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_{1}$

검색결과 25,236건 처리시간 0.053초

산모(産母)와 태아(胎兒)의 혈청 Cholesterol 및 Lipoprotein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olesterol and Lipoprotein in the Maternal and Fetal Serum)

  • 이귀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권2호
    • /
    • pp.75-82
    • /
    • 1972
  • Fifteen cases of primiparas and their offsprings (fetal cord) were investigated with regard their serum total, free and esterified cholesterol by means of Liberman Buchard reaction. The serum ${\alpha}-and\;{\beta}-lipoprotein$ were analyzed by cellulose acetate electrophoresis, and the serum atherolipid numbers were calculated on the bases of the serum total cholesterol and ${\beta}-/{\alpha}-$ lipoprotein ratio,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 1.Total, free and esterified cholesterol are $178.9{\pm}25.3$, $45.1{\pm}12.6$ and $133.7{\pm}20.6\;mg.%$ in the normal control women, $201.5{\pm}29.5,\;58.7{\pm}42.1$ and $157.1{\pm}26.2\;mg.%$ in the maternal blood, showing hypercholesterolemia in the latter as compared to the former. 2. The serum total, free and esterified cholesterol in the cord blood are $94.5{\pm}20.4$, $32.9{\pm}1.5$ and $61.2{\pm}18.9mg.%$, showing hypocholesterolemia as compared to the control women and maternal blood. 3. The serum ${\alpha}-$, $pre-{\beta}$, ${\beta}-lipoprotein$ and chylomicron are $24.2{\pm}4.2$, $17.3{\pm}3.4$, $51.8{\pm}4.8$ and $6.0{\pm}1.6%$ in the normal women, whereas $14.9{\pm}2.1$, $22.2{\pm}5.1$, $58.7{\pm}3.3 and 3.1{\pm}1.2%$ in the maternal serum, $32.4{\pm}8.1$, $28.8{\pm}2.4$, $25.8{\pm}7.0$ and $3.1{\pm}0.9%$ in the cord serum, showing $hyper-{\beta}-lipoproteinemia$ in the former and $hypo-{\beta}-lipoproteinemia$ in the latter. 4. The serum atherolipid number of the normal control women, maternal cord blood are $4.21{\pm}1.24$, $8.02{\pm}1.42$ and $1.12{\pm}0.37$, showing hyperlipemia in the former and hypolipemia in latter. 5. The relative ratio of the serum free and esterified cholestrol of both normal control women and maternal blood is about 1 : 3, while that of the fetal blood about 1 : 2. 6. The relative ratioes of the serum ${\alpha}-and$ ${\beta}-lipoprotein$ in the control women is about 1 : 2, that of materna blood about 1 : 3 and that of the fetal blood about equal magnitude. 7. The serum esterified cholesterol, ${\alpha}-lipoprotein,\;{\beta}-/{\alpha}-lipoprotein$ ratio and atherolipid number fluctuates are proportionally between the maternal and fetal blood, while the serum free, total cholesterol and ${\beta}-lipoprotein$ between the two vary inversely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elations. 8. It is apparent from the above results that the fetal nutritional demand for lipids resulted from hypocholesterolemia and hypo ${\beta}-lipoproteinemia$ seems to be met satisfactorily by maternal hypercholesterolemia and hyper ${\beta}-lipoproteinemia$, which seems to pose a significant maternal-infant nutritional relationship. A brief ciscussion was made on these conciusion in the light of biochemistry and endocrinology.

  • PDF

전통 고추장의 맛성분 (Studies on Tast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chujang)

  • 신동화;김동한;최웅;임대관;임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2-156
    • /
    • 1996
  •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조미식품인 고추장의 품질개선과 담금 방법을 과학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하여 전국의 각 가정에서 담은 55점의 전통 고추장을 수집하여 맛성분 특성을 조사하였다. 고추장의 유리당은 glucose $(8.21{\pm}5.62%)$와 maltose $(6.95{\pm}7.27%)$가 대부분이고 fructose $(1.88{\pm}1.27%)$와 sucrose $(1.05{\pm}1.21%)$가 소량 존재하였다. 유기산은 succinic acid $(901.83{\pm}826.23\;mg%)$, citric acid $(484.16{\pm}242.89\;mg%)$, lactic acid $(381.63{\pm}367.88\;mg%)$ 함량이 많았고 acetic acid, oxalic acid, formic acid는 소량 존재하였다. 고추장 중의 총 유리 아미노산은 64.35 mg%이었으며, proline $(10.66{\pm}6.27\;mg%)$, glutamic acid $(9.27{\pm}10.97\;mg%)$, aspartic acid $(9.14{\pm}5.84\;mg%)$, lysine $(6.19{\pm}6.66\;mg%)$, serine $(5.72{\pm}3.79\;mg%)$함량이 많았다. 핵산 관련물질은 CMP가 $42.90{\pm}28.16\;mg%$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hypoxanthine $(6.86{\pm}3.45\;mg%)$, IMP $(5.59{\pm}5.84\;mg%)$, inosine $(4.58{\pm}6.91\;mg%)$, GMP $(3.36{\pm}3.93\;mg%)$순이었으며 AMP나 UMP는 소량 존재하였다.

  • PDF

PRODUCTION PERFORMANCE AND MILK PRODUCING EFFICIENCY IN DIFFERENT FILIAL GROUPS OF H. FRIESIAN × SAHIWAL HALFBREDS

  • Chaudhry, M.Z.;Tahir, M.J.;Rafique,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7권3호
    • /
    • pp.383-387
    • /
    • 1994
  • Six heifers each of $F_1$, $F_2$, $F_3$, $F_4$ H. Friesian $\times$ Sahjwal halfbreds and pure Sahiwal with overall average initial age and live weight of $315.6{\pm}134.8 days$ and $143.8{\pm}48.5kg$, respectively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under trial animals were fed according to N.R.C. (1978). The overall average age at maturity, first conception and first calving was $563.8{\pm}116.8$, $675.8{\pm}135.6$ and $956.8{\pm}149.8days$ with live weights as $302.2{\pm}58.6$, $342.6{\pm}41.5$ and $433.9{\pm}38.1kg$, respectively. The overall 305 days and total milk yield for 1st lactation was $2,729.0{\pm}669.3$ and $2,992.7{\pm}377.5litre$ while the FCM (at 4%) was $2,934.2{\pm}410.8litre$. The lactation length was $336.6{\pm}69.6days$. The fat and solids not fat contents were $4.5{\pm}0.2$ and $8.2{\pm}0.3percent$, respectively. The milk production in Sahiwal cow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rossbred cows. The services per conception were $2.5{\pm}1.3$. The overall per head per day consumption of DM, TCP and ME was $10.9{\pm}1.2kg$, $1,399{\pm}199gm$ and $22.6{\pm}2.4 M.Cal.$, respectively. The overall milk producing efficiency for the production of one litre of FCM was $1.12{\pm}0.15kg$ of DM, $142.2{\pm}17.76gm$ of TCP and $2.31{\pm}0.27M.Cal.$ of energy while the feeding cost was Rs. $1.46{\pm}0.22$ per litre of FCM produced. The feeding cost per litre FC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ahiwal and $F_2$ than in other genetic groups.

원발성 자연기흉의 폐기포 절제시 비디오 흉강경수술과 정중액와 개흘술의 비교 -폐기포 절제시 비디 오흉강경수술- (A Comparison of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with Mid-axillary Thora- colomy in the Treatment of Spontaneous Pneumothorax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in the Treatment of Spontaneous Pneumothorax-)

  • 오성철;김대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7호
    • /
    • pp.728-733
    • /
    • 1996
  • 1922년 Jacobaeus가 흥강경을 처음으로 기술한 이래, 비디오흥강경수술은 많은 흉부 질환에 적용되어 왔다. 본원에서는 1994년 6월부터 1995년 7월까지 원발성 자연기흥을 가진 35명의 환자를 실험군으로 하여 비디오 흥강경수술을 시행하였고, 같은 수의 자연기흥 환자를 대조군으로 하여 정중액와 개흥술로 폐기포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양군으로 부터 얻은 임상결과를 다음과 같이 비교하였다. 1. 성별분포는 실험군에서 남자 28명, 여자 7명이고, 대조군에서는 남자 30명, 여자 5명으로 양군에서 남 자가 대부분이었다. 연령분포는 실험군에서 최소 17세, 최고 69세, 평균 28.5$\pm$ 12.6세이고, 대조군에 서는 최소 15세, 최고 39세, 평균 23.9$\pm$6.3세를 보였다. 2. 수술시간은 실험군에서 평균 98.8 $\pm$39.3분이고 대조군에서 103.6$\pm$32.6분 이 었다. 3. 술후 흥관 삽관기간은 실험군이 평균 2.60$\pm$0.98일, 대조군이 평균 4.80$\pm$2.08일(P<0.01)이고, 술후 재원기간은 실험군이 최단 2일 최장 6일 평균 4.17$\pm$1.22일, 대조군이 최단 )일 최장 15일 평균 6.69 $\pm$ 2.52일(P<0.01)로 술후 흥관 상관기간 및 재원기간이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짧았다. 4. 술 \ulcorner진통제 투여는 수술일 실험군이 1.57$\pm$0.74회1명, 대조군이 2.23 $\pm$0.60회1명이고(P<0.01), 술후 1 일째에는 실험군이 1.97 $\pm$0.70회1명, 대조군이 2.60$\pm$0.67회1명(P<0.01), 술후 2일째에는 실험군이 1 00$\pm$0.68회1명, 대조군이 2.17$\pm$0.76회1명(P<0.01)으로 실험군에서 현저한 감소를 보였고, 술후 재원 기간 중 평균 투여기간과 투여량에서도 실험군에서 각각 2.48$\pm$1.01일1명, 4.88 $\pm$ 3.70회1명이고 대조 군에서는 각각 3.70$\pm$ 1.40일1명, 8.94$\pm$4.21회1명으로 실험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1, p< 0.01). 저자들은 위의 결과로, 비디오 흥강경수술을 받은 군이 정중액와 개흥으로 폐기포 절제술을 시행받은 군보다 수술후 회복이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일부 한국 아동의 철분과 아연 섭취 및 배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lance of Iron and Zinc in Korean Children)

  • 최인선;이경화;오승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2-20
    • /
    • 1998
  • In this study, the food intake, feces and urine of 14 primary school age boys and girls were collected and intake and excretion of iron and zinc were measured. The boys and girls were 8-12 years old and measurement continued for four weeks during which they maintained their normal living pattern. Each boy's and girl's daily intake and excretion of iron and zinc were measured and apparent digestibility and balance were also calcul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Mean daily intake of iron was $14.9\pm{0.6mg}$ for the boys and $12.4\pm{0.5mg}$ for the girls. Mean daily intake of zinc was $11.8\pm{1.2mg}$ for the boys and $11.5\pm{0.4mg}$ for the girls. Mean daily fecal loss and apparent digestibility of iron was $6.1\pm{0.3mg}$ and $58.8\pm{2.0%}$ for the boys and $6.8\pm{0.1mg}$ and $44.1\pm{2.0%}$ for the girls. Mean daily fecal loss and apparent digestibility of zinc was $9.3\pm{0.2mg}$ and $14.4\pm{5.1%}$ for the boys and $9.7\pm{0.4mg}$ and $14.3\pm{4.3%}$ for the girls. Mean daily urinary loss of iron was $1.1\pm{0.1mg}$ and showed the positive balance of $7.86\pm{0.6mg}$ for the boys and $0.5\pm{0.1mg}$ and showed the positive balance of $5.14\pm{0.4mg}$ for the girls. Mean daily urinary loss of zinc was $0.5\pm{0.1mg}$ and showed the positive balance of $1.03\pm{0.6mg}$ for the girls.

  • PDF

시판 라면스프류 중의 매운맛 성분 분석 최적화 및 활용 (Optimization in Analytical Method and Quantitation of Major Heat Principles from Soup Base of Commercial Ramens)

  • 김현위;김영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13
    • /
    • 2004
  • 고추의 매운맛 성분(캅사이신)과 후추의 매운맛 성분(피페린)의 효율적인 추출방법과 동시분석 할 수 있는 HPLC분석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시판 라면스프류를 대상으로 하여 매운맛 성분들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수치화한 후 향신료의 사용량을 알아보았다. 즉, 고추(n=8)에는 캅사이신 함량이 48.75-87.58mg/100g, 후추(n=7)에는 피페린의 함량이 2900-5520mg/100g 함유되어있는 것으로부터 라면 중의 고추와 후추의 사용량을 추정할 수 있었다. 라면스프류를 분석한 결과는 봉지면(n=24)의 경우 캅사이신이 $2.47{\pm}1.49mg/100g$, 피페린이 $46.20{\pm}16.10mg/100g$ 사용량 추정치는 고추 $4.02{\pm}2.37%$, 후추 $1.23{\pm}0.43%$이었고, 용기면(n= 17)의 경우는 캅사이신이 $2.02{\pm}1.18mg/100g$. 피페린이 $41.98{\pm}23.12mg/100g$로 사용량 추정치는 고추 $3.28{\pm}1.92%$. 후추 $1.09{\pm}0.60%$이었다. 대체로 용기면의 경우 캅사이신이나 피페린 함량이 낮은 것으로 보아 고추나 후추의 사용량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매운맛을 강조하는 라면(n= 5)에서는 캅사이신이 $4.83{\pm}2.69 mg/100 g$, 피페린이 $69.49{\pm}20.03mg/100g$로 사용량을 추정해 본 결과는 고추 $8.62{\pm}4.42%$, 후추 $1.79{\pm}0.58%$이었다. 또한 비빔면류(n=5)의 경우 캅사이신이 $14.29{\pm}5.72mg/100g$, 피페린은 불검출 되었으며, 이에 고추사용량 추정치는 $24.73{\pm}10.05%$로서 고추분만을 사용함을 확인하였다.

쌀 가공제품을 위한 다양한 쌀의 품질분석 (Quality Analysis of Diverse Rice Species for Rice Products)

  • 김혜련;권영희;김재호;안병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42-148
    • /
    • 2011
  • 쌀 가공제품을 위한 다양한 쌀의 품질분석을 위해 국내산 쌀 19품종과 수입쌀 1종의 일반성분과 형태검정, 이화학적 특성 및 호화특성을 분석하였다. 수분함량은 $11.11{\pm}0.20-13.28{\pm}0.03%$였으며 단백질과 지방 함량은 각각 $5.04{\pm}0.03-7.02{\pm}0.10$, $0.18{\pm}0.01-0.73{\pm}0.05%$였다. 무기질 함량은 칼슘이 $3.56{\pm}0.11-6.69{\pm}0.08mg/100g$, 나트륨이 $3.39{\pm}0.01-17.43{\pm}0.04mg/100g$, 인이 $64.12{\pm}0.88-102.0{\pm}0.36mg/100g$, 아연이 $0.95{\pm}0.01-1.75{\pm}0.0mg/100g$, 철이 $0.19{\pm}0.0-0.69{\pm}0.02g/100g$, 마그네슘이 $9.89{\pm}0.47-23.31{\pm}0.21mg/100g$, 칼륨이 $47.11{\pm}3.49-82.19{\pm}1.08mg/100g$ 그리고 망간이 $0.47{\pm}0.0-1.14{\pm}0.01mg/100g$의 함량을 보였다. 20품종 중 18품종의 크기가 소립이었으며 아밀로즈 함량은 $10.3{\pm}1.27-19.4{\pm}0.15%$였고 전분가는 $70.8{\pm}2.67-80.1{\pm}5.09%$를 나타내었다. 알칼리 붕괴도는 5-6등급의 상태였고 호응집성의 측정 결과 gel은 $63.0{\pm}7.0-100{\pm}0.0mm$ 사이로 흘러 '연함'을 나타내 양질의 상태를 보였다.

갑각류부산물을 이용한 키틴의 제조 및 이용에 관한 연구 1. 키틴, 키토산 및 미세결정화 키틴의 기능특성 (Utilization of Chitin Prepared from the Shellfish Crust 1. Functional Properties of Chitin, Chitosan, and Microcrystalline Chitin)

  • 안창범;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5-50
    • /
    • 1992
  • 폐기되고 있는 수산부산물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식품산업의 학술적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6종의 갑각류의 갑각을 회수하여 키틴, 키토산 및 미세결정화키틴을 제조하여 이들 성간의 기능특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제조된 키틴, 키토산 및 미세결정화키틴들의 겉보기체적, 수중침정체적, 보수력 및 지방흡수력은 각각 $3.1\pm0.1-27.0\pm0.2ml/g,\;5.1\pm0.1-45.0\pm0.2ml/g,\;318\pm40-2,382\pm12g/100g$$235\pm20-2,169\pm20g/100g$의 범위였고 크릴껍질로 만든 키틴과 키토산의 겉보기체적, 수중침정체적, 보수력 및 지방흡수력이 가장 컸다 키틴과 키토산은 유화성이 없었고 미세결정화키틴만이 유화성이 있었다. 5종의 미세결정화키틴의 유화성은 $18.2\pm4.0-50.1\pm2.5\%$, 유화 안정성은 $15.2\pm3.5-31.1\pm1.0\%$의 범위였다. 색소흡착능은 붉은대게의 각피로 제조된 미세결정화키틴이 가장 좋았다.

  • PDF

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PM10, PM2.5 질량소산효율 특성 연구 (The Study of PM10, PM2.5 Mass Extinction Efficiency Characteristics Using LIDAR Data)

  • 김태경;주소희;김가형;노영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6_2호
    • /
    • pp.1793-1801
    • /
    • 2021
  • 2015년 1월부터 2020년 6월까지 라이다를 이용하여 측정된 532와 1064 nm의 후방산란계수와 532 nm의 편광소멸도를 이용하여 532 nm의 후방산란계수를 PM10, PM2.5-10, PM2.5에 해당하는 세 유형으로 구분하고 지상에서 측정된 질량 농도를 이용하여 각각의 질량소산효율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질량소산효율의 전체 평균값은 PM10, PM2.5-10, PM2.5에서 각각 5.1±2.5, 1.7±3.7, 9.3±6.3 m2/g으로 PM2.5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PM10과 PM2.5의 질량 농도가 낮을 때 평균 이상의 높은 질량소산효율이 산출되었으며 질량 농도가 높아질수록 질량소산효율이 감소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황사의 혼합 정도에 따른 유형별로 질량소산효율을 산출하였을 때, PM2.5-10는 황사의 영향으로 오염입자(pollution aerosol, PA)가 2.1±2.8 m2/g으로 오염입자가 주요한 혼합입자(pollution-dominated mixture, PDM), 황사가 주요한 혼합입자 (dust-dominated mixture, DDM), 순수황사 (pure dust, PD)의 1.1±1.8, 1.4±3.3, 1.1±1.5 m2/g보다 두 배 정도 높은 값을 보였다. 하지만, PM2.5는 9.4±6.5, 9.0±5.8, 10.3±7.5, 9.1±9.0 m2/g으로 유형 구분 없이 비슷한 값을 보였다. PM10의 질량소산효율은 PA, PDM, DDM, PD 에서 각각 5.6±2.9, 4.4±2.0, 3.6±2.9, 2.8±2.4 m2/g으로 황사의 비율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동일한 질량 농도 또는 황사 혼합에 따른 동일한 유형을 보이더라도 PM2.5/PM10 값이 낮아질수록 PM2.5-10의 질량소산효율은 감소하고, PM2.5의 질량소산효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Effect of OVOIL oil on B6D2F1 Mice Oogenesis

  • Lee, Dan-Bi;Park, Kee Sang;Seo, Byoung Boo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05-210
    • /
    • 201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ypes of oil (OVOIL vs. OIL) on B6D2F1 mice oogenesis. In this study, B6D2F1 F1 mice were used in order to maximize oogenesis. The expansion rate of cumulus cells ($82.0%{\pm}0.2$ vs. $78.0%{\pm}0.1$), in vitro fertilization rate ($92.0%{\pm}0.1$ vs. $88.0%{\pm}0.1$), developmental rate ($91.0%{\pm}0.1$ vs. $87.0%{\pm}0.2$), blastocysts formation rate ($56.0%{\pm}0.1$ vs. $57.0%{\pm}0.1$), and zona hatched rate($41.4%{\pm}0.2$ vs. $24.0%{\pm}0.1$) were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NS; P>0.05).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uration rate; the OVOIL group showed higher maturation rate compared to that of the OIL group ($96.0%{\pm}0.1$ vs. $87.0%{\pm}0.1$; P<0.05). In the blastocysts cell numbers, the total cell numbers ($83.9{\pm}26.1$ vs. $56.9{\pm}23.9$), ICM cell numbers ($15.7{\pm}8.8$ vs. $6.3{\pm}3.5$), TE cell numbers ($68.3{\pm}25.7$ vs. $50.7{\pm}24.1$), % ICM ($21.6%{\pm}0.1$ vs. $12.7%{\pm}0.1$), and the ratio of ICM:TE ($1:6.2{\pm}6.5$ vs. $1:10.3{\pm}7.0$)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OIL group than the OIL group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t is expected to achieve the more developmental ability of B6D2F1 mice depending on the type of oil (OVOIL vs. OIL). In addition, the results can provide essential information for culture condition on B6D2F1 mice. Henceforth, thu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herein might be used for in vitro culture of human embry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