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_2SO_4$

검색결과 1,935건 처리시간 0.033초

수용성염이 석조문화재 표면 박리현상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Soluble Salt on the Exfoliation of the Stone Monument)

  • 도진영;임권웅
    • 보존과학회지
    • /
    • 제22권
    • /
    • pp.121-134
    • /
    • 2008
  • 석조문화재에서 나타나는 박리현상의 발생메커니즘과 염수용액에 의한 화학적 풍화와 관련된 그 원인을 연구하였다. 박리편에 대하여 화학적, 광물학적, 물리적 분석을 수행하여 함유하고 있는 대표적인 염이 석고임을 밝혔다. 염의 작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석고와 더불어 용해도가 상이한 황산나트륨을 공극율이 다른 응회암과 화강암에 처리하였다. $Na_2SO_4$ 처리와 인공풍화를 거친 암석시료들의 모세관물흡수율은 약간 증가하였는데 이는 이 염에 의해 암석의 표면가까이에만 변화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Na2SO4는 암석의 표면공극내에서 결정화가 일어나 수화압과 결정압을 발생하여 얇은 박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인다. $CaSO_4{\cdot}2H_2O$는 상대적으로 암석의 내부로 깊이까지 들어가서 집적되므로 집적되는 양이 $Na_2SO_4$ 보다 더 많고, 표면에 집적되는 양보다 내부에 집적되는 양이 많아 물흡수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는 것이며, 이러한 성질로 인하여 암석에 두꺼운 박리가 야기될 것으로 판단된다. 암석종에 따른 변화에서는 응회암의 경우, 큰 공극율과 높은 모세관물흡수율로 인하여 암석 내부의 깊이까지 들어가서 염이 집적하게 되므로 화강암에 비해 염집적율이 더 크고, 이에 따른 물흡수율이 커서 화강암에 비해 두꺼운 박리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해 공극율과 모세관물흡수율이 낮은 화강암에서는 표면부위에서 집중적으로 염의 집적이 일어나서 얇은 박리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0.1M $Na_2SO_4+ NaCl$ 수용액에서 마멸 전극 기법을 이용한 Fe-Cr강의 재부동태 특성 (Repassivation Characteristics of Fe-Cr Steels Using the Abrading Electrode Technique in Aqueous 0.1M $Na_2SO_4+ NaCl$ Solutions)

  • 함동호;이재봉
    • 전기화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95-201
    • /
    • 1999
  • 탈기된 0.1 M $Na_2SO_4$ 수용액에서 Fe-Cr강의 재부동태 특성을 Cr함량, 인가전위 그리고 염소이온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관찰하였다. 염소이온이 없는 경우 재부동태 속도를 나타내는 식 log i=k-n log t에서 -n값은 Cr함량에 관계없이 -1에 수렴하였으나 Cr함량이 증가할수록 재부동태 전류밀도는 낮아졌다. A. C. impedance spectroscopy측정 결과, Cr 함량과 인가전위가 증가할수록 형성된 재부동태 피막의 charge transfer resistance$(R_{ct})$ 값은 상승하였다. 또한 재부동태 동안 흐르는 전류밀도를 Faraday식을 이용하여 피막의 두께를 계산해보면 Cr함량이 증가할수록 얇은 부동태 피막이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염소이온이 존재하는 경우, 염소이온이 Fe-Cr강의 재부동태를 방해하는 효과는 인가전위가 증가할수록 상승하였다.

구성성분이 다른 인공산성비에 의한 토양의 양이온 용탈에 관한 연구 (Leaching of Soil Cations by Simulated Acid Rains of Different Compositions)

  • 유관식;민태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07-413
    • /
    • 1998
  • 토양의 구성광물이 전혀 다른 광질토양인 규암(Eutrochrepts)과 화산회 토양인 평대(Melanudands)토양을 $2^{{\prime}{\prime}}{\times}30cm$ column에 각각 충진 후 구성성분($SO_4:NO_3$의 비율)이 다른 pH 2.0의 인공산성비(1, 2, 5 pore volume)를 토양에 처리한 결과, 산성비 구성성분에 있는 음 이온의 토양흡착은 평대(화산회)토양에서 규암(광질)토양보다 아주 많았으며, 평대토양에서 $SO_4$$NO_3$ 흡착이 커서 염기의 용탈이 적었으며 $SO_4$의 흡착이 $NO_3$의 흡착보다 많아 산성비의 구성 성분중 $SO_4$가 적고 $NO_3$의 양이 많은 강우에서 염기의 용탈이 많았다. 한편 규암토양은 $NaNO_3$$Na_2SO_4$ pH의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NO_3$$SO_4$의 흡착이 적어 상대적으로 대응 음이온이 많아 염기의 용탈이 많았고 토양이 산성화되었으며, 토양염기의 용탈양율은 규암토양에서 컸다. 평대 토양에서는 산성비 구성 성분간의 차이로 염기의 용탈양 차이가 컸고 산성비의 구성 성분중 $NO_3$$SO_4$ 보다 많은 산성비 처리에서 Ca, Mg을 더 용탈시켰다. 산성비에 의한 토양염기의 용탈은 Ca>Mg>K의 순으로 많았고, 평대토양은 주로 표토, 규암토양은 전 토층을 통하여 비교적 고르게 일어났다.

  • PDF

Gordona sp. MS6균주의 dibenzothiophene 탈황능에 미치는 분해산물의 영향 (Effect of Degradative Products on Dibenzothiophene Desulfurization Activity of Gordona sp. MS6)

  • 조경숙
    • 환경생물
    • /
    • 제18권1호
    • /
    • pp.33-39
    • /
    • 2000
  • Gordona sp. MS6, desulfurizing petroleum, can convert dibenzothiophene (DBT) to 2-hydroxybiphenyl (2-HBP) and sulfat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DBT degradation product on DBT desulfurization activity was investigated. When $Na_2$SO$_4$ and DBT were simultaneously added in the medium sulfur sources, specific growth rate of strain MS6 was doubled compared to not adding $Na_2$SO$_4$. But, sulfate inhibited DBT desulfurization rate, furthermore, when 0.05 g/L $Na_2$SO$_4$ was supplied DBT desulfurization rate decreased down to 40%. When 2-HBP and its derivative, 2, 2'-dihydroxybiphenyl (DHBP) were not added, DBT desulfurization rate was 5.0 $\mu$mol L$^{-1}$ㆍh$^{-1}$. With the increase of 2-HBP and DHBP concentration, DBT desulfurization rate was decreased. No DBT desulfurization activity of Gordona sp. MS6 was observed when initial concentration was over 0.15 mM 2-HBP and 0.8 mM DHBP [Gordona sp., Desulfurization, Dibenzothiophene, 2-Hydroxybiphenyl, Sulfate].

  • PDF

메시형 알루미늄 전극을 이용한 전기응집/부상 공정에서 Kaoline의 탁도 제거 (Turbidity Removal of Kaolin in an Electrocoagulation/Flotation Process Using a Mesh-type Aluminum Electrode)

  • 정창;김동석;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63-572
    • /
    • 2017
  • The Electrocoagulation-Flotation (ECF) process has great potential in wastewater treatment. ECF technology is effective in the removal of colloidal particles, oil-water emulsion, organic pollutants such as microalgae, and heavy metals.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ECF; however, many of them used a conventional plate-type aluminum anode.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effect of changing operational parameters such as power supply time, applied current, NaCl concentration, and pH on the turbidity removal efficiency of kaoline. We also determined the effects of different electrolyte types (NaCl, $MgSO_4$, $CaCl_2$, $Na_2SO_4$, and tap water), as well as the differences caused by using a plate-type and mesh-type aluminum anode, on the turbidity removal efficien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ptimal values of ECF time, applied current, NaCl concentration, and pH were 5 min, 0.35 A, 0.4 g/L NaCl in distilled water, and pH 7, respectively.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 turbidity removal efficiency of kaoline in different electrolytes decreased in the following sequence, given the same conductivity: tap water > $CaCl_2$ > $MgSO_4$ > NaCl > $Na_2SO_4$. The turbidity removal efficiency of the mesh-type aluminum anode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plate-type aluminum anode.

부산 남부지역 지하수와 서북부지역 지하수의 수리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the Southern Area and the Northwestern Area, Pusan)

  • 함세영;조명희;성익환;이병대;조병욱;심형수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40-151
    • /
    • 1999
  • 부산 남부지역 안산암질암지역의 지하수와 서북부지역 화강암지역의 지하수를 채수하여 주요성분과 미량성 성분을 분석하였다. 파이퍼 다이아그램애 의하면, 남부지역은 $Ca^{2+}$-HCO$_3$$^{-}$ 형과 $Ca^{2+}$-(Cl$^{-}$ +SO$_4$$^{2-}$ )형에 속하고, 서북부지역은 대부분 $Ca^{2+}$-HCO$_3$$^{-}$ 형에 그리고 일부는 $Na^{+}$-HCO$_3$$^{-}$ 형에 속한다. 요인분석에 의하면, 남부지역은 두 개의 요인(요인 1과 요인 2)로 특징지어진다. $Mg^{2+}$, $Ca^{2+}$, Cl$^{-}$ , SO$_4$$^{2-}$ , NH$_4$$^{+}$, EC과 NO$_3$$^{-}$ 로 구성되는 요인 1은 사장석 및 방해석의 용해 그리고 인위적인 오염 (가정하수 및 산업폐수)의 영향으로 대표된다. $K^{+}$, $Na^{+}$. SiO$_2$, SO$_4$$^{2-}$ , HCO$_3$$^{-}$ 로 구성되는 요인 2는 주로 장석의 용해로 대표된다. 서북부지역은 세 개의 요인(요인 1. 2, 3)으로 특징지어진다. EC, pH, $Na^{+}$, $K^{+}$, NH$_4$$^{+}$, Cl$^{-}$ , SO$_4$$^{2-}$ 과 NO$_3$$^{-}$ 로 구성되는 요인 1은 사장석과 운모의 용해, 인위적인 오염 그리고 염수의 영향으로 대표된다. $Ca^{2+}$과 HCO$_3$$^{-}$ 로 구성되는 요인 2는 사장석의 용해로 설명된다. 요인 3은 $Mg^{2+}$과 SiO$_2$,로 구성되며 규산염광물 그리고 오염의 영향으로 설명된다. Helgeson 외(1978)과 Bowers 외(1984)의 상평형도에 의하면, 남부지역과 서북부지역의 지하수 모두 카오리나이트 안정영역에 속한다. Cl$^{-}$ 에 대한 $Na^{+}$, $Ca^{2+}$, $Mg^{2+}$, $K^{+}$, SO$_4$$^{2-}$ 및 HCO$_3$$^{-}$ 각각의 관계에 의하면. 남부지역과 서북부지역 얘서 모두 염수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 PDF

Separation performances of a nanofiltration membrane for chlorides, nitrates and sulfates aqueous solutions

  • Wang, Da-Xin;Su, Meng;Wang, Xiao-Lin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the second conference of aseanian membrane society
    • /
    • pp.155-160
    • /
    • 2004
  • Permeation experiments of a commercial nanofiltration membrane (nominated as ESNA 1) were carried out with aqueous solutions of various single salts, that is, five chlorides (NH$_4$Cl, NaCl, KCl, MgCl$_2$ and $CaCl_2$), three nitrates $(NaNo_3,\;Mg(No_3)_2\;and\;Ca(NO_3)_2)\;and\;three\;sulfates\;((NH_4)_2SO_4,\;Na_2SO_4\;and\;MgSO_4)$.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1) the permeate volume flux of the ESNA 1 membrane increased and decreased with the growth of the applied pressure and the feed concentration of salts, respectively. The real rejection of ESNA 1 membrane to most single salts increased with the growth of the permeate volume flux. (2) The reflection coefficients of ESNA 1 membrane to chlorides, nitrates and sulfates are 0.97, 0.96 and 0.99, respectively. The solute permeability of most salts except for magnesium and calcium salts increased with the growth of feed concentration. (3) The sequence of the rejections of ESNA 1 membrane to anions is $R({SO_4}^{2-})>R(CI)>R(NO_3)$ at the same feed concentration. While the sequence of the rejections to cations is cataloged into two cases: $R(Na^+)>R(K^+)>R(Mg^{2+})>R(Ca^{2+})$ at the concentration of 10 mol/$m^3$ and $R(Mg^{2+})>R(Ca^{2+})>R(Na^+)>R(K^+)$ at the concentration of 100 mol/$m^3$. The separation capability of a NF membrane is usually affected by the electrostatic effect and the steric-hindrance effect. In this case, the electrostatic effect is the major factor at low concentration and the steric-hindrance effect is the major factor at high concentration. Both the specific sorption and the hydration also reasonably influenced the separation performance of NF membrane to salts.

  • PDF

농산폐자원의 미생물학적 이용에 관한 연구 (제사보) 기질처리시의 알칼이ㆍ산중화 조건에 대하여 (Studies on Microbial Utilization of Agricultural Wastes (Part 4) Effect of Acid in Neutralization after Alkali Treatment of the Wastes on Cellulosic Single Cell Protein Production)

  • 이계준;고영희;배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99-104
    • /
    • 1976
  • 섬유소자화세균 (Cellulomonas flavigena KIST 321) 으로서 볏짚을 기질로 하여 단세포단백을 생산함에 있어 볏짚을 분쇄한 뒤 NH$_4$OH 및 NaOH 로서 처리하고 각종의 산으로 중화할 때의 균체의 생산성을 검토하였다. 1. 볏짚분말을 1규정농도의 NaOH, NH$_4$OH 용액 10배량으로 처리한 뒤(기질대비 NaOH 사용량은 40%) 과잉의 알카리를 수세 또는 H$_3$PO$_4$, H$_2$SO$_4$, HCl, $CH_3$COOH 등의 산으로 중화하여 기질로 사용한 결과 H$_3$PO$_4$로 중화하는 것이 가장 좋았으며 이때 균체생산량은 12.2811 기질소화량은 78%였다. 2. NH$_4$OH 처리보다는 NaOH 처리가 효과적이었으므로 NaOH 사용량을 기질대비 1~20%로 변경하여 처리후 H$_3$PO$_4$로 중화하여 사용한 결과 6%의 농도로 상온에서 15~24시가 처리함이 적당하였다. 3. NaOH 처리시 수분량은 물/볏짚비율이 2내지 3이 적당하였고 NaOH/볏짚 비율은 6%에서 5% 정도로 줄일수 있었다. 4. 볏짚의 앞카리 처리시 121$^{\circ}C$에서 30분간 처리하면 상온에서 15~24시간 처리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멸균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5. 배지내의 인산염의 농도를 $K_2$HPO$_4$ 및 KH$_2$PO$_4$동량으로 0.2~0.3%로 조절하면 HCl 및 H$_2$SO$_4$로 중화하여도 H$_3$PO$_4$로 중화할때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즉 HCl로 중화할때는 인산염 농도를 0.2%(phosphorous 농도로 0.04%)로 조절하여 11.2g/$\ell$의 균체량을 얻었고 H$_2$SO$_4$로 중화할 때는 인산 .농도를 0.3%(인농도 0.04%)로하여 12.2g/$\ell$ 균체량을 얻어 H$_3$PO$_4$로 중화할때 보다 경제적인 면에서 효과적임을 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