion 단백질을 정제하였다. 정제된 이 융합 단백질들의 carboxyl-terminal domain이 T7 복제 단백질들과 상호작용을 조사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affinity chromatography로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아생형 GST-gene 2.5 융합단잭질(GST-2.5 (WT))는 T7 DNA polymerase 와 상호작용을 하였지만. 변이형 융합단백질(GST-2.5$\Delta$21C)는 interaction을 하지 못했다. 이 결과는 carbohyl-terminal domain이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하는데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GST2.5(WT)는 gene 4 protein(helicase/primase)와 직접 상호작용을 하나. GST2.5$\Delta$21C는 상호작용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gene 4 proteins와의 상호작용에도 gene 2.5 protein의 carboxyl-terminal domain이 직접 관여 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gene 2.5 protein은 박테리오파지 T7 의 유전자 목제 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에 관혀아며, 특히 gene 2.5 protein의 carboxyl-terminal domain이 이러한 상호작용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domain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 PDF

산란노계의 인공수정에 있어서 적정주정간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um Insemination Interval in Aged Egg-Type Fowl)

  • 이재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1-96
    • /
    • 1983
  • 본시험은 산란노계의 인공수정에 있어서의 적정주정간격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580일령 백색레그혼 수탉 20수, 530일령 갈색실용산란계암탉 120수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기간중의 평균산란율은 61.6%이었고 공시란은 2,283개이었다. 주정간격 T$_1$ 2일, T$_2$, 4일, T$_3$ 6일의 3개 처리구를 설정하여 혼합정액을 1회 0.03$m\ell$씩 주입하였다. 6일마다 알을 수집, 부화 5일만에 투시검란하였던 바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시험기간중의 주정간격별 평균수정율은 T$_1$(2 일) 87.5%, T$_2$(4 일) 81.1%, T$_3$(6 일)65.1%로서 T$_1$과 T$_3$, T$_2$와 T$_3$ 사이에 5% 수준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주정후의 일별수정율의 평균은 각구 모두 주정 후 제2일이 가장 높아서 T$_1$, 90.7%, T$_2$, 84.0%, T$_3$, 71.7%이었으며, 그 이후는 점진적으로 조금씩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시험결과를 종합컨대 노산란계에 있어서의 적정주정간격은 2일이라 하겠으며, 전반적으로 주정회수를 거듭함에 따라 수정율이 점증하였는데 2일간격 주정의 경우 최고수준의 수정율(98.2%)에 도달하는 주정회수는 6회차 이었다.

  • PDF

브로일러의 혈액지질, 닭고기의 지방산 및 지방산패도에 관한 파리번데기 동충하초 급여효과 (Effect of feeding diet containing Cordyceps with fly pupa on blood lipid, fatty acid and TBARS in broiler chickens)

  • 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3-283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eeding effect of a diet containing Cordyceps with fly pupa on the changes in blood lipid profile from broiler chickens, fatty acids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in chicken meat. A total of 360 chicks (Ross strain 308) were divided on hatch day into four treated groups with respect to a 35-day feeding regimen: T1 (control group), T2 (2.0% Cordyceps with fly pupa), T3 (3.5% Corceps with fly pupa) and T3 (5.0% Cordyceps with fly pupa). Blood triacyl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5.32-10.63% and 9.23-12.62%, respectively, in groups T2, T3 and T4 when compared to T1 (p<0.05). Water holding capacity was significantly highest in T2 (p<0.05),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T2, T3 and T. In chicken meat, the ratio of saturated fatty acid to unsaturated fatty acid was high in the T3 and T4 groups, the ratio of n-6 to n-3 fatty acid was low in the T2, T3 and T4 groups and oleic acid (18:1n-9) was high in the T2, T3 and T4 groups, when compared to T1 (p<0.05). TBARS tended to increase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in days), and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hicken thigh muscles with skin in groups T2, T3 and T4 as compared to T1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diet containing 2.0-3.5% of Cordyceps with fly pupa may decrease blood lipid and improve both the shelf-life and quality of broiler chicken meat.

배합사료의 자유 및 제한 급여가 거세한우의 성장단계별 증체, 사료섭취량 및 혈중 대사물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 libitum and Restricted Feeding of Concentrates on Body Weight Gain, Feed Intake and Blood Metabolites of Hanwoo Steers at Various Growth Stages)

  • 권응기;홍성구;성환후;윤상기;박병기;조영무;조원모;장선식;신기준;백봉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745-758
    • /
    • 2005
  • 본 연구는 한우 거세우 258두를 이용하여 배합사료 자유급여와 제한급여에 따른 증체량, 사료 섭취량, 혈중대사물질의 농도 및 혈액상에 대한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전기간 배합사료 자유급여구(T1)와 생후 6-18개월령 배합사료 제한급여구(T2) 2처리로 하였으며, 배합사료의 제한급여 수준은 육성기에는 체중의 1.2-1.5% 그리고 비육전기에는 체중의 1.7-1.8% 수준으로 하였다. 생후 10-14개월령의 일당증체량은 T2구에 비해 T1구에서 많았으나(p<0.05), 20-24개월에는 T1구에 비해 T2구의 일당증체량이 많았다(p<0.05). 총 건물섭취량의 경우 생후 10, 12 및 16개월령에는 T1구에서, 22개월령에는 T2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p<0.05)를 보였을 뿐 여타 월령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사료요구율은 20-30개월령까지 T1구에 비해 T2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생후 12, 14, 16 및 18개월령의 혈중 albumin 농도는 T1구에 비해 T2구에서 높았으나(p<0.05), 12-18개월령을 제외한 다른 월령에서는 처리간의 농도 차이는 없었다. 생후 14 및 16개월령의 혈중 triglyceride 농도는 T2구에 비해 T1구에서 높았으며(p<0.05), 8, 10, 16 및 22개월령의 혈중 IP 농도는 T1구에 비해 T2구에서 높았다(p<0.05). 생후 8-12개월령의 MCV와 MCH는 T1구에 비해 T2구에서 낮았으나(p<0.05), 10-12개월 MCHC는 T1구에 비해 T2구에서 높았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육성기 배합사료 제한급여는 비육기 증체에 대한 부의 영향이 없고 비육후기 사료요구율도 감소시키기 때문에 육성기의 배합사료 제한급여가 바람직하다.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상 임파절종대가 없는 비소세포암 환자에 있어서 술전 병기판정 (Preoperative Staging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without Lymphadenopathy on Computed Tomogram)

  • 차승익;김창호;박재용;정태훈;장봉현;강덕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6호
    • /
    • pp.616-623
    • /
    • 1994
  • 연구목적: 수술전 전산화 단층촬영상 임파절종대의 소견이 없는 $T_{1-3}N_0M_0$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전 후 병기의 차이를 비교하여 이들에 있어 수술전 관혈적인 병기판정의 필요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방법: 경북대학교병원에서 비소세포폐암으로 개흉절제술을 받았던 환자들 가운데 수술전 병기가 $T_{1-3}N_0M_0$인 41명을 대상으로 수술전과 수술후의 병기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1) 수술전 병기는 I기의 경우 $T_1N_0M_0$ 3예, $T_2N_0M_0$ 32예로 모두 35예였고 IIIa기 ($T_3N_0M_0$)는 6예였다. 종양의 위치는 중심형 폐암 24예, 말초형 폐암 17예였는데 IIIa기는 모두 중심형 폐암이었다. 2) 수술후 병기는 I기의 경우 $T_1N_0M_0$ 2예, $T_2N_0M_0$ 25예로 모두 27예였고 II기의 경우 $T_1N_1M_0$ 1예, $T_2N_1M_0$ 3예로 모두 4예였으며 IIIa기는 $T_3N_0M_0$ 1예, $T_3N_1M_0$ 2예, $T_3N_2M_0$ 4예, $T_2N_2M_0$ 2예로 모두 9예였고 IIIb기($T_4N_1M_0$)는 1예였다. 3) 수술후 T의 변화가 있은 경우는 $T_2$ 32예 가운데 2예는 $T_3$$T_3$ 6예중 1예는 $T_4$로 판명되었다. 4) 수술후 $N_1$으로 판명된 경우는 7예였고 $N_2$로 판명된 경우는 6예였다. 5) 수술전 T에 따른 임파절전이는 $T_{1-2}$인 경우는 35예 중 8예($N_1$ 5예, $N_2$ 3예)였고 $T_3$인 경우는 6예중 5예($N_1$ 2예, $N_2$ 3예)로 $T_{1-2}$에 비해 $T_3$에서 임파절 전이빈도가 높았고 $N_2/N_1$비도 높았다 그러나 수술전 $T_{1-2}$경우 종양의 위치에 따른 임파절전이의 차이는 없었다. 6) 41예의 대상환자중 $N_2$ 6예와 $T_4$ 1예를 제외한 34예에서 완전 절제가 가능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전산화 단층촬영상 임파절종대가 없는 비소세포암의 수술전 병기판정시 수술전 $T_3$에서는 종격동경 검사 등의 관혈적인 병기판정방법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Sorghum $\times$ Sudangrass 교잡종과 간작에 의한 청예 두과작물 선발 (Selection of Legume Crop by Intercropping with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 이상무;전병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3-104
    • /
    • 1996
  •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in Chungju and Jungwon to evaluat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protein yield and palatability of intercropping comparing with monocropping forage crops by the use of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S.S.H.), five forage soybeans and two forage cowpeas of superior to selected experiment of varieties. All eight treatment plots were replicated three times and cutting date were cut July 6 and September 9. 1. The mean leaf number of S.S.H. in intercropping T2 treatment showed high compared to T1 treatment in all treatment except for Hwangkeum treatment, but T3 treatment was lower than the other treatments. In the leaf number of soybean, Jangbaek treatment was the highest as 47 leaves per plant, cowpea treatments showed high above 50 leaves. The stem diameter of S.S.H. in Jangyeob treatment of T2 treatment was 9.6mm. In legume, cowpea of T3 treatment was high as ranged from 7.9mm to 8.2mm. In stem hardiness of S.S.H., TI treatment was the lower than the other treatments, while Jangbaek treatment of T2 treatment was the highest as $2.0kg/cm^2$. In legume crops, Jangbaek and Baekun treatment were the highest as $1.6kg/cm^2$, but T3 treatment was very low as $0.3~0.6kg/cm^2$. 2. In the mean leaf ratio of S.S.H., T1 treatment was higher than T2 and T3 treatment as 34.9%. In the legume crops, Togyu treatment was the highest as 40.9%. In the mean tiller number of S.S.H., T2 treatment showed high compared to TI treatment, but T3 treatment of was rather decrease than The tiller number of S.S.H. in Jangyeob treatment of T2 treatment was the highest as 4.6 per plant. The dead stubble of S.S.H. was high in order to T3>T1>T2 treatment>, T3 treatment was highly about 2 times compared to T2 treatment. 3. S.S.H. as T3 treatment was resistant to lodging, but T3 and T1 treatment showed highly lodging. In the legums, T3 treatment was resistant to lodging, but T2 treatment showed highly lodging. In the S.S.H. of T2 treatment, the leaf of summer depression was not occurrence, but T3 treatment was higher than the other treatments. 4. The palatability of domestic animals was high in order of T2>Tl>T3, especially Togyu treatment of T2 treatment was the highest at the holstein and deer, and Jangyeob treatment of T2 treatment was the highest in the Korean native cattle. But T3 treatment was lower than other treatments in the holstein and Korean native cattle. 5. Fresh yield of monocropping(T1) was the highest as 94, 650kg/ha, while dry matter yield in Jangyeob treatment of T2 treatment was the highest as 15, 575/ha But fresh yield and dry matter yield of T3 treatment were the lowest(P<0.05). 6. Protein yield in T2 treatment was high, especially Jangyeob treatment of T2 treatment was the highest as 1, 605.5 kg/ha T3 treatment was low in spite of high protein content, because dry matter yield was lower than the other treatments. In conclusion, among T1, T2 and T3 treatment, Jangyeob, Togyu and Baekun treatments of T2 treatment showed optimum varieties for intercropping with S.S.H., because they showed high Dry matter yield, protein yield and palatab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