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H_4Cl$

검색결과 871건 처리시간 0.033초

Thermodynamic Study of Sequential Chlorination for Spent Fuel Partitioning

  • Jinmok Hur;Yung-Zun Cho;Chang Hwa Lee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97-410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the efficacy of various chlorinating agents in partitioning light water reactor spent fuel, with the aim of optimizing the chlorination process. Through thermodynamic equilibrium calculations, we assessed the outcomes of employing MgCl2, NH4Cl, and Cl2 as chlorinating agents. A comparison was drawn between using a single agent and a sequential approach involving all three agents (MgCl2, NH4Cl, and Cl2). Following heat treatment, the utilization of MgCl2 as the sole chlorinating agent resulted in a moderate separation. Specifically, this method yielded a solid separation with 96.9% mass retention, 31.7% radioactivity, and 44.2% decay heat, relative to the initial spent fuel. In contrast, the sequential application of the chlorinating agents following heat treatment led to a final solid separation characterized by 93.1% mass retention, 5.1% radioactivity, and 15.4% decay heat, relative to the original spent fuel. The findings underscore the potential effectiveness of a sequential chlorination strategy for partitioning spent fuel. This approach holds promise as a standalone technique or as a complementary process alongside other partitioning processes such as pyroprocessing. Overall, our findings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spent fuel management strategies.

메탄올탈수소효소 저해시 메탄산화에 의한 메탄올 전환생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Methanol Production Derived from Methane Oxidation by Inhibiting Methanol Dehydrogenase)

  • 유연선;한지선;안창민;민동희;모우종;윤순욱;이종규;이종연;김창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662-66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메탄의 생물학적 메탄올 전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바이오가스 중의 메탄은 메탄산화균의 methane monooxygenase (MMO)의 생물학적 촉매반응에 의해 산화되었으며, 인산염, NaCl, $NH_4Cl$, EDTA와 같은 methanol dehydrogenase (MDH)의 활성 저해제를 이용하여 MDH의 활성도를 저해함으로써 메탄올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메탄산화균은 $35^{\circ}C$, pH 7, 인공 바이오가스($CH_4$ 50%, $CO_2$ 50%) / Air의 부피비가 0.4인 조건에서 메탄 산화 정도가 0.56 mmol로 최대로 나타났다. 인산염 40 mM, NaCl 50 mM, $NH_4Cl$ 40 mM, EDTA $150{\mu}m$ 이하일 때 저해제의 종류에 상관없이 메탄 산화율은 80% 이상을 달성하였다. 한편, 인산염 40 mM, NaCl 100 mM, $NH_4Cl$ 40 mM, EDTA $50{\mu}m$ 주입 시 각각 1.30, 0.67, 0.74, 1.30 mmol의 메탄이 산화되는 동시에 각각 0.71, 0.60, 0.66, 0.66 mmol의 메탄올이 최대로 생성되었다. 이때의 메탄올 전환율은 각각 54.7, 89.9, 89.6 및 47.8%였으며 최대 메탄올 생성 속도는 $7.4{\mu}mol/mg{\cdot}h$였다. 이로부터 대상 저해제로 MDH 활성도를 일반적으로 35% 저해 시에 메탄올 생산량이 최대인 89.9%까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Palladium(II) p-Tolylamide and Reaction with CO2 to Generate a Carbamato Derivative

  • Seul, Jung-Min;Park, Soon-Heum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12호
    • /
    • pp.3745-3748
    • /
    • 2010
  • Pd(II) p-tolylamide Pd(2,6-$(Ph_2PCH_2)_2C_6H_3$)(NH($C_6H_4Me$-p)) (1) was metathetically prepared by the reaction of Pd(2,6-$(Ph_2PCH_2)_2C_6H_3$)Cl with NaNH($C_6H_4Me$-p). Treatment of 1 with carbon dioxide affords the palladium(II) carbamate Pd(2,6-$(Ph_2PCH_2)_2C_6H_3$)(OC(O)NH($C_6H_4Me$-p)) (2), quantitatively. Complex 2 reacts with HX (X = Cl, OTf) to give Pd(2,6-$(Ph_2PCH_2)_2C_6H_3$)X, $NH_2$(p-Tol) and $CO_2$. Reaction of the palladium(II) carbamate with MeI produced Pd(2,6-$(Ph_2PCH_2)_2C_6H_3$)I along with generation of methyl N-tolylcarbamate MeOC(O)NH($C_6H_4Me$-p), exclusively.

$Re(NC_6F_5)(PPh_3)_2Cl_3 $화합물의 합성 및 구조 (Preparation and Structure of $Re(NC_6F_5)(PPh_3)_2Cl_3 $)

  • 박병규;김영웅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3-119
    • /
    • 1996
  • Re(O)(PPh3)2Cl3과 2,3,4,5,6-pentafluoroaniline (C6F5NH2)의 반응으로 Re(NC6F5)(PPh3)2Cl3 생성물을 얻었다. 이 화합물의 구조를 1H-NMR, 원소분석, 그리고 X-ray 회절법으로 규명하였다. 화합물을 사방정계로 (Pna21, a=18.763Å, b=14.737(2)Å, c=16.707(3)Å, Z=4) 결정화되었다. 최소자승법으로 구조를 정밀화한 결과 신뢰도는 R(wR2) = 0.0455(0.1148)였다.

  • PDF

머캅탄류 검출을 위한 Thiobacillus thioparus가 생산하는 메칠머캅탄 산화효소의 분리 및 정제

  • 김상준;신현재;양지원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85-488
    • /
    • 2000
  • Thiobacillus thioparus TK-m에서 메칠머캅탄(MM) 가스를 기질로 메칠머캅탄 산화효소(MMO)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DEAE-Sephacel과 Superose 1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이때 얻어진 각 효소의 비활성은 각각 374과 1240.8 units/mg-protein이었으며 효소의 최적 온도는 $55\;^{circ}C$였다. 상기 정제된 효소액은 SDS-PAGE상에서 66.1 kDa의 분자량을 가지며 20 mM $(NH_4)_2SO_4$ 혹은 200 mM NaCl의 첨가에 대해 최대 활성을 보였다. 글리세린, 에탄올, 아세톤의 첨가에 대해 효소활성은 부분적으로 불활성화되었으며 메탄올에 대해서는 저해받지 않았다. Purpald 발색법을 이용한 흡광도의 변화는 구강내 존재하는 MM 가스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수 십 nmol의 범위의 포름알데하이드에 대해 눈으로 인지가능한 발색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정수장 슬러지로부터 염소화 반응에 의한 알루미나 회수 (The Recovery of Alumina from Water Treatment Plant Sludge by Chlorination)

  • 연익준;이상우;김광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1-216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over the aluminum from water treatment plant sludge containing alumina. The optimum reaction conditions about chlorination of sludge with $NH_4Cl$ are as follows: the weight ratio of sludge to $NH_4Cl$ is 4, the reaction time is 60min, and the temperature is $300^{\circ}C$. And the result of leaching time test showed that the highest yield of alumina at $160^{\circ}C$ was 96% but the result of leaching test at $160^{\circ}C$ was little better than that of leaching test at $100^{\circ}C$ while the leaching concentration of HCl was 4N. The optimum reaction conditions of chlorinated sludge with $NH_4Cl$, gave the highest yield of 95.41% based on aluminum.

산성 강하물질의 화학적 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emical Components of Acid Deposition)

  • 권오영;윤오섭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9-54
    • /
    • 1994
  • Dry and wet deposition samples were continuously collected by deposit gauge. In Bulkwang area of Seoul and Kanghwa in west coastal area of Korea. In order to evaluate the level of air pollution and its chemical composition, Bulkwang area located in Seoul and Kanghwa in west coastal area were chosen for sampling site. dry deposition concentrations, pH, electric conductivity and water soluble ion concentrations of deposit gauge were analysed. The results of comparison between urban area and coastal area were summarized as follows. Mean concentrations of dry deposition in Bulkwang was 2.807 ton/km$^2$/month (range: 5.171~1.128 ton/km$^2$/month) while that in Kanghwa was 1.990 ton/km$^2$/month (range: 3.358 ~ 1.084 ton/km$^2$/month),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areas. The rainfall during the period from June to September in 1990 recorded 1859.7 mm which was 78.8% of its mean amount in Seoul, and 1846.9 mm which was 81.6% that of Kanghwa. In Bulkwang area, correlation coefficients of deposit chemical composition were 0.95 for SO$_4^{-2}$ and Na$^+$, 0.94 for SO$_4^{-2}$ and NH$_4^+$, 0.93 for CI$^-$ and NH$_4^+$ and 0.85 for Cl$^-$ and Ca$^{2+}$, respectively. Then, the results indicate that sulfates such as $Na_2SO_4$, $(NH_4)_2SO_4$, and CaSO$_4$ were the major chemical state of deposit. In Kanghwa area, it was considered that NaCl, $NH_4NO_3$, NaNO$_3$, and $Ca(NO_3)_2$ were the major chemical state of deposit.

  • PDF

Molybdate 이온 感應 電極 (The Molybdate-Sensing Electrodes)

  • 인권식;이중화;민태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38-243
    • /
    • 1984
  • Molybdate 이온 감응에 대하여 세가지 성분인 $Ag_2S-PbS-PbMoO_4$로된 전극이 제조되어 평가되었다. 성분비(w/w%)가 64.5 : 14.0 : 21.5인 전극이 전위차 감응, 안정도, 감응속도, 재현성이 우수 하였다. 0.1F $NH_4Ac-NH_4OH$ 완충용액 속에서 일정한 이온강도와 pH 7.95로 조정된 $10^{-1} {\sim} 10^{-5}M\;MoO_4^{2- }$농도범위에서 실험하였고, $I^-,\;Cl^-,\;Br^-$$CN^-$등이 방해하였다.

  • PDF

백금착물 (II) 의 항암성에 관한 분자궤도론적 해석 (제1보) (MO Interpretation for Anticancer Activity of Pt-complexes)

  • 박병각;여환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48-355
    • /
    • 1985
  • 본 연구에서는 백금착물, $[PtA_2Cl_2]\;(A:\;NH_3$ 및 en과 그 유도체)형의 항암성 메카니즘의 첫 단계에서 두 개의 염소 원자가 분리된다고 가정하고 이 분리의 용이성을 Extended Huckel법에 의해서 양자화학적 양을 조사하였다. 백금착물의 전체에너지가 높을수록, Pt의 d-전자의 전이가 용이할수록, Cl의 net charge의 (-)값이 클수록, Pt-Cl사이의 Cl의 이탈이 용이하여진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실험적으로 항암성이 있다고 보고된 Pt(II)착물에서 Cl의 이탈용이도가 컸다. 따라서 $PtLCl_2$형 항암제(L:NH$_3$, en)$에서 항암작용의 첫 단계로서 Cl의 해리과정이 중요하다고 예측된다.

  • PDF

Biosurfactant 생산균주 Pseudomonas aeruginosa F722의 배양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 Biosurfactant-Producing Microorganism Pseudomonas aeruginosa F722)

  • 정선용;오경택;강창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1-176
    • /
    • 2003
  • 생물계면활성제 생성균주, Pseudomonas aeruginosa F722를 이용하여 다양한 배양조건과 배지조성에서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성을 검토하였다. 질소원과 탄소원을 검토하기 전에는 P. aeruginosa F722의 생물계면활성제 생산량은 0.78 g/l이었다. 하지만, 질소원과 탄소원을 검토한 후에는 생물계면활성제 생산량이 2배 증가한 1.66g/l이었다. 무기질소원으로 $_NH4$Cl 또는 $NaNO_2$를 첨가하였을 때 생물계면활성제 활성에 효과적이었으며 유기질소원으로는 yeast extract 또는 tryptone을 첨가하였을 때 생물계면활성제 활성이 높았다. 이중 무기 질소원으로 0.05% $NH_4$Cl , 유기 질소원으로 0.1% yeast extract를 질소원으로 첨가하였을 때 가장 최적이었다. 탄소원으로 소수성 기질(n-alkane) 또는 친수성 기질(glucose, glycol)을 첨가하여 생물계면활성제 생산량을 조사하였는데 소수성 기질보다는 친수성 기질인 3.0% glucose를 첨가하였을 때 생물계면활성제 생산량이 높았다. 이때의 탄소원/질소원 비율은 17~20이었다. P. aeruginosa F722는 배양조건 3.0% glucose, 0.05% $NH_4$Cl, 0.1% yeast extract, $35^{\circ}C$, pH 7.0, C/N ratio 20, 5 days에서 생물계면활성제 생산량은 1.66g/l이였다. 질소원이 결핍 후 탄소원을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가 질소원과 탄소원을 함께 첨가하여 배양했을 때보다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속도 및 균체 생장속도가 높았다. 최적 배양조건하에서 얻어진 배양액의 표면장력은 30mN/m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