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_2/N_2$ separation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8초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폴리메틸펜텐 막의 $CO_2/N_2$ 혼합가스의 투과특성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CO_2/N_2$ Mixture Gases through Plasma Treated Poly (methylpentene) Membrane)

  • 전성우;곽현;배성렬
    • 멤브레인
    • /
    • 제13권2호
    • /
    • pp.73-80
    • /
    • 2003
  • 폴리메틸펜텐 막(polymethylpentene membrane, PMP)을 Ar, NH_3$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하고, 처리 전후의 투과 도와 선택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Ar 플라즈마로 처리하였을 때 O/C의 비율이 증가하며 친수성기 (OH, COOH, C=O)의 도입이 확인되었고 $NH_3$ 플라즈마로 처리하였을 때 아민, 아미노기가 도입되었다. 플라즈마 처리된 폴리메틸펜텐막에서 $CO_2$의 투과도와 $N_2$,에 대한 선택도 (Actual Separation Factor)의 최적조건은 Ar 플라즈마 처리 (30 W-6 min)의 경우 각각 182 Barrer [$10^{-10}\;cm^3(STP)cm/cm^2$.s.cmHg]와 6.17이며, $NH_3$, 플라즈마 처리 (30 W-8 min)의 경우 각각 144 Barrer [$10^{-10}/cm^2(STP)cm/cm^2$.s.cmHg] 와 6.13을 얻었다.

Synthesis of Silica Membranes on a Porous Stainless Steel by Sol-Gel Method and Effect of Preparation Conditions on Their Permselectivity

  • Lee, Dong-Wook;Nam, Seung-Eun;Sea, Bong-Kuk;Ihm, Son-Ki;Lee, Kew-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5권9호
    • /
    • pp.1371-1378
    • /
    • 2004
  • A porous stainless steel (SUS) as a substrate of silica composite membranes for hydrogen purification was used to improve mechanical strength of the membranes for industrial application. The SUS support was successfully modified by using submicron Ni powder, $SiO_2$ sols with particle size of 500 nm and 150 nm in turns. Silica top layer was coated on the modified supports under various preparation conditions such as calcination temperature, dipping time and repeating number of dipping-drying process. The calcination temperature for proper sintering was between H ttig temperature and Tamman temperature of the coating materials. Maximum hydrogen selectivity was investigated by changing dipping time. As repeating number of dipping-drying process increased, permeances of nitrogen and hydrogen were decreased and $H_2/N_2$ selectivity was increased due to the reduction of non-selective pinholes and mesopores. For the silica membrane prepared under optimized conditions, permeance of hydrogen was about $3\;{\times}\;10^{-5}\;cm^3{\cdot}cm^{-2}{\cdot}s^{-1}{\cdot}cmHg^{-1}$ combined with $H_2/N_2$ seletivity of about 20.

Poly(ethylene oxide)와 Poly(ethylene-co-vinyl acetate)의 혼합막에 대한 기체분리 특성 (Gas Separation Properties of Poly(ethylene oxide) and Poly(ethylene-co-vinyl acetate) Blended Membranes)

  • 이현경;강민지
    • 멤브레인
    • /
    • 제27권2호
    • /
    • pp.147-15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poly(ethylene oxide) (PEO)와 poly(ethylene-co-vinyl acetate) (EVA) 혼합으로 구성된 막을 통한 단일기체($N_2$, $O_2$, $CO_2$)의 투과 성질을 조사하였다. FT-IR 분석 결과 제조된 막에서 새로운 흡수피크는 보이지 않았는데, 이것은 PEO와 EVA가 물리적으로 혼합되었음을 나타낸다. SEM 관찰에서는 PEO/EVA 혼합 매트릭스에서 EV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PEO의 결정상이 감소함을 보여 주었다. DSC 분석결과 PEO/EVA 혼합막의 결정화도는 EV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기체투과 실험은 4~8 bar의 공급압력에서 이루어졌다. PEO/EVA 혼합막에서 $CO_2$의 투과도는 공급 압력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러나 $N_2$$O_2$의 투과도는 공급 압력에 무관하였다. 반면에, PEO/ EVA 혼합막의 모든 기체의 투과도는 반결정성 PEO에서 무정형 EV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특히, 40 wt% EVA 혼합막은 64 Barrer의 $CO_2$ 투과도와 61.5의 $CO_2/N_2$ 이상선택도를 보였다. 높은 $CO_2$ 투과도와 $CO_2/N_2$ 이상선택도는 PEO의 극성 에테르기 또는 EVA의 극성 에스터기와 극성 $CO_2$ 간의 강한 친화성에 기인한다.

거대고리 운반체에 의한 중금속이온의 에멀죤 액체막 수송 (Emulsion Liquid Membrane Transport of Heavy Metal Sons by Macrocyclic Carriers)

  • 정오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23-232
    • /
    • 1995
  • 액체막의 운반체로 사용할 새로운 2개의 거대고리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이들 결과들은 이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이론의 응용성을 증명하여 준다. source phase의 공존이온으로서 $SCN^-$,$I^-$$Cl^-$이온을 그리고 receicing phases에서 $S_2O_3^{2-}$$P_2O_7^{4-}$을 이용한 액세막계로서부터 중금속 이온들에 대한 선택적 수송효율을 검토하였다. source phase의 M(II)이 $Cd(SCN)_2$$(P[SCN^-]= 0.40M)$, $Hg(SCN)_2([SCN^-]=0.40M)$, Pd(CN)$([CN^-]= 0.40M)$일때 M(II)의 수송율은 최대값을 나타낸다. 각가의 경쟁 양이온에 대한 Cd(II)이나 Pd(II)은 source phase가 00.3M-$S_2O_3^{2-}$이나 0.3M-$P_2O_7^{4-}$ 일때 가장 잘 분리된다.이 연구의 결과에서, 이 액체막계에서 효과적인 거대고리-매질수송을 하기 위해서는 두개의 규칙이 반드시 필요하다. 첫째, tiluence중으로 $M^{n+}$이온이 효과적으로 추출되고, 즉 만일 $M^{n+}$ 거대고리화합물 상호작용에 대한 logK값과 $M^{n+}$-거대고리화합물($L_1$이나 $L_2$)의 상호작용에 대한 logK값의 비가 충분히 크다면 receiving phase와 toluene의 접촉면으로부터 쉽게 중금속이온($Cd^{2+}$,$Pb^{2+}$$Hg^{2+}$)들이 떨어져 나온다. $L_1$(3,5-benzo-10,13,18,21-tetraoxa-1,7-diazabicyclo(8,5,5)eicosnan)은 $Cd^{2+}$$Pb^{2+}$ 이온과 안정한 착물을 형성한다. 그리고 $L_1$은 수용액중에서 용해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리고 $Cd^{2+}$$L_1$$Pb^{2+}$$L_1$착물은 $Cd^{2+}-{(S_2O_3)}_2^{2-}$$Pd^{2+}-P_2O_7^{4-}$착물보다 비교적 불안정하다. 다른 한편으로 $Hg^{2+}-L_1$착물의 안정도는 $Hg^2-{2+}-(S_2O_3)_2^{2-}$이나 $Pb^{2+}-P0_2O_7^{4-}$의 그것보다 그리고 $L_2$(5,8,15,18,23,26-hexaoxa-1,12-diazabicyclo(10,8,8)octacosan)의 tuluene에 대한 분배계수는 $L_1$의 그것보다 훨씬 작다. 따라서 $Hg^{2+}$-$L_1$이나 $M^{n+}$이나 $M^{n+}-L-2(M^{2+}=Cd^{2+}, Pb^{2+}$이나 $Hg^{2+})$의 안정도수상수가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이들 양이온의 수송량은 매우 적다.

  • PDF

염료폐수 분해를 위한 가시광 감응형 Pt-C-TiO2 광촉매의 합성 (Synthesis of Visible-working Pt-C-TiO2 Photocatalyst for the Degradation of Dye Wastewater)

  • 한미선;윤창연;이종협
    • 청정기술
    • /
    • 제11권3호
    • /
    • pp.123-128
    • /
    • 2005
  • $TiO_2$는 금속 산화물의 일종으로서 자체가 가지고 있는 물리화학적 안정성, 무독성, 탁월한 유기물의 산화분해력 등으로 인해 저농도의 환경 유해물질 정화 분야로 응용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반도체 물질이다. 그러나 $TiO_2$는 자외선 영역대(${\lambda}$ < 387 nm, 태양광의 2.7%가 UV)의 빛을 통해서 활성을 나타내고, 여기된 전자의 빠른 전자-정공 재결합속도로 인해 광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광 감응 파장대를 넓히고 재결합속도를 길게 함으로써 광효율을 높이고, 광촉매 활성을 증대하는 방향으로 연구의 초점이 모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TiO_2$ 광촉매의 광 감응 파장대를 가시광선 영역으로 확대함과 동시에 여기된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시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백금(Pt)이 광침적(photodeposition)된 탄소(C) 도핑 $TiO_2$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Pt-C-TiO_2$의 특성은 전자투과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TEM), 질소흡탈착법(Brunauer-Emmett-Teller method; BET), X-ray 회절 분석법(X-ray Diffractometer; XRD), 분광 산란 광도계(UV-visible diffuse reflectance spectroscopy; UV-Vis DRS), X-ray 광전자 광도계(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Pt-C-TiO_2$의 광촉매 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아조 계열의 붉은색 염료인 Acid Red 44 ($C_{10}H_7N=NC_{10}H_3(SO_3Na)_2OH$)의 광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광원은 Xe arc 램프(300 W, Oriel)를 사용하였으며 420 nm 이하 제거 필터를 사용하여 가시광 영역대의 빛만을 조사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제조한 $Pt-C-TiO_2$는 가시광선 하에서 사용제품과 비교하여 월등히 뛰어난 분해력을 보이며 $C-TiO_2$의 활성을 한 층 더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는 무한 에너지 자원인 태양광을 이용한 염료 폐수 정화 시스템 응용으로의 유용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 PDF

CO-SEPARATION OF Am AND RARE EARTH ELEMENTS FROM A HIGHLY ACIDIC RADWASTE SOLUTION BY A SOLVENT EXTRACTION WITH (DIMETHYLDIBUTYL TETRADECYLMALONAMIDE-DIHEXYLOCTANAMIDE)/N-DODECANE

  • Lee, Eil-Hee;Lim, Jae-Gwan;Chung, Dong-Yong;Yoo, Jae-Hyung;Kim, kwang-Woo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319-326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high-acidity co-separation of Am and RE from a simulated radwaste solution by a solvent extraction using a mixture of Dimethyldibutyltetradecylmalonamide (DMDBTDMA, as an extractant) and dihexyl octanamide (DHOA, as a phase modifier) diluted with n-dodecane (NDD). All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as a batch type. First,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MDBTDMA and DHOA composed of only CHON atoms were self-synthesized. Then, the conditions for the prevention of a third phase, generated in the organic phase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concentration of nitric acid, DHOA, oxalic acid and $H_2O_2$ on the co-extraction of Am and RE were elucidated. Consequently, the optimum condition of (0.5M DMDBTDMA+0.5M DHOA)/NDD-0.3M $C_2H_2O_4-4.5M$ $HNO_3$ and O/A=2 was obtained through experimental work. Under this condition, the extraction yields were found to be about 80% for Am, more than 70% for RE such as La, Eu, Nd, Ce, etc., 3% for Cs and Sr, 69% for Fe and less than 11% for Mo and Ru. For the co-extraction of Am and RE, Fe should be removed in advance or prevented from a co-extraction with Am by controlling the different extraction rates of Am and Fe. About 95% of the Am and RE in the organic phase were stripped using a 0.5M $HNO_3$.

파일럿 규모의 침지식 부직포 여재 활성슬러지 공정의 시스템 처리 특성에 관한 연구 (Pilot Scale Test of Non-woven Fabric Filter Separation Activated Sludge Process for Practical Application on Domestic Wastewater Reclamation)

  • 이상우;최철회;박영미;서규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89-294
    • /
    • 2006
  • A pilot scale non-woven fabric filter separation activated sludge system was investigated for practical application on domestic wastewater reclamation and reuse. The system was operated in A/O (Anaerobic/Oxic) process with submerged filter module in the aerobic compartment. In the test of two types of filter materials ($70g/m^2$ and $35g/m^2$), the initial flux (0.42m/d) could be maintained for about three months by regular air backwashing of $70g/m^2$ filter at 0.3m water head. The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by the system was BOD 93.3%, CODcr 96.3%, SS 96.7%. The effluent quality was 7.8mg/L, 12mg/L and 5mg/L for BOD, CODcr and SS, respectively. The water quality was enough to meet a standard for domestic reuse without human contact. T-N removal efficiency was 49.9% at internal recycle rate 2Q and C/N ratio 3.3. The removal efficiency of T-P was 50% with average effluent concentration, 2.6mg/L.

Characteristics of Non-premixed Edge Flames in a Counterflow Slot Burner

  • Cha, Min-Suk;Ronney, Paul D.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3-40
    • /
    • 2005
  • The propagation rates of advancing and retreating non-premixed edge flames in a slot-jet counterflow were measured as a function of strain rate for varying jet spacing, mixture strength, stoichiometric mixture fractions $(Z_{st})$ and Lewis numbers (Le). Methane and propane fuels were tested and nitrogen and carbon dioxide were used as inerts. As results, we could identify igniting fronts, retreating fronts, two total extinction limits, and short-length edge flames. A burner separation affected to a low extinction limit only. Regimes for advancing and retreating edges together with total extinction were mapped in terms of normalized flame thickness and heat loss factor for $CH_4/O_2/N_2$ mixtures. Edge flames for $Z_{st}$ > 0.5 behaved like a stronger mixture while for $Z_{st}$ < 0.5 showed deteriorated feature, because of relative locations of a non-premixed flame and intermediate species such as CO and $H_2$. Furthermore, due to the relative importance of heat loss, propagating speeds of edge flames were significantly enhanced in $CH_4/O_2/CO_2$ mixtures (Le < 1) demonstrating increasing stability limits. However $C_3H_8/O_2/N_2$ mixtures (Le > 1) showed opposite result.

  • PDF

중공사 고분자 분리막을 통한 단일기체($SF_6$, $N_2$, $O_2$, $CF_4$) 투과플럭스의 온도와 압력에 따른 변화특성 (Variation of Single Gas ($SF_6$, $N_2$, $O_2$, $CF_4$) Permeance through Hollow Fiber Polymeric Membranes Depending on Temperature and Pressure)

  • 이민우;이순재;김한별;김성현;이상협
    • 멤브레인
    • /
    • 제22권1호
    • /
    • pp.23-34
    • /
    • 2012
  • 중공사 고분자 분리막을 이용한 SF6를 분리 농축을 위한 운전조건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온도와 압력이 투과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온도와 압력이 부과된 조건에서 단일기체 투과실험을 수행하여, 중공사 고분자 분리막(PSF, PC, PI)을 통한 기체($N_2$, $O_2$, $SF_6$, $CF_4$)의 투과특성을 연구하였다. 실험결과, 기체의 투과플럭스는 온도와 압력의 증가에 따라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리막에 따른 투과플럭스의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온도, 압력에 따른 투과플럭스 변화율은 기체의 특성(분자크기)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 압력에 대한 투과플럭스를 3차원적으로 표현했을 때, 투과플럭스는 근사적인 평면 위에서 변화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온도와 압력에 의한 투과플럭스 변화를 열역학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투과플럭스 예측을 위한 경험적 모델로 평면특성의 1차 다항식 모델과 곡면 특성을 가진 2차 다항식 모델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두 경험적 모델 모두 관측자료에 대한 높은 적합도를 보여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폴리설폰 중공사막에 의한 산소/질소 혼합물의 분리 (Separation of Oxygen/Nitrogen Mixture by Polysulfone Hollow-Fiber Membrane)

  • 김종수;송근호;이광래
    • 멤브레인
    • /
    • 제9권2호
    • /
    • pp.89-96
    • /
    • 1999
  • 국내 K-그룹 연구소에서 제조한 폴리설폰 중공사막의 산소/질소 혼합물에 대한 압력, stage , cut , 공급기체 혼합물의 조성에 따른 분리성능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의 압력범위와 온도 3$0^{\circ}C$에서의 이상분리인자 (O2/N2)는 5.7이었으며, 유입기체 혼합물의 21mole % 산소농도가 약 50 mole%로 농축되었다. 저압측과 고압측의 압력비는 산소농축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으며 이상분리인자의 영향은 매우 컸다. 그러나, 이상분리인자가 증가함에 따라 이상분리인자의 영향은 둔화되었다. 따라서, 이상분리인자가 큰 신소재 개발과 더불어 공정변수의 최적화가 필요하다. 수학적 모델링에 의한 예측치와 실험치가 잘 맞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