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H_3-N$

검색결과 2,429건 처리시간 0.03초

경산시 지하수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s in Gyeongsan City)

  • 송성숙;박병윤;이부용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77-682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n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pollution in Gyeongsan city. Forty two ground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nd pH, DO, COD, $NH_3-N,\;NO_3^--N$, T-N, $PO_4^{3-}-P$, Cl, Ca, Mg, hardness, evaporate residues and others were investigated. And, ANOVA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reveal the differences in water pollution indicator values of by industry, commerce/residence and agriculture area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values of pH, DO, COD, $NH_3-N,\;NO_3^--N$, T-N, $PO_4^{3-}-P$, Cl, evaporate residues, Ca and hardness were 6.9, $7.9mg/\ell,\;0.4mg/\ell,\;2.44mg/\ell,\;2.73mg/\ell,\;6.06mg/\ell,\;0.82mg/\ell,\;32.72mg/\ell,\;381.67mg/\ell,\;41.53mg/\ell,\;177.17mg/\ell$, respectively. 2. As groundwater became deeper, the values of Cl, Ca, Mg, Na, hardness and evaporate residues remarkably increased, but those of COD, $NH_3^--N,\;NO_3^--N,\;NO_2^-N$, T-N decreased. 3. The values of COD, Cl, Ca, Mg, Na, hardness and evaporate residues were very high in industrial area, and those of $NH_3-N,\;NO_2^--N$, T-N were very high in commercial/residential area, and those of $NO_3^--N$ were a little high in agricultural area. 4. The correlations between depth and each value of Mg, Na, Fe, hardness and evaporate residues were highly positive, and those between DO and each value of Mg, Cu, Fe, hardness and evaporate residues were highly negative. 5. According to ANOVA analyses, the differences in three area groups (industry, commerce/residence and agriculture) on the values of $NH_3-N$, T-N, evaporate residues, hardness, Ca, Mg, K and Fe were significant at 1% level.

Comparison of the effect of peat moss and zeolite on ammonia volatilization as a source of fine particulate matter (PM 2.5) from upland soil

  • Park, Seong Min;Hong, Chang Oh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907-914
    • /
    • 2019
  • Ammonia (NH3) that reacts with nitric or sulfuric acid in the air is the major culprit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PM2.5). NH3 volatilization mainly originates from nitrogen fertilizer and livestock manure applied to arable soil.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of peat moss (PM) and zeolite (ZL) is high enough to adsorb ammonium (NH4+) in soil. Therefore, they might inhibit volatilization of NH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PM and ZL on NH3 volatilization from upland soil. For this, a laboratory experiment was carried out, and NH3 volatilization from the soil was monitored for 12 days. PM and ZL were added at the rate of 0, 1, 2, and 4% (wt wt-1) with 354 N g m-2 of urea. Cumulative NH3-N volatiliza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addition rate of both materials. Mean value of cumulative NH3-N volatilization across application rate with PM was lower than that with ZL. CEC increased with increasing addition rate of both materials. While the soil pH increased with ZL, it decreased with PM. Increase in CEC resulted in NH4+ adsorption on the negative charge of the external surface of both materials. In addition, decrease in soil pH hinders the conversion of NH4+ to NH3.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addition of PM or ZL could be an optimum management to reduce NH3 volatilization from the soil. However, PM was more effective in decreasing NH3 volatilization than ZL due to the combined effect of CEC and pH.

Ambidentate 리간드의 금속착물 (제 3보). Isonitrosobenzoylacetone Imine 유도체와 팔라듐(Ⅱ)의 착물 (Metal Complexes of Ambidentate Ligands (Ⅲ). Palladium (Ⅱ) Complexes of Isonitrosobenzoylacetone Imine Derivatives)

  • 오대섭;이만호;김수한;박정학;이해운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1-35
    • /
    • 1982
  • Amberdentate 리간드인 isonitrosobenzoylacetone imine 및 N-알킬 치환제들의 새로운 팔라듐(Ⅱ) 착물 Pd(IBA-NH)(IBA-NH') 및 Pd(IBA-NR)2를 합성하였다. 여기서 IBA-NH 및 IBA-NR (R: methyl, ethyl, n-propyl, n-butyl, benzyl)은 각각 isonitrosobenzoylacetone imine 및 그 N-알킬 치환제를 표시한다. 합성한 팔라듐(II) 착물들의 적외선, 핵자기 공명, 전자 스펙트라 등을 측정한 결과 이들 착물 중에서 Pd(IBA-NH)(IBA-NH')는 IBA-NH는 이소니트로소기의 산소를 통하여 팔라듐에 배위되어 6각형 고리를 이루며 IBA-NH'는 이소니트로소기의 질소를 통하여 배위되어 5각형 고리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Pd$(IBA-NR)_2$는 양쪽의 IBA-NR이 같이 이소니트로소기의 질소를 통하여 배위되어 5각형 고리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리간드의 배위구조는 $Bose^5$등에 의하여 알려진 isonitrosoacetylacetone imine 및 그 N-알킬 유도체들의 구조와 유사하다.

  • PDF

염분 환경하에서 4종 콩과식물의 생장, 아미노산 및 질소함량에 미치는 질소원의 영향 (Effects of Nitrogen Application on the Patterns of Amino Acids, Nitrogen Contents and Growth Response of Four Legume Plants under Saline Conditions)

  • 배정진;추연식;김진아;노광수;송종석;송승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3호
    • /
    • pp.135-142
    • /
    • 2003
  • 콩과식물의 염분 내성에 대한 질소원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4종 콩과식물을 선택하여 100 mM까지의 NaCl을 처리하였다. 염-민감성 종으로 알려진 대두와 팥은 염분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 질소 함량이 점차 감소하는 반면, 아미노산 함량은 현저히 증가(100 mM NaCl 처리된 대두 무질소구의 경우 대조구의 4.7배)하여 높은 가용성/불용성 질소 비를 보였다. 대조적으로 염분 내성을 보이는 긴강남차와 자귀나무는 아미노산을 거의 함유하지 않았으며, 염 구배에 따라 총 질소 함량(특히 불용성 질소)이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대두와 팥은 아미노산 중 asparagine (Asn)을 다량으로 함유하였으며, Asn은 이들 식물의 대표적인 질소의 수송 및 저장형태로서 염분 환경하에서 이들 식물의 세포질 내 삼투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염 환경에서 대두의 생장에 대한 질소원 및 농도의 영향은 5 mM NH₄NO₃-N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건물함량(10mM NaCl 처리구의 지상부건물함량의 경우 대조구의 약 1.5배)을 보였고, NH₄-N을 공급한 식물의 경우 질소를 공급하지 않은 대조구보다 생장이 저해되었으며, 처리 15일 이후 40과 80 mM NaCl 처리구에서 모두 고사하였다. 따라서 대두의 생장은 NH₄-N, 대조구, NO₃-N, NH₄NO₃-N의 순으로 질소공급량이 증가할수록 염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CVD를 이용한 비평면구조 기판에서의 GaN 선택적 성장특성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Area Growth of GaN on Non-Planar Substrate by MOCVD)

  • 이재인;금동화;유지범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57-262
    • /
    • 1999
  • MOCVD를 이용하여 $SiO_2$로 패턴된 GaN/sapphire 기판상에서 $NH_3$유량과 성장온도가 GaN 성장의 선택성과 성장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NH_3$유량을 500~1300sccm, 성장온도를 $950~1060^{\circ}C$로 변화시켜 성장변수에 따른 영향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NH_3$유량이 증가할수록 성장선택성이 향상되었으나 기판윈도우에서 성장되는 GaN 형상변화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성장온도가 높을수록 GaN의 성장선택성이 향상됨이 관찰되었다. 패턴 모양을 원형, 선형, 방사선모양(선형 패턴을 30, $45^{\circ}$로 회전)으로 제작하여 GaN 성장을 수행한 후 관찰한 결과 {1101}으로 이루어진 Hexagonal 피라밋 형상과 마스크층 위로의 측면성장을 얻을 수 있었으며, 성장조건에 따른 <1100>와 <1210>의 방향으로의 측면성장속도의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GaN 후막 증착의 열역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f thermodynamic analysis in GaN thick films gtowth)

  • 박범진;박진호;신무환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88-395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기상화학 증착법으로 성장되는 GaN 후막에 대한 열역학적 전사모사를 수행하고 이를 실험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열역학적계산은 화학양론적 연산방식을 이용하여 수치 해석하였으며, 모사의 변수로써 온도범위는 400~1500K, 기상비율은 $(GaCl_3)/[GaCl_3+NH_3],(N_2)/(GaCl_3+NH_3)$를 취하였다. GaN의 성장온도 범위는 이론적인 계산이 실험결과보다 훨씬 낮은 450~750K으로 예측되었다. 성장온도에서 모사결과와 실험결과와의 차이는 GaN의 기상 에픽텍시 성장이 박막성장의 높은 활성화 에너지 때문에 반응속도론적으로 국한된 영역 내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NH3 분위기에서 후속 열처리에 의한 p형 ZnO 형성 (Formation of N Doped, p-type ZnO Films by Post-annealing in NH3 Ambient)

  • 정은수;김홍승;조형균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611-617
    • /
    • 2006
  • We report the preparation of N doped, p-type ZnO films by post-annealing in $NH_3$ ambient. The properties were examined by XRD, Hall-effect measurement, PL, and SIMS. ZnO films showed better crystallinity and electron concentration of $10^{15}-10^{17}/cm^3$ with post-annealing in $NH_3$ ambient. These films were converted to p-type ZnO by activation thermal annealing process at $800^{\circ}C$ under $N_2$ ambient.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p-type ZnO showed a hole concentration of $1.06\times10^{16}/cm^3$, a mobility of $15.8cm^2/V{\cdot}s$, and a resistivity of $40.18\Omega{\cdot}cm$. The N doped ZnO films showed a strong photoluminescence peak at 3.306 eV at 13 K, which is closely related to neutral acceptor bound excitons of the p-type ZnO:N. In the SIMS spectra, the incorporation of nitrogen was confirmed.

엽채류의 환경제어 모델 연구 I. 야온 및 양액내 $\textrm{NO}_3\;^-$: $\textrm{NH}_4\;^+$비가 백경채 및 탑채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Modelling of Controlled Environment in Leaf Vegetable Crops)

  • 박권우;신영주;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1-27
    • /
    • 1992
  • 야온과 시용질소의 형태를 달리한 양액이 탑채와 백경채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탑채, 백경채 모두 야온 15$^{\circ}C$ 에서 생육이 왕성하여 생체중이 무거웠으나 건물율과 vitamin C의 함량은 온도가 낮아질수록 증가하였다. 2. 양액의 N형태 비율에 따른 백경채의 생육은 NO$_3$$^{-}$ : NH$_4$$^{+}$ 의 비가 0 : 8에서만 극히 생육이 저조하고, 다른 처리구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3. 양액내 NO$_3$$^{-}$-N의 함량이 높을수록 vitamin C의 함량이 많고, NH$_4$$^{+}$-N의 함량이 높을 때는 건물율이 높았다.

  • PDF

지렁이 분변토를 접종한 세라믹 바이오필터의 암모니아 제거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Removal of Ammonia in the Ceramic Biofilter Inoculated with Earthworm Casts)

  • 조경숙
    • 환경영향평가
    • /
    • 제9권1호
    • /
    • pp.39-46
    • /
    • 2000
  • Removal of ammonia using the porous ceramic biofilter inoculated with earthworm casts was characterized. By assuming a plug air flow in the biofilter and applying the Michaelis-Menten equation, the maximum removal rate of $NH_3$ was $280.7g-N{\cdot}m^{-3}{\cdot}h^{-1}$($18.0g-N{\cdot}kg^{-1}{\cdot}d^{-1}$) at $30^{\circ}C$. $NH_3$ removal rate was increased as temperature increases from $15^{\circ}C$ to $35^{\circ}C$. The maximum removal rate was $285.8g-N{\cdot}m^{-3}{\cdot}h^{-1}$($18.8g-N{\cdot}kg^{-1}{\cdot}d^{-1}$) at $35^{\circ}C$. At $15^{\circ}C$, the $NH_3$ removal rate was $122.8g-N{\cdot}m^{-3}{\cdot}h^{-1}$($8.1g-N{\cdot}kg^{-1}{\cdot}d^{-1}$). When 210 ppm $NH_3$ was supplied to the biofilter at space velocity of $220h^{-1}$, the removal efficiency of $NH_3$ at 15, 25, 30 and $35^{\circ}C$ was 80, 90, 95, and 96%, respectively. The removal rate of the ceramic biofilter was 3 to 15 times higher than other biofilters compar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NH_3$ per unit volume of carrier. This result indicates that earthworm casts and porous ceramics are very good inoculum source and carrier, respectively, for the $NH_3$-degrading biofilter.

  • PDF

신경망을 이용한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박막의 전하밀도 모델링 (Charge Density Modeling of Silion Nitride Thin Films Using Neural Network)

  • 권상희;김병환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4-115
    • /
    • 2007
  • 플라즈마 응용화학기상법을 이용하여 Silicon Nitride (SiN) 박막을 증착하였다. PECVD 공정은 Box Wilson 실험계획표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SiN박막의 전하밀도를 신경망과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전하밀도에의 $N_2$$NH_3$의 영향을 다양한 온도에서 고찰하였다. $N_2$ (or $NH_3$)의 증가에 따라 전하밀도는 증가하였으며, 이는 전하밀도의 [N-H]에의 강하게 의존하고 있음을 보인다. 전하밀도는 고온에서의 $NH_3$의 증가, 또는 높은 $NH_3$ 유량에서의 온도의 증가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였다. 굴절률 모델과 비교할 때, 이 같은 현상이 [N-H]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